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441B1 -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441B1
KR100394441B1 KR10-2001-0040319A KR20010040319A KR100394441B1 KR 100394441 B1 KR100394441 B1 KR 100394441B1 KR 20010040319 A KR20010040319 A KR 20010040319A KR 100394441 B1 KR100394441 B1 KR 10039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communication
data
modem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688A (ko
Inventor
김현종
정범진
최민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to KR10-2001-004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4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2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information being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45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1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filtering and bypa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정보통신 전용선과,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 정보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복조하여 출력하고 송신데이터는 변조하여 상기 통신망 전용선을 통해 상기 정보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전용선용 모뎀과, 상기 전용선용 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용회선용 모뎀으로 입력하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와, 각 수용가별 전력량계로부터 그 수용가의 옥내로 이르는 옥내 전력선과, 상기 옥내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옥내전력선에 접속하여 이 옥내전력선으로부터 전력선통신신호를 분리하여 이를 복조하고 송신데이터는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옥내전력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선통신용 모뎀과, 이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전력선통신용 모뎀으로부터 복조된 데이터를 수신받고 송신데이터를 상기 전력선통신용 모뎀으로 전달하는 이용자 단말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 댁내의 통신선로로서 옥내의 전력선을 이용함으로써, 가입자 댁내에 별도의 정보통신 전용선로를 설치하지 않고도 정보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이용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A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indoor power line}
본 발명은 정보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통신시스템은, 대략적으로 가입자 단말 또는 서버와 통신회선과 교환장치 및 각 단말 및 서버가 하나의 망으로 연결된 정보통신망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가입자 단말들이 통신회선과 교환장치를 매개로 정보통신망(예컨대, Internet)에 접속하여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시스템이다.
상기한 통신회선과 교환장치는 대개 정보통신서비스제공업체(예컨대,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에 의해 제공 및 서비스되고, 가입자는 상기 정보통신서비스제공업체에 의해 제공 및 서비스되는 통신회선과 교환장치를 통해 가입자 단말을 정보통신망에 접속시켜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근래 통신회선을 통한 정보통신망과 가입자 단말간의 데이터 전송이 초고속으로 수행되는 초고속통신서비스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초고속통신서비스로는 광통신, xDSL, 케이블모뎀서비스, 전용선 서비스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광통신은, 전기통신에서 전기적 신호를 정보전달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빛을 이용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즉, 정보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바꾸고 이것을 광섬유를 통하여 전달하고 전달된 광 신호를다시 전기 신호로 바꾸어 원하는 정보를 재생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빛을 사용하는 모든 통신 방식을 가리켜 광통신이라 일컫고 있으며, 후술될 xDSL과 케이블 모뎀 서비스 및 전용선 서비스도 일부의 구간에서는 상기한 광통신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xDSL(Digital Subscriber Line)은 1989년 "Bellcore"에서 기존의 동선 쌍(예컨대, 전화선)을 사용하여 비디오, 영상, 고밀도 그래픽 및 Mbps 데이터 속도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제안된 통신방식으로, 기존 모뎀이 3.4KHz까지의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대역만을 이용하는데 반해, xDSL은 훨씬 넓은 주파수 영역(예: ADSL의 경우 1MHz까지)을 이용함으로써 동선쌍을 통하여 수 Mbps에서 수십Mbps에 이르는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xDSL은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전송속도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HDSL(High 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 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이 있다.
상기 케이블 모뎀 서비스는, 케이블 TV 망을 이용한 통신서비스로서, 데이터가 오가는 통로로서 전화선 대신 케이블 TV망을 이용하고 다이얼업 모뎀의 역할은 케이블 모뎀이 담당한다.
상기 전용선 서비스는, 주로 기업을 상대로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정보통신망제공업체의 백본(Backbone)망을 가입자의 댁 부근까지 연결하고 상기 백본망과 가입자의 단말간을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으로 연결하여이더넷(Ethernet)등의 근거리통신망용 프토토콜에 의해 가입자 단말과 정보통신망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서비스이다.
