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932B1 -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932B1
KR100389932B1 KR10-2000-0033344A KR20000033344A KR100389932B1 KR 100389932 B1 KR100389932 B1 KR 100389932B1 KR 20000033344 A KR20000033344 A KR 20000033344A KR 100389932 B1 KR100389932 B1 KR 10038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s
web page
source code
nod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186A (ko
Inventor
송용욱
Original Assignee
송용욱
김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욱, 김우주 filed Critical 송용욱
Priority to KR10-2000-003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932B1/ko
Publication of KR2001011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4Graphs; Linked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1Programming languages or programming paradigms

Abstract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 변수에 대응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 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웹 페이지의 연결관계를 표현하고, 이 연결관계를 스크립트 언어 또는 폼 입력이나 앵커를 통해 구현하여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각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한다. 또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웹 사이트에 대해서도 HTTP 명령을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얻은 후 이를 분석하여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웹 사이트의 내용을 한눈에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웹 사이트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쉽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개별 웹 페이지의 내용에 대해서는 템플릿 파일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Web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inference theo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s}
본 발명은 웹 사이트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시각적인 그래프로 나타내고 이를 이용해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생성함으로써 웹 사이트를 제작,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이라 함은, 현장 전문가의 지식을 내장한 후 실제 문제에 적용할 수 있게끔 프로그래밍되어 현장 전문가처럼 실무 문제를 풀 수있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인간 전문가의 전문 지식을 전문가 시스템 내에 표현하는 방법으로 규칙(rule)이라고 불리는 것을 사용한다. 규칙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띤다.
IF …(조건문)
THEN …(행위문)
전문가 시스템이 규칙에 의하여 표현된 인간 전문가의 전문지식을 실제 문제를 풀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추론(inference)이라고 하는데, 추론은 위의 규칙의 IF 절에 나타난 조건문이 사실이면 THEN 절에 나타난 행위문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규칙은 한 개가 아니고 여러 개이므로 규칙을 서로 연결하면서 조건문을 검사하고 행위문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하여야 한다.
한편, 규칙의 조건문이나 행위문에는 변수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동물 분류 규칙 집합을 살펴보자.
IF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 TRUE
THEN 종류1 = 포유류
IF 종류1 = 포유류
AND 나이 < 5
THEN 종류2 = 새끼포유류
위 예제에서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종류1, 종류2, 나이 등을 변수라고 하고, TRUE, 포유류, 5, 새끼포유류 등을 상수라고 한다. 변수의 종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 세 가지가 있다. 위 예제에서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변수는 그 값으로 TRUE(참)나 FALSE(거짓)를 가질 수 있는 진위형 변수이고, 종류1은 포유류, 조류 등을 그 값으로 가질 수 있는 선택형 변수이며, 나이는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는 수치형 변수이다.
이제 이러한 규칙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순서에 맞게, 그리고, 규칙에 나타난 변수의 형태에 맞추어 알맞은 질문을 던지면서 추론을 진행하여 결론(해답)을 도출해 주는 소프트웨어를 추론 엔진(Inference Engine)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위 예제의 두 규칙에 대해 추론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추론 엔진과 사용자 간의 대화가 이어질 것이다.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가 사실입니까?
"나이"는 얼마입니까?
3
결론: "새끼포유류"입니다.
이러한 규칙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하여 지식 분석도(Rule Diagram)를 사용한다. 지식 분석도란 인간 전문가의 지식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해 주는 도표로서, 지식을 표현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지식이 바뀌었을 때 그래프의 해당 부분을 고치기만 하면 되므로 지식의 유지보수(Maintenance)가 쉽다. 또한, 그래프로 표현된 지식은 자동으로 규칙으로 변환되어 추론 엔진에 의하여 곧바로 추론에 이용될 수 있다.
위 예제의 규칙을 생성해줄 수 있는 지식 분석도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만약 전문가의 지식이 바뀌면 그 규칙에 대응하는 그래프의 노드(Node)의 값을 바꾸거나(예를 들어 나이가 3살 이내일 때 새끼포유류라 하면 "나이 < 5"를 "나이 < 3"으로 바꾼다.), 새로운 규칙이 추가되었다면 노드를 추가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노드 간의 연결(Arc)을 바꾸어준다. 이렇게 하여 전문가의 지식을 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 분석도로부터 위 예제와 같은 규칙을 생성해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가능하고, 실제로 개발된 바(예, UNIK-LIFT)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규칙은 추론엔진(예, UNIK-BWD)에 입력되어 추론에 사용된다.
