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063B1 - 조기충돌 및 다중추돌에 응답하는 차량충돌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조기충돌 및 다중추돌에 응답하는 차량충돌 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063B1
KR100389063B1 KR1019960703387A KR19960703387A KR100389063B1 KR 100389063 B1 KR100389063 B1 KR 100389063B1 KR 1019960703387 A KR1019960703387 A KR 1019960703387A KR 19960703387 A KR19960703387 A KR 19960703387A KR 100389063 B1 KR100389063 B1 KR 10038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accident
collision
vehicl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119A (ko
Inventor
토니 조트 소스
다니엘 엔. 타바
에드워드 제이. 질리스
Original Assignee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라보라토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라보라토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라보라토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7070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comprising variable thresholds, e.g. depending from other collis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안전장치의 작동을 요구할 수 있는 사고에 응답하여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30)에 있어서, 수신된 차량가속도에 대하여 저장되고(34) 계층화된 수치들(36)이 이용되어서 상위계층 저크지수(jH), 중위계층 가속도수치(aM) 및 중위계층 속도지수(VM)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또한 초기 가속도정보가 이용되어서 "사고 기준 타이머" 또는 사고 진전도 지수(t')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이러한 지수들(jH, aM, VM, t')이 사용되어서 두가지 특수한 충돌유형들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한쌍의 사고판별지수들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사고심도 기준(m0)이 아닌 가속도에 기초한 전문화된 사고심도기준들이 최적이며, 구체적으로 급변하는 가속으로부터 발생하는 사고에서 비교적 조기에 발생하는 일련의 음(-)의 저크는 심각한 차량충돌을 식별하는 기준이 되며 최소속도를 넘어서는 사고에 있어서 비교적 나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작은 저크들은 "다중충돌" 사고를 식별하는 기준이 된다.

Description

조기충돌 및 다중추돌에 응답하는 차량충돌 판별장치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장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제적인 규격의 사고분류척도를 넘어서는 사고분류의 척도를 가지고 특정한 충돌사고의 심각도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차량의 안전장치작동을 위한 다수 장치들이 공지된바 있다. 상기 장치들은 임의의 충돌상태를 감지하고 그러한 상태에 응답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거나 안전벨트를 잠그거나 안전벨트 인출기용 가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데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안전장치는 측정된 차량의 속도나, 또는 차량 저크(jerk) 등의 미분지수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물리량들의 임의 변동을 그와 관련한 각각의 한계치들과 비교함을 통하여 상기 작동장치에 소정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안전장치가 작동되거나 그의 보호위치로 전개되게된다.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07/773,017호의 "충돌 예측/변별장치"에 의하면 충돌을 판별하기위한 보다 개선된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며 수정된 차량속도 지수가 순간적인 차량 저크(jerk)와 함께 이용되어서 향후 가속치를 예측함으로 써 이를 한계치와 비교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보다구체적으로, 이러한 예측 기초하는 충돌 판별용 방법 및 장치에서는 수정된 속도 변수가 사고기준 타이머로써 사용되는데 이때 저크(jerk) 측정치를 사고기준시간으로 곱한 수치로써 향후 가속치를 예측하게된다. 이런방식으로, 현재의 가속정보가 미래로 투영되어서 임의의 충돌이 광범위한 충돌사고 유형들로 나타내는 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차량충돌을 유발하는 사고와 같은 특정한 충돌형태를 당하는 경우에 충돌판별에 이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분지수의 근거가 되는 가속정보와 관련한 음(-)의 가변결과치는 오히려 그러한 지수에 따른 실제의 장치 작동시각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이는 안전장치의 작동을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상당한 차량충돌을 유발시킬 수 있는 사고를 당할 경우에 필요한 것은 그의 발생을 식별할 때 심각한 차량충돌을 해석하는데 적합한 또다른 사고심도 지수 또는 보충적인 사고심도 지수를 채용하는 충돌판별 수단이다.
이와 유사하게, 광범위하게 두 번의 굴곡을 가지는 충돌 파형특성을 나타내는 다중추돌사고를 당하는 경우에 있어서, 저크치 등과 같이 미분지수에 근거가 되는 가속정보와 관련한 음(-)의 중간치는 상기 미분지수에 의존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사고 감지를 수행하는 공지된 방법 및 그러한 장치의 실제 작동시 간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마찬가지로 이때 필요한 것은 사고 발생을 식별할 때 임의의 다중추돌사고를 해석하는데 더욱 적합한 또다른 사고심도지수를 채용한 충돌판별수단일 것이다.