그런데, 상기한 통신서비스들은 모두 가입자 댁내에 정보통신망제공업체의 통신회선과 교환장치에 가입자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정보통신 전용선로가 필요하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가입자들이 정보통신망제공업체의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고 정보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각 정보통신망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통신서비스와 호환되는 적합한 규격의 정보통신 전용선로를 추가로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통신서비스를 변경하거나 가입자 단말을 원래 설치되어 있던 방에서 다른 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정보통신 전용선로 이외에 별도로 동일한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정보통신 전용선로를 추가로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록 상기한 종래의 통신서비스 중 xDSL의 경우 통신선로로서 전화선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가입자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방에 유선전화기와 이에 따른 전화선이 없는 경우 통신용으로 전화선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바, 결국 다른 통신서비스에서처럼 가입자 단말을 위해 정보통신 전용선로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은 마찬가지여서 이용 및 설치에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가입자 댁내의 통신선로로서 옥내의 전력선을 이용함으로써, 가입자 댁내에별도의 정보통신 전용선로를 설치하지 않고도 정보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옥내의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량계와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연결수단의 외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수단의 회로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보통신 전용선 20: 전용선용 모뎀
30: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 32-1∼2: 이더넷 통신부
33: 신호절환부 34-1: 제1 메모리
34-2: 제2 메모리 35: 전력선 통신부
37: 원격검침 통신부 40: 전력량계
50: 옥내 전력선 60: 연결수단
61: 저역통과필터 62: 커플링부
70: 전력선 모뎀 80: 가입자 단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내의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은,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정보통신 전용선과,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 정보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복조하여 출력하고 송신데이터는 변조하여 상기 통신망 전용선을 통해 상기 정보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전용선용 모뎀과, 상기 전용선용 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용회선용 모뎀으로 입력하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와, 각 수용가별 전력량계로부터 그 수용가의 옥내로 이르는 옥내 전력선과, 상기 옥내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옥내전력선에 접속하여 이 옥내전력선으로부터 전력선통신신호를 분리하여 이를 복조하고 송신데이터는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옥내전력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선통신용 모뎀과, 이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전력선통신용 모뎀으로부터 복조된 데이터를 수신받고 송신데이터를 상기 전력선통신용 모뎀으로 전달하는 이용자 단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의 개략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은, 정보통신 전용선(10)과 전용선용 모뎀(20)과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와 전력량계(40)와 옥내 전력선(50)과 연결수단(60)과 전력선 모뎀(70)과 가입자 단말(80)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10)은 정보통신서비스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통신선로와 교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용선용 모뎀과 인터넷(Internet) 등의 정보통신망(N)간에 정보교환을 매개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10)의 통신선로는 전화선, 케이블TV망, 이더넷케이블, 광통신케이블 등일 수 있다.
상기 전용선용 모뎀(20)은 정보통신망(N)으로부터 정보통신 전용선(10)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 전달하고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데이터는 정보통신서비스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통신서비스에 부합하는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변조하여 정보통신 전용선(10)을 매개로 정보통신망(N)으로 전송한다.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Multi Dwelling Unit; "MDU")(30)는 전용선용 모뎀(20)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전력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형태의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옥내 전력선으로 출력하고 옥내 전력선으로부터 인입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송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전용선용 모뎀(2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는 복수의 수용가(CH)와 전력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가입자의 수용가(CH) 별로 채널을 할당하고 전용선용 모뎀(20)으로부터 인가되는 수신데이터에 포함된 매체액세스제어(Media Access Control;"MAC") 주소에 의해 수신대상의 수용가(CH)를 식별하여 식별결과에 따라 수신데이터를 할당된 채널을 통해 전력선통신으로 변환하여 수용가(CH)로 전송하며, 각 수용가(CH)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 역시 할당된 채널을 통해 처리한다.
또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는 원격검침신호를 송신하는 기존의 계측기(예컨대, 전력량계, 가스계량기, 수도계량기 등)로부터 출력되는 원격검침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리 기억된 정보통신망(N) 상의 네트워크 경로(Uniform Resource Location; "URL")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더넷 입출력포트(31-1, 31-2)와 복수의 이더넷 통신부(32-1, 32-2)와 신호절환부(33)와 제1 및 제2 메모리(34-1, 34-2)와 복수의 전력선 통신부 (35)와 복수의 전력선통신신호 입출력포트(36)와 원격검침통신부(37)와 복수의 원격검침통신신호 입력단자(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이더넷 입출력포트(31-1, 31-2) 중 하나(31-1)는 전용선용 모뎀(20)과 데이터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31-2)는 추가되거나 임시로 연결되는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예비 및 보조용 통신포트로 이용된다.