한편, 웹 사이트는 서로 의미있게 연결된 수 많은 웹 페이지의 집합이다. 이러한 웹 페이지 사이의 연결(hyperlink)은 전문가 시스템의 규칙을 이용한 추론 과정과 흡사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냄으로써 웹 사이트를 쉽게 관리하고 제작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웹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웹 사이트로부터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개별 웹 페이지의 내용과 웹 페이지 간의 연결 관계를 쉽게 고칠 수 있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분석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연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진위형 연결 그래프로부터 생성된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도 5의 웹 페이지 각각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선택형 연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의 선택형 연결 그래프로부터 생성된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선택형 연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치형 연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치형 연결 그래프로부터 생성된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수치형 연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의 지식분석도를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도 16은 도 13의 그래프로부터 형성된 웹 페이지의 예이다.
도 15와 도 17은 각각 도 14와 도 16에 도시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3의 그래프로부터 형성된 다른 웹 페이지의 예이다.
도 19는 동일한 질문이 두 번 반복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예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 일부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기존의 웹 페이지로부터 얻어온 소스 코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도 21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다음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얻어오기 위한 명령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템플릿 파일의 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노드와 연결선 정보가 저장되는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 한 웹 페이지로부터 다른 웹 페이지들로 분기(branch)되는 것에 대한 분기 정보가 저장되는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가 구축하기를 원하는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작성하도록 해 주는 저작 인터페이스, 그래프를 구성하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연결선에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노드는,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 변수에 각각 대응하는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를 포함하며, 진위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예" 또는 "아니오"의 값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고, 선택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조건 중 하나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며, 수치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에 대한 조건문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며,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는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소스 코드 내에서 스크립트 언어, 폼 입력 또는 앵커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노드 중 둘 이상의 노드를 노드 그루핑함에 따라, 노드 그루핑된 노드들은 하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되도록 코드 생성부에 의해 소스 코드가 생성되며,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노드 중 동일한 질문을 표시하는 둘 이상의 노드를 질문 변수 그루핑함에 따라, 질문 변수 그루핑된 노드들에 대하여 동일한 질문은 웹 페이지 상에서 한 번만 표시되도록 코드 생성부에 의해 소스 코드가 생성된다.
여기에서, 자동 생성될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에서 노드 간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예약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템플릿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코드 생성부는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 파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한다.
또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 입력된 상기 소스 코드의 스크립트 언어, 폼, 앵커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얻어내고, 얻어진 상기 연결관계를 노드 및 연결선 정보로 변환하는 코드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코드 분석부가 소스 코드 중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웹 사이트 관리 방법에서는,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예" 또는 "아니오"의 값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진위형 노드,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선택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조건 중 하나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선택형 노드,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수치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에 대한 조건문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수치형 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가 구축하기를 원하는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작성하는 단계와,그래프로 표현된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소스 코드 자동 생성 단계에서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는 스크립트 언어, 폼 입력 또는 앵커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연결관계 작성 단계에서 노드 중 둘 이상의 노드를 노드 그루핑함에 따라, 노드 그루핑된 노드들은 하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되도록 소스 코드가 생성되며, 연결관계 작성 단계에서 노드 중 동일한 질문을 표시하는 둘 이상의 노드를 질문 변수 그루핑함에 따라, 질문 변수 그루핑된 노드들에 대하여 동일한 질문은 웹 페이지 상에서 한 번만 표시되도록 소스 코드가 생성된다.