따라서, 차량구조물이 부딪히고 있는 등의 구체적인 사고발생을 실제적인 충돌 또는 다중추돌시점보다 상대적으로 빨리 식별할 수 있으며 대체적이거나 보완된 사고심도지수가 이용되어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충돌판별기수단이 요구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장치의 작동이 요구되는 상황발생에 응답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기본적이거나 주요한 사고심도지수 및, 심각한 차량충돌 판별에 응답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대체적이거나 보완적인 사고심도 지수를 가지는 차량승객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안전장치의 작동이 요구되는 상황발생에 응답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기본적이거나 주요한 사고심도지수 및, 다중추돌사고의 판별에 응답하여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대체적이거나 보완적인 사고심도지수를 갖는 차량승객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안전장치작동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는 사고에 응답하여 차량승객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인 본원발명에 따르면, 감지된 차량가속정보로부터 기본적인 사고심도지수가 도출되어서 제 1의 소정 한계치와 최종비교된다.
상기 감지된 정보가 상란함수적으로 이용되어서 순간 저크(jerk)와 같은 미분지수를 발생시키는데, 즉 사고의 상대적인 진전도와 상관된 지수 및 필터링된 차량 가속도 또는 속도지수 등의 상기 수신정보의 시간에 대한 지수산출치가 그것이다. 그런다음 상기 미분지수, 사고 진전도 지수 및 지수산출치들이 이용되어서 최소한 한가지 현격한 충돌유형을 판별하게되며 이로써 어떤 대체적이거나 보완적인 사고심도지수가 규격화된 사고심도지수보다 더욱 적합하게 된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서는 저크지수, 사고진전도지수 및 가속지수를 심각한 차량충돌발생을 식별하기 위하여 하기 상세한 기술하는 방식으로 각 수치를 개별적인 한계치와 비교하는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이로써 규격화된 사고심도지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장치가 작동되는 시점보다 빠른 작동요구시간에 안전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서는 다중추돌사고의 발생을 식별하기 위하여 저크 지수, 사고진전도 지수 및 가속지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규격화된 사고심도 지수를 이용하여 다중추돌사고를 분석할 경우의 작동가능시간에 비하여 조기에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보다 상세히 기술해보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임의의 사고 발생시 (사고진전도지수에 의해 결정되는)비교적 조기 시점에 (미분지수에 의해 검증된) 음(-)의 저크에 의해서 그리고(산출지수에 의해 검증된)비교적 큰 순간가속도로부터 심각한 차량 충돌 발생이 판별된다. 따라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의 저크 수치들은 상기 순간가속도 지수가 최소치를 초과하는 동시에 상기 진전도지수가 최대치 미만으로 유지되는 때에만 얻어지며, 그렇지 않은 경우 어떤 감쇠요인은 순간저크의 부호 또는 크기와 무관하게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사고판별수치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사고판별수치는 이후 임계치와 비교된다. 상기 사고판별수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심각한 차량충돌이라고 지시되고 이러한 경우 안전장치가 즉시 작동되거나 또는 규격화된 사고심도 지수보다 충돌사고의 심도를 측정하는데 보다 적합하게 전문화된 사고심도 판단기준들이 대체/보완적인 사고심도 지수로서 선택된다.