이에 복수의 이더넷 통신부(32-1, 31-2) 중 하나(32-1)는 이더넷스위칭에 의해 전용선용 모뎀(20)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나머지(32-2)는 이더넷스위칭에 의해 추가되거나 임시로 연결되는 외부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절환부(33)는 전용선용 모뎀(20)으로부터 인가되는 수신데이터를 그에 포함된 매체액세스제어(MAC)주소에 의해 수신대상의 수용가(CH)를 식별하여식별결과에 따라 수신데이터를 수신대상의 수용가(CH)에 할당된 채널의 전력선통신부(35)로 전송하고, 각 전력선통신부(35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데이터 및 원격검침 통신부(37)로부터 입력되는 원격검침데이터를 이더넷 통신부(32-1)와 입출력포트(31-1)를 매개로 전용선용 모뎀(3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1 메모리(34-1)는 비휘발성 기억소자로서 신호절환부(33)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의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예컨대 각 채널별로 할당된 수용가의 매체액세스제어(MAC)주소와 원격검침신호를 전송할 상대측 서버의 네트워크경로(URL)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메모리(34-1)로는 "EEP ROM"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34-2)에는 휘발성 기억소자로서 신호절환부(33)의 동작시에 필요한 임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예컨대, "SGRAM"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력선통신부(35)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가 지원하는 채널수만큼 구비되며, 각 채널별로 하나씩의 전력선통신부(35)가 대응되고 각 전력선통신부(35)는 각 수용가(CH)와 1대1로 대응 연결된다.
이러한 전력선통신부(35)는 신호절환부(33)로부터 인가되는 수신데이터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전력선통신신호 입출력포트(36)를 통해 옥내 전력선(50)으로 송신하고 옥내 전력선(50)으로부터 전력선통신신호 입출력포트(36)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복조하여 송신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신호절환부(32-2)로 인가한다. 예컨대, 전력선통신부(35)는 FSK(Frequency Shift Keying)변조방식의 전력선통신신호를 이용해 전력선 모뎀(70)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원격검침 통신부(37)는 원격검침통신신호 입력단자(38)를 통해 입력되는 원격검침통신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원격검침 데이터를 신호 절환부(33)로 인가한다.
여기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는 동작전원을 배전용 전력선이나 옥내 전력선(50)으로부터 공급받게 되는데, 전력량계(40)의 1차측인 배전용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사용전력에 대한 비용을 전력공급업체에 지불해야 하고, 전력량계(40)의 2차측인 옥내 전력선(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사용전력에 대한 비용을 수용가(CH) 측에서 부담하게 되므로, 각 수용가(CH) 및 전력공급업체와 협의하여 협의된 내용에 따라 데이터 집중기(30)의 전원입력단을 배전용 전력선 또는 옥내 전력선(50)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민원발생 소지를 미연에 방지하고 법적인 충돌을 피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전력량계(40)는 전력공급업체로부터 배전되어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에 연결되어 해당 수용가의 소비전력량을 검출하여 이를 표시하는 계기인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력량계는 검출된 소비전력량을 표시함과 더불어 검출된 소비전력량에 상응하는 원격검침신호를 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식 전력량계가 사용된다.
상기 옥내 전력선(50)은 전력량계(40)로부터 수용가(CH) 옥내(屋內)의 전기 콘센트(CC)까지의 전력선이다.
