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520B1 - 파이프단부의이동가능한연결용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단부의이동가능한연결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520B1
KR100390520B1 KR1019950054836A KR19950054836A KR100390520B1 KR 100390520 B1 KR100390520 B1 KR 100390520B1 KR 1019950054836 A KR1019950054836 A KR 1019950054836A KR 19950054836 A KR19950054836 A KR 19950054836A KR 100390520 B1 KR100390520 B1 KR 10039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ement
spring elastic
pipe
fixing parts
damp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687A (ko
Inventor
고델 프랑크-우베
홀쯔하우젠 비란트
쉴 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이베카 발크-운트 컴펜자토렌-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베카 발크-운트 컴펜자토렌-테크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베카 발크-운트 컴펜자토렌-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02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16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the pipe sections being joined together by flexible tubular elements only, e.g. using bellows or strip-wound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특히 자동차의 배기시스템에서 금속 벨로스, 호오스 또는 그 유사물과 같이 연결단부를 지닌 가요성 파이프 소자와 가요성 파이프소자의 연결단부간에 작용하는 감쇠(damped)탄성스프링 소자를 지닌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장치는 구성이 단순해야 하나, 한 측면에서는 연결 단부간에 작용하는 상대적인 이동을 보상하고 다른 측면에서는 파이프 소자를 중앙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력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본 발명은 지지부들의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에 속하는 소자들(11; 41, 41')를 제공하므로, 소자들(11; 41, 41')의 선형 스프링 특성이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에 의해 점진적으로 변형된다.

Description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본 발명은 파이프 단부들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특히 자동차의 배기시스템에서 금속 벨로스, 호오스 또는 그 유사물과 같이 연결단부들을 지닌 가요성 파이프소자의 연결단부들간에 작용하는 감쇠(damped)스프링 탄성소자를 지닌 파이프 단부들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장치는 유럽출원공개 제 543 715 A1 호, 프랑스 출원공개 제 2, 701 753 A1호와 독일출원공개 제 44 01 827 A1 호에 공지된 것이다. 이 장치들은, 지지부들간에 작용하고 가요성 파이프소자의 주변에 링 형태로 놓이거나 지지부들간에 여러 개의 소자 형태로 배열되는 금속 케이블로 작용한다. 이 장치들은 변형에 의한 스프링 기능과 마찰에 의한 감쇠(減衰)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필요한 탄성복원력이 분리작용 시에도 여전히 우수한 전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유형의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자들이 지지부들의 신축고정부들에 유지됨으로써 소자들의 선형 스프링 특성은 신축고정부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조절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투영시 원형 윤곽을 지니는 신축고정부들은 소자들의 원주방향연장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특히 이 신축고정부들은 소자들이 끼워지는 확대된 홈들 또는 채널들을 포함한다.
소자들은 고정부들에 위치하며, 언급된대로, 이들이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고정부나 채널들을 통과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는다면, 두 지지부의 채널들로 임의로 구성되고 임의로 완전히 감싸여 질 수 있다. 한편으로는 고정부들 또는 채널들을 넓어지게 확대한 결과로서 소자들의 연장 또는 원주 방향에 수직으로 소정의 이동성이 소자들에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성은 고정부들의 경계벽들에 의해 한정된다. 지지부들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이 증가하여, 소자들은 고정부들의 벽에 지지되는 것이 증가하나, 이 소자들의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은 결과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상대적인 변위가 두 지지부들간에 또는 이것들에 확고하게 연결된 가요성 파이프부의 연결단부들 간에서 증가하므로 점진적인 탄성력 경로 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힘-경로 스프링 특성을 지닌다.
탄성소자와 지지부들의 고정부 벽들간의 자동밀폐(self-closure)가 증가하여, 독일 특허 제 33 21 382호에 공지된 대로, 와이어 가제(gauze) 쿠션을 압축하여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감쇠 스프링 특성들은 본 발명의 해결책에 의한 최적의 방식으로 서로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들은 소자의 모든 측방향들로 신장되며 특히 지지부들의 정면(facing front faces)을 향해 확장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소자들은 원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르게는, 대안으로서 나선형 구조일 수도 있고 고정부들은 나선형으로 구성된 소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소자를 수용하는 고정부나 챔버들의 확대는 결과적으로 나선형으로 구성된 소자의 연장방향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나선형 구조의 소자는 로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의 축 주위로 구부려질 수 있다. 그러나, 대신 원주방향에서 힘 특히 방사상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할 때, 소자는 원통형 윤곽에서 단면 또는 투영면이 달걀형 또는 타원형 윤곽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감쇠스프링 탄성소자들은 만자형(meander-like) 경로를 지닌다. 이 소자들은 지지부들의 원주 주변에서,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들의 정면 근처에서 확대된 고정부들을 형성하는 홈들 내에서 안내되므로, 두 지지부들이 상대적으로 더 적게 움직이는 경우에 소자들은 여기에서 다시 동일하게 한정되어 자유로이 움직인다. 반면에, 더 크게 움직이면 소자들은 고정부들과 홈들의 벽들에 접하고 결과적으로 소자들의 자유로운 이동성이 제한되고 전술한 점진작용이 일어난다.
