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162B1 - External Back Mirror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External Back Mirror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162B1
KR100391162B1 KR10-1999-0064850A KR19990064850A KR100391162B1 KR 100391162 B1 KR100391162 B1 KR 100391162B1 KR 19990064850 A KR19990064850 A KR 19990064850A KR 100391162 B1 KR100391162 B1 KR 10039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rview mirror
mirror
cas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39502A (en
Inventor
최병주
Original Assignee
최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178A external-priority patent/DE19951178A1/en
Application filed by 최병주 filed Critical 최병주
Publication of KR2001003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1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외부 후면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확대된 시야와 후방으로의 개선된 시계를 보장해주는 외부 후면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작이 가능하고 단일한 형태로 된 반사경 시스템이 들어 있는 하나의 후면경 케이스를 차량에 부착시킴으로써 해결된다. 반사경 시스템은 주 반사영역과 추가 반사영역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추가 반사영역은 직접적으로 차량 측면 을 향해서, 주 반사영역은 차량 측면에서 떨어진 방향에 배치되며, 추가 반사영역은은 오목 거울의 형태로 그리고 주 반사영역은 볼록 거울에 의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tive exterior rearview mirr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nal rearview mirror which ensures a wider field of view and an improved field of view behin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solved by attaching a single rearview case containing a reflector system that is operable and in a single form to the vehicle. The reflector system consists of a main reflecting zone and an additional reflecting zone. In this case, the additional reflection area is directly directed toward the vehicle side, the main reflection area is dispo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side, the additional reflection area is formed in the form of concave mirror and the main reflection area is formed by the convex mirror.

Description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External Back Mirror for Automobile}External Back Mirro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외부를 위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자동차에 적합한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that is designed to be attached to a side of a vehicle and is suitable for a vehicle.

이러한 종류의 외부 후면경으로 우선 DE 29704227 U1으로부터 알려진 것이 있다. 이 외부 후변경은 자동차에 적합한 것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한 유리가 부착된 백미러 케이스를 포함해 단일한 품목을 이룬다. 반사 거울은 시선 사각지대를 보다 잘 포착할 수 있도록 특별한 굴곡면의 형태로 설계되었다. 반사 거울은 전체적 형태를 보면 주로 볼록한 구면 굴곡 형태로 차량의 측면을 향해 위치한 주 시계영역, 그리고 차량의 측면에서 떨어진 방향에 위치하며 시선 사각지대를 보다 잘 포착하기 위한 비구면 굴곡형태의 바깥 주변 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 평면형의 중간 영역이 배열된다. 일반 설계에서는 유리면은 수직으로 차에 부착되는데, 비구면의 바깥 주변 영역은 거울면의 수직 방향에 병행해 설치되어 있다.External mirrors of this kind are first known from DE 29704227 U1. This external post change is suitable for the car and constitutes a single item, including a rearview mirror case with a reversible glass. Reflective mirrors are designed with a special curved surface to better capture the blind spot. Reflective mirrors are generally convex spherical bends in the form of convex spherical bends toward the side of the vehicle, and away from the side of the car,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aspherical bends to better capture the blind spot. In the middle, a planar intermediate region is arranged. In the general design, the glass surface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car, and the outer peripheral area of the aspherical surface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mirror surface.

주 시계영역과 바깥 주변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은 주로 반사층과 보호도장층의 레이저 전사를 이용해 거울면에 설정한 분리선에 의해 시각적으로 구분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middle area between the main field of view and the outer peripheral area is mainly visually distinguishable by the dividing line set on the mirror surface by laser transfer of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또 다른 종류의 후면경은 DE 19537902 A1으로부터 알려진 것으로, 이에 따르면 후방의 시계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후면경은 자동차에 적합한 것으로 고정 장치를 이용해 자동차에 부착시키는데, 하나의 테속에 넣어 해당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 후면경은 바로 차의 측면을 향해 있는 주 거울부분 외에 서서히 변하는 또 다른 거울 단면을 지시해 주는데, 이 다른 거울 단면은 적어도 주 거울면의 위, 아래 또는 측면에 부착된다. 이 서서히 변하는 거울단면은 원형의 아치형을 통과하며 그 표면의 굴곡 반경이 방정식에 따라 계산 가능하고 또 점차 작아지는 굴곡면과 쌍곡선의 커브로 되어 있다.Another type of rearview mirror is known from DE 19537902 A1, according to which it is known for enlarging the rear field of view. This rearview mirror is suitable for the car, and it is attached to the car using a fixing device, which can be placed in a single frame and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is rearview mirror points to another slowly changing mirror cross section, in addition to the main mirror directly towards the side of the car, which is attached at least above, below or on the side of the main mirror. This slowly changing mirror section passes through a circular arc and has a curved surface and a hyperbolic curve whose curvature radius is calculable according to the equation and gradually decreases.

