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145B1 -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 Google Patents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145B1
KR100394145B1 KR10-2001-0039696A KR20010039696A KR100394145B1 KR 100394145 B1 KR100394145 B1 KR 100394145B1 KR 20010039696 A KR20010039696 A KR 20010039696A KR 100394145 B1 KR100394145 B1 KR 10039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emory
main body
cover
doub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848A (ko
Inventor
황인택
Original Assignee
황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택 filed Critical 황인택
Priority to KR10-2001-003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1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하여, MP3나 PDA,게임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용 메모리를 수용함과 동시에 AA사이즈 충전지 4개를 간편하게 정리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메모리 및 배터리를 동시에 수납 가능한 더블 박스에 관한 것으로, 이 배터리 박스는 행거 홀(52, 54)을 지닌 브라켓(50)이 일단에 연장되어 있는 본체(11)와, 후크(28) 및 걸림홀(26)에 의해서 상기 본체(11)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배터리 수납부(22)를 제공하는 배터리 커버(20)와, 후크(34) 및 걸림홀(36)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 커버(20)와 대향으로 상기 본체(11)의 타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메모리 수납부(32)를 제공하는 메모리 커버(3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박스에 의하면, AA사이즈 충전지 4개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브라켓에 구비되어진 가로 홀을 이용하여 넓은 행거나 외발 행거에도 더블 박스를 걸어 놓을 수가 있으므로, 충전지 4개를 한 조로 판매할 수 있는 포장용기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아울러 카메라의 목끈 같은 곳에 고정할 수 있으면서 브라켓이 필요 없는 사용자는 더블 박스 본체와 연결부위를 간단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Double Container Box For Memorys 4 Cells of AA Size Rechargable Batterys}
본 발명은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하여 MP3, PDA나 게임기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사는 메모리를 수용함과 동시에 AA사이즈 충전지 4개를 간편하게 정리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하여, MP3나 PDA, 게임기 등 휴대용 전자기기는 후래쉬 메모리가 내장된 각종형태의 메모리를 사용한다. 이들 메모리의 수납 및 휴대를 위해서는 각 메모리에 맞는 적정 크기의 케이스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이들 디지털 카메라나 MP3, PDA, 게임기 등의 경우에는 통상 AA사이즈로 이루어진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한다.그리고 장시간 야외 사진촬영이나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음악감상 또는 게임을 위해서는 예비 배터리를 다량 휴대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별도의 베터리 수납케이스를 준비하여야 한다.이와 같이, 종래에는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하여, MP3, PDA, 게임기 등 메모리와 배터리를 휴대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수납박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불편하고 분실우려와 관리가 어려우며 각 기기마다 메모리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호환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또한, 충전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상태를 나타내는 적절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미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방전상태의 배터리를 충전된 것으로 오인하여 이를 휴대함으로써 많은 불편과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모리와 AA사이즈 충전지 4개를 수용하여 동시 충전가능하며,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한 눈에 알 수 있으며, 기종별로 다양한 크기의 메모리를 수납할 수 있는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를 제공하며, 또한 충전기 판매점에서는 4개를 포장할 수 있는 포장용기 및 진열이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자는 카메라의 목끈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휴대 및 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더블 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박스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더블 박스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더블 박스의 저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더블 박스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박스의 전개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더블 박스 11:본체
20:배터리 커버 20a, 20b:제 1, 2관통공
22:배터리 수납부 26:걸림턱
28:후크 30:메모리 커버
32:메모리 수납부 40:충전 표시부
42:노브 50:브라켓
52, 54:행거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는 행거 홀을 지닌 브라켓이 일단에 연장되어 있는 본체와, 후크 및 걸림홀에 의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배터리 수납부를 제공하는 배터리 커버와, 후크 및 걸림홀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 커버와 대향으로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메모리 수납부를 제공하는 메모리 커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더블 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디지털 카메라, MP3, PDA나 게임기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모리와 충전용 배터리 4개를 동시에 수납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체 (11)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배터리가 수납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22)와 메모리가 수납될 수 있는 메모리 수납부(32)를 제공하는 배터리 커버 (20)와 메모리 커버(30)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본체(11)에는 행거 홀(52, 54)을 지닌 브라켓(50)이 일단에 연장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행거 홀(52, 54)은 다양한 폭의 행거가 삽입되기에 충분한 폭으로 이루어져 있어 호환성을 높였다.이 중에서, 상부 행거 홀(52)은 주로 판매점에서 행거에 걸어 진열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하부 홀(54)은 주로 디지털카메라 사용자가 카메라 목끈에 고정할 때 상부홀과 같이 사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박스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브라켓을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브라켓을 배제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배터리 커버(20)의 표면에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상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충전 표시부(40)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박스의 정면도, 좌측면도, 저면도 및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충전용 배터리 4개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22)의 표면에는 충전 표시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충전 표시부 (40)에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표시(44, 46)가 있으며, 추가로 노브(4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상태에 따라서 노브를 충전표시(44)나 방전표시(46)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과충전 및 방전에 따른 사용불가 현상을 미리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메모리 커버(30)는 도 3에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34) 및 걸림홀(36)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 커버(20)와 대향으로 상기 본체(11)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결합후에는 메모리 수납부(32)를 제공하게 된다. 후크 (34) 및 걸림홀(36)이 형성된 타단체는 연결부(38)가 형성되어 있어, 메모리 커버 (30)의 탈착시에도 이탈되지 않고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0)와 본체(11)는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배터리 수납부(22)에 수납되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 배터리의 양쪽 극이 각각 노출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관통공(20a, 20b)을 제공한다. 이를 도 6과 도 7에 보다 상세히 도시하였다. 이들 제 1 및 제 2관통공(20a, 20b)을 이용하여 4개의 배터리를 케이스에 넣은 상태에서도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보면, 본체(11)의 일측면에는 제 2관통공(20b)을 제공하기 위해 반원홈(20b')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 커버(20)에도 이와 대응되는 반원홈 (20b")이 형성되어 있다.따라서, 배터리 커버(20)를 본체(11)와 결합시키면, 이들 2개의 반원홈 (20b', 20b")에 의해서 제 2관통공(20b)이 형성된다. 본체(11)와 배터리 커버(20)는 연결부(24)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 커버(20)의 결합시 이탈방지를 위해서 본체(11)에는 걸림홀(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 커버(20)에도 본체(11)의 걸림홀(26)과 걸어 맞춤되어 커버 (20)의 이탈을 막기 위한 후크(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더블 박스에 있어서, 사용시에는 먼저, 배터리 수납부(22)에 배터리를 수납한 다음, 배터리 커버(20)를 본체(11)에 대고 가압하면 이 커버에 부착된 후크(28)가 걸림홀(26)에 삽입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되어 수납된 배터리의 이탈이 제지된다.다음에, 메모리 수납부(32)에 메모리를 수납한 다음, 메모리 커버(30)를 본체(11)에 대고 가압하면 이 커버에 부착된 후크(34)가 걸림홀(36)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수납된 메모리의 이탈이 제지된다. 물론, 배터리와 메모리의 사용순서는 관계없으며, 어느 하나만을 넣거나 꺼낼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하여, MP3나 PDA 또는 게임기등 휴대용 전자기기 용 메모리를 수용함과 동시에 충전지 4개를 간편하게 정리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수납된 상태에서도 배터리 박스의 상부 및 하부 관통공을 통해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여 과충전을 막고 배터리를 항상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종별로 다양한 크기의 메모리를 적절히 수용함으로써 부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행거에는 충분한 크기의 행거홀이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폭의 행거를 쉽게 걸 수 있는 이점이 있다.또한, 4개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충전지 생산자는 포장용기로 사용하면 운반 및 판촉상 판매점 및 소비자에 대한 훌륭한 배려가 될 수 있다.