이와유사하게,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다중추돌사고의 발생이(미분지수에 의해 검증된)비교적 작은 저크에 의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진전도에 의해 결정된)상대적으로 늦은 시점에 (산출지수에 의해 측정된) 비교적 큰 순간적인 차량속도에서 판별되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저크수치들은 상기 순간 속도치가 최소값을 초과하는 동시에 상기 진전도 지수등이 개별적인 최소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얻어지며, 그렇지 않은 경우의 감쇠/요인은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사고 판별수치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그런다음 사고판별수치는 임계치와 비교된다. 상기 사고판별수치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다중추돌사고라고 지시되고 이러한 경우 안전장치가 즉시 작동되거나 또한 규격화된 사고심도지수보다 충돌사고심도측정에 보다 적합한 전문화된 사고심도판단기준들이 대체/보완적인 사고심도척도로 선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미분지수, 사고 진전도 지수 및 보완적인 사고심도지수를 이용하여 최적 산출된 사고 식별용(또는 즉각적인 안전장치 작동이 요구되는 사고 식별용) 산출지수를 이용하고, 이로써 단일한 "국제" 사고심도지수를 사용하여서 가능한 것보다 넓은 범주의 충돌 유형들에 응답하는 사고발생에 기초한 충돌판별수단을 제공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저크지수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심각한 차량충돌을 수반하는 제 1 충돌유형을 판별하는 첫번째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저크지수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다중 충돌을 수반하는 제 2 충돌유형을 판별하는 두번째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제 3도는 심각한 차량충돌이나 다중추돌의 발생을 식별하는 경우 각기 개별적으로 수반되는 사고들을 판별하는데 유용한 2개의 사고심도지수들이 하나의 규격사고심도지수를 보완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승객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
제 1도에 도시된 순서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일반적으로 심각한 차량충돌을 수반하는 제 1 충돌유형을 판별하는 첫번째 방법(10)를 일반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된 차량 가속 정보가 이용되어서 저크지수, 사고진진도 지수 및 차량 가속도 지수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지수들이 블록 12에서 입력된다. 만일 상기 저크지수가 음(-)의 값인 동시에 사고진전도 지수상으로 비교적 조기시점을 가리키는 동시에 가속도 지수가 그의 소정 최소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저크지수는 블록 14에 통상 표기된 연산기로의 1차 입력을 구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값이 상기 연산기로의 1차 입력을 구성한다.
임의의 감쇠인자가 연산기로의 2차입력을 구성하고, 이로써 상기 연산기의 출력은 실질적인 1차 압력이 없는 경우 감소하게된다. 상기 연산기의 출력은 판단 블록 16에서 한계치와 비교된다. 만일 연산기의 출력이 상기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블록 18에서 심각한 차량충돌을 표시한다. 만일 판단블럭 16에서 연산기 출력이상기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새로운 저크지수, 사고진전도지수 및 차량 가속도지수가 블록12에서 입력된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저크지수를 이용하여 다중충돌 입력들을 통상 수반하게되는 두 번째 충돌유형을 판별하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된 차량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저크지수, 사고진전도 지수 및 차량 속도지수를 발생시키고, 이때 이러한 지수들은 블록 22에서 입력된다. 만일 상기 저크지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동시에 속도지수는 소정 최소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저크지수는 블록 24에 통상표시되는 연산기로의 단일 입력을 형성한다. 그렇지않은 경우 어떤 감쇠/인자가 연산기로의 단일 입력을 형성한다. 상기 연산기의 출력은 판단 블록 26에서 한계치와 비교된다. 만일 연산기의 출력이 상기 한계치를 초과하면 블록28에서 다중추출사고를 표시한다. 만일 연산기의 출력이 판단블럭 26에서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새로운 저크지수, 사고진전도 지수 및 차량 속도지수가 입력블럭 22에서 입력된다.
제 3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객 안전장치(도시안됨)의 작동을 제어하는 일실시예에 의거한 장치(30)에서는 순간적인 차량 가속도의 디지탈 정보표시가 입력 블록 32에서 수신된다 (상기 디지탈 정보의 수신은 그자체가 가속도 샌서의 아날로그신호 발생, 안티앨리어싱 필터를 통한 아날로그 신호의 필터링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한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탈 정보변환을 수반한다). 상기 순간적인 차량가속의 대표값으로 수신된 정보는 이후 블록 34에서 길이 N의 기억장치내에 저장되어서 N개의 연속적으로 기억된 수치들을 제공한다.
최종적인 데이터 세트는 절반으로 나뉘고, 각각의 절반이 블록 36에 통상 표시되는 한쌍의 계층 순위 필터들의 각각에 입력된다. 그린다음 2개의 계층순위 필터들 중 제 1필터가 상기 저장된 데이터 세트 중 가장 최근에 또는 "현재"의 수치를 나타내는 첫 번째 절반으로부터 중위 계층의 "현재" 가속치 aM 및 상위계층의 "현재" 가속치를 출력시키고, 이와동시에 상기 2개의 계층순위 필터들 중 제 2필터가 상기 저장된 데이터 세트 중 오래된 데이터 절반 또는 "과거"의 수치들인 상위 계층의 "과거" 가속도 수치를 출력시킨다. 그런다음 이러한 계층화된 수치들이 수치발생 블록(38)으로 제공되어서 최상위 계층의 "과거"의 가속도 수치를 최상위계층의 "현재" 가속도 수치로부터 감산함으로써 상위계층의 저크 대표값인 바람직한 미분지수 jH를 얻는다. 또한 이때 중위계층의 "현재" 가속도 수치가 시간에 대해 적분되어서 속도 지수VM를 얻는다. 상기 두 개의 산출지수들 중 첫번째것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한 사고발생을 식별하는데 유용하다(두번째것은 중위 계층의 "현재" 가속도수치 aM자체가 된다). 상기 계층 순위 필터들은 고주파 잡음, EMI 또는 급격한 충격데이타 등과 같은 임의의 급변하는 데이터를 제거하여 평탄하게 만드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현격한 에지데이타는 보유한다.