한편 DE 3828221 A1에 따르면 조정장치를 지닌 하나의 자동차용 후면경이 알려져 있는데, 이 후면경은 정상 위치에서 주차시 또는 고속도로 주행시의 위치로 조정했다가 다시 정상 위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었다. 이 경우 바깥 거울의 반사표면은 신축성 있게 변형 가능한 지지판에 부착되며, 또 이 조정 장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요소가 들어 있는데, 지지판에 부착되어 있는 이 조정요소는 조정 장치의 작동시 반사 표면과 지지판이 주어진 정상위치에서 출발해 주차시 또는 고속도로 주행시의 작동위치에 맞게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의 아치가 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DE 3828221 A1, a car rearview mirror with an adjustment device is known, which is designed to be adjusted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parking position or the highway driving position and then to the normal position again. In this case,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outer mirror is attached to the flexible deformable support plate, which contains at least one adjustment element, which is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which, when the adjustment device operates Starting from a given normal position, the arch should be convex or concave to suit the operating position when parking or driving on the highway.

직접 자동차를 향해 있는 주 거울단면 하나와 또 다른 거울 단면 하나를 지닌 이러한 외부 후면경들의 경우 자동차 후방의 시계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종종 제한되어 있다. 또 거울에 비친 대상물들이 찌그러지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같은 설계품들은 대부분 제작 비용도 비싸다. " 정상위치", "주차" 및 "고속도로 주행" 등 포지션이 전환 가능한 외면경의 경우 위치조정을 위해 발생하는 소모가 높은 편이며 조정 착오가 생겨날 수 있어 운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없다.For such exterior rearview mirrors with one main mirror section and another mirror section directly facing the car, it is often limited to enlarge the field of view behind the car. Mirrored objects can appear distorted, and most of these designs are expensive to manufacture. External mirrors that can switch positions such as "normal position", "parking" and "highway driving" are very expensive to adjust the position, and can cause adjustment and erro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넓은 시야와 (상 찌그러짐을 감소시킴으로써) 후방 시야의 개선을 보장하는 외부 후면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external rearview mirror which ensures an improvement in a wide field of view and a rear field of view (by reducing image distor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반사경 시스템을 지닌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an automobile with one reflector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반사경 시스템 측면도(단면 A-A),2 is a side view (section A-A) of the reflector system of FIG.

도 3은 도 1의 반사경 시스템 측면도(단면 B-B),3 is a side view of the reflector system of FIG. 1 (section B-B),

도 4는 도 1의 반사경 시스템 평면도(단면 C-C),4 is a plan view (section C-C) of the reflector system of FIG.

도 5는 도 1의 조명 시스템들을 장착한 또 다른 형태,5 is yet another form of mounting the lighting systems of FIG.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형태,Figure 6 is another form of Figure 4,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반사경 시스템을 갖춘 외부 후면경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an outer rearview mirror having one reflecto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반사경시스템 측면도(단면 A-A),8 is a side view (section A-A) of the reflector system of FIG.

도 9는 도 7의 반사경시스템 평면도(단면 D-D),9 is a plan view (section D-D) of the reflector system of FIG.

도 10은 도 9의 또 다른 형태,10 is another form of FIG. 9,

도 11a 내지 도 11d는 도 7에 따른 반사경 시스템의 제작 형태들 (단면 D-D)을 나타낸 도면이다.11a to 11d show fabrication forms (section D-D) of the reflector system according to FIG. 7.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외부 후면경 2 : 주 반사영역1: Outside rear mirror 2: Main reflection area

3 : 추가 반사영역 4 : 반사경 시스템3: additional reflection area 4: reflector system

5 : 케이스 6 : 개구5: case 6: opening

7 : 오목 거울 8 : 볼록 거울7: concave mirror 8: convex mirror

9 : 차량 측면 10 : 장착대9: vehicle side 10: mount

11 : 제 1 조명 시스템 12 : 제 2 조명 시스템11: first lighting system 12: second lighting system

13 : 제 3 조명 시스템 14 : 제 4 조명 시스템13: 3rd lighting system 14: 4th lighting system

15 : 연결 부분 16 : 굴곡 개시 부분15: connecting portion 16: bending start portion

17 : 극점 18 : 연결부문17: pole 18: connection section

19 : 평면거울 △ : 편차각19: flat mirror △: deviation angl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는 특허청구범위의 설계 특징들을 통해 해결되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has been solved through the design features of the claims.

본 발명과 같이 주 반사영역과 추가 반사영역을 갖춘 단일 시스템으로 된 외부 후면경의 경우, 우선 첫 번째 장점은 추가 반사영역이 직접적으로 차량의 측면에 위치하고 이어서 차량 측면에서 떨어진 바깥 방향에 중앙 시계영역을 위한 주반사영역이 배열된다는 데 있다.이 때, 특히 직접 차량을 향해 있는 추가 반사영역은 주로 후방의 시야가 확대되도록, 특히 시선 사각지대를 잘 포착할 수 있도록 굴곡 형태로 제작된다.차량 측면과는 일정한 간격을 두어 설치하는 굴곡 형태의 주 반사영역은 후방 시야의 감시가 주된 과제인데, 이 후방 시야는 운전자의 정상적 시야(중앙 시계영역)에 의해 본질적으로 결정된다. 단일한 형태의 외부 후면경 반사 시스템은 따라서 차량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주 반사영역과 차량에 직접 접해 있는 추가 반사영역을 포괄한다. 이때 추가 반사영역의 아치 형태는 시선 사각지대를 포함한 후방 시야를 개선할 목적으로 오목한 형태로 설계되고, 주 반사영역은 볼록한 형태로 설계되었다.In the case of an external rearview mirror in a single system with a main reflecting zone and an additional reflecting zon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vantage is that the additional reflecting zone is located directly on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n the central field of view is located away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additional reflection area, which is directly facing the vehicle, is mainly design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rear view can be enlarged, and in particular, to catch the blind spots well. The main reflection area of the curved shape, which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s the main task of monitoring the rear view, which is essentially determined by the driver's normal field of view (central field of view). A single form of external rearview reflector system thus encompasses the main reflecting area at a distance from the vehicle and an additional reflecting area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arch shape of the additional reflection area is designed in a concave shape to improve the rear view including the blind spots, and the main reflection area is designed in a convex shape.

