KR100394823B1 -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823B1
KR100394823B1 KR10-2001-0022467A KR20010022467A KR100394823B1 KR 100394823 B1 KR100394823 B1 KR 100394823B1 KR 20010022467 A KR20010022467 A KR 20010022467A KR 100394823 B1 KR100394823 B1 KR 100394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internet
telephone number
telephon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477A (ko
Inventor
송용호
유승화
Original Assignee
(주)애니 유저넷
송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 유저넷, 송용호 filed Critical (주)애니 유저넷
Publication of KR2001010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5Directories for electronic mail or instant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7Directories for hybrid networks, e.g. including telephon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92Address allocation by self-assignment, e.g. picking addresses at random and testing if they are already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04Address structures or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2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 권고안(ITU-T)의 해당필드를 이루는 요소들의 서두에 별도의 웹폰 인식용 코드를 부가한 부가부를 가지는 웹폰 사용자 인터넷 전화번호가 요소를 이루도록 하고, 게이트 키퍼는 이를 기초로 아이피 어드레스와 연동하여 교환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해당필드가 알리아스(Alias)인 경우 가입자의 이름이나 애칭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한 요소(Entity)가 인터넷 전화번호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해당필드가 이메일인 경우 해당 이메일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한 요소가 인터넷 전화번호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해당필드가 일반전화번호인 경우 해당전화번호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하는 부가부를 가지도록 한다.
부가부는 게이트키퍼에서 3자리 이내의 아스키코드를 포함하도록 변환하여 전화번호 권고안(ITU-T)의 규정을 지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 전화를 범용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토록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Telephone numbering method of internet web-phone}
본 발명은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화번호 권고안(ITU-T)의 해당필드를 이루는 요소들의 서두에 별도의 웹폰 인식용 코드를 부가한 부가부를 가지는 웹폰 사용자 인터넷 전화번호가 요소를 이루도록 하고, 게이트 키퍼는 이를 기초로 아이피어드레스와 연동하여 교환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부가 게이트키퍼에서 3자리 이내의 아스키코드로 변환하여 전화번호 권고안(ITU-T)의 규정을 지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 전화를 범용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망을 통하여 전화를 하고, 최근에는 무선망을 통하여 무선전화를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유무선 공용으로 전화를 할 수 있는 단계로 발전하였고, 인터넷이 주류를 이루는 현재에는 인터넷 단말기끼리의 통화가 가능토록 환경이 발전하고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화 유선망(A)과 인터넷 유선망(B)과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 도면으로, 일반전화 유선망(A)은 회선망(Switched Circuit Network(PSTN))(1)을 통하여 회선을 제공하는 한국통신 같은 교환국(11)에 가입한가입자가 사용하는 일반전화기(12)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룬다. 인터넷 유선망(B)은 예를 들어 천리안 같은 인터넷 정보제공업체(ISP)(21)에서 제공하는 라우터(22)를 통하여 전용선으로 인터넷 정보제공업체(21)와 접속하는 컴퓨터(23)와, 다른 인터넷 정보제공업체(21-1)와 인터넷 통신을 이루도록 인터넷망을 이루는 패킷망(Packet Network)(30)과, 상기 인터넷 정보제공업체(21, 21-1)로부터의 패킷망을 회선망 방식으로 변환하여 회선망(22)과 접속토록 하는 망변환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은 교환국(11)을 통하여 일반전화기(12) 가입자끼리 통화를 하고, 또한 인터넷 정보제공업체(21)에 가입한 가입자는 서로 인터넷 정보제공업체(21)를 경유하여 가입자 번호를 요청하여 접속을 한다. 그리고 일반전화기(12)를 통한 모뎀으로 컴퓨터(23) 사용자와 접속을 할 경우에는 망변환기(40)를 경유하여 해당하는 아이피를 가지는 컴퓨터(22)와 접속하여 메일을 주고 받거나 통화를 할 수 있게된다.
한편 무선망은 도 2 와 같이 각 지역마다 분할하여 분산 설치하여 이동전화기(54)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지국(51)과, 각 기지국(51)을 일정 그룹으로 관장하는 기지국 센터(52)와, 각 기지국 센터(52)를 총괄하고 고객 번호 등을 인식하고 통화시간 등을 체크하며 교환기능을 하는 교환국(5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교환국(53)은 예를 들어 에스케이 텔레콤(011)등을 들 수 있고, 다른 교환국(53-1)(예를 들어 017) 과의 접속은 약정에 의하여 상호 통화 가능토록 데이터를 코드 변환시켜 사용하고 있다.