병렬로 된 경로를 따라서, 사고의 상대진전도와 상관된 지수 t'가 수신된 차량 가속도정보 a(t)로부터 블록 40에서 발생된다. 이와동시에 감쇠인자가 사고진전도 지수발생블럭 40으로 입력되는데 이때 수신된 차량 가속도 정보 a(t)에 대하여 현격한 변동치가 없으면 사고 진전도 수치 t'를 0으로 환원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런다음, 판단블럭 42에서 플래그 FLAG1을 검사한다. 하기를 통하여 충분히 기술되는 바와같이, 플래그 FLAG1는 대체/보완된 사고심도지수를 이용하여 최적으로 분석하여 임의의 사고 유형발생을 판별한 경우는 하이("1")로 세트된다.
만일 상기 플래그 FLACG1이 로우("0")로 유지되는 경우라면 그러한 사고의 발생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것이고, 기본적인 사고심도지수 m0가 일단 사용되어서 수신된 가속도 정보 a(t) 및/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지수들을 분석하고 안전장치작동을 필요로 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는가를 알아보게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일 플래그 FLAG1가 로우이면, 수치발생블럭(44)에서 기본적인 사고 심도지수 m0의 수치가 수신 가속도 정보 a(t)로부터 발생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본 지수 m0는 그 자체가 가변적인 상위계층 저크수치 jH에 사고진전도 지수 t'를 곱합으로써 얻어지는 예측에 기초한 사고심도지수일 수 있으며, 이로써 향후 차량 가속에 예상수치를 제공한다. 그런다음 판단블럭 46에서 기본지수 m0의 최종수치를 소정의 제 1한계치 Tho와 비교한다. 만일 기본지수 m0가 상기 소정 제 1한계치를 초과하면 블록 48에서 안전장치가 작동된다.
만일 상기 기본 지수 m0가 소정의 제 1한계치 Tho를 초과하지 않으면 장치(30)는 가변적인 상위계층 저크 jH, 사고진전도 지수 t' 및 중위계층의 가속도aM에 대해 이전에 발생된 수치들을 사용하여서 심각한 차량충돌 발생을 판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만일 판단블럭 50에서 결정된 바에 따라 가변적인 상위계층 저크 jH가 0미만인 동시에 사고 진전도 지수 t'가 소정수치 Th1A미만인 동시에 중위계층의 가속도 aM이 소정수치 Th1B보다 큰 경우에 상기 가변적인 상위계층 저크 jH는 제 1연산기(52)에 1차 입력을 구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 1연산기(52)로의 1차입력은 "0"이 된다. 감쇠인자는는 제 1연산기(52)로의 2차입력을 구성하고, 이로써 제 1연산기(52)의 출력은 실질적인 1차입력이 없는 경우 감소되게 된다. 제 1연산기(52)의 출력, 제 1사고판별지수 m1은 판단블럭 (54)에서 소정의 한계치 Th1와 비교된다. 만일 제 1사고판별지수 m1가 그의 한계치 Th1를 초과하는 경우, 블록(56)에서 심각한 차량충돌이 표시되고 안전장치가 즉시 작동된다. 만일 제 1연산기에 의한 제 1사고판별지수 m1출력이 그 한계치 Th1를 초과하는 경우, 블록(56)에서 심각한 차량충돌이 표시되고 안전장치가 즉시 작동된다.
만일 제 1연산기에 의한 제 1사고판별지수 m1출력이 그 한계치 Th1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블럭(54)에서 결정되는 경우, 장치(30)는 가변적인 상위계층 저크 jH, 사고 진전도 지수 t' 및 중위계층의 속도 VM에 대해 이전에 발생된 수치들을 적용하여서 다중추돌사고의 발생을 식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일 판단블럭(58)에서 결정된 바에 따라 가변적인 상위계층 저크 jH가 소정의 (작은) 최대치Th2A미만인 동시에 사고 진전도 지수 t'가 소정수치 Th2B보다 큰 동시에 중위계층의 속도 VM가 소정수치 Th2C보다 큰 경우, 상기 가변적인 상위 계층 저크 jH가 제 2연산기(60)로의 단일 입력을 구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제 2 연산이(60)로의 단일 입력은 감쇠/인자가 된다. 제 2연산기(60)의 출력, 제2사고판별지수 m2는 판단블럭(62)에서 소정의 한계치 Th2와 비교된다.