단일한 형태의 후면경 시스템은 또한 차량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인 후방으로 개방된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케이스내의 반사경 시스템은 우선적으로는 수동으로 또는 모터 동력을 통해(자동으로) 조정이 가능하다.The single type of rearview system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stalled in one case which is open to the rear, opposit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The reflector system in the case can then be adjusted primarily or manually (automatically) by motor power.

주 반사영역과 추가 반사영역을 이렇게 배열함으로써 후방 및 측면의 시계가 현저히 개선되었다는 것도 또 하나의 장점이다. 이로써 운전시 안정성도 높아질 수 있다.Another advantage is that rearrangement of the main and additional reflecting zones significantly improves the rear and side field of view. This can also increase stability during operation.

또 다른 장점은 적어도 추가 반사영역이 가로보다 세로가 더 큰 사이즈로(수직 방향으로) 되어 있어 운행 차량의 측면에 위치한 차선 내지는 이에 해당하는 지반도 반사경 시스템을 수단으로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를 들면, 주차시 또는 지반과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경우 시계를 개선할 수 있다.Another advantage is that at least the additional reflecting area is larger in length (vertical) than in width so that it can enter the driver's field of view by means of a lane located on the side of the driving vehicle or a corresponding ground reflector system. It is possible. This can improve the field of view, for example, when parking or when contact with the ground is to be avoided.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후면경 시스템은 또한 케이스에 통합시킨 형태로 적어도 제 1 조명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명시스템은 자동차 측면의 차선 및 지반을 조명해 줌으로써 차량이 후진할 때 도움을 준다. 이 조명시스템은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하거나 주로 후진 방향으로 주행시 작동되도록 제작되었다. 이 조명 시스템은 차선 내지는 지반을 향해 비추도록 설계되어 자동차 내부 적어도 탑승자들에게는 눈부심 현상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배치된다.The external rearview mirror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ount at least the first lighting system in an integrated form in the case. The lighting system illuminates lanes and ground on the side of the car to help the vehicle back up. The lighting system is individually operable or designed to operate mainly in reverse direction. The lighting system is designed to shine toward the lane or the ground so that it does not cause glare to at leas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외부 후면경 시스템의 또 하나의 장점은 후진시 주행을 위해 제 1조명 시스템 외에 추가로 제 2 조명 시스템을 케이스에 통합된 형태로 또는 케이스 바깥에 부착시키는 형태로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경우 제 2 조명 시스템은 경고조명등 기능도 포함한 방향 지시등(깜빡이등)으로 주로 케이스의 바깥 부분에 차량이나 탑승자로부터 떨어진 방향에 장착할 수 있다.또한, 제 3 조명 시스템을 차폭등의 형태로 케이스의 바깥 부분에 차량과 탑승자로부터 떨어진 방향에 장착할 수 있는데, 이 조명 시스템은 차량등(하향 조정 전조등, 원거리 전조등/하이빔, 주차등)과 연결시킬 수 있다.아울러, 제 4 조명 시스템을 설치해 전조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조명시스템은 주로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반사경 케이스의 바깥 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전방 시계가 예를 들면, 주차시 보다 잘 조명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의 조명 시스템의 기능들은 상호 연결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등으로 사용되는 조명 시스템이 외부 후면경의 방향지시 거울에서는 차폭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조명시스템 내지 제 4 조명 시스템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작동이 가능하거나 고정된 기능의 형태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후면경을 통해 후방, 측면 그리고 자동차에 맞닿는 지반 및 차도를 향한 영역의 감시를 위한 시계가 현저히 개선되었다. 주 반사영역과 추가 반사영역의 설계를 통해 후방으로의 시계가 또한 개선된다.Another advantage of the external rearview mirr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addition to the first lighting system, the second lighting system can be mounted in the form of being integrated into the case o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for driving in reverse. . In this case, the second lighting system is a turn signal (blinking light) that also includes a warning light function, and can be mounted on the outer part of the case mainly away from the vehicle or the occupant. It can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away from the vehicle and the occupant, and this lighting system can be connected to the vehicle lights (downlight control headlights, distant headlights / high beams, parking lights). This lighting system can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reflector case mainly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This allows the front vision of the vehicle to be better illuminated, for example when parking.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the above lighting system can be interconnected. For example, a lighting system used as a turn signal may also function as a vehicle width light in a turn signal mirror of an exterior rearview mirror. The first to fourth lighting systems can be connected individually or in groups to be operable or in the form of a fixed function. Significant improvements have been made to the field of view of the rear, side and areas facing the ground and driveway through the exterior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ear view is also improved through the design of the main and additional reflecting zon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차량용 외부후면경이 다음의 특성을 지닌 단일 부품의 반사경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적어도 제 1 조명 시스템이 케이스에 통합되어 있으며 차량 측면에 위치한 차선 내지는 지반을 주로 후방으로(즉 차량의 전방진행과는 반대 방향으로) 비춰주는 기능을 발휘한다.이 때, 제 1 조명시스템은 개폐기술적 측면에서 주로 후진기어 작동과 연계되어 있다. 아울러 제 1 조명시스템은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별도의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도 개폐(on/off)가 가능하다. 상기 제 1 조명시스템은 적어도 차량 탑승자에게는 눈부심 현상(반사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케이스에 부착된다. 작동가능한 제 1 조명시스템을 통해서 특히 후방 아래 방향으로의 시계가 개선되며, 운전자의 시야 또한 개선된다. 