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145B1 -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145B1
KR100391145B1 KR10-2000-0073164A KR20000073164A KR100391145B1 KR 100391145 B1 KR100391145 B1 KR 100391145B1 KR 20000073164 A KR20000073164 A KR 20000073164A KR 100391145 B1 KR100391145 B1 KR 100391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ayment
card
chip
video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195A (ko
Inventor
정명덕
Original Assignee
정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덕 filed Critical 정명덕
Priority to KR10-2000-0073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1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insert a coded card, e.g. a smart card carry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대가 각기 다른 고주파 및 저주파를 사용하는 전자 칩을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하여, 전자 칩에 금액을 충전하거나, 요금 결재를 용이하도록 하는 다중응용 스마트카드 칩이 내장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근접식만으로 결재되는 무선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요금 지불 시스템의 내용을 개선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E-cash and money transfer system and e-money payment systems, e-commerce payment methode on the wireless terminal adapted for multi commbi-card}
본 발명은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전자금융결재용 이동통신단말기(이하 "무선전자결재 단말기"라 한다)는 산업용무선주파수 대역(SIM)과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 칩과 13.56㎒ 대역을 사용하는 근접식 알에프-아이시(RF-IC) 칩을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한 형태를 일컫는다.
"무선전자결재 단말기"에 내장된 블루투스(Bluetooth) 칩은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를 통한 근거리에서의 전자금융결재 시스템과 접속되어 사용자 인증 및 거래내역 정보를 송수신하고, 전자결재 단말기의 각종 기능버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코드 및 개인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비접촉식 전자칩은 교통요금 지불장치와 마찬가지로 루프 안테나를 통해 단거리(10㎝ 내외) 판독장치와 통신하면서 충전규약에 의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요금지불에 대해서는 교통요금지불과 같이 칩의 근접에 의한 단순 요금결재방법뿐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방식의 전송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을 가지고, 안전하게 전자상거래를 이용할 수 있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된다.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 칩과 근접형 알에프-아이시(RF-IC) 칩이 내장된 "무선전자결재 단말기"는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 기능이 부여되고, 신용카드가 온라인 상태에서 인증이 이루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며 오프라인에서도 인증이 이루어지는 교통카드와 같은 예로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무선전자결재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을 구성하면 전자화폐충전, 전자금융결재, 사용자 인증 내려받기 등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콤비칩내에 충전된 전자화폐로 요금결재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멀티 콤비카드 기능이 있는 "무선전자결재 단말기"로 모든 사용요금을 간편하게 지불할 수 있다.
"무선전자결재 단말기"에 블루투스(Bluetooth) 칩과 근접형 알에프-아이시(RF-IC) 칩을 내장하므로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와 같은 오프라인 요금지불과 온라인에 의한 전자금융결재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 각종 카드의 분실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타인에 의한 카드 도용문제를 방지하여 신용거래의 확립에 기여하며, 요금 결재 및 전자화폐충전의 이용을 편리하게 하며, 그 적용 분야를 확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현재, 정보통신산업의 발달을 기반으로 직불카드, 신용카드, 교통카드 그리고 교통카드와 신용카드 기능이 겸용 내장된 스마트카드가 대금 결재수단으로 이용되면서 현금이나 승차권 없이도 카드에 충전된 금액(이하 전자화폐)과 후불제 개념의 신용계좌에서 요금을 결재하는 다양한 지불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들은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접촉식 카드, 비접촉식 카드, 하이브리드 카드, 콤비카드(이중 인터페이스 카드)로 크게 나누어진다.
접촉식 카드는 칩의 동작을 위한 전원과 클럭신호를 얻기 위하여 판독기와의 물리적인 접촉이 필요한 카드로써,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 장치와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복잡한 암호 알고리즘을 처리하는데 충분한 전력을 얻어 동작하며, 이 카드는 보안이 최우선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전자화폐와 같은 금융 어플리케이션이나 네트워크 접속 등에 사용된다.
