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062B1 - 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062B1
KR100392062B1 KR10-2000-0038894A KR20000038894A KR100392062B1 KR 100392062 B1 KR100392062 B1 KR 100392062B1 KR 20000038894 A KR20000038894 A KR 20000038894A KR 100392062 B1 KR100392062 B1 KR 10039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door
user
control
contro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715A (ko
Inventor
안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고테크
Priority to KR10-2000-003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0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를 오픈/락 시키는 도어시건부와, 도어시건부가 오픈되도록 제어하는 도어오픈제어부와, 도어시건부가 락되도록 제어하는 도어락제어부, 눌려진 킷값을 출력시키는 키입력부, 지문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지문입력부,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능을 저장시킨 제어기능저장부, 지문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지문인식모듈, 입력된 ID와 지문데이터가 제어기능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기능저장부에 등록된 제어기능에 따라 도어가 오픈/락 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지문을 등록시켜 두고 원하는 기능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비상사태를 원격지에 통보할 수 있고, 화재 또는 가스누설 등의 응급사태를 진압할 수 있고, 리모콘으로 도어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및 방법{Do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guard Function}
본 발명은 도어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ID와 지문을 인식하여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입력된 지문의 종류에 따라 기능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홈오토메이션이 가정에 많이 도입됨에 따라, 가정의 경비뿐만 아니라 가전기기의 제어기능을 구비한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장치는 원격지에서 가정내의 가전기기를 소정의 목적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근래에 지문인식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제어하는 지문인식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장치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지문인식 스캐너에 손가락을 올려놓으면, 지문을 인식하고 출입문을 열도록 동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문인식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제어하는 장치는 한 사용자에대하여 한 개의 지문만을 인식시키고 출입문을 제어하도록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은 중요도에 따라 출입을 제한시키려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자가 강압적인 상태에서 출입문을 열게되는 위험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는 홈오토메이션장치의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비상사태를 원격지에 통보하는 경비기능과, 화재 및 가스누설을 진압시키는 진압기능을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장치는 자동개폐기능을 이용하여 출입문까지 가서 도어를 오픈하지 않고 리모콘을 사용하여 미리 도어를 오픈시키는 등의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한 사용자가 제어기능에 따라 다수의 지문을 등록시켜 두고 원하는 기능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상태에 따라 비상사태를 원격지에 통보할 수 있고, 화재 또는 가스누설 등의 응급사태를 진압할 수 있는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휴대형 리모콘으로 도어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앙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D 및 지문등록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D 및 지문입력제어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선데이터 수신제어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비상연락등록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침입감지제어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어시건부 120 : 도아락제어부
130 : 도어오픈제어부 140 : 제어기능저장부
150 : 비상연락저장부 160 : 이벤트정보저장부
170 : 사운드출력부 180 : 비상등제어부
190 : 소화기분사제어부 210 : 가스분사제어부
240 : 중앙제어부 250 : 키입력부
270 : 지문입력부 290 : 무선수신부
310 : 모뎀 330 : 오디오입력부
340 : 비디오입력부 350 : 화재감지기
360 : 가스감지기 370 : 침입센서
380 : 지문인식모듈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는 도어오픈신호에 따라 도어를 오픈시키고, 도어락신호에 따라 도어를 락시키는 도어시건부와, 도어오픈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도어가 오픈되도록 도어시건부에 도어오픈신호를 출력시키는 도어오픈제어부와, 도어락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도어가 락되도록 도어시건부에 도어락신호를 출력시키는 도어락제어부와,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고 키가 눌려지면 대응된 킷값을 출력시키는 키입력부와, 지문이 입력되면 지문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지문입력부와, 사용자의 ID와 지문정보 및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능을 저장시킨 제어기능저장부와, 지문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지문데이터가 제어기능저장부에 등록된 지문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지문인식모듈과, 키입력부로부터 ID와 지문입력부로부터 지문데이터를 입력받고 ID와 지문데이터가 제어기능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기능저장부에 등록된 제어기능에 따라 도어오픈제어신호 또는 도어락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도어시건부, 120은 도어락제어부, 130은 도어오픈제어부, 140은 제어기능저장부, 150은 비상연락저장부, 160은 이벤트정보저장부, 170은 사운드출력부, 180은 비상등제어부, 190은 소화기분사제어부, 200은 소화기, 210은 가스분사제어부, 220은 가스분사기, 240은 중앙제어부, 250은키입력부, 260은 키매트릭스, 270은 지문입력부, 280은 리모콘, 290은 무선수신부, 310은 모뎀, 330은 오디오입력부, 340은 비디오입력부, 350은 화재감지기, 360은 가스감지기, 370은 침입센서, 380은 지문인식모듈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도어시건부(100)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기를 인가시킴에 의해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는 잠금장치로서 도어에 부착된다. 이때 도어락제어부(120)는 상기 도어시건부(100)에 도어를 락(Lock) 하도록 제어하고, 도어오픈제어부(130)는 도어를 오픈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능저장부(140)와, 비상연락저장부(150) 및, 이벤트정보저장부(160)는 예컨대 플래쉬메모리와 같은 재기입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로 구성된다.