또한, 소스 코드 자동 생성 단계에서는,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와, 자동 생성될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에서 노드 간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예약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템플릿 파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웹 사이트 관리 방법에서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을 사용하여 제 1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얻는 단계, 제 1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소스 코드 내의 스크립트 언어, 폼 입력, 앵커로부터 제 1 웹 페이지에 하이퍼링크된 제 2 웹 페이지와의 연결 관계를 얻는 단계, 얻어진 연결 관계를,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예" 또는 "아니오"의 값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진위형 노드,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선택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조건 중 하나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선택형 노드,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수치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에 대한 조건문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수치형 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제 1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얻어진 제 2 웹 페이지 정보와 제 1 웹 페이지의 URL을 이용하여 제 2 웹 페이지의 주소를 얻는 단계,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을 사용하여 제 2 웹 페이지의 주소로부터 제 2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 제 2 웹 페이지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밖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또는 웹 사이트 관리 방법에 의해 형성된 웹 기반 추론 전문가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은 외부로부터 직접 웹 사이트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형성되어 있는 웹 사이트로부터 웹 사이트 정보를 추출하여 입력으로 사용한다. 최초로 웹 사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웹 사이트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다수의 웹 페이지(220)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웹 페이지(220)는 웹 서버(230)로 전송되어 인터넷(240)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된다. 웹 사이트의 변경은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웹 사이트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미 만들어져 있는 웹 사이트를 관리하는 방법은 인터넷(240)을 통해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웹 사이트 정보를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으로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된다. 웹 사이트로부터 가져온 정보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 내부에 저장되며 이를 통해 새로 생성한 웹 사이트의 관리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웹 사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
저작 인터페이스(320)는 웹 사이트를 생성 또는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웹 사이트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식분석도와 같은 그래프의 형태로 웹 사이트의 구조를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저작 인터페이스(320)는 사용자가 작성한 웹 사이트의 노드 정보와 연결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웹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와 연동되어 있으며, 웹 페이지의 화면 구성과 같은 기타 정보를 가지고 있는 템플릿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350)와도 연동되어 있다. 저작 인터페이스(320)와 연결되어 있는 HTML 코드 변환부(330)는 저작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사용자가 그래프 형태로 작성한 웹 사이트의 구조를 대응하는 HTML 소스 코드로 변환해준다. HTML 코드 변환부(330) 역시 웹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및 템플릿 데이터베이스(350)와 연동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HTML 소스 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210)은 기존의 웹 사이트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그래프 형태로 보여줄 수 있도록 분석하는 HTML 코드 분석부(310)를 포함한다. HTML 코드 분석부(310)는 웹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40) 및 템플릿 데이터베이스(350)와 연동되어 분석된 정보를 각각 웹 사이트 정보 데이터베이스(340)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350)로 나누어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웹 사이트의 정보는 저작 인터페이스(320)로 입력되어 사용자가 보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이는 다시 HTML 코드 변환부(330)에 의해 새로운 HTML 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문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추론 이론의 변수 개념은 모든 가능한 연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것을 원용하면 모든 가능한 웹 페이지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변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의 세 가지이며, 이러한 세 가지 종류의 변수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간의 연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에서 많이 나타나는 메뉴 클릭에 의한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은 추론에서 선택형 또는 진위형 변수에 의한 연결로 파악할 수 있다. 또, 폼 입력 후 확인 버튼에 의한 다른 페이지로의 연결은 수치형 변수에 의한 연결로 파악할 수 있다.
이제 각각의 변수에 의한 연결을 그래프로 표시하는 방법과 이에 따라 대응하는 웹 페이지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진위형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진위형 연결의 그래프이며, 도 5는 도 4의 진위형 연결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웹 페이지 각각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위형 연결은 일정한 질문(변수)에 대해서 "Yes" 또는 "No"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연결이다. 질문에 대한 값에 따라 각각 다른 결론(Conclusion 1, Conclusion 2)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을 갖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저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웹 페이지 생성 기능을 이용하면, 도 4의 그래프에 대응하는 4개의 웹 페이지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각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파일명은 예를 들면, WBI0.HTML, WBI1.HTML, WBI2.HTML, WBI3.HTML과 같이 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4의 그래프의 각 노드가 도 5의 각 웹 페이지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의 각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HTML 소스 코드의 예는 도 6a 내지 도 6d에 나타난 바와 같다.
먼저 도 5의 타이틀 페이지(510)에 해당하는 WBI0.HTML 파일의 소스코드를 보면(도 6a), 문서의 타이틀("Decision FT", "진위형")을 표시하며, "확인" 버튼을클릭하여 다음 페이지인 WBI1.HTML로 넘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진위형 연결의 두번째 페이지인 질문 페이지(520)의 소스 코드는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다.
