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159B1 -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159B1
KR100392159B1 KR10-2001-0011100A KR20010011100A KR100392159B1 KR 100392159 B1 KR100392159 B1 KR 100392159B1 KR 20010011100 A KR20010011100 A KR 20010011100A KR 100392159 B1 KR100392159 B1 KR 100392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trip line
strip
directional coupler
type
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147A (ko
Inventor
박준석
안달
이광훈
송승훈
정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텔
Priority to KR10-2001-0011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1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6Auxiliary devices for mode selection, e.g. mode suppression or mode promotion; for mod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5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Landscapes

  • Wave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틀 내부 밑면과 면적이 동일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윗면 스트립 도체에 '|'형 및 ''형의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형 및 ''형 스트립 도체 사이를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하여 납땜으로 연결한 후에 틀 내부에 끼워넣고, 컨넥터(connecter)를 틀 측면의 홀에 끼워 넣은 후, 상기 컨넥터의 연결단자를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형 및 '

Description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High directivity directional coupler using microstrip line}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틀 내부 밑면과 면적이 동일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윗면 스트립 도체에 '|'형 및 ''형의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형 및 ''형 스트립 도체 사이를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하여 연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는 스트립 라인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여기서, 스트립 라인은 확장성을 가진 2개의 스트립 도체 사이의 유전체 내부 중간에 띠 모양의 스트립 도체가 있는 마이크로파 전송선로를 말하며, 스트립 도체는 상대(相對)와의 사이를 저 손실의 유전체로 격리한 것이다.
도 1a는 기존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단면도로서, 유전체(1)의 양쪽 면에 스트립 도체(2)를 접합한 것이고, 도 1b는 기존의 스트립 라인의 단면도로서, 유전체(1)의 양쪽 면에 스트립 도체(2)를 접합하고 유전체의 내부에 띠 모양의 스트립 도체가 있는 것이다.
한편, 디렉셔널 커플러 설계자가 원하는 패턴의 스트립 라인을 제작할 경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두 개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한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은 양쪽 면의 스트립 도체 중에서 한쪽 면의 스트립 도체를 제거하고, 다른 한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은 양쪽 면의 스트립 도체 중에 한쪽 면의 스트립 도체를 에칭하여 원하는 패턴을 만든 후,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각각 제거된 면과 패턴을 만든 면을 접합하여 제작한다.
도 2a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단면도로서, 틀(10) 내부 밑면과 면적이 동일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윗면 스트립 도체에 패턴을 형성한 패턴보드(Pattern board)(100)를 틀(10) 내부에 끼워 넣고, 컨넥터(connecter)(12)를 틀(10) 측면의 홀(13)에 끼워 넣은 후에상기 컨넥터(12)의 연결단자(14)를 상기 패턴보드(100)의 '|'형 및 ''형 스트립 도체(101)(102)의 양쪽 종단에 납땜을 하고, 상기 패턴보드(100) 위에, 틀(10) 내부 밑면과 면적이 동일하며 밑면의 스트립 도체를 제거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200)을 넣은 후, 덮개(11)를 덮어 나사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이 하나의 스트립 라인과 같은 특성을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는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하나의 스트립 라인과 같은 특성을 갖도록 만들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에 에칭하여 패턴을 형성한 면과, 다른 하나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에 스트립 도체를 제거한 면이 접합될 때, 패턴을 형성한 스트립 도체의 두께로 인하여 얇은 층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형성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덮개를 이용하여 강한 압력으로 누를 경우(커버프래싱 : cover-pressing), 패턴을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스트립 도체의 두께로 인하여 스트립 도체를 제거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유전체 형상이 변형되어, 디렉셔널 커플러의 특성이 나빠지게 되고, 디렉셔널 커플러 설계자가 원하는 특성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튜닝에 많은 시간과 세밀한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어, 디렉셔널 커플러의 제작비용이 높아지게 되고, 제작 시간 및 공정이 길어지며, 고 지향성(high directivity) 특성을 가진 디렉셔널 커플러를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가 지닌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윗면 스트립 도체에 '|'형 및 ''형의 패턴을 형성한 패턴보드의 '|'형 및 ''형 스트립 도체 사이를, 다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고 파워(High power)에서 요구되는 고 지향성 특성을 개선하고, 제작 시간 및 공정을 줄이며 원자재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킨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기존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단면도.