Claims (3)

  1. 행거 홀(52, 54)을 지닌 브라켓(50)이 일단에 연장되어 있는 본체(11)와,
    후크(28) 및 걸림홀(26)에 의해서 상기 본체(11)의 일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배터리 수납부(22)를 제공하는 배터리 커버(20)와,
    후크(34) 및 걸림홀(36)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 커버(20)와 대향으로 상기 본체(11)의 타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메모리 수납부(32)를 제공하는 메모리 커버(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와 상기 배터리 커버(20)는 결합후에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의 양극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관통공(20a, 20b)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20)의 표면에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표시(44, 46)를 지니며,
    상기 충전 및 방전표시(44, 46)쪽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노브 (42)가 구비된 충전 표시부(4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KR10-2001-0039696A 2001-07-04 2001-07-04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KR10039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696A KR100394145B1 (ko) 2001-07-04 2001-07-04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696A KR100394145B1 (ko) 2001-07-04 2001-07-04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54U Division KR200250812Y1 (ko) 2001-07-04 2001-07-04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848A KR20010083848A (ko) 2001-09-03
KR100394145B1 true KR100394145B1 (ko) 2003-08-14

Family

ID=1971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696A KR100394145B1 (ko) 2001-07-04 2001-07-04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1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415Y2 (ko) * 1987-02-26 1991-06-13
JPH0544574U (ja) * 1991-11-26 1993-06-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記憶媒体
KR19980046873U (ko) * 1996-12-28 1998-09-25 구자홍 보조 밧데리 하우징으로 사용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메모리 카드 하우징
KR200186913Y1 (ko) * 2000-01-12 2000-06-15 시원테크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mp3 플레이어용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415Y2 (ko) * 1987-02-26 1991-06-13
JPH0544574U (ja) * 1991-11-26 1993-06-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記憶媒体
KR19980046873U (ko) * 1996-12-28 1998-09-25 구자홍 보조 밧데리 하우징으로 사용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메모리 카드 하우징
KR200186913Y1 (ko) * 2000-01-12 2000-06-15 시원테크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mp3 플레이어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848A (ko) 200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1257B2 (en) Lightweight, wallet-sized portable power charger kit with removable charging cable
US9077055B2 (en) Rechargeable battery system
US6434032B1 (en) Power supply with plug-receiving receptacles carried on bracket affixed to battery casing
US4768652A (en) Case for displaying and storing an electric tool, such as a mini-drill
US7806271B1 (en) Audio caddy
US20150272215A1 (en) Mobile device case including electronic cigarettes and accessories
US20140002004A1 (en) Portable charging station
KR101163705B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JPH02158195A (ja) 収納装置
CA2939721A1 (en) A portable charging device
CN111512516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便携式充电装置
KR200250812Y1 (ko)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KR100394145B1 (ko) 메모리 및 배터리 수납겸용 더블 박스
KR20040474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CN213098352U (zh) 一种双面空间式麻醉穿刺包
CN217282323U (zh) 一种单接入双输出墙充
CN213279237U (zh) 一种给手机充电的夹背式充电宝
CN218958583U (zh) 便于数据线收纳及使用的便携式电源
JP2004289897A (ja) 充電接続アダプター
CN219679958U (zh) 多功能数码包
KR20060105063A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CN217023474U (zh) 一种多功能电池收纳盒
CN211880600U (zh) 蓝牙耳机及用于蓝牙耳机的充电盒
CN213034584U (zh) 一种用于收纳五金工具的存放箱
CN215647274U (zh) 一种盒体及耳机充电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