제어기능저장부(140)는 사용자의 ID와, 지문정보 및, 제어기능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제어기능저장부(140)는 예컨대 도어 출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ID와 그 사용자의 지문 및, 사용자에게 허용된 제어기능을 저장한다. 만일 사용자가 누군가에 의해 문을 열도록 강압을 받는 경우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각각의 손가락마다 제어기능을 별도로 등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엄지의 지문은 도어오픈, 인지의 지문은 비상연락, 검지의 지문은 호신용 가스분사 등의 제어기능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비상연락저장부(150)는 비상연락을 하기 위한 전화번호와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비상사태를 알릴 수 있는 음성메시지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전화번호에는 경비업체, 경찰서, 이웃집, 핸드폰의 전화번호 등으로 구성되고, 비상연락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제어부는 우선순위에 따라 비상연락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중앙제어부는 상기 비상연락저장부(150)에 저장된 모든 전화를 호출하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출력부(170)는 비상사태를 나타내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사운드출력부(170)는 비상벨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비상등제어부(180)는 비상사태를 나타내는 빛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비상등제어부(180)는 비상등을 구비한다. 소화기분사제어부(190)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화기(200)를 제어한다. 그리고 가스분사제어부(210)는 예컨대 강압자를 진압할 수 있도록 가스분사기(220)를 제어한다.
키입력부(250)는 키매트릭스(260)를 스캔하고 눌려진 키에 대한 킷값을 출력시킨다. 지문입력부(270)는 지문입력센서(280)로부터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데이터를 출력시킨다(270). 무선수신부(290)는 리모콘(300)으로부터 RF(Radio Frequency) 또는 적외선으로 송신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리모콘(300)은 예컨대 도어오픈과, 도어락, 비상통보, 가스분사 및, 소화 버튼을 구비하고, 각 버튼이 눌러지면 해당되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모뎀(310)은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예컨대 경비업체와 통신한다. 그리고 오디오입력부(330)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오디오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입력부(340)는 예컨대 CCD카메라(Charge Coupled Device Camera)에 의해 입력된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비디오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화재감지기(350)는 예컨대 서미스터(thermistor)로부터 열을 감지하고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가스감지기(360)는 예컨대 가스센서로부터 가스누설을 감지하고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침입센서(370)는 예컨대 적외선센서로 구성되어 임의의 장소에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침입신호를 출력시킨다.
지문인식모듈(380)은 상기 지문입력부(270)로부터 출력된 지문데이터가 제어기능저장부(140)에 등록된 지문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인식한다(380).
마지막으로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키입력부(250)와, 지문입력부(270) 및, 무선수신부(29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중앙제어부(240)는 화재감지기(350)와, 가스감지기(360) 및, 침입센서(37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비상조치를 취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앙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240)는 먼저 키입력부(250)로부터 출력된 킷값이 지문등록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ID와 지문을 등록시킬 수 있도록 한다(S180).
그리고 중앙제어부(240)는 키입력부(250)로부터 사용자의 ID(예컨대 숫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S120)에는 지문입력부(270)로부터 지문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ID와 지문데이터를 인증한 후 등록된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S190).
또한 중앙제어부(240)는 무선수신부(290)로부터 무선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무선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기능으로는 도어오픈과, 도어락, 비상통보, 가스분사 및, 소화 등이 있다.