감쇠스프링 탄성소자들의 배치 또는 방향설정(배향)은 다른 방법으로 일어날 수 있다. 원형소자로서 이들은 지지부들의 윤곽에 적합하게 되어 이들의 대칭축은 실질적으로 장치의 주축 또는 가요성 파이프 소자에 방사상이다. 이 대신에, 이들의 대칭축은 주축에 대해 평행하거나, 접하거나 90˚가 아닌 유한각도로 기울어진 방식으로, 즉 주축에 방사상이고 평행인 성분을 지니게 방향설정될 수 있다.
감쇠스프링 탄성소자는 기본적으로 강철 링과 같이 견고한 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자들은 상호교차된 금속 와이어 또는 꼬인 개별 와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시스템의 파이프단부들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 파이프 소자(2)를 지니며, 이는 제시된 실시예에서 금속 벨로스의 형상이다. 파이프 소자(2)는 연결단부들(3, 4)을 지니며, 이 연결단부들의 각각에는 지지구조물, 즉 각 경우에 있어서 지지부들(6, 7)이 연결된다. 지지부들(6, 7)은 탄성적으로 작용하는 감쇠탄성소자(11)용 고정부들(8, 9)을 지닌다. 감쇠탄성소자는 구체적으로 제시된 실시예들에서 링으로 도시되며, 그것은 원형윤곽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는 제 14도의 변형예 E에서 도식적으로 나타낸 대로 나선형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 형태의 소자(41)인 경우에, 제 1도 내지 3도와 제 6도 내지 제 12도의 제시는 상기 스프링의 축 e-e'(도 16 참조)을 따르는 돌출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중흐름장치용의 제 12도의 단면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자(11)에 해당하는 소자는 장치(1)의 X축에 대해 대각선으로 소자(11)의 맞은편에 있다.
그러므로, 소자(11)는 실제 링의 특성을 지니며, 솔리드 스프링 링 또는 나선형구조인 경우에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자는 감겨진 판판한 스프링 조각(strip)이거나, 감겨지거나 꼬이거나 교차연결된 스프링 와이어이다.
고정부들(8, 9)은 각 경우에 있어서 지지부들(6, 7)에서 부분 원형이고 거의 반원형의 홈을 지닌다. 홈들 또는 고정부들(8, 9)은 연결단부들(3, 4)에 근접한 자신들의 영역들 내에 소자(11)에 적합한 횡단면 또는 이에 대응하는 횡단면을 지니며, 주축 X에 대해 원주방향과 방사방향 둘 다에서 지지부들(6, 7)의 대향하는 자유로운 정면들(12, 13)을 향해 계속적으로 연장된다. 이들은 로드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자(11)의 한 쪽으로 확장되어 벽들(14, 16)은 소자(11)로부터 분리된다. 홈들(8, 9)은, 특히 제 5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소자(11)로부터 정면들(12, 13) 쪽으로 분리된 커버(17)로 덮인다.
장치(1)가 압축된다면, 즉, 제 2도에 도시된 대로, 특히 축방향 압축력이 장치(1)에 가해진다면, 이 때 소자(11)를 타원형으로 가정하면, 타원형의 단축(短軸)은 장치(1)의 주축(X)에 평행하게 있는 반면에 타원형의 장축은 지지부들(6, 7)의 원주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소자(11)가 벽과 접하게 된다면, 장치(1)의 추가 압축을 위한 힘-경로 특성에 있어서 강한 점진하는 증가가 있다. 제 3도에 따라 인장력이 장치(1)의 두 단부에 작용한다면 사례는 동일하다. 소자(11)가 도시된 대로 장치(1)의 주축(X)의 연장방향에 평행한 장축을 지닌 계란형일 때, 소자(11)는 더이상 원형으로부터의 순수 변형을 받지 않고, 대신에 인장력이 소자에 대해 또는 이를 형성하는 개별 와이어에 대해 작용하므로, 더 큰 인장력이 작용할 때 다시 한번 점진하는 힘-경로 특성을 지닌다.