비접촉식 카드는 접촉식 카드가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한 금박 접촉점 손상 등에 의해 칩 접촉이 실패할 수 있는데 반해, 카드 판독기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써, 카드를 판독기 내에 삽입하는 대신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접촉식 카드를 사용할 때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비접촉식 카드는 접촉점 대신 카드 내에 안테나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판독기와의 통신이 가능 할뿐만 아니라 전원도 공급받는 것으로써 종래의 요금 충전식 교통카드 칩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알에프 아이시(RF-IC)칩은 밀착형(close coupling)의 경우 정전결합(capacitive coupling)에 의해, 리모트형(remotecoupling)의 경우 전자유도(inductive coupling)에 의해 전원을 얻는다. 전자유도는 하나의 코일이 다른 코일에 전류를 일으키는 변압기의 원리로 동작한다. 전송 주파수는 보통 13.565MHz의 AM변조 방식이 일반적이다. 칩은 저항을 변경함으로써 데이터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것을 카드 판독기가 읽어서 데이터신호로 해석한다. 카드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보통 10배 이상의 큰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자유도 카드의 경우 근접거리가 최대 약 10cm로, 정전결합의 경우 수 mm 정도로 축소된다. 사용자가 판독기 옆을 지나가는 경우, 트랜잭션 완료를 위해 주어지는 시간이 약 200ms 정도로 매우 짧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은 수백 바이트로 제한된다. 따라서 이러한 카드들은 교통요금카드나 접근제어처럼 접촉식 카드보다 빠른 트랜잭션 처리속도를 요구하는 단일 어플리케이션에 적당하다.
하이브리드 카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카드들이 하나의 카드에 구현되어 자기띠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보통은 접촉식 및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모두 다 갖는 카드를 말한다. 접촉식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칩 모듈에 의해 사용되며,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는 메모리 칩 모듈에 의해 사용된다. 두 칩 사이에는 물리적인 연결이 없어서 메모리의 공유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콤비(이중 인터페이스)카드도 접촉식 및 비접촉식 표면을 가지고 있으나 두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로직 모듈을 통해 하나의 공유 데이터 영역을 액세스한다는 특징이 있다. 접촉식 표면은 언제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며, 공유 데이터 영역은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로직 모듈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의 양 I/O 포트를 통해 동작될 수 있는 하나의 프로세서 칩을 가지고 있으면서, 예를 들어 전자지갑의 로딩은 접촉식 면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소액 지출은 두 포트 중 어느 것을 통해서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마트카드는 대금을 지불하거나 결재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단순 교통요금 지불카드인 교통카드(근접 알에프-아이시(RF-IC) 칩)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카드 충전소를 방문하여 요금을 충전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분실 시 금액 회수가 불가능한 단점들이 있으며, 일반제품 구매 시 대금결재로 사용되는 신용카드 또는 멀티카드는 분실 시 타인에 의한 카드도용과 대금결재 시마다 대금 결재 전표에 사인을 수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터널요금 지불과 도시고속도로에 교통카드가 적용되나 약 10㎝ 이내로 근접하여 리더기에 카드를 정확히 접촉해야 하므로 톨게이트의 혼잡을 야기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결재수단으로서 교통카드와 신용카드를 각각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다양한 전자금융결재가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 인증 및 보안 알고리즘 등을 통해 전자화폐 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접촉식 및 비접촉식 카드로 구성된 콤비카드를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한 것으로써, 근접식 알에프-아이시(RF-IC)카드로 충전되거나, 결재되는 "특허 제0275419호"의 내용 중 근접식 알에프-아이시(RF-IC) 카드가 10㎝ 내외에서 카드를 근접시켜야만 되는 근접식 요금지불 및 요금 충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IMT-2000을 포함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 칩을 접목하여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한 전자금융결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근접식 및 근거리 비접촉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무선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전자결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접식 카드와 근거리 무선 랜(Bluetooth) 칩을 이용하여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연동함으로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이 병행 될 수 있는 전자금융 결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형태를 가지면서 다중인터페이스가 용이한 콤비카드에 의해 전자결재의 안전성 및 보안성 등을 확보하고, 무선랜칩인 블루투스를 결합하여 전자결재가 온라인 상태와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가능하며, 무선이동 통신망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충전된 전자화폐금액을 근접식(RF-IC)방식에 의해 오프라인 전자결재 수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및 전자금융 결재방법이 실현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전자결재 단말기와 무선통신망 간의 전송로가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전자화폐충전, 전자화폐충전 취소, 사용정지, 사용정지 해지, 개인정보 갱신과 사용자가 무선 전자결재 단말기의 기능버튼 조작에 의한 거래내역 인증 및 결재금액 확인, 금액이체, 비밀번호 보안, 전자화폐 잔액확인과 신용정보 조회 및 계좌 조회 등과 같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을 전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접촉(무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근접식 카드(알에프-아이시(RF-IC) 칩)와 근거리 칩(Bluetooth 칩)이 포함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체화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휴대전화에 멀티 콤비카드를 적용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블루투스(Bluetooth) 응용 방법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신호 흐름에 따른 예시도.