이와 관련해 도 7은 그 일반적 형태를 보여준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vehicle exterior rearview mirror is a single part reflector system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t least the first lighting system is integrated into the case and functions to illuminate the lanes or grou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mainly in the rear (i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orward movement of the vehicle). In technical terms it is mainly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reverse gears. In addition, the first lighting system can be opened (on / off) by manually operating a separate switch if necessary. The first lighting system is attached to the case so that at least a vehicle occupant does not cause glare (reflection). The actuable first illumination system improves the field of view, in particular rearward and downward, and also improves the driver's field of view. In this regard, Figure 7 shows its general form.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후면경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량 측면의 차선 내지 지면을 조명하기 위한 제 1 조명시스템은 차량 측면의 전방 시계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또 하나의 조명시스템과 기능상 연결되어 있다. 이 조명시스템은 앞에서 기술한 제 4 조명시스템에 해당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두 조명시스템은 후진기어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개폐(on/off)가 가능하다.또 다른 형태로는 제 1 조명시스템과 제 4 조명시스템의 기능을 하나의 단일한 조명시스템으로 통합시킨 것이다. 즉, 이는 하나의 공동의 조명수단 또는 2개의 분리된 조명수단을 사용해 후방 차선 및 후방 지면에 대한 조명과 전방 시계영역에 대한 조명이 후진기어의 작동 내지는 하나의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개폐(on/off)가 가능하도록 한 형태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xterior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rst illumination system for illuminating the lane to the ground of the vehicle side is functionally connected with another illumination system for illuminating the front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side. This lighting system corresponds to the fourth lighting system described above. In general, the two lighting systems can be turned on or off by operating the reverse gear or by operating a switch. In another form, the single lighting system functions as the first lighting system and the fourth lighting system. It is integrated into the system.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lighting for the rear lane and the rear ground and the front field of view are switched on or off by operating the reverse gear or one switch using one common luminaire or two separate luminaires. ) I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조정이 가능하며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외부 후면경(1)은 케이스(5)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반사경 케이스(5)는 부착대(10)를 사용해 차량의 측면(9), 예를 들면 자동차의 A형 지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스(5)에는 개구(6)가 있으며, 그 안에 단일형태의 반사경 시스템(4)이 조정 가능한 형태로 들어 있다. 케이스(5)와 반사경 시스템(4) 사이에 위치한 개구(6)에는 틈새를 두어 반사경 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해 필요한 여유 공간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개구(6)는 차량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인 후미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단일한 형태의 반사경 시스템(4)은 중앙 시계영역을 위한 주 반사영역(2)과 추가 반사영역(3)을 보여 준다. 추가 반사영역(3)은 후방으로의 시야를 더욱 확대해주고 특히 시선 사각지대를 포착할 수 있게 해 준다. 반사경 시스템(4)에서 추가 반사영역(3)은 직접적으로 차량 측면(9)의 방향에, 주 반사영역(2)은 차량 측면(9)에서 떨어진 방향에 위치한다. 추가 반사영역(3)은 시야의 확대를 위해 오목한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연이어 위치한 주 반사영역(2)은 볼록한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반사경 시스템(4)에는 대체로 추가 반사영역(3)과 주 반사영역(2)사이에 연결 부분(15)이 위치하는데, 이 연결 부분은 근본적으로 수직 형태로 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위에서 보면, 차량 측면(9)에 위치한 오목 반사경(7)의 굴곡 개시 부분(16)이 포함된 반사경 부분이 앞쪽에 위치하고, 볼록 반사경의 주반사영역 극점(17)은 굴곡 개시 부분(16)의 뒤에 위치한다. 이 때 위에서 보면 간격의 편차각은 △에 의해 정의된다.Referring to FIG. 1, the outer rearview mirror 1, which is made to be adjustable and foldable, includes a case 5. The reflector case 5 can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9 of the vehicle, for example, an A-shaped prop of the vehicle by using the mounting table 10. The case 5 has an opening 6 in which the single reflector system 4 is arranged in an adjustable form. An opening 6 located between the case 5 and the reflector system 4 is provided with a gap to serve as a free space required for adjusting the reflector system. The opening 6 is directed toward the rear end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The unitary reflector system 4 shows the main reflecting zone 2 and the additional reflecting zone 3 for the central field of view. The additional reflection area 3 further enlarges the field of view to the rear and makes it possible to capture the blind spot in particular. In the reflector system 4 the additional reflecting zone 3 is located directly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side 9, and the main reflecting zone 2 is loc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side 9. The additional reflecting area 3 is concave arched to enlarge the field of view. The main reflection areas 2 which are located next to each other are convex arcuate. In the reflector system 4 there is generally a connecting portion 15 between the additional reflecting region 3 and the main reflecting region 2, which is essentially vertical. In most cases, when viewed from above, the reflector portion including the bend initiation portion 16 of the concave reflector 7 located on the vehicle side 9 is located in front, and the main reflection area pole 17 of the convex reflector is located at the bend initiation portion ( It is located behind 16). At this time, the deviation angle of the interval is defined by Δ.