도 3 은 유무선망이 결합된 방식의 구성도로, 이동전화기(54)가 기지국(51),기지국 센터(52) 및 무선 이동전화 교환국(53)을 통하여 통화토록 하는 무선망(C)과, 교환국(11)과 회선망(1)을 통하여 접속하는 유선전화 교환국(11)을 통하여 일반 유선 전화기(12) 사용자가 통화하는 전화 유선망(A)과, 유선전화 교환국(11)과 접속하여 유무선 접속을 가능토록 하고 패킷망(30)과 접속하여 인터넷을 가능토록 하는 예를 들어 드루넷과 같은 인터넷 정보 제공업체(21)에 회원으로 가입한 컴퓨터(23)사용자가 사용하는 인터넷 유선망(B)으로 이루어지고, 인터넷 정보제공업체(21)는 교환국(11)과 망변환 하는 망변환기(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단말기를 사용하는 망 구성은 도 4 와 같이 컴퓨터(23), 웹폰(24), 피시폰(25)등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인식하는 게이트 키퍼(26)와, 게이트 키퍼(26)를 통한 어드레스를 기초로 다수의 게이트 키퍼 회선을 공유토록 스위칭 하는 라우터(22)와, 각 라우터(22)를 통하여 접속하는 인터넷 정보제공업체(21)와, 인터넷 정보제공업체(21)를 통하여 제공되는 인터넷 패킷망(30)과,
일반 유선전화 교환국(11)을 통하여 일반전화기(12)를 접속시키는 회선망(1)과,
이동전화기(54)가 기지국(51), 기지국 센터(52) 및 무선 이동전화 교환국(53)을 통하여 통화토록 하고, 무선 이동전화 교환국(53)은 회선망(1)과도 접속하여 일반전화기(12)와의 통화를 가능토록 하는 무선망(C)과,
상기 일반 유선전화 교환국(11)이나 무선 이동전화 교환국(53)과 게이트 키퍼(26)를 서로 연결하여 회선망 이용 일반전화기(12)와 이동전화기(54)의 해당 전화번호와 인터넷 아이피어드레스를 상호 변환하여 해당하는 전화기(12, 54)와 인터넷 단말기(29)가 상호 접속을 가능토록 기능 하는 게이트 웨이(28)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게이트 웨이(28)에는 인터넷 단말기(29)의 가입자 아이피 어드레스와 회선망(1)을 사용하는 가입자 전화 번호를 동시에 저장하고 가입자 전화 번호를 일반 유선전화 교환국(11)( 또는 무선 (이동)전화 교환국(53))을 통하여 원하는 전화기를 호출하여 통화토록 한다. 즉, 게이트 웨이(28)에서 회선망(1)과의 접속 시에는 전화번호를 기초로 연결하고, 인터넷망인 패킷망(30)을 이용할 때에는 아이피 어드레스를 기초로 상호 연결토록 기능하고, 이를 위하여 게이트 웨이(28)는 아이피 어드레스와 전화번호를 동시에 저장함이 요구된다.
상기 인터넷 단말기인 피시폰(25) 끼리의 통화를 위하여는 도 5 와 같이 게이트키퍼(26)에 피시폰(25)이 피시폰(25-1)의 아이피 어드레스 인증을 요청한다(ARQ)(①). 게이트 키퍼(26)는 피시폰(25-1)의 아이피가 연결 가능한지를 내장 데이터와 비교하여 연결 가능 여부를 피시폰(25)에 알려준다(②). 그러면 피시폰(25)은 셋업을 게이트키퍼(26)에 요청하고, 이를 기초로 피시폰(25-1)의 상태를 셋업 시킨다(③, ④). 이어 피시폰(25-1)가 역시 게이트 키퍼(26)에 인증을 요청하고 게이트키퍼(26)는 이를 수락한다(⑤,⑥). 수락이 끝나면 피시폰(25)과 피시폰(25-1)가 서로 접속을 한다(⑦).