도 4는 결재방법과 개념에 따른 구성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이동통신단말기 20 ------ 가맹점
30 ------ 무선망 40 ------ VAN 시스템
50 ------ 금융기관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휴대전화기, 피디에이(PDA), 피시에스(PCS)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영상휴대전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콤비칩(221)이 포함되는 비접촉 카드(2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휴대전화의 마이크로프로세서(211)에 의해 무선전송방식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는 영상휴대전화(210)와 비접촉 카드(220)간의 신호를 결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12a)와, 콤비칩(221)에 연결된 루프안테나(223)는 주로 교통요금지불 수단으로 근접식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22)는 IMT-2000단말기에서 채택될 수 있는 무선 랜 방식을 도입하여 근거리 요금결재 및 전자화폐 충전, 사용자 인증, 암호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1은 근접식 전자결재방식과 근거리 전송방식에 의한 근거리 전자결재방식이 결합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210)로 구성된다.
온라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을 전자화폐로 충전하는 수단으로서의 영상휴대전화(210)는 무선망을 통해 빌링 시스템의 부가서비스에 접속을 하고, 영상휴대전화의 입력키를 사용하여 입금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에 대한 정보 코드를 송수신함에 따라 콤비 칩(221)에 해당 금액을 전자화폐로 입력한다.
영상휴대전화(210)가 무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영상휴대전화(210)에 내장되어 콤비칩(221)에 인터페이스된 블루투스(Bluetooth) 칩에 의한 무선 랜 방식을 이용하여 ATM 단말기 또는 현금지급기 등에 설치된 무선 랜과 접속됨으로써 요금결재 및 전자화폐 충전 등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영상휴대전화(210)는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즉, 다양한 부가통신서비스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일명 IMT-2000이라고도 불리는 유무선 종합 정보 단말기로써, 이 단말기는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를 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인증 등이 용이하고 블루투스(Bluetooth)라는 무선 랜 칩을 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내용에서와 같이 콤비칩(221)에도 결합될 수 있으나, 특히 영상휴대전화(210)의 블루투스(212) 및 인터페이스(212b)와 결합하여 근거리 무선결재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술한 비접촉 콤비카드(220)는 고주파(RF)인터페이스가 있는 콤비칩(221)에 의해, 근접식 카드에 이용되는 루프안테나(223) 접속부를 통해 근접식 방식의 전자금융결재가 이루어지고, 멀티 콤비칩인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무선 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222)가 콤비칩의 내부에 있는 또 다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근거리 통신 및 근접식 전자금융 결재시스템이 결합된다.
도 2는 상술한 기술과는 다르게 무선 랜(Bluetooth) 칩이 인터페이스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영상휴대전화(210)의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 포트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용 고주파(RF) 블루투스(212)의 인터페이스(212b)를 통해 영상휴대전화(2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1) 제어에 의한 통신이 가능토록 하며 주로 근거리 통신방식의 전자금융 결재방식에 적용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방식에 의한 입출력 정보들은 인터페이스(212a)를 거쳐 콤비칩(221)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되어 영상휴대전화(210) 무선망과 연계되거나, 근접식 전자결재방식의 콤비칩(221)에 결합된 루프안테나(223)와 연계되어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자결재통신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기술에 대한 예로서, 은행과 편의점에 설치된 ATM 및 카드 가맹점의 온라인 카드결재장치(카드판독기)가 스마트 카드의 접촉 방식에 의한 전자 결재방식인 바, 카드접촉 방식 대신에 정보 전송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써 각 기기에 무선 랜(Bluetooth) 칩을 장착하여 영상휴대전화(210)의 무선 랜(Bluetooth)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온라인 상태와 같이 전자 결재가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에서의 콤비칩(221)은 도 3의 콤비카드(300)와 같이 입출력 포트 또는 영상휴대전화(210)와 물리적 연결 구조를 갖는 접촉 인터페이스(303)와, 무선 랜(Bluetooth)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22)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블루투스 고주파(RF) 인터페이스(302)와, 그리고 근접식 루프 안테나(223)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알에프(RF)인터페이스로 구성되고, 시피유(CPU)(304)는 인증 및 보안(305)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휴대전화(2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1)와 접촉 인터페이스(303)를 경유하여 연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금융 결재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화폐를 충전하거나, 사용요금을 결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무선이동통신 단말기(10)와, 무선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무선망(30)을 통해 사용자의 신용조회 