상기 연결수단(60)은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를 각 수용가별 옥내 전력선(50)에 연결하는 장치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부터 출력된 전력선통신신호를 옥내 전력선(50)으로 전송하고 옥내 전력선(50)으로부터 인입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계(40)로부터 수용가(CH)까지의 옥내 전력선(50)에 직결되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의 전력선통신신호 입출력포트(36)와는 통신케이블(39)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통과필터(61)와 커플링부(62)로 구성되며, 상기 저역통과필터(61)는 전력량계(40)로부터 수용가(CH)의 옥내로 이르는 옥내 전력선(40)에서 고주파성분을 분리 제거하고 저역의 상용교류전원만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옥내 전력선(40)의 쌍선(雙線)에 각기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인덕터(L1∼L6)와 각 인덕터(L1∼L6)의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C1, C2)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링부(62)는 통신케이블(39)이 접속되는 입출력포트(P)와, 1차권선이 상기 입출력포트(P)에 연결되고 2차권선이 옥내 전력선(40)의 쌍선에 연결되는 변압기(T)와, 변압기(T)의 2차권선에 설치되는 저주파차단필터(62-1)로 구성된다, 여기 저주파차단필터(62-1)는 변압기(T)의 2차측권선으로 상용교류전원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캐패시터(C3, C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모뎀(70)은 전기콘센트(CC)를 매개로 옥내 전력선(50)에 접속하여 이 옥내 전력선(50)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가입자 단말(80)로 입력하고 가입자 단말(8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옥내 전력선(50)으로 전송한다. 예컨대, 전력선 모뎀(70)은 FSK 변조방식의 전력선통신신호를 이용해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전력선 모뎀(70)은 플러그(Plug)와 콘센트(Concentric Plug)를 매개로 옥내 전력선(5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단말(80)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력선 모뎀(70)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하며 가입자 단말(80)로부터의 정보를 전력선 모뎀(70)을 통해 정보통신망(N)으로 전송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용선용 모뎀(20)과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와 전력선 모뎀(70)이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용자가 가입자 단말(80)을 동작시켜 소정의 정보를 가입자 단말(80)로부터 정보통신망(N)으로 전송하는 경우, 가입자 단말(8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전력선 모뎀(70)에서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된 다음 옥내 전력선(40) 및 연결수단(60)을 매개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 전송되다.
이때, 연결수단(60)을 통한 신호전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선 모뎀(70)으로부터 연결수단(60)으로 인가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고주파수 성분이므로 연결수단(60)의 저역통과필터(61)에 의해 차단되어 전력량계(40)로는 유입되지 않고, 커플링부(62)의 변압기(T) 2차권선으로 유입되어 변압기(T)의 1차권선으로 출력되며 입출력포트(P)와 통신케이블(39)을 매개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 입력된다.
여기서, 변압기(T)의 2차권선에는 저주파차단필터(62-1)가 설치되어 있어 옥내 전력선(61)에 흐르는 상용교류전원의 저주파수 성분은 변압기(T)로 유입되지 않으며 변압기(T)의 1차권선과 2차권선은 철심을 통한 자속의 흐름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므로 옥내 전력선(40)에 흐르는 상용교류전원의 고전압 성분이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 인입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전력선 모뎀(70)으로부터 연결수단(60)을 매개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 입력된 전력선통신신호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의 전력선통신부(35)에서 송신용 데이터로 복조된 다음 신호절환부(33)로 전달되고, 신호절환부(33)로 전달된 송신용 데이터는 이더넷 통신부(32-1)의 이더넷스위칭에 의해 중계되어 전용선용 모뎀(31-1)로 입력된다.
전용선용 모뎀(31-1)에서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부터 입력된 송신용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된 신호를 정보통신서비스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보통신 전용선(10)을 매개로 정보통신망(N) 상의 지정된 네트워크경로(URL)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경로(URL)에 대한 정보는 전용선용 모뎀(31-1)으로부터 전송되는 송신용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
반면, 정보통신망(N) 상의 소정 네트워크경로(URL)에 위치한 서버나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정보통신 전용선(10)을 매개로 전용선용 모뎀(20)으로 수신된 다음 수신 데이터로 복조되고 복조된 수신 데이터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 전달된다.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 전달된 수신 데이터는 그 내부의 이더넷 통신부(32-1)에 의해 신호절환부(33)로 중계되고, 신호절환부(33)는 수신 데이터에 포함된 매체액세스제어(MAC)주소에 의해 수신대상의 수용가(CH)를 식별하여 식별된 수용가(CH)에 할당된 채널의 전력선 통신부(35)로 수신 데이터를 전달한다.