질문에 대한 답이 "Yes"와 "No"인 경우 각각 해당하는 결론 페이지인 WBI2.HTML과 WBI3.HTML로 연결되도록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해 기술되어 있으며, 입력 방식은 라디오 버튼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입력 방식은 라디오 버튼 외에도 HTML 언어의 <A> 택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결론 페이지로 하이퍼링크되도록 할 수도 있고, 체크박스와 같은 다른 입력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질문 페이지에서 "Yes"를 선택할 경우 세번째 페이지(530)인 WBI2.HTML로 연결되고, "No"를 선택할 경우 네번째 페이지(540)인 WBI3.HTML로 연결된다. 각 결론 페이지(530, 540)에서는 두번째 페이지(520)의 질문(변수)에 대한 각각의 값에 따른 결론(Conclusion 1, Conclusion 2)을 보여주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첫번째 페이지(510)로 돌아갈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결의 두번째 형태는 선택형이다. 도 7과 도 8에 선택형 연결의 그래프와 이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형 연결은 일정한 질문(변수)에 대해서 "Condition 1", "Condition 2" 등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는 연결이다. 질문에 대한 값에 따라 각각 다른 결론(Conclusion 1, Conclusion 2 등)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을 갖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저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타이틀 페이지(810) 및 결론 페이지(830, 840, 850)는 도 4 내지 도 6d를 참고로 설명한 진위형 연결의 경우와 유사하다. 질문 페이지에 해당하는 두번째 페이지(820)의 소스 코드가 도 9에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디오 버튼을 사용하여 각 조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입력된 조건에 따라 각각 해당하는 결론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해 기술되어 있다.
연결의 세번째 형태는 수치형이다. 도 10과 도 11에 각각 수치형 연결의 그래프와 이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치형 연결은 일정한 질문(변수)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는 연결이다. 질문에 대한 값에 따라 각각 다른 결론(Conclusion 1, Conclusion 2)으로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이나 날짜와 같은 특수한 형태의 수치형 연결을 별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결을 갖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저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웹 페이지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타이틀 페이지(1110) 및 결론 페이지(1130, 1140)는 진위형 연결이나 선택형 연결의 경우와 유사하다. 질문 페이지에 해당하는 두번째 페이지(1120)의 소스 코드가 도 12에 나타나 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질문 페이지(1120)는 a라는 변수에 대응하는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을 제공하며, 입력된 값의 범위에 따라 각각 해당하는 결론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제, 이와 같은 세 가지 연결 방법을 사용하여 도 1에서 예로 든 지식 분석도와 유사한 연결 관계를 갖는 웹 사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 13 내지 도 20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저작 인터페이스는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시작 노드,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 및 결론 노드 등으로 구성되는 웹 사이트 간의 연결을 표시하는 그래프를 그리고 그래프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난 그래프는, 도 1에 나타난 지식 분석도와 유사한 내용을 갖는 웹 사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여섯 개의 웹 페이지 (동물 분류,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나이, 결론) 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서, 그래프의 첫번째 노드는 시작 노드이고, 두번째 노드에 해당하는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노드는 진위형 노드이며, 세번째 및 네번째 노드인 "나이" 노드는 수치형 노드에 해당한다. "나이" 노드의 각 값에 따라 해당하는 결론 노드로 각각 연결된다.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페이지에서 "나이"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화면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즉,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는 "예"나 "아니오" 중 하나를 라디오 버튼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나이"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15를 보면, "예"를 선택했을 때, "예"에 해당하는 "나이" 웹 페이지인 "WBI2.html"로 연결되고, "아니오"를 선택했을 때, "아니오"에 해당하는 "나이" 웹 페이지인 "WBI3.html"로 연결되도록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이" 웹 페이지의 예와 그 소스 코드가 각각 도 16과 도 17에 나타나 있다. 도 16과 도 17은 도 14의 웹 페이지에서 "예"를 선택한 경우에 연결되는 화면과 소스 코드이다. 소스 코드를 보면,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입력된 나이 값이 5보다 작으면 결론 페이지인 "WBI4.html"로 하이퍼링크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의 웹 페이지에서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에는 생성되는 화면은 동일하게 되지만, 나이 값이 1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하는 다른 결론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소스 코드가 형성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값을 동시에 입력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페이지로 연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와 같은 예제에서,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와 "나이"에 관한 두 질문을 동시에 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 생성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동 생성된 화면은 도 18과 같아야 한다.