및 전자결재와 관련된 사용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는 VAN 시스템(40)과, VAN 시스템(40)의 금융거래 정보를 처리하는 금융기관(50)과, 전자화폐로 결재할 수 있는 다수의 가맹점(2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멀티 콤비카드 방식을 이용한 무선전자결재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실시예와 다른 무선이동 교환수단(30)과 연계된 VAN 시스템(40) 및 금융기관(50)을 통한 전자화폐 충전과, 요금지불방법 및 가맹점(20)의 요금정산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의 무선전자결재 단말기(10)는 사용자 메뉴와 기능버튼에 의해 무선이동 교환수단(30)을 거쳐 VAN 시스템(40) 사업자의 빌링 시스템에 연계되며, 먼저 사용자 신용조회를 거쳐서 인증서 발급에 따른 인증방법을 통해 암호가 인정되면, 금융기관(50) 계좌에서의 신용 및 현금거래방식에 의해 전자화폐 충전가능 금액을 확인한 후 무선전자결재 단말기(10)에 요금을 충전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전자결재 단말기(10)에 구비된 무선 랜(Bluetooth) 기능은 금융기관(50)의 ATM에 설치된 무선 랜(Bluetooth)에 의해 일정 거리 내에서의 전자화폐 충전 및 전자결재, 자금이체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가맹점에 설치된 온라인 카드결재장치(카드판독기)에 장착된 무선 랜(Bluetooth)과 무선전자결재 단말기(10)의 무선 랜(Bluetooth)이 무선으로 온라인이 구성되어, 접촉식 카드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요금지불에 대한 인증을 획득할 수 있으며, 무선전자결재 단말기(10)의 사용자 메뉴와 기능버튼에 의해 금액지금을 전자화폐 결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소액인 경우의 요금결재에 대해서는 무선전자 결재 방식의 콤비칩(221)에 결합된 루프안테나(223)를 통한 오프라인 전자 결재도 가능하다.
실시예의 다수 가맹점(20)인 신용카드 가맹점, 자동판매기, 교통수단, 인터넷 전자 상거래 등에서 이루어진 전자금융결재 거래내역은 VAN 시스템(40)으로 전송되고, 전자결재 거래내역은 VAN 시스템(40)을 거쳐 최종적으로 금융기관(50)에서 정산된 후 가맹점(20)의 거래 계좌로 거래금액이 입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고, 전자요금 결재를 선불식(오프라인)과 후불식(온라인)방식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전자상거래에 폭 넓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이동통신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이동성을 이용하므로 시간 제약 없이 편리하게 전자화폐 결재수단으로서의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신용거래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화폐 충전 및 거래요금 지급수단으로서의 전자금융결재마다 인증 및 개인 암호를 적용하여 무선전자결재의 신뢰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온라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을 전자화폐로 충전하는 영상휴대전화(210)는 무선망을 통해 빌링 시스템의 부가서비스에 접속을 하고, 영상휴대전화의 입력키를 사용하여 입금 데이터 및 사용자 인증에 대한 정보 코드를 송수신함에 따라 콤비 칩(221)에 해당하는 금액을 전자화폐로 입력하는 수단;
    상기 영상휴대전화(210)가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영상휴대전화(210)에 내장된 콤비칩(221)에 인터페이스된 블루투스(Bluetooth) 칩에 의해 무선 랜 방식으로 ATM 단말기 또는 현금지급기에 설치된 무선 랜과 접속되는 요금결재 및 전자화폐 충전 수단;
    상기 영상휴대전화(210)는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를 내장하여 사용자 인증 등이 용이하며, 비접촉 콤비카드(220)는 고주파(RF)인터페이스가 있는 콤비칩(221)에 의해 근접식 카드에 이용되는 루프안테나(223) 접속부를 통해 근접식 방식의 전자금융결재가 이루어지고,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무선 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222)가 콤비칩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근거리 전자결재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영상휴대전화(210)의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 포트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211) 제어에 의해 무선랜용 불루투스(212b)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근거리 통신방식의 전자금융 결재에 적용되는 입출력 정보들은 인터페이스(212a)를 거쳐 콤비칩(221)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되어 영상휴대전화(210) 무선 통신망과 연계되고,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자결재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콤비카드(300)의 입출력 포트가 영상휴대전화(210)와 물리적 연결 구조를 갖는 접촉 인터페이스(303)와, 무선 랜(Bluetooth)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22)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블루투스 고주파(RF) 인터페이스(302)와, 그리고 근접식 루프 안테나(223)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알에프(RF)인터페이스로 구성되게 하기 위하여, 시피유(CPU)(304)는 인증 및 보안(305)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휴대전화(21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1)와 접촉 인터페이스(303)를 경유하여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영상휴대전화(210)가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영상휴대전화(210)에 내장된 콤비칩(221)에 인터페이스된 블루투스(Bluetooth) 칩에 의해 무선 랜 방식으로 ATM 단말기 또는 현금지급기에 설치된 무선 랜과 접속되는 요금결재 및 전자화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재방법
  5. 영상휴대전화(210)가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영상휴대전화(210)에 내장된 콤비칩(221)에 인터페이스된 블루투스(Bluetooth) 칩에 의해 무선 랜 방식으로 ATM 단말기 또는 현금지급기에 설치된 무선 랜과 접속되는 요금결재 및 전자화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재방법