전력선 통신부(35)는 신호절환부(33)로부터 전달된 수신 데이터를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연결수단(60)을 매개로 옥내 전력선(50)으로 인가하고, 옥내 전력선(50)으로 인가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전력선 모뎀(70)으로 수신되어 전력선 모뎀(70)에서 수신 데이터로 복조된다.
전력선 모뎀(70)에서 복조된 수신 데이터는 가입자 단말(80)로 전달되어 저장됨과 더불어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되거나 음성신호로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는 원격검침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계측값을 통신단자를 통해 원격검침신호의 형태로 출력하는 전자식 계측기를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의 원격검침신호 입력단자(38)에 연결하면 수신된 원격검침신호를 정보통신망(N) 상의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경로(URL)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자식 계측기는 전력량계, 가스계량기, 수도계량기 등 원격검침신호를 출력하는 기존의 어떤 종류의 계측기도 해당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의 원격검침에 관련된 동작과정에 대해 원격검침신호의 출력이 가능한 전력량계(40)를 연결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자체 원격검침신호 출력기능을 갖는 전력량계(40)는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마다 전력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검침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며, 이 전력량계(40)로부터 출력된 원격검침신호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의 원격검침신호 입력단자(38)를 통해 원격검침 통신부(37)로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원격검침신호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의 원격검침 통신부(37)에 의해 원격검침 데이터로 복조되어 신호절환부(33)로 전달되는데, 신호전달부(33)는 복조된 원격검침 데이터에 이를 수신할 대상의 네트워크경로(URL)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이더넷 통신부(32-1)로 전달한다.
여기서, 원격검침 데이터를 수신할 대상의 네트워크경로(URL)에 대한 정보는 제1 메모리(34-1)에 저장되어 있는 바, 신호절환부(33)는 원격검침 통신부(37)로부터 원격검침 데이터가 전달되면 제1 메모리(34-1)로부터 원격검침 데이터를 수신할 대상의 네트워크경로(URL)을 읽어들인다.
이더넷 통신부(32-1)는 신호절환부(33)로부터 전달된 원격검침 데이터를 전용선용 모뎀(30)으로 전송한다.
전용선용 모뎀(31-1)에서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로부터 입력된 원격검침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된 신호를 정보통신서비스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보통신 전용선(10)를 매개로 정보통신망(N) 상의 지정된 네트워크경로(URL)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네트워크경로(URL)는 원격검침데이터를 수신할 서버나 단말에 대한 정보통신망(N) 상의 주소로서 이에 대한 정보는 전용선용 모뎀(31-1)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검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력공급업체나, 가스공급업체, 수도공급업체 등에서는 원격검침신호 출력기능이 있는 전력량계, 가스계량기, 수도계량기 등을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에 연결하고 정보통신망(N) 상에 원격검침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서버나 단말을 접속시키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30)에 상기 서버의 네트워크경로(URL)을 저장시켜 둠으로써, 원격검침데이터를 수신 받기 위한 별도의 전용통신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정보통신망(N)을 통해 원격검침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으므로 보다 저렴한 설치 및 유지비용으로 원격검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입자 댁내의 통신선로로서 옥내의 전력선을 이용함으로써, 가입자 댁내에 별도의 정보통신 전용선로를 설치하지 않고도 정보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이용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 가입자 단말을 옥내의 다른 방으로 옮기는 경우에도 전력선 모뎀을 옮겨간 방의 콘센트에 전력선모뎀을 접속하면 되고, 통신서비스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전용선용 모뎀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옥내에 정보통신 전용선로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기 하나씩의 정보통신 전용선과 전용선용 모뎀 및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를 통해 복수 가입자가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아파트, 빌딩, 다세대주택, 상가 등과 같이 좁은 면적에 다수의 가입자가 밀집되어 있는 장소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6)

  1.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정보통신 전용선과,
    상기 정보통신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 정보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복조하여 출력하고 송신데이터는 변조하여 상기 통신망 전용선을 통해 상기 정보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전용선용 모뎀과,
    상기 전용선용 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전달받아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용회선용 모뎀으로 입력하는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와,
    각 수용가별 전력량계로부터 그 수용가의 옥내로 이르는 옥내 전력선과,
    상기 옥내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옥내전력선에 접속하여 이 옥내전력선으로부터 전력선통신신호를 분리하여 이를 복조하고 송신데이터는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옥내전력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선통신용 모뎀과,