제 1도 내지 5도의 실시 예에서, 소자(11)는 지지부들(6, 7)의 원주에 적합한 반면에, 다른 실시 예들은 해당 원형소자(11)의 배열과 설정방향을 나타낸다.
우선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부가적으로 제 1도 내지 5도의 구조에서 존재하는 기체배분 파이프들(21, 22)이 도시된다.
제 1도 내지 제 5도의 구조에서, 중심축 또는 대칭축 d-d'은 제 16도에 따라 장치(1)에 대해 방사상으로 향하는 반면에, 제 6도의 구조는 장치(1)에 접하고 제 16도에서 실린더에 의해 도식적으로 나타내어진 소자(11)의 대칭축 a-a'을 가진다. 따라서, 소자(11)와 고정부는 실제로 주축(X)에 거의 방사상으로 존재하고, 제 1도의 구조에서처럼 두 지지부들(6, 7)의 분리는 주축(X)에 대한 방사상 평면에서 이루어진다.
제 7도의 구조도 동일하나, 비대칭 구조이며, 소자(11)는 더 이상 가요성 파이프(2)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열되지 않고, 그 대신 가요성 파이프(2)의 단부(4) 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동일한 배열이 제 8도의 구성에서 사용되나, 제 8도의 구성에서, 지지부들(6, 7)간의 분리는 방사상의 평면이 아닌 접면에서 이루어진다. 소자(11)의 방향설정은 제 6 및 7도의 방향, 즉 제 16도의 대칭축 a-a'에 해당한다. 제 8도의 장치는 축방향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흡수할 수 있고 이때 소자(11)의전단(shear)과 같은 변형이 생긴다. 이 구성은,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제 1도 내지 5도의 구성에서 축방향 이동과 함께 발생하는 것에 해당하는 소자(11)에 대해 작용하는 이 구성은 특히 방사상의 변위력(displacement force) 또는 각력(angular force)을 흡수하기에 적당하다.
제 9도의 구성에서, 지지부들(6, 7)의 세분은 제 8도에 따라 주축(X)에 접선방향인 평면상에 있다. 소자(11)는 다시 한번 주축 X에 대해 방사상으로 위치한다. 즉, 제 6도 내지 8도의 구성과 비교하여 반경에 대해 90˚각도로 회전한다. 소자(11)의 대칭축의 설정방향은 제 16도에서 축 b-b'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대칭축은 주축 X에 평행하다. 축방향의 힘의 작용 하에서, 로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자(11)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자(11)의 전단응력이 있다. 방사상의 변위 또는 각력으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소자(11)의 평면상에서 작용한다.
제 10도의 구성에서 소자(11)는 제 1도 내지 5도와 제 9도의 방향설정의 중간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소자(11)는 주축 X에 대해 0˚와 90˚사이의 각도로 기울어진다. 제 16도에서 소자(11)의 대칭축 c-c' 은 0˚와 90˚사이의 각도 α, 바람직하게는 3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로 장치(1)의 주축 X과 교차한다. 로드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자는 완전히 평평할 필요는 없고 대신에, 제 10도에서 도시된 대로, 소자(11)를 약간 구부리고 지지부(7)에 인접한 지지부(6)의 단부에 맞춤으로써 지지부들의 윤곽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다시 지지부들(6, 7)을 나누면 주축 X에 대해 0˚와 90˚사이의 유한 각도를 형성하는 평면상, 즉 주축 X에 대해 거의 45˚각도에 있게 된다.
제 11는 제 10도에 유사한 배열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경우 지지부들은 가요성 파이프부(2)의 바깥쪽이나, 파이프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파이프소자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공간 외부에 위치하지 않으며, 대신에 파이프부의 안쪽에 놓인다. 그러므로, 소자(11)는 전술한 공간 내에 위치한다. 지지부(6)는 보호용 파이프(21)와 결합하거나 이에 연결된다. 소자(11)의 감쇠특성은 제 10도의 소자(11)에 관한 특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12도는 두 파이프(31, 32)로 인한 이중유량고용화(dual flow solution)를 나타낸다. 소자들(11)은 주축들(X 및 X')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이러한 배열은 본래 제 6도의 배열에 해당한다.