만일 화재감지기(350)로부터 화재상태가 감지되면(S140), 중앙제어부(240)는화재를 소화하도록 소화기분사제어부(190)를 제어한다(S210). 마찬가지로 가스감지기(360)로부터 가스누설이 감지되면(S150), 중앙제어부(240)는 가스를 차단시키도록 제어한다(S220). 또한 침입센서(370)로부터 침입상태가 감지되면(S160), 중앙제어부(240)는 비상연락을 취하도록 제어한다(S230).
중앙제어부(240)는 키입력부(250)로부터 비상연락등록 킷값이 입력된 경우에는 비상연락전화번호와 메시지를 등록시키도록 제어한다(S240). 또한 중앙제어부(240)는 키입력부(250)를 통해 소정의 조회 킷값이 입력되면(S180), 도어제어장치에서 이루어진 이벤트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25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D 및 지문등록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여기서는 도어제어장치의 사용자가 되기 위해 ID와 지문 및 제어기능을 등록시키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의 ID와 지문을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마스터의 ID와 지문이 인증되어야 한다. 먼저 중앙제어부(240)는 키입력부(250)를 통해 마스터의 ID를 입력받고(S310), 지문입력부(270)를 통해 지문을 입력받는다(S320).
이와 같이 ID와 지문이 입력되면,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가 제어기능저장부(140)에 등록되어 있는 마스터의 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330). 상기에서 마스터가 인증되지 않으면, 중앙제어부(240)는 사용자가 마스터가 아님을 표시시킨다(S410).
상기에서 인증된 마스터이면, 중앙제어부(240)는 키입력부(250)를 통해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ID를 입력받는다(S340). 그리고 상기 입력된 ID가 제어기능저장부(14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한다(S350). 상기 판단에서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에는 지문을 입력하도록 한 후, 등록시키고자 하는 지문을 입력하도록 한다(S360). 이어서 중앙제어부(240)는 사용자로 하여금 키입력부(250)를 통해 제어기능을 입력하도록 한다(S370). 이와 같이 ID와, 지문 및, 제어기능이 입력되면,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데이터를 제어기능저장부(140)에 등록시킨다. 이때 중앙제어부(240)는 사용자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시킬 수 있다(S390).
한편, 사용자는 인식시키는 지문의 종류(예컨대 엄지, 인지, 검지)에 따라 제어기능을 원하는 만큼 각각 설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급한 상황에는 특별히 지정해 놓은 지문을 인식시켜 대응되는 제어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사용자 지문과 제어기능을 등록시킬 때마다 ID를 다르게 등록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ID는 동일하게 하고 지문과 제어기능만을 다르게 등록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D 및 지문입력제어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여기서는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등록시켜둔 제어기능에 따라 도어제어장치가 제어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중앙제어부(240)는 키입력부(250)로부터 임의의 키가 눌려지는지를 감지하고, 사용자로부터 ID를 입력받는다(S510). 이어서 중앙제어부(240)는 지문입력부(2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문을 입력받는다(S520).
계속해서,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입력된 ID와 지문이 제어기능저장부(14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인증한다(S530).
이때, 상기에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증된 경우에는 도어제어장치의 사용상태를 알 수 있도록 이벤트정보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상기에서 기록되는 이벤트정보에는 현재의 시간과 비디오입력부(340)를 통해 캡춰된 이미지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이벤트정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정보저장부(160)에 저장된다.
이어서, 중앙제어부(240)는 제어기능저장부(140)로부터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등록된 제어기능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한다(S550).
여기서, 등록된 제어기능이 도어오픈인 경우에 중앙제어부(240)는 도어오픈제어부(130)를 통해 도어시건부(100)가 오픈되도록 제어한다(S560). 이와 같이 도어의 오픈이 이루어지면, 중앙제어부(240)는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S570), 도어시건부(100)가 잠기도록 도어락제어부(120)를 제어한다(S580). 한편, 상기에서 등록된 제어기능이 비상통보인 경우에는 비상연락저장부(150)로부터 비상연락전화번호를 추출하고, 모뎀(310)을 통해 호출한다(S590). 이와 같이 하여 비상연락전화번호의 상대방이 응답하면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비상연락저장부(150)로부터 메시지(비상상태를 나타내는 음성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시킨다(S600). 만일 상기에서 등록된 제어기능이 가스분사인 경우에는 중앙제어부(240)는 가스분사제어부(210)를 통해 가스분사기(220)로부터 가스가 분사되도록 제어한다(S610).