이 경우 피시폰(25)은 인터넷 전화를 뜻하는 것으로, 인터넷 전화(예를 들어 웹폰)는 근복적으로 인터넷 아이피 어드레스를 통하여 상호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이피(어드레스)는 일반인들이 기억하기가 쉽지 않고, 또 유동 아이피를 사용하는 랜 환경 하에서는 수시로 아이피가 변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예를 들어 "getLocalHost()" 함수 등) 알아낼 수밖에 없어 일반인들이 알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일반인들이 아이피를 알아내기는 프로그래머가 아닌 이상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폰에서는 일반인들이 그 동안 사용해온 일반전화 번호와 유사한 외우기 쉽고 사용이 편리한 번호를 아이피를 대신하여 부여한 후, 실제 전화 통화시 웹폰의 전화교환 장치인 게이트 키퍼(26)가 매핑테이블(아이피 어드레스, 인터넷 전화번호)을 이용하여 통화 대상 단말기의 아이피를 찾아서 웹폰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아이피 어드레스로 통화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권고안(ITU-T)에 의하면 아이피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전화번호로 지정항목(필드)(E.164번호, e-mail번호, Alias명의)을 지정하여 사용토록 한다. 이러한 매핑 구조의 일 예로는 도 6 과 같은 표(아이피어드레스(61), 알리아스명의(62), 이메일 번호(63), 전화번호(E.164)(64) 및 상태(65) 필드를 가짐)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구조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식 이어서 아직 실용화가 안된 웹폰의 경우 전문가가 아닌 한 기 웹폰 전화번호만 가지고는 웹폰 인지 인터넷폰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서버가 서비스를 제공할 때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웹폰에도 기존의 권고안(ITU-T) 에 버금가는 새로운 표준안을 제시하여 웹폰의 사용자들이 일관되게 혼란 없이 통화를 가능토록 하는 번호 체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전화 번호 권고안(ITU-T)에서 권고하는필드(Alias, e-mail, E.164)에 따른 번호를 웹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기존의 전화번호 전면에 약정한 부호를 부가하여 웹폰 인지를 인식토록 하는 번호 체계를 제공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유선망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인 무선망 구성도,
도 3 은 일반적인 유무선 및 인터넷 유선망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4 는 일반적인 인터넷 단말기를 사용한 망 구성 예시도,
도 5 는 게이트 키퍼를 통하여 일반적인 아이피 인증을 하는 순서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 은 일반적인 통신 권고안(ITU-T)의 구성을 나타낸 매핑 테이블 구조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매핑 테이블 구조의 예시도,
도 8 은 발명의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를 게이트키퍼에서 변환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전화 유선망, B; 인터넷 유선망, C; 무선망, 1;회선망, 11;유선전화 교환국, 12;일반 전화기, 21;인터넷 정보제공업체, 22;라우터, 23;컴퓨터, 30;패킷망,40;망변환기, 51;기지국, 52;기지국센터, 53;교환국, 54;이동전화기, 100,110;부가부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전화번호(TelCo No., Mobile Phone No.) 권고안(ITU-T)의 해당필드를 이루는 요소를 그대로 웹폰의 전화번호로 부여하거나, 요소들의 서두에 별도의 웹폰 인식용 코드를 부가한 웹폰 사용자 인터넷 전화번호가 요소를 이루도록 하고, 게이트 키퍼는 이를 기초로 아이피 어드레스와 연동하여 교환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해당필드가 알리아스(Alias)인 경우 가입자의 이름이나 애칭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한 요소(Entity)가 인터넷 전화번호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해당필드가 이메일인 경우 해당 이메일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한 요소가 인터넷 전화번호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해당필드가 일반전화번호인 경우 해당전화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그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인터넷 전화번호를 이루는 부가부가 게이트키퍼에서 3자리 이내의 아스키코드로 변환하여 전화번호 권고안(ITU-T)의 규정을 