이러한 점을 그래프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노드 그루핑"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즉, 그래프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노드를 묶음으로써 그루핑된 노드들이 한 화면에 나타나야 함을 표시하는 것이다. 도 13에 나타난 그래프에서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페이지와,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라는 질문에 대해 "예"를 선택했을경우 연결되는 왼쪽의 "나이" 페이지를 그룹으로 묶으면, 즉 "노드 그루핑"하면, 도 18과 같은 웹 페이지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페이지와 왼쪽의 "나이" 페이지를 선택한 후, 메뉴의 노드 그루핑 기능을 선택하면 두 페이지가 노드 그루핑된다. 도 13을 보면,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페이지는 제목 앞에 1:1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고, 왼쪽의 "나이" 페이지는 제목 앞에 1:2라고 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중 앞의 1이 그룹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두 페이지가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음을 표시한다.
그런데,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라는 질문에 대해 "아니오"를 선택했을 경우에도 "나이"를 묻는 질문으로 넘어가야 하므로, 도 13의 그래프에서는 오른쪽의 "나이" 페이지를 포함한 세 개의 페이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야 한다.
그러나, 세 개의 페이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표시할 경우, 자동 생성되는 웹 페이지는 도 19와 같은 것이 된다. 즉, "나이"에 관한 질문이 두 번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질문 변수 그루핑"의 개념을 사용한다. 즉, "노드 그루핑"에 의해 웹 페이지를 단순하게 병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동일한 질문이 반복되므로 한번만 질문하도록 표현하기 위하여 동일한 질문을 묶어주는 것이 "질문 변수 그루핑"이다. 즉, 사용자가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왼쪽의 "나이" 페이지와 오른쪽의 "나이" 페이지를 선택한 후, 메뉴의 질문 변수 그루핑 기능을 선택하면 두 페이지의 질문이 하나로 그루핑된다. 도 13에서 두 "나이" 페이지의 제목 앞에 모두 1:2라고 표시되어 있음을볼 수 있는데, 이 중 뒤의 2가 질문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두 페이지의 질문이 동일한 질문 그룹에 속해 있음을 표시한다. 이 경우 자동 생성되는 소스 코드의 스크립트 부분은 도 20과 같이 된다.
자동 생성되는 소스 코드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로는 JavaScript나 VBScript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웹 서버 측 환경도 HTML이 아닌 ASP, PHP, Oracle PL/SQL 등 임의의 HTML 또는 DHTML 생성 환경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입력 방법이나, 스크립트 언어, 서버 측 환경 등을 특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는 반대의 과정으로 기존에 이미 생성되어 있는 웹 사이트의 구성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의 HTML 코드 분석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은 HTML 파일이 있다고 하자. 이 파일의 URL은 http://misnt.gsnu.ac.kr/~yusong/WBI1.html이다. 이 파일을 분석하면, "예"라는 부분에서 "WBI2.html"이라는 파일이 하이퍼링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HTML 또는 DHTML 파일의 <A> 태그나 <FORM> 태그 및 스크립트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웹 페이지들로부터 하나의 완성된 그래프를 추출해 낼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웹 사이트를 이루는 웹 페이지 소스 코드 HTML 또는 DHTML 파일을 얻어내는 것인데, 이것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이용하는 에이전트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는 HTML 코드 분석부 내에 웹 사이트를 이루는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얻기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이는 루트 노드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의 URL을 이용하여 그 웹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얻어낸 후 그 소스 코드에 표현된 하이퍼링크를 따라가면서 연결된 웹 페이지의 소소 코드들을 다시 얻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HTTP를 이용하여, 해당 URL로 HTTP 명령를 보냄으로써 해당 URL의 소스코드를 얻어내는 방식이다.