    이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전력선통신용 모뎀으로부터 복조된 데이터를 수신받고 송신데이터를 상기 전력선통신용 모뎀으로 전달하는 이용자 단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는, 상기 전용회선용 모뎀과의 데이터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전력선통신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는 송신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력선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신데이터에 포함된 매체액세스제어 주소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력선통신부 중 수신 대상의 수용가측 옥내전력선에 연결된 전력선통신부로 해당되는 수신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전력선통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송신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신호절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는, 전자식의 전력량계로부터 출력되는 원격검침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원격검침 데이터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원격검침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절환부는 상기 원격검침 통신부에서 변조된 원격검침 데이터를 미리 기억되어 있는 원격검침데이터 수신대상의 네트워크경로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제어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옥내로 이르는 옥내 전력선에서 고주파성분을 분리 제거하고 저역의 상용교류전원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저역통과필터로부터 옥내로 이르는 옥내 전력선에 접속되어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상기 전력선통신용 모뎀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전력선통신용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선통신신호를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로 전달하는 커플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전력선 데이터 집중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출력포트와,
    1차측권선이 상기 입출력포트에 연결되고 2차측권선이 상기 저역통과필터와 상기 전력선 모뎀 사이의 옥내 전력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2차측권선에 설치되는 저주파차단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차단필터는, 상기 변압기 2차측권선의 양 단에 각기 직렬로 접속되는 한쌍의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KR10-2001-0040319A 2001-07-06 2001-07-06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KR10039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319A KR100394441B1 (ko) 2001-07-06 2001-07-06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319A KR100394441B1 (ko) 2001-07-06 2001-07-06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688A KR20030004688A (ko) 2003-01-15
KR100394441B1 true KR100394441B1 (ko) 2003-08-14

Family

ID=2771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319A KR100394441B1 (ko) 2001-07-06 2001-07-06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30B1 (ko) * 2002-12-1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품 삭제방법
KR100648263B1 (ko) * 2005-11-29 2006-11-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사용되는 통신 장비
KR101348506B1 (ko) * 2005-12-23 2014-01-07 김호영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KR101122803B1 (ko) * 2010-08-02 2012-03-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의 중계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8187A (ja) * 1996-12-20 1998-07-21 Ishikawa Seisakusho:Kk 自動検針方法および装置
KR0167187B1 (ko) * 1995-11-11 1999-03-20 이종수 원격검침 장치
KR20000058916A (ko) * 2000-07-05 2000-10-05 정인환 디지털 적산전력계를 이용한 원격검침장치 및 그 방법
JP2000286757A (ja) * 1999-03-31 2000-10-13 Osaka Gas Co Ltd 自動検針システムのための電力線搬送用通信装置、電力搬送用通信システム及び自動検針システム
KR20010000539A (ko) * 2000-10-05 2001-01-05 이재선 전력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187B1 (ko) * 1995-11-11 1999-03-20 이종수 원격검침 장치
JPH10188187A (ja) * 1996-12-20 1998-07-21 Ishikawa Seisakusho:Kk 自動検針方法および装置
JP2000286757A (ja) * 1999-03-31 2000-10-13 Osaka Gas Co Ltd 自動検針システムのための電力線搬送用通信装置、電力搬送用通信システム及び自動検針システム
KR20000058916A (ko) * 2000-07-05 2000-10-05 정인환 디지털 적산전력계를 이용한 원격검침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0539A (ko) * 2000-10-05 2001-01-05 이재선 전력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688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5212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307511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98009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with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infrastructure to provide communications
US7301440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198999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064654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07541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signals through multiple power line conductors
US6965302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844809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backhaul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KR100648263B1 (ko)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사용되는 통신 장비
KR100394441B1 (ko)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KR100649451B1 (ko) 광 동축 혼합망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상기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장비
WO2006062493A2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signals through multiple power line condu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