도 1b는 기존의 스트립 라인의 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커플러의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커플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입출력 리턴로스(I/O Return Loss ; CH 1, CH 4) 및 인서션로스(Insertion Loss ; CH 2 )의 측정 그래프.
도 4b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의 측정 그래프.
도 4c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커플링(Coupling)의 측정 그래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커플러의 입출력 리턴로스(I/O Return Loss ; CH 1, CH 4) 및 인서션로스(Insertion Loss ; CH 2 )의 측정 그래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의 측정 그래프.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의 커플링(Coupling)의 측정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틀 11 : 덮개 12 : 컨넥터 13 : 홀 14 : 연결단자
300, 310, :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400 : 패턴보드
401 : ''형 스트립 도체 402 : '|' 형 스트립 도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윗면 스트립 도체에 '|'형 및 ''형의 패턴을 형성한 패턴보드(400)의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를,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300)을 이용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커플러의 단면도로서, 틀(10) 내부 밑면과 면적이 동일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윗면 스트립 도체에 '|'형 및 ''형의 패턴을 형성한 패턴보드(400)의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를,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300)을 이용하여 납땜으로 연결한 후에 틀(10) 내부에 끼워넣고, 컨넥터(connecter)(12)를 틀(10) 측면의 홀(13)에 끼워 넣은 후, 상기 컨넥터(12)의 연결단자(14)를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400)의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의 양쪽 종단에 납땜을 하고, 덮개(11)를 덮어 나사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를 별도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300)을 이용하여 연결한 것은, 상기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가 상호간섭작용을 하여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커패시턴스( capacitance : 정전용량 )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패시턴스 C는,
(1)
이며, Q는 스트립 도체표면의 전하량(이때, 양전하는 Q, 음전하는 -Q로 표시된다)이고, Vo는 두 스트립 도체사이의 전위차이다.
도체계 내에서 전하밀도를 N배로 증가시키면 가우스(Gauss)의 법칙에 의하여 전속밀도나 전계의 세기도 N배가되고 전위차도 역시 N배로 증가하여, 커패시턴스는 전위차나 총전하량의 값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식 (1)에서 두 스트립 도체가 각각인 균일한 표면전하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2)
(3)
이며, 이때 S는 두 스트립 도체의 면적이고, d는 두 스트립 도체사이의 거리이며, ??는 스트립 도체사이에 있는 유전체의 유전율이다.
따라서, 식(1)은
(4)
인 관계를 얻게 된다.
따라서, 커패시턴스는 전위차나 총전하량의 값에 관계없이 도체계의 기하학적 제원(면적, 거리 등)과 균일유전체의 유전율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의 간격은 사용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의 간격에 따라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를 연결하는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300)의 폭과 넓이 등이 식(4)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커플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윗면 스트립 도체에 '|'형 및 ''형의 패턴을 형성한 패턴보드(400)의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를, 또 다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310)으로 연결한 것이다.
도 4a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입출력 리턴로스(I/O Return Loss ; CH 1, CH 4) 및 인서션로스(Insertion Loss ; CH 2 )의 측정 그래프이고, 도 4b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의 측정 그래프이며, 도 4c는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의 커플링(Coupling)의 측정 그래프이다.
또한,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의 입출력 리턴로스(I/O Return Loss ; CH 1, CH 4) 및 인서션로스(Insertion Loss ; CH 2)의 측정 그래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의 측정 그래프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의 커플링(Coupling)의 측정 그래프이다.