즉,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은 HTTP 명령을 misnt.gsnu.ac.kr 웹 서버로 보내면, misnt.gsnu.ac.kr 웹 서버는 WBI2.html 소스 코드를 포함한 HTTP Response를 보내옴으로써 응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이전트는 WBI2.html 소스코드를 얻어낼 수 있다. 다음, 다시 "WBI2.html" 파일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면 그 다음의 하이퍼링크를 찾아갈 수 있다. 선택형이나 수치형 변수에 의해 연결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FORM> 태그 및 스크립트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하이퍼링크된 사이트의 URL을 알아낼 수 있고 다시 HTTP에 의해 그 소스 코드를 얻어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웹 사이트로부터 웹 사이트 정보를 얻어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웹 페이지에서 중요한 요소로는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 이외에도 웹 페이지의 시각적 디자인이나 컨텐츠 등이 있다. 따라서,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와 별도로 각 웹 페이지의 시각적 디자인이나 컨텐츠 등의 내용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웹 페이지 자동 생성 시스템은 템플릿(Template)의 개념을 이용한다. 즉, 연결 부분은 미리 정해진 예약어에 의해 연결이 필요함만 표시하고 다른 부분은 해당 웹 페이지의 내용을 그대로 갖고 있는 템플릿 파일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연결 필요 부분만 연결을 표현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둠으로써 웹 페이지의 내용은 변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의 예제에서 사용한 템플릿 파일은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23에 나타난 템플릿 파일에서 <!WGBRANCH>와 <!WGINPUTFORM " 확 인 " 3 ALIGN=CENTER>가 연결 표현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웹 페이지 자동 생성 시스템은 이 부분만을 연결 표현을 위하여 변경하고 템플릿 파일의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두므로 웹 페이지의 내용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 또한, 템플릿 파일은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으며 웹 페이지마다 다른 템플릿 파일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여러 가지 템플릿 파일을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내용이 완전히 다른 웹 페이지들 간의 연결 및 관리도 각각의 웹 페이지를 템플릿 파일화하여 표현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기존 웹 사이트를 관리하는 경우 HTTP에 의해 얻어온 HTML 또는 DHTML 파일에서 연결부분만 연결용 예약어로 바꾼 후 나머지 부분을 템플릿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웹 페이지들의 내용을 고스란히 유지할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난 <!WGBRANCH>와 <!WGINPUTFORM " 확 인 " 3 ALIGN=CENTER>같은 예약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 든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예약어의 구체적인 이름이나 형식을 특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은 그래프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그래프의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 및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파일에 저장되는 내용과 주기억장치에 저장되는 내용은 대동소이하므로 구분하지 않고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래프는 노드(node)와 각 노드간을 연결하는 연결선(arc)으로 구성된다. 노드와 연결선들은 각각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배열(array)로 저장된다.
노드 배열의 원소인 각 노드에 관한 정보는 노드 자체에 관한 정보와 분기(branch)에 관한 정보가 있다. 노드에 관한 정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i) 노드의 종류 : 시작 노드,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 결론 노드 등의 구분
ii) 노드의 위치 : 화면 상의 좌표
iii) 노드 그루핑 정보 : 노드 그룹 번호(ID)
v) 질문변수 그루핑 정보 : 질문변수 그룹 번호(ID)
vi) 템플릿 파일 명
vii) 출력 파일 명
viii) 노드 종류별 정보
- 시작 및 결론 노드 : 타이틀
- 진위형 및 선택형 노드 : 질문, 질문의 형태(체크박스, 라디오버튼, 하이퍼링크 등)
- 수치형 노드 : 질문, 변수 이름
viii) 기타 출력 제어 정보 : 줄 바꿈, 글자의 폰트 및 색, 배경색 등
한편, 분기는 한 노드 당 여러 개이기 때문에 분기 정보는 각 노드 당 배열의 형태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예에서 1번 노드(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는 두 개의 분기를 갖고 있으므로 도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기 정보를 저장한다. 각 분기 정보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한다.
i) 분기가 속한 노드의 종류 : 시작 노드,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 결론 노드 등의 구분
ii) 분기 종류별 정보
- 시작 노드의 분기 : 설명(Description)
- 진위형 노드의 분기 : 답변
- 선택형 노드의 분기 : 답변들(다중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
- 수치형 노드의 분기 : 분기 조건문
- 결론 노드의 분기 : 설명(Explanation)
iii) 기타 출력 제어 정보 : 줄 바꿈, 글자의 폰트 및 색, 배경색 등
다음, 연결선에 대한 정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저장된다.