상기와 같이 제어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면,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이벤트기록을 종료시킨다(S620). 이때에 기록되는 정보는 시간과 제어기능의 수행결과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선데이터 수신제어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와 같은 처리루틴은 리모콘(3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중앙제어부(240)에 의해 수행되게 된다.
먼저, 리모콘(300)으로부터 무선수신부(290)에 수신된 데이터는 소정의 버퍼에 입력된다(S710).
이어서 상기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앙제어부(240)는 이벤트기록을 시작한다(S720). 상기 이벤트기록은 이벤트정보저장부(160)에 저장된다. 여기서 기록되는 이벤트정보에는 현재의 시간과 비디오입력부(340)를 통해 캡춰된 이미지정보가 포함된다.
계속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도어오픈인 경우에는(S730), 중앙제어부(240)는 도어오픈제어부(130)를 통해 도어시건부(100)가 오픈되도록 제어한다(S780). 만일,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도어락인 경우에는(S740), 중앙제어부(240)는 도어락제어부(120)를 통해 도어시건부(100)가 락(Lock)되도록 제어한다(S790).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비상통보인 경우에는(S750), 중앙제어부(240)는 모뎀(310)을 통해 비상상태가 연락되도록 제어한다(S800).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가스분사인 경우에는(S760), 중앙제어부(240)는 가스분사제어부(210)를 통해 가스분사기(220)로부터 가스가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소화인 경우에는(S770), 중앙제어부(240)는 화재를 소화하도록 소화기분사제어부(190)를 통해 소화기(200)를 제어한다(S820).
상기와 같이 제어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면,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이벤트기록을 종료시킨다(S830). 이때에 기록되는 정보는 시간과 제어기능의 수행결과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비상연락등록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키매트릭스(260)를 통해 소정의 비상연락등록 버튼을 누르면, 키입력부(250)는 해당되는 킷값을 출력시킨다. 그러면, 중앙제어부(240)는 키입력부(250)를 통해 키매트릭스(260)로부터 비상연락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S910).
이어서,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비상연락저장부(15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한다(S920). 만일 상기 비상연락저장부(150)에 입력된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음을 알린다(S970).
이때,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비상연락 전화번호로 비상연락저장부(150)에 등록시킨다(S930). 상기 전화번호에는 경비업체, 경찰서, 이웃집, 핸드폰의 전화번호 등으로 구성되고, 비상연락 우선순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제어부는 우선순위에 따라 비상연락을 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중앙제어부(240)는 오디오입력부(330)를 통해 비상메시지를 입력받고(S940), 비상연락저장부(150)에 등록시킨다(S950).
이와 같이 하여 비상연락의 등록이 완료되면, 중앙제어부(240)는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시킨다(S960).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침입감지제어 루틴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중앙제어부(240)는 침입센서(370)를 통해 침입을 감지하게 되면, 이벤트기록을 시작하게 된다(S1010). 이때 기록되는 이벤트정보는 이벤트정보저장부(160)에 기록된다.
계속해서 중앙제어부(240)는 비상연락저장부(150)로부터 비상전화번호를 추출하고, 모뎀(310)을 통해 상대방을 호출한다(S1020). 이때, 중앙제어부(240)는 사운드출력부(170)를 통해 비상음을 발생시키거나, 비상등제어부(180)를 통해 비상등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대방이 호출되면, 중앙제어부(240)는 모뎀(310)을 통해 비상메시지를 전송시킨다(S1030). 상기와 같이 하여 비상메시지전송이 완료되면, 중앙제어부(240)는 상기 이벤트기록을 종료시킨다(S1040).