또 다른 형태의 제작물에서는 연결부분(15)에서 시작하는 볼록거울(8)(주반사영역(2))의 굴곡 반경이 연결 부분(15)에서 끝나는 오목 거울(7)(추가 반사영역(3))의 굴곡 반경보다 크다.In another type of construction, a concave mirror 7 (additional reflection area 3) in which the bend radius of the convex mirror 8 (main reflection area 2) starting at the connection part 15 ends at the connection part 15. Is greater than the bending radius.

또 다른 형태의 경우 추가 반사영역(3)이 가로보다 세로가 큰 형태로(수직방향으로) 주 반사영역(2)보다 더 길다. 이 경우 차량 측면에 위치한 지반, 예를 들면 차도나 지반을 보다 잘 묘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반사영역(3)은 수직 방향으로 보다 강한 편차를 지닌 굴곡 형태를 펼 수 있는데, 이렇게 할 경우 지면 방향으로의 시야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굴곡은 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수직선과 편차를 가진다.In another form, the additional reflecting region 3 is longer than the main reflecting region 2 in the form of a height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better describe the grou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driveway or ground. In this case, the additional reflection area 3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a stronger devi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case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field of view in the ground direction. At this time, the curvature has a deviation from the vertical lin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전술한 반사경 시스템(4)의 형태 이외에도 또 다른 중요한 형태로는 도 2와 같이 제 1 조명 시스템(11)을 외부 후면경(1)의 케이스(5)에 통합한 형태를 들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계속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조명 시스템(11)은 우선적으로는 반사경 시스템(4)의 아랫 부분에 위치하며 차량 측면에 위치한 지반을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이 후진함과 동시에 제 1 조명 시스템(11)이 작동하여 예를 들면 후진 주차시 시계 상황을 현저히 개선시켜준다. 상기 제 1 조명 시스템은 이 때 탑승자들에게 눈부심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장착된다.In addition to the form of the reflector system 4 described above, another important form may be a form in which the first illumination system 11 is integrated into the case 5 of the outer rearview mirror 1 as shown in FIG. 2.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The first lighting system 11 is primarily for illuminating the ground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flector system 4 a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Simultaneously with the vehicle reversing, the first lighting system 11 is operat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clock situation, for example in reverse parking. The first lighting system is then mounted so as not to cause glare to the occupants.

외부 후면경(1)의 케이스(5)에는 하나의 조명 시스템 또는 여러개의 조명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또는 컴비네이션을 이루면서 장착된다. 제 2 조명 시스템(12)은 경고등 기능을 포함한 방향지시등으로서 케이스(5)에서 차량측면(9)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장착된다. 제 2 조명 시스템(12)은 전방향, 후방향 및 측방향으로 진행시(차량 측면(9)에서 보다 떨어진 위치에) 케이스(5)에 부착된 형태로 장착된다.The case 5 of the outer rearview mirror 1 is mounted with one lighting system or several lighting system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The second lighting system 12 is a direction indicator light including a warning light function, and is mounted on the part 5 away from the vehicle side 9 in the case 5. The second lighting system 12 is mounted in the form attached to the case 5 when traveling forward, backward and laterally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vehicle side 9).

제 3 조명 시스템(13)은 자동차의 차폭등으로서 케이스(5)의 바깥 부분에 잘 보일 수 있도록 장착한다. 본 제 3 조명 시스템을 장착할 경우 특히 어두운 곳에서 실질적인 차량의 폭을 분명히 인식할 수 있다. 작동 기술면에서 볼 때 제 3 조명 시스템(13)은 예를 들면 하향조정 전조등, 상향조정 전조등, 주차등과 같은 차량등과 함께 연결된 상태로 또는 원하는 요구에 부응하는 컴비네이션의 형태로 사용된다.The third lighting system 13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5 as a vehicle width lamp so as to be easily seen. With this third lighting system it is possible to clearly recognize the actual vehicle width, especially in dark places. In terms of operating technology, the third lighting system 13 is used, for example, in connection with a vehicle light such as a downlight headlight, an upright headlight, a parking light or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to meet the desired requirements.

제 4 조명 시스템(14)은 프린트등으로 케이스(5)에 통합 장착되며 차량의 진행 방향을 비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프린트 시계 영역에 대한 조명이 보다 개선되는데, 이는 주차시나 차선을 바꿀 때 장점을 발휘한다.The fourth lighting system 14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case 5 by a print or the like and serves to illuminat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is improves the illumination of the printed field of view, which is an advantage when parking or changing lanes.