i) 연결선의 종류 : 직선형, 꺽은선형 등의 구분
ii) 연결에 관한 정보
- 앞 노드 : 앞 노드의 주소(주 기억 장치 저장 시) 또는 ID(파일 저장 시)
- 앞 분기 : 앞 분기의 주소(주 기억 장치 저장 시) 또는 ID(파일 저장 시)
- 뒤 노드 : 뒤 노드의 주소(주 기억 장치 저장 시) 또는 ID(파일 저장 시)
iii) 기타 출력 제어 정보 : 선 색 등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 방식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웹 사이트를 이루는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면 이를 웹 페이지로 자동생성해 주므로 웹 사이트를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고, 웹 사이트 관리의 측면에서는 연결관계가 바뀐 경우에 그래프만을 변경한 후 다시 자동생성할 수 있으므로 웹 사이트의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개발된 웹 사이트에 대해서도 그 연결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 후 다시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원용한 추론 이론을 반대로 웹에 적용하여 웹 기반 추론 전문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관계가 추론에서의 변수간의 연결관계를 모두 지원하므로 인간 전문가의 지식을 본 발명에 의한 웹 사이트 관리시스템에 그래프의 형태로 입력한 후 웹 사이트를 자동생성한 후 웹 서버에 올리면 그대로 웹 기반 추론 사이트가 된다.

Claims (8)

  1. 다수의 노드와 상기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가 구축하기를 원하는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작성하도록 해 주는 저작 인터페이스,
    상기 그래프를 구성하는 다수의 노드와 다수의 연결선에 관련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상기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노드는,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선택형, 수치형 변수에 각각 대응하는 진위형 노드, 선택형 노드, 수치형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진위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예" 또는 "아니오"의 값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고, 상기 선택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조건 중 하나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며, 상기 수치형 노드는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에 대한 조건문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노드이며,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는 상기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소스 코드 내에서 스크립트 언어, 폼 입력 또는 앵커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노드 중 둘 이상의 노드를 노드 그루핑함에 따라, 노드 그루핑된 노드들은 하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되도록 상기 코드 생성부에의해 소스 코드가 생성되며,
    상기 저작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노드 중 동일한 질문을 표시하는 둘 이상의 노드를 질문 변수 그루핑함에 따라, 질문 변수 그루핑된 노드들에 대하여 상기 동일한 질문은 웹 페이지 상에서 한 번만 표시되도록 상기 코드 생성부에 의해 소스 코드가 생성되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 생성될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에서 상기 노드 간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예약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템플릿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는 상기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와 상기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 파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 입력된 상기 소스 코드의 스크립트 언어, 폼, 앵커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얻어내고, 얻어진 상기 연결관계를 노드 및 연결선 정보로 변환하는 코드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분석부는, 상기 소스 코드 중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상기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5.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예" 또는 "아니오"의 값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진위형 노드,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선택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조건 중 하나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선택형 노드,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수치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에 대한 조건문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수치형 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와, 상기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사용자가 구축하기를 원하는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스 코드 자동 생성 단계에서 웹 페이지 간의 연결관계는 스크립트 언어, 폼 입력 또는 앵커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상기 연결관계 작성 단계에서 상기 노드 중 둘 이상의 노드를 노드 그루핑함에 따라, 노드 그루핑된 노드들은 하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되도록 소스 코드가 생성되며,
    상기 연결관계 작성 단계에서 상기 노드 중 동일한 질문을 표시하는 둘 이상의 노드를 질문 변수 그루핑함에 따라, 질문 변수 그루핑된 노드들에 대하여 상기 동일한 질문은 웹 페이지 상에서 한 번만 표시되도록 소스 코드가 생성되는 웹 사이트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코드 자동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와, 자동 생성될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에서 상기 노드 간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예약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포함하는 템플릿 파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웹 사이트 관리 방법.
  7.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을 사용하여 제 1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얻는 단계,
    상기 제 1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소스 코드 내의 스크립트 언어, 폼 입력, 앵커로부터 상기 제 1 웹 페이지에 하이퍼링크된 제 2 웹 페이지와의 연결 관계를 얻는 단계,
    상기 얻어진 연결 관계를,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진위형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예" 또는 "아니오"의 값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진위형 노드,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선택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조건 중 하나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선택형 노드, 전문가 시스템의 추론 이론에서 사용되는 수치형 변수에 대응하며, 일정한 질문에 대해서 숫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에 대한 조건문에 의해 다른 노드로 연결될 수 있는 수치형 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노드와 상기 다수의 노드 중 임의의 두 개의 노드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얻어진 상기 제 2 웹 페이지 정보와 상기 제 1 웹 페이지의 URL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웹 페이지의 주소를 얻는 단계,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웹 페이지의 주소로부터 상기 제 2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 중 상기 제 2 웹 페이지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웹 페이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소스 코드를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사이트 관리 방법.