본 발명은 종래의 지문인식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제어하는 장치는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한 개의 지문만을 인식시키고 출입문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강압적인 상태에서 원하지 않으면서 출입문을 열게되는 위험이 있고, 경비 및 진압기능을 할 필요가 있고, 리모콘을 사용하여 도어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을 해결한 것으로서, 다수의 지문을 등록시켜 두고 원하는 기능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비상사태를 원격지에 통보할 수 있고, 화재 또는 가스누설 등의 응급사태를 진압할 수 있고, 리모콘으로 도어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1)

  1. 소정의 도어오픈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오픈신호를 출력하는 도어오픈제어부;
    소정의 도어락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락제어부;
    상기 도어오픈신호와 상기 도어락신호에 의하여 도어를 오픈 또는 락시키는 도어시건부;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키가 눌려지면 대응된 키 값을 출력하는 키입력부;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지문입력부;
    사용자의 ID와, 각 사용자 별로 최소한 둘 이상의 서로 상이한 손가락에 대한 지문 정보들 및, 상기 각 사용자 별로 등록된 지문 정보별로 상이한 제어기능 설정 정보를 가지며, 최소한 하나의 상기 지문 정보에 상기 도어시건부를 제어하는 기능이 대응 설정되고, 동일한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에 대한 지문 정보에 제어기능이 대응 설정되는 제어기능저장부;
    상기 지문입력부의 지문데이터와 일치하는 지문정보가 상기 제어기능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지문인식모듈;
    상기 동일한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에 대한 지문 정보에 대응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어기능 동작 수단;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ID와 지문인식모듈에서 판단된 지문데이터가 상기 제어기능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지문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제어기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문등록요청이 있는 경우에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 최소한 둘 이상의 손가락 별 지문 정보들과 동일한 사용자 별 지문정보들에 각각 상이한 제어기능을 등록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등록한 지문들에 대한 입력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ID와 지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증된 사용자의 상기 지문 데이터와 일치되는 상기 지문 정보에 연관된 상기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등록한 지문들에 대한 입력 요청이 없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미리 설정된 바 임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마스터 ID를 입력받는 단계;
    마스터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ID와 지문이 마스터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가 인증된 경우에 사용자 ID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ID에 해당하는 최소한 둘 이상의 손가락 별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손가락 별 지문에 대응하여 소정의 제어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ID와 지문 및 제어기능을 등록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잠금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는
    사용자 ID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ID와 지문을 판별하고 사용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에 해당 지문에 등록된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잠금 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0-0038894A 2000-07-07 2000-07-07 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9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94A KR100392062B1 (ko) 2000-07-07 2000-07-07 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94A KR100392062B1 (ko) 2000-07-07 2000-07-07 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715A KR20020004715A (ko) 2002-01-16
KR100392062B1 true KR100392062B1 (ko) 2003-08-25

Family

ID=1967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894A KR100392062B1 (ko) 2000-07-07 2000-07-07 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400B1 (ko) * 2009-09-28 2012-07-1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2538A (ko) 2014-02-05 2015-08-1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660B1 (ko) * 2001-10-19 2004-07-21 김영수 방범, 방재 기능을 갖는 무선 도어락 시스템
KR100459824B1 (ko) * 2002-08-26 2004-12-04 김영수 홈오토메이션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400B1 (ko) * 2009-09-28 2012-07-1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2538A (ko) 2014-02-05 2015-08-1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케어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715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211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WO2021238121A1 (zh) 一种智能锁具及其开锁认证方法和装置
KR101490583B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0468027B1 (ko) 음성 인식 도어록 장치
US114853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function control, and storage medium
KR10131594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CN107733872B (zh) 信息打印方法及装置
KR101550206B1 (ko) 이중보안기능이 구비된 지정맥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992946A (zh) 解锁应用程序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187667A (zh) 来电处理方法及装置
KR100980807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출입문의 개폐관리를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943267A (zh) 一种控制屏幕的方法和装置
CN113313864A (zh) 门禁控制方法、装置、无线耳机、门禁设备及存储介质
CN106066763A (zh) 终端解锁方法及装置
CN105430639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06005376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도어폰 원격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392062B1 (ko) 경비기능을 갖는 도어제어장치 및 방법
KR201700244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CN106250724A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装置及移动设备
JP200325394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100265416B1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100590515B1 (ko) 피통지대상을 별칭으로 하여 보안알림용의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알림용단문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KR2018006358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293399A (zh) 控制移动终端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