지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 전화를 범용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변환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인터넷 웹폰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의 구조 예시도로, 본 발명을 이루는 필드는 종래와 같이 아이피어드레스(61), 알리아스명의(62), 이메일 번호(63), 전화번호(E.164)(64) 및 상태(65) 필드를 가지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각 필드를 이루는 요소에서 아이피 어드레스(61) 및 상태(65) 필드를 제외한 필드의 요소 구성을 기존의 요소명의 서두에 웹폰 인식용 부호나 문자를 덧붙이는 부가부(100)를 가지는 구성을 이루도록 한다. 부가부(100)의 바람직한 예로는 숫자(0-9)나 문자(#, *, null)등을 부가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가 (null)인 경우는 기존의 전화번호(TelCo No., Mobile Phone No.) 체계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물론 필요시 추가 문자나 부호를 기존의 전화번호 요소 말미에 더할 수 있다. 상기 덧붙이는 숫자는 한자리 숫자 외에 두자리, 세자리 숫자 등으로 확장 가능하다. 아울러 해외에서 국내로, 반대로 국내에서 해외로 통화할 때는 국가 번호 앞에 상기 웹폰 인식용 숫자나 문자를 부가하면 웹폰 전화번호로 인식 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을 이루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를 게이트키퍼에서 변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매핑데이블의 구조도로,
본 발명을 이루는 필드는 게이트키퍼에서 변환 저장되는바, 종래와 같이 아이피어드레스(61), 알리아스명의(62), 이메일 번호(63), 전화번호(E.164)(64) 및 상태(65) 필드는 동일하게 가지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각 필드를 이루는 요소에서 아이피 어드레스(61) 및 상태(65) 필드를 제외한 필드의 요소 구성을 기존의 요소명의 서두에 웹폰 인식용 부호나 문자를 덧붙이는 부가부(100)를 가지는 구성을이루도록 한다. 부가부(100)의 바람직한 예로는 숫자(0-9)나 문자(#, *, null)등을 부가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가 (null)인 경우는 기존의 전화번호(TelCo No., Mobile Phone No.) 체계와 같은 것을 뜻한다. 물론 필요시 추가 문자나 부호를 기존의 전화번호 요소 말미에 더할 수 있다. 상기 덧붙이는 숫자는 한자리 숫자 외에 두자리, 세자리 숫자 등으로 확장 가능하다. 아울러 해외에서 국내로, 반대로 국내에서 해외로 통화할 때는 국가 번호 앞에 상기 웹폰 인식용 숫자나 문자를 부가하면 웹폰 전화번호로 인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게이트키퍼에서는 전화번호(E.164)(64)의 경우 부가부(110)는 독특하게 아스키코드(ASCII)로 변환하여 저장하는바, 이는 전화번호 권고안(ITU-T)의 규정상 숫자이어야 하므로 도 7 의 부가부(110)를 3자리 이내의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여 전화번호(E.164) 타입에 맞게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로 게이트키퍼에서 등록되어 사용하는 실제의 전화번호는 몰라도 된다. 물론 게이트키퍼를 통하여 이루어진 통화에 대한 정보 서비스(빌링정보, 발신자확인정보 등)시 사용자가 알고 있는 전화번호로 변환이 필요한데, 이 경우는 앞 3자리 숫자코드를 이에 상응하는 문자로 변환하면 된다. 부가부(110)를 3자리의 아스키코드로 정한 것은 아스키코드가 최대 3자리(0-127)이므로 이를 포괄할 수 있는 숫자(3자리 이내)로 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 매핑테이블을 구성하면, 인터넷 환경 하에서 메일이나 전화 통화를 위하여 아이피 어드레스를 기초로 확인하여 인터넷 정보 제공업체를 경유하여 가입자 상호 접속을 가능토록 하므로, 단지 인터넷 환경을 사용하지만 별도의 인터넷 정보 제공업체에 가입하지 않은 웹폰 사용자라도, 웹폰 서비스를 하는 서버에서 회원 가입 및 가입 번호를 제공할 때 웹폰 용 전화번호를 제공하고, 이러한 전화번호는 웹폰 사용자의 전화 번호인지를 바로 알 수 있도록 하므로, 웹폰 사용자가 인터넷 환경 하에서 사용하는 아이피 어드레스를 모르고도 쉽게 상호 접속을 가능토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 하에서 사용하는 웹폰의 전화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의 기존의 사용자가 권고안(ITU-T)에 기초하는 필드 요소의 앞에 약정한 숫자나 부호를 부가하는 부가부를 가지는 방식으로 웹폰 전화번호를 부여하므로, 웹폰 사용자는 별도로 아이피를 알지 못하여도 웹폰 전화번호를 가지고 서로 접속사용 가능토록 기능 한다. 또한 부가부는 게이트키퍼에서 3자리 이내의 아스키코드를 포함하도록 변환토록 하여 권고안의 규정을 지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 전화를 범용으로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토록 한다.