제 1 조명 시스템(11) 내지 제 4 조명시스템(14)은 눈부심 현상이 없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면 외부 후면경(1)의 케이스(5)측면에 또는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또는 컴비네이션의 형태로 색조를 띠거나 눈부심 현상이 없으면서 빛을 투과시키는 유리들을 제 1 조명 시스템(11) 내지 제 4 조명시스템(14)에 사용할 수 있다. 이같은 유리들은 각 요구에 부응해 흰색, 노란색,주황색, 붉은색 내지는 검은색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 1 조명 시스템(11) 내지 제 4 조명시스템(14)의 기능들은 작동 기술상 상호 연결이 가능하며, 따라서 실례를 들어 기술한 4가지 조명 시스템(11, 12, 13, 14)보다 적은 수의 조명 시스템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 first lighting system 11 to the fourth lighting system 14 are mounted so that there is no glare phenomenon. For example, it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or inside the case 5 of the outer rearview mirror 1. Alternatively, glass that transmits light without tinting or glar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can be used for the first illumination system 11 to the fourth illumination system 14. These glasses can transmit light in white, yellow, orange, red or black to meet your needs. The functions of the first lighting system 11 to the fourth lighting system 14 can be interconnected in operation technology, so that there are fewer lights than the four lighting systems 11, 12, 13, 14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same can be done with a system.

상기 반사경 시스템(4)은 소재적인 면에서 유리나 합성수지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외부 후면경(1)은 자동차의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부착이 가능하다.The reflector system 4 can be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in terms of material. The outer rearview mirr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vehicle.

차량에 고정된 케이스(5)와 일반적으로 조절가능한 반사경 시스템(4)을 갖춘 자동차용 외부후면경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7에 제시되어 있다. 외부후면경(1)은 앞에서 기술한 다른 형태들과 마찬가지로 시야를 확대시켜주고 후방으로의 시계를 개선해준다. 반사경 시스템(4)은 또한 단일부품의 형태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의 폭이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더 길다. 이 형태는 특히 승용차에 적합한 유형이다. 반사경 시스템(4)은 또한 케이스(5)에 설치되는데, 케이스(5)는 개구부가 차량의 진행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후방을 향해 있다. 케이스(5)는 부착장치(10)를 수단으로 차량 측면(9)에 고정된다. 이 경우 반사경 시스템(4)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의 단면 D-D를 기본으로 도 11에서는 반사경 시스템(4)의 여러 정선된 형태가 제시되고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tomotive exterior rearview mirror with a case 5 fixed to a vehicle and a generally adjustable reflector system 4 is shown in FIG. 7. The outer rearview mirror 1, like the other forms described above, enlarges the field of view and improves the field of view backwards. The reflector system 4 is also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ingle piece. Generally, th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form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passenger cars. The reflector system 4 is also installed in the case 5, which is directed rearward, in which the opening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The case 5 is fixed to the vehicle side 9 by means of the attachment device 10. In this case, the reflector system 4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Based on the cross-section D-D of FIG. 7, various selected forms of the reflector system 4 are presented in FIG. 11.

도 11a는 오목거울(7)을 갖춘 반사경 시스템을 보여준다. 오목거울(7)은 차량 측면(9)을 향해 있는데, 연결부(15)에서부터는 평면 반사경으로 되어 있으며, 두 번째 연결부(17)부터는 볼록거울(8)로 되어 있다. 볼록거울(8)은 차량 측면(9)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시계를 확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1b에서는 완전 평면형태의 반사경(19)이 제시되어 있다. 도 11c는 완전한 볼록거울(8)을 보여주며, 도 11d는 도 11c의 또 다른 형태로 볼록거울(8)의 끝부분이 평면 반사경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들은 일반적으로 도 7의 단면 A-A에 따른 평면 또는 곡면으로 된 도 8의 외부후면경(1), 특히 반사경 시스템의(4)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다.11a shows a reflector system with a concave mirror 7. The concave mirror 7 faces the vehicle side 9, which is a planar reflector from the connector 15 and a convex mirror 8 from the second connector 17. The convex mirror 8 is farthest from the vehicle side 9 and serves to enlarge the field of view. In FIG. 11B, the reflector 19 is shown in a fully planar form. FIG. 11C shows a complete convex mirror 8, and FIG. 11D is another form of FIG. 11C with the end of the convex mirror 8 being a planar reflector. These forms show a side view of the outer rearview mirror 1 of FIG. 8, in particular of the reflector system 4, which is generally flat or curved according to section A-A of FIG. 7.

반사경 시스템(4)은 평면 형태이든 곡면 형태이든 간에 아래 부분이 언제나 차량 진행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는 볼록 거울로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수평의 연결부(18)를 보여 준다. 이 연결부(18)의 아래에는 모든 반사경시스템(4)이 볼록한 곡면으로 되어 있어 차량 측면에 위치한 차선 내지는 지면에 대한 시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래 부분은 일반적으로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반사경 시스템(4)에서 연결부(18)가 수평적으로 배열된 아래쪽에 실질적인 대칭적 형태로 되어 있다.The reflector system 4 is a convex mirror in which the lower part always curves along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whether planar or curved. In this regard, FIG. 7 shows a horizontal connection 18. Underneath this connection 18 all reflector systems 4 are convex and curv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lane or the grou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e lower part is generally in a substantially symmetrical form underneath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s 18 in the reflector system 4, as can be seen in FIG. 7.