KR10-2000-0033344A 2000-06-16 2000-06-16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KR10038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344A KR100389932B1 (ko) 2000-06-16 2000-06-16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344A KR100389932B1 (ko) 2000-06-16 2000-06-16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186A KR20010113186A (ko) 2001-12-28
KR100389932B1 true KR100389932B1 (ko) 2003-07-02

Family

ID=1967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344A KR100389932B1 (ko) 2000-06-16 2000-06-16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768A (ko) * 2001-12-06 2003-06-18 (주)와이솔루션즈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237A (ko) * 2003-02-13 2003-05-22 (주)카프나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배관망해석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2415A (ja) * 1997-02-03 1998-08-21 Nec Corp 更新情報を用いたWebブラウジング処理装置
US5894554A (en) * 1996-04-23 1999-04-13 Infospinner, Inc. System for managing dynamic web page generation requests by intercepting request at web server and routing to page server thereby releasing web server to process other requests
KR19990027325A (ko) * 1997-09-29 1999-04-15 정선종 웹 문서 저작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9990032183A (ko) * 1997-10-16 1999-05-06 정선종 웹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하이퍼텍스트의 시각적 설계 방법
KR20000024433A (ko) * 2000-02-14 2000-05-06 고재술 노드방식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구축방법 및그 데이터 처리 구조
KR20020000948A (ko) * 2000-06-22 2002-01-09 오재철 웹 사이트 구축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554A (en) * 1996-04-23 1999-04-13 Infospinner, Inc. System for managing dynamic web page generation requests by intercepting request at web server and routing to page server thereby releasing web server to process other requests
JPH10222415A (ja) * 1997-02-03 1998-08-21 Nec Corp 更新情報を用いたWebブラウジング処理装置
KR19990027325A (ko) * 1997-09-29 1999-04-15 정선종 웹 문서 저작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9990032183A (ko) * 1997-10-16 1999-05-06 정선종 웹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하이퍼텍스트의 시각적 설계 방법
KR20000024433A (ko) * 2000-02-14 2000-05-06 고재술 노드방식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구축방법 및그 데이터 처리 구조
KR20020000948A (ko) * 2000-06-22 2002-01-09 오재철 웹 사이트 구축 및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768A (ko) * 2001-12-06 2003-06-18 (주)와이솔루션즈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186A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88525B2 (ja) ヘルプ画面表示方法およびヘルプ画面表示装置
Martin et al. Embedding knowledge in web documents
JPH10105550A (ja) ハイパーテキスト文書作成装置
US7275066B2 (en) Link management of document structures
US68200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web-based process advisor applications
Bauer et al. Instructible information agents for web mining
DE102018008377A1 (de) Interaktive Integration von Tutorials
Jiang et al. Towards reengineering web sites to web-services providers
GB2384580A (en) Knowledge acquisition in expert systems
Frederksen et al. Constructing multiple semantic representations in comprehending and producing discourse
KR100389932B1 (ko)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KR100850021B1 (ko) 웹문서 스타일 변경 시스템 및 방법
Snoussi et al. Heterogeneous web data extraction using ontology
KR20030046768A (ko)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이론을 바탕으로 한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웹 사이트 관리 방법
KR20210023362A (ko)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의 추론이론을 바탕으로 한 복지몰 웹 사이트 관리 시스템
Votruba Structured knowledge acquisition for asbru
Reutelshoefer et al. An extensible semantic wiki architecture
KR100497543B1 (ko) 사용자의 사전 지식과 상호 작용을 통한 변환 대상 선택기능을 갖는 에이치티엠엘투보이스엑스엠엘 변환기 및이의 운용방법
CN114327427A (zh) 一种交互式航班信息显示控制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Salampasis et al. HyperTree: a structural approach to web authoring
Müller Mechanisms of knowledge evolution for web information extraction
Calvanese et al. Knowledge-based access to the Web
IES20040811A2 (en) Control of processes
CN116880813A (zh) 工程导入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ansen Two Expert System Applications: Implication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Explanations and Justif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