상기 측정 그래프를 비교하면, 측정 주파수(1.9㎓ ∼ 2.3㎓)에서 스트립 라인의 입력측 리턴로스(CH1 : S11 port)는 -32.813㏈ ∼ -29.465㏈이고, 출력측 리턴로스(CH4 : S22 port)는 -28.394㏈ ∼ -26.525㏈인 반면에,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입력측 리턴로스(CH1 : S11 port)는 -30.281㏈ ∼ -27.672㏈로, 출력측 리턴로스(CH4 : S22 port)는 -33.861㏈ ∼ -35.430㏈로 개선되었으며, 아이솔레이션은 측정 주파수에서 스트립 라인의 경우 -42.240㏈ ∼ -42.301㏈인 반면에,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경우 -49.816㏈ ∼ -45.139㏈로 개선되`어,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입출력 리턴로스와 인서션로스 및 아이솔레이션의 월등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렉셔널 커플러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두 개를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한 후에 커버프래싱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한 개만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커버프레싱이 필요 없으므로, 제작 시간 및 공정을 단축하고 원자재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며, 고 파워에서 요구되는 고 지향성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동 디바이스(Passive Device)인 디렉셔널 커플러(Directional coupler)에 있어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윗면 스트립 도체에 '|'형 및 ''형 패턴을 형성한 패턴보드(400)의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를,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300)을 직교되게 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를, 다른 별도의 마이크로스트립 라인(310)을 평행하게 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형 및 ''형 스트립 도체(401)(402) 사이를, 스트립 라인을 이용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KR10-2001-0011100A 2001-03-05 2001-03-05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KR100392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100A KR100392159B1 (ko) 2001-03-05 2001-03-05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100A KR100392159B1 (ko) 2001-03-05 2001-03-05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943U Division KR200231630Y1 (ko) 2001-03-06 2001-03-06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47A KR20020071147A (ko) 2002-09-12
KR100392159B1 true KR100392159B1 (ko) 2003-07-23

Family

ID=2769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100A KR100392159B1 (ko) 2001-03-05 2001-03-05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87B1 (ko) * 2003-09-29 2007-09-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방향성 커플러
KR100563790B1 (ko) * 2003-11-27 2006-03-30 심한식 이동 통신용 방향성 커플러
KR100735159B1 (ko) * 2006-03-27 2007-07-06 이종철 고결합 특성을 갖는 수직 결합선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47A (ko)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7280A1 (en) High speed connector system
US6474995B1 (en) Low profile RF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F connector
US8368482B2 (en) Dielectric waveguide-microstrip transition including a cavity coupling structure
CN1707850B (zh) 具有金属引导罐的介电陶瓷滤波器
RU2487448C2 (ru) Вставка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такой вставки
JPH08241651A (ja) 基板実装用高周波切換器
CN100550509C (zh) 鳍线型微波带通滤波器
KR101754278B1 (ko) Tem모드 유전체 도파관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도파관 필터
KR101017227B1 (ko) 유전체 도파관 필터
KR100392159B1 (ko)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WO2004079863A3 (en) Microwave connector,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same
WO2008033067A1 (en) A rf filter module
KR200231630Y1 (ko)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고 지향성 디렉셔널 커플러
CN110676542B (zh) 端口耦合结构、滤波器及射频组件
KR100392160B1 (ko)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패턴 형성 방법을 이용한 고 지향성디렉셔널 커플러
US5379012A (en) Dielectric filter device
KR200241901Y1 (ko)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패턴 형성 방법을 이용한 고 지향성디렉셔널 커플러
SU1192001A1 (ru) Микрополосковый направленный ответвитель
US9941568B2 (en) Transition device between a printed transmission line and a dielectric waveguide, where a cavity that increases in width and height is formed in the waveguide
US5178560A (en) Connector for coaxial ribbon cable
KR100485999B1 (ko) 전기 커넥터
KR20040071916A (ko) 인덕턴스 성분의 식각된 홀을 이용한 씨피더블유 저역통과필터
KR20040036021A (ko) 마이크로파 전송선로 접합용 동축 커넥터
KR101021131B1 (ko) 도파로 구조에서의 부동 마이크로파 필터
JPH03108801A (ja) 誘電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