제 13도 내지 15도는 전술한 바의 구성에 대한 대안이 되는 해결책을 나타내며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꼬이거나 교차연결된 금속 케이블로 형성된 원형의 감쇠 스프링 탄성 소자들(41, 제 15도에서는 41')이 있다. 장치(1)의 주축(X)을 따라 돌출하여 상기 소자들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윤곽을 지닌다. 이 소자들은 이것들을 위한 홈들로서 구성된 고정부들(48, 49) 내에 위치한다. 제 13도의 구성에서, 각 경우의 지지부들(6, 7)은 각 정면 소자, 축과 원주 이동 간극(clearance) 또는 남겨진 자유공간에 해당하는 여유홈들(54, 55)에서 돌출부들(52, 53)과 접하여, 지지부들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 이동과 각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들(48, 49)이 너무 돌출부들(52, 53) 속으로 도입됨으로써 로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된 소자(41)는 주축 X(제 13도(가))에 대한 방사상 평면상에 있다. 축방향 로딩(제 13도(나))의 경우에, 소자(41)를 만자형태로 가정한다. 돌출부들(52, 53)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변두리영역(56, 57)에서 고정부들은 확장부들(47, 47')을 포함하며, 지지부들(6, 7)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소자(41)상의 벽들의 작용을 통해 힘-경로 특성의 점진적인 변화에 이른다.
제 14도의 구성에서, 다시 한 번 지지부들(6, 7)은 (주축 X에 대한) 방사상 평면에 위치한 정면들(12, 13)과 서로 마주하게 된다.
고정부들(48, 49)은 지지부들(6, 7)에 구성된 만곡의 홈들에 의해 형성되고 고정부들(48, 49)의 개구들(opening)이 정렬된 형태로 서로 마주하는 정면들(12, 13)로 향하게 된다. 정면(12, 13)의 근처에서 고정부들(48, 49)은, 전술된 대로, 힘-경로 특성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신축부들(47, 47')을 지닌다. 신축부(47)는 주축 X에 대해 동축이나, 지지부들(6, 7) 사이에서 만자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부들(48, 49)에 의해 안내된다. 홈들은 링판(17')에 의해 덮어진다.
정면(front faces)으로부터 가장 먼 홈 영역 또는 정면들(12, 13)에서의 홈들의 개구들의 영역에서 방사상 단면표시는 제 4도와 5도의 단면표시에 해당한다.
제 15도의 구성에서 홈들은 지지부들(6, 7)의 원주 위로 연장된다. 51에서 그리고 주축(X)에 대각선으로 향하는 쪽에서, 홈들이 지지부들의 정면(12, 13)에 거의 45˚의 예각하에서 안내되는 소자들(41, 41')의 교차점들이 있다. 대부분의 원주면에 걸쳐있는 홈들(48, 49)의 폭은 소자(41, 41')의 폭에 해당하므로, 소자는 홈들(48, 49)에 긴밀하게 접하거나 맞물리고, 홈들(48, 49)은 소자들(46, 46' 또는 47, 47')에 의해 넓어지거나 신장되므로, 지지부들(6, 7)이 상호간에 상대 이동하는 경우에 소자들(41, 41)이 신축부들(46, 46 또는 47, 47') 근처에 있는 측벽들중의 한 측벽에 접할 때까지, 소자들(41, 41')을 위한 한정된 자유 이동영역이 존재하므로, 지지부들(6, 7)의 상대적인 이동과 함께 힘-경로 특성이 점진적으로 향상한다.