도 9 및 도 10의 또 다른 형태에서는 반사경 시스템의 평면도(도 7의 단면 D-D)가 제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반사경 시스템(4)은 균등한 곡면 형태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반사경의 굴곡 정도가 차량 측면에서는 멀어지는 부분이 심한 편인데, 이는 특히 시선 사각지대를 보다 잘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In another form of FIGS. 9 and 10, a plan view (section D-D of FIG. 7) of a reflector system is shown. Referring to Fig. 9, the reflector system 4 is in the form of an even curved surface. On the other hand, in Figure 10,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reflector is far away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is severe, especially for better capturing the blind spot.

도 7 내지 도 11에 따른 모든 형태에 있어서 공통적인 것은 차량 측면에 위치하는 지면의 조명을 위한 제 1 조명시스템(11)이 케이스(5)에 부착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조명시스템은(11)은 일반적으로 눈부심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반사경시스템(4)의 아래 부분 내지는 옆 부분에서 케이스(5)에 부착되어 있다. 도 7은 일반적인 형태의 하나를 보여 주는데, 수평방향의 연결부(18)와 대략 높이가 일치한다. 반사경 시스템(4)의 측면에는 일반적으로 제 2 조명시스템(12)이 방향지시등으로 제3 조명시스템(13)이 차폭등으로 케이스(5)에 부착된다. 또 다른 형태로는 제 1 조명시스템(11)에 지면 조명을 위해 제 4 조명시스템(14)을 전조등 내지 위치등으로 직접 연이어 배치한 형태가 있다. 이 경우 차량 측면의 전방 부분에 대한 조명이 개선된다. 이러한 형태는 독자적인 조명 수단 내지 통합 조명수단을 동원해 제 1 조명시스템(11)에 분리시키거나 통합시키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적어도 제 1 조명시스템(11)은 후진기어의 작동과 연계시키거나 스위치를 통해 개폐(on/off)가 가능하다. 이 두 조명 시스템(11, 14)는 일반적으로 후진기어 조작으로 작동하거나 수동으로 개폐(on/off)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5)에 배치된 반사경 시스템(4)의 종류와 무관하게 적어도 제 1 조명시스템(11)을 작동시킴으로써, 그리고 주로 제 4 조명시스템(14)을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시계상황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반사경 시스템(4)의 아래 부분(연결부 18의 아래 부분)에 배치된 볼록 형태의 굴곡면을 통해 제 1 조명시스템(11)을 결합시킬 경우 또는 두 조명시스템(11, 14)를 장착할 경우, 시계 상황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시스템(11, 14)는 연결부(18)의 아래 부분에 설치할 경우에도 전방 및 후방의 지면을 향하게 할 수 있다.Common to all forms according to FIGS. 7 to 11 is that a first lighting system 11 is attached to the case 5 for illumination of the grou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This illumination system 11 generally does not cause glare and is attached to the case 5 at the bottom or side of the reflector system 4. Fig. 7 shows one of the general forms, which are approximately equal in height to the connecting portion 1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reflector system 4, a second illumination system 12 is generally attached to the case 5 with a turn signal lamp and a third illumination system 13 with a traffic light. In another embodiment, the fourth lighting system 14 is directly arranged in series with a headlight or a position light for the ground lighting in the first lighting system 11. In this case the illumina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side of the vehicle is improved. Such a form can be manufactured in such a way as to separate or integrate the first lighting system 11 with its own lighting means or integrated lighting means. At least the first lighting system 11 can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verse gear or via a switch. These two lighting systems 11 and 14 are generally operated by reverse gear operation or can be manually switched on and off. Thus, regardless of the type of reflector system 4 arranged in the case 5, the driver's field of vision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operating at least the first lighting system 11 and mainly operating the fourth lighting system 14 simultaneously. can do. When combining the first illumination system 11 or mounting the two illumination systems 11, 14 via a convex curved surfac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flector system 4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18), The watch situ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is case, the lighting systems 11 and 14 can be directed toward the ground of the front and the rear even when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은 운전자로 하여금 넓은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며 상 찌그러짐을 감소시킴으로써 후방 시야의 개선을 달성하는 효과를 수반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river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and entails the effect of achieving an improvement in the rear view by reducing image dist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and the lik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the like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something to do.

Claims (16)