Claims (5)

  1. 전화번호 권고안(ITU-T)의 해당필드를 이루는 요소들의 서두에 별도의 웹폰 인식용 코드인 부가부(숫자나 문자(#, *, null))를 가지는 웹폰 사용자 인터넷 전화번호가 새로운 요소를 이루도록 부가하고, 게이트 키퍼는 이를 기초로 아이피 어드레스와 연동하여 교환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필드가 알리아스(Alias)인 경우 가입자의 이름이나 애칭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부로 부가한 요소(Entity)가 새로운 인터넷 전화번호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필드가 이메일인 경우 해당 이메일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부로 부가한 요소가 인터넷 전화번호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필드가 일반전화번호(TelCo No., Mobile Phone No.)인 경우 해당전화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해당 전화번호 앞에 약속한 부호나 숫자를 부가부로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5. 인터넷 웹폰 전화번호로 전화번호 권고안(ITU-T)의 서두에 별도의 웹폰 인식용 코드인 부가부(숫자 나 문자(#,*....,null))를 부가하여 부여하고,
    전화번호(E.164)(64)의 경우 부가부(110)는 게이트키퍼에서 3자리 이내의 아스키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변환방법.
KR10-2001-0022467A 2000-05-30 2001-04-25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KR100394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250 2000-05-30
KR20000029250 2000-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477A KR20010109477A (ko) 2001-12-10
KR100394823B1 true KR100394823B1 (ko) 2003-08-14

Family

ID=1967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467A KR100394823B1 (ko) 2000-05-30 2001-04-25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94823B1 (ko)
AU (1) AU2001214201A1 (ko)
WO (1) WO2001093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9880B (zh) * 2013-04-23 2016-05-11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netfilter框架下连接跟踪的优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83A (ko) * 1999-08-25 1999-12-06 가현정 전화기를 사용한 개인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
KR200193529Y1 (ko) * 2000-03-18 2000-08-16 홍정이 인터넷 주소 저장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폰 시스템
KR20010094490A (ko) * 2000-03-31 2001-11-01 임명관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통화 접속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0080A (ja) * 1997-01-20 1998-08-07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通信システム
JPH11122285A (ja) * 1997-10-16 1999-04-30 Fujitsu Ltd Lan電話交換装置及びシステム
JPH11220549A (ja) * 1998-01-30 1999-08-10 Fuji Xerox Co Ltd 網切替装置および電話装置
KR100272593B1 (ko) * 1998-09-25 2000-11-15 구자홍 랜 전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83A (ko) * 1999-08-25 1999-12-06 가현정 전화기를 사용한 개인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
KR200193529Y1 (ko) * 2000-03-18 2000-08-16 홍정이 인터넷 주소 저장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폰 시스템
KR20010094490A (ko) * 2000-03-31 2001-11-01 임명관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통화 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93517A1 (en) 2001-12-06
AU2001214201A1 (en) 2001-12-11
KR20010109477A (ko) 200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85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p a speech connection in different networks
JP3402190B2 (ja) オーディオ接続を確立する方法および分散型データベース
EP1466466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necting telephone calls directly on the basis of a text query
KR100394822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기 전화번호 서비스 방법 및게이트키퍼에서 아이피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방법
US6856617B2 (en) Method for processing outgoing call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IP) gateway
KR100394823B1 (ko) 인터넷 웹폰의 전화번호 부여방법
TW407419B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emul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a private exchange
US20070036288A1 (en) Personalized telephone number
US6577724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network for switching messages to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392586B1 (ko) 아이피망을 이용한 일반전화기와 인터넷 전화기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인증 메시지 포맷
KR101062136B1 (ko) 이동통신망에서 문자를 이용한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JP2001285477A (ja) 移動通信用準公衆システム
KR100398350B1 (ko) 아이피망을 이용한 일반전화기에서 호출 가능한 인터넷전화번호 부여방법
KR100711910B1 (ko) 유선 전화기를 위한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31469Y1 (ko) 아이피망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와 일반전화기의서비스장치
KR20060018155A (ko) 웹 환경을 이용한 사설교환기의 서비스 기능 관리 시스템및 방법
KR100627222B1 (ko) 가변 프리픽스 기능을 갖는 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및그 제어 방법
KR200316804Y1 (ko) 가변 프리픽스 기능을 갖는 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KR100522181B1 (ko) 홈네트워크를 위한 브이오아피 번호 할당 방법
KR100601850B1 (ko) 모바일 도메인 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및 모바일 도메인을 이용한 호 처리 방법
KR100751679B1 (ko)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79183A (ko) 고객 식별 전화번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TW200841693A (en) An VOIP connec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JP2000022843A (ja) Isdnターミナルアダプタ及びそのリモート制御方法
KR2002003494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설 교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