제 1도는 덮개판 형태로 위치보호수단 아래에 절선으로 표시한 기능소자들이 로드(load)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대한 측면도;
제 2도는 연결단부상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지닌 제 1도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 3도는 연결단부상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지닌 제 2도 장치에 대한 측면도;
제 4도는 제 1도의 IV-IV을 따라 절단한 부분도;
제 5도는 제 1도의 곡선 V ' 부분의 V-V을 따라 절단한 부분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제 7도는 제 6도의 변형에 대한 종단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의해 변형된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제 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 11도는 벨로스의 윤곽선내에 위치한 스프링소자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도면;
제 12도는 제 6도와 제 7도의 방위들에서 스프링소자들을 지닌 본 발명에 의한 이중플로(flow)장치의 부분도;
제 13(가)-(나)도는 나머지 위치에서 영향을 미치는 인장력에 대해 스프링소자가 동축방향으로 배열된 하나의 실시예의 도면,
제 14도는 지지부들간에 만자(meander)와 같은 방식으로 안내된 스프링소자를 동축방향으로 배열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 15도는 동축방향으로 배열한 소자인 크로싱을 지닌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및
제 16도는 제 1도 내지 제 11도의 실시예들에 해당하는 원형(circular) 소자들의 배열을 나타내고 나선형구조를 지닌 스프링소자의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 7 : 지지부 11; 41, 41': 소자
8, 9; 48, 49 : 신축고정부

Claims (17)

  1. 배기시스템의 파이프단부들의 이동가능한 연결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단부들과 맞물리는 연결단부들(3, 4)을 갖는 가요성 파이프 소자(2);
    상기 연결단부들 간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 탄성소자(11; 41, 41'); 및
    상기 연결단부들에 각각 연결된 지지부들(6, 7)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 탄성소자를 수용하는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을 가지며, 상기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의 각각은, 적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 탄성소자(11; 41, 41')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분을 갖는, 지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 탄성소자(11; 41, 41')의 선형스프링특성은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에 의해 점진적으로 변형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투영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는 원형윤곽을 지니며 상기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의 원주연장에 수직하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가 끼워지는 넓은 채널 또는 홈들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의 모든 측면상에서 신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고정부들(8, 9; 48, 49)은 지지부들(6, 7)의 정면(front face; 12, 13)을 향해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는 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는 나선형으로 구성되고, 확장된 고정부들(8, 9)은 나선형으로 구성된 소자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11)는 만자형(meander-like)방식으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는 가요성 파이프소자(2)에 동축으로 구성된 지지부들(6, 7)의 영역에 적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의 대칭축 d-d'은 가용성 파이프소자(2)의 주축 X에 방사상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의 대칭축 b-b'은 가용성 파이프소자(2)의 주축 X에 평행하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의 대칭축 a-a'은 가용성 파이프소자(2)의 주축 X에 접선적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의 대칭축 c-c'은 가용성 파이프소자(2)의 주축 X에 90˚가 아닌 유한각도로 기울어지고 가용성 파이프소자(2)의 주축 X에 접선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축 X에 방사상 및 평행한 성분들을 제공함을 특징을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는 상호교차된 금속와이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는 가닥이 꼬인 개별 와이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는 편평한 스프링 스트립을 말아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쇠스프링탄성 소자(11; 41, 41')는 스프링 와이어를 감아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의 이동가능한 연결용 장치.
KR1019950054836A 1995-01-06 1995-12-22 파이프단부의이동가능한연결용장치 KR100390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500264.4 1995-01-06
DE9500264 1995-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687A KR960029687A (ko) 1996-08-17
KR100390520B1 true KR100390520B1 (ko) 2003-09-19

Family

ID=4938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836A KR100390520B1 (ko) 1995-01-06 1995-12-22 파이프단부의이동가능한연결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457A (ko) 2014-07-09 2016-01-19 안숙희 판상체 적재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330A (en) * 1993-05-25 1996-01-09 Iwk Regler Und Kompensatoren Gmbh Apparatus for the flexible connection of pipes in exhaust lines of motor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330A (en) * 1993-05-25 1996-01-09 Iwk Regler Und Kompensatoren Gmbh Apparatus for the flexible connection of pipes in exhaust lines of mot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457A (ko) 2014-07-09 2016-01-19 안숙희 판상체 적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687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277B1 (ko) 가요관 엘리먼트
US6354632B1 (en) Exhaust decoupler system
EP0810354A1 (en) Flexible pipe unit for use in exhaust pipe line of automotive engine
KR100307129B1 (ko) 자동차배기관내의파이프의유연연결장치
US5791697A (en) Device for the movable connection of pipe ends
KR100294471B1 (ko) 자동차배기관용플랙시블튜브
KR101862841B1 (ko) 가요성 도관 요소
US6109661A (en) Flexible coupler apparatus
KR20020017039A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US6464258B2 (en) Decoupler for exhaust pipe of automobiles
EP1908936A1 (en) Flexible conduit element
KR100390520B1 (ko) 파이프단부의이동가능한연결용장치
KR200150355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RU2144157C1 (ru) Червячный хомут
KR200313051Y1 (ko) 엔진 배기관용 디커플러
KR200243764Y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커플링
KR100353122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JP2847223B2 (ja) 排気管用継手
KR100492081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RU2064117C1 (ru) Подвижное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0243767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RU20681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иж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0394980Y1 (ko) 자동차 배기관용 진동감쇄 연결구
KR100393395B1 (ko) 자동차용 플랙시블 튜브
RU2133399C1 (ru) Подвижное соединение выхлоп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