중앙 시계영역의 포착을 위한 주 반사영역과 시선 사각지대의 포착 및 후방의 시야 확대를 위한 추가 반사영역으로 구성되어 차량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조정이 가능한 반사경 시스템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main reflecting area for capturing the central field of view and an additional reflecting area for capturing the blind spot and expanding the field of view behind, and is fixed to the vehicle and adjustable reflector system, 상기 반사경 시스템은 단일한 시스템으로 되어 있고 상기 추가 반사영역은 차량의 측면을 향하는 위치에, 상기 주 반사영역은 차량의 측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추가 반사영역은 오목 거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주 반사영역은 볼록 거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The reflector system is a single system and the additional reflecting zone is mounted at a position facing the side of the vehicle, the main reflecting zone is moun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additional reflecting zone is formed by a concave mirror and The main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a convex mirr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시스템은 차량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로 후방을 향해 있는 개구를 지닌 케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내에서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The exterior rearview mirror of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system is attached to a case having an opening facing rearward as opposed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and is adjustable within the c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시스템의 상기 추가 반사영역은 차량 측면에 위치한 지반을 비추일 수 있도록 상기 추가 반사영역의 세로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더 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The exterior rearview mirror of claim 1, wherein the additional reflection area of the reflector system has a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additional reflection area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so as to project the grou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차량면 옆에 위치한 지면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하는 개폐가 가능한 제 1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2. The exterior rearview mirr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illumination system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attach to the case to illuminate the ground located next to the vehicle surfa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 시스템은 차량의 후진 기어가 들어갈 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5. The exterior rearview mirror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lighting system enables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reverse gear of the vehicle enters.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경고등 기능을 포함해 방향 지시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폐 가능한 제 2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5. The exterior rearview mirror of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a second openable lighting system attached to the case to perform a function of a turn signal, including a warning light function.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차폭등의 기능을 하는 개폐 가능한 제 3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5. The exterior rearview mirror of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an openable third lighting system attached to the case to function as a vehicle width.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케이스에 차의 진행방향으로 부착되어 전조등의 기능을 하는 개폐 가능한 제 4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5. The exterior rearview mirror of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an openable fourth illumination system attached to the cas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and functioning as a headlam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시스템은 상기 오목거울로 된 상기 추가 반사영역과 볼록 거울로 된 상기 주 반사영역 사이에 연결 부분을 두고 있으며 상기 연결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후면경.2. A reflect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reflector system has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said additional reflecting region of said concave mirror and said main reflecting region of a convex mirror, said connecting portion taking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utomotive rear rearview mirror.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반사영역은 굴곡 개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 개시 부분은 위에서 볼 때 차량의 측면을 향해 있고 상기 주 반사영역보다는 앞쪽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주 반사영역의 극점은 상기 굴곡 개시 부분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10. The system of claim 1 or 9, wherein the additional reflecting region comprises a bend initiation portion, the bend initiation portion facing the side of the vehicle as viewed from above and arranged ahead of the main reflecting region and being in the main reflecting region. The pole of the outer rearview mirro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rear of the bending start por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에서 시작되는 상기 주 반사영역의 볼록 거울의 굴곡반경이 상기 연결부분에서 끝나는 상기 추가 반사영역의 오목 거울의 굴곡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The exterior rearview mirror of claim 10, wherein the bending radius of the convex mirror of the main reflective region starting at the connecting portion is greater than the bending radius of the concave mirror of the additional reflective region ending at the connecting portion. 차량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조정가능한 반사경 시스템을 갖춘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으로서,A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an automobile with a case fixed to the vehicle and an adjustable reflector system, 상기 반사경 시스템은 단일 부품으로 되어 있으며, 하나의 스위치를 작동하여 개폐(on/off)가 가능하고, 차량 측면에 위치한 지면을 보다 잘 반사 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정된 연결부의 아래 부분이 볼록 형태의 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 후면경.The reflector system has a single part,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perating a single switch,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set horizontally to reflect the ground loca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is convexly curved. External rearview mirror for cars,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1999-0064850A 1999-10-23 1999-12-29 External Back Mirror for Automobile KR1003911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1178A DE19951178A1 (en) 1999-05-25 1999-10-23 External rear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 has one-piece mirror system with concave auxiliary area directly associated with one side of vehicle, concave main area on opposite side
DE19951178.0 1999-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502A KR20010039502A (en) 2001-05-15
KR100391162B1 true KR100391162B1 (en) 2003-07-12

Family

ID=3752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850A KR100391162B1 (en) 1999-10-23 1999-12-29 External Back Mirror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16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378A (en) * 1997-02-19 1998-10-15 김광호 Optical device of the liquid crystal projector
KR19990017406A (en) * 1997-08-22 1999-03-15 허영섭 Expression vector of fusion protein using amino terminal fragment of glutathione S transferase as fusion part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378A (en) * 1997-02-19 1998-10-15 김광호 Optical device of the liquid crystal projector
KR19990017406A (en) * 1997-08-22 1999-03-15 허영섭 Expression vector of fusion protein using amino terminal fragment of glutathione S transferase as fusion part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502A (en)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243E1 (en) Multi-functional side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EP0591566B1 (en) Headlamp for motor vehicles
JP3825108B2 (en) Motorcycle headlights
JP2003516900A (en) Rearview mirror with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US20140218946A1 (en) Short-Range Cornering Light in an Exterior Mirror
US6179455B1 (en) Automobile headlight
US6598982B2 (en) Rearview mirror alignment device
JPH0350044A (en) Backing light for automobile
JP4702976B2 (en) Dual-function headlights for automobiles with a single light source and fixed optics
US6719444B1 (en) Vehicular headlights
PL180894B1 (en) Vehicle protecting device
KR100391162B1 (en) External Back Mirror for Automobile
US7025486B2 (en) Outside mirror with blinker light for vehicles
US5609406A (en) Headlamp for motor vehicles
US20010021111A1 (en) Lamp for automobile
US6092918A (en)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yield of high-beam luminous energy
US10953790B2 (en) Vehicle front headlight device
US7134771B2 (en) Automobile lamp assembly having rotating anti-glare shield and method
JP2002036876A (en) Antiglare device against headlamp light from another vehicle
CN216069783U (en) Automobile headlamp assembly
CN214468338U (en) Matrix type high beam
CN214985072U (en) Automatic switch ADB intelligence lighting fixture of distance light
CN2281922Y (en) Multifunctional rearview mirror for automobile
KR100250085B1 (en) Assembly of outside rear view mirror in a car
CZ11602U1 (e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th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