  6. 삭제
KR10-2000-0073164A 2000-12-05 2000-12-05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 KR10039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164A KR100391145B1 (ko) 2000-12-05 2000-12-05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164A KR100391145B1 (ko) 2000-12-05 2000-12-05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195A KR20020044195A (ko) 2002-06-15
KR100391145B1 true KR100391145B1 (ko) 2003-07-12

Family

ID=2767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164A KR100391145B1 (ko) 2000-12-05 2000-12-05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1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66A (ko) * 2002-04-22 2003-11-01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콤비형 스마트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오프라인 전자결제방법
KR20040004765A (ko) * 2002-07-05 2004-01-16 김선섭 다방식 결제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
KR20040011021A (ko) * 2002-07-26 2004-02-05 김선섭 여러가지 전자화폐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
KR100728636B1 (ko) 2005-08-09 2007-06-15 (주)한창시스템 다양한 보안 모듈을 지원하는 보안 nfc 통신 장치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90A (ko) * 2002-08-29 2004-03-06 이상훈 신용거래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신용거래시스템
KR20040020192A (ko) * 2002-08-30 2004-03-09 씨엔씨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알에프-모듈과 연동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인터넷결제방법
KR20020084043A (ko) * 2002-10-15 2002-11-04 김용필 스마트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66A (ko) * 2002-04-22 2003-11-01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콤비형 스마트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오프라인 전자결제방법
KR20040004765A (ko) * 2002-07-05 2004-01-16 김선섭 다방식 결제수단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
KR20040011021A (ko) * 2002-07-26 2004-02-05 김선섭 여러가지 전자화폐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
KR100728636B1 (ko) 2005-08-09 2007-06-15 (주)한창시스템 다양한 보안 모듈을 지원하는 보안 nfc 통신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195A (ko)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923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alue exchange utilizing value-storing applications
US10102569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alue exchange utilizing value-storing applications
KR101802862B1 (ko) 전자 지불 응용 시스템 및 지불 승인 방법
US20050222961A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s across different payment systems using a common mobile device acting as a stored value device
KR100977916B1 (ko) 스마트 카드
US20090127332A1 (en) System for processing payment employing off-line transaction approval mode of mobile card and method thereof
WO2004012352A1 (en)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contactless smart card reader/writer
US20050182674A1 (en) Charge approval and payment system
KR20110005889A (ko) 전자 지불 시스템
TWI578274B (zh) A withdrawing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its withdrawal method and the teller machine
US20210279717A1 (en) Card-to-card direct communication
CN108475372A (zh) 用于公共交通的移动设备上的进入控制旁路
CN101458795A (zh) 对移动卡使用离线交易批准模式的支付处理系统及其方法
KR100391145B1 (ko) 멀티 콤비카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금액충전장치 및 전자결재장치 및 전자결재방법
CN101014985A (zh) 使用作为储值装置的普通的移动装置使跨越不同的支付系统的非接触支付交易便利的系统和方法
CN101685511A (zh) 基于近场通信的终端支付方法、和基于近场通信的终端
KR101681002B1 (ko) 멀티전자지갑 선불카드와 허브코드 기반 전자지갑 간의 간편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0249783Y1 (ko) 멀티 콤비카드와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US11893574B2 (en) Stored-value card-to-card direct communication
KR101025621B1 (ko) 무선단말기내 선불카드기능 충전 방법
KR20020066829A (ko) 무선 이동통신 기능을 갖는 비접촉식 알에프카드 리더기
CN101957934A (zh) 带有测距和射频无线通讯的分离式智能卡
KR20040001114A (ko) 전자화폐 단말기
KR20120041611A (ko) 휴대용 전자화폐 충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식 전자화폐 충전 방법
KR20020063351A (ko) 전자지갑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