만일 제 2 사고판별지수 m2가 한계치 Th2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블럭(62)에서 결정되면, 장치(30)는 입력블럭(32)으로 복귀하여 수신 가속도 정보 a(t)에 대하여 새로운 수치를 수신하고 분석을 재개한다(플래그 FLAG1은 여전히 로우로 세트되어 있다). 그러나 만일 제 2사고판별지수 m2가 한계치 Th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블록(64)에서 다중추돌사고가 표시되고 플래그 FLAG1는 하이로 세트되어서 이루 장치(30)를 통해 수신 가속도 정보 a(t) 및 또는 수치발생블럭(66)에서 그로부터 유도된 중간수치들로부터 발생된 보조적인 사고심도지수 m3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직인 사고심도지수 m3는 판단블럭(68)에서 소정의 한계치 Th3와 비교된다. 이때 상기 보조적인 사고심도지수 m3가 한계치 Th3를 초과하면 블록 70에서 안전장치가 작동된다. 만일 상기 보조적인 사고심도지수 m3가 한계치 Th3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 입력블럭32에서 새로운 차량 가속도 정보가 수신되고, 판단블럭 42에서 플래그 FLAG1의 수치에 의해 우회하여 트리거된으로써 상기 보조적인 사고심도지수 m3를 한계치 Th3와 비교하기 위하여 또다른 수치들이 발생되게 된다.
이상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기술해 왔으나 본 발명은 본원의 발명사상 또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수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Claims (29)

  1. 차량의 순간가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수신된 정보와 관련한 다수의 연속적인 값들을 기억장치내에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저장된 값들 중 하나를 또다른 저장값에 관련비교하여 제 1의 미분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
    상기 수신된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의 진전과 관련된 임의의 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샘플링 주기에 관련비교하여 임의의 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
    상기 제 1미분지수, 진전도 지수 및 상기 주기관련지수를 각각의 제1, 제 2 및 제 3의 한계치들과 비교하는 단계 ;
    상기 비교 단계가 소정 제 1유형의 차량충돌사고의 발생을 가리키는가를 결정하는 단계 ; 및
    만일 상기 비교단계가 상기 소정의 제 1유형의 차량충돌 사고를 가리키지 않는 경우 기본적인 충돌판별지수를 발생시키고, 만일 상기 비교단계가 상기 소정 제 1유형의 충돌사고 발생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제 1유형과 구체적으로 연관된 제 1의 대체 충돌판별지수를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된 충돌판별지수는 관련 한계치와 비교되고 만일 상기 관련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단계를포함하는 안전장치 작동을 요하는 임의의 사고에 응답하여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들을 제어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미분지수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 정보의 시간에 관한 변동률을 평가하는 저크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치들을 계층순위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미분지수가 소정계층의 상기 저장치들 중 두 개값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발생되고 관련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은 기본적인 판별지수에 응답하여 상기 제1미분지수, 상기 진전도 지수 및 상기 주기 관련지수를 각각의 제4, 제5 및 제6한계치들과 비교함으로써 소정 제2유형의 충돌사고의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제 2유형의 충돌사고 발생여부의 결정에 의거하여 제 2유형과 구체적으로 연관된 제 2의 대체 충돌판별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 2유형의 충돌사고 발생의 결정에 의거하여안전장치를 즉시 작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을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지수가 차량 순간가속도에 근접하고 상기 소정의 제 2유형의 충돌사고지수가 상기 제 1미분지수가 0 미만인 동시에 상기 진전도지수가 제 5한계치 미만인 동시에 상기 평가지수가 제 6한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제 2충돌사고 유형이 심각한 차량 압착형태의 충돌사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을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지수가 차량 순간가속도에 근접하고 상기 제 1미분지수가 제 1한계치 미만인 동시에 상기 진전도지수가 제 2한계치보다 큰 동시에 상기 평가지수가 상기 제 3한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소정 제 1유형의 충돌사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대체충돌판별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가 상기 사고의 심각도를 가리키는 예상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예상지수를 제 7한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지수가 상기 제 7한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시간적으로 누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정장치의 작동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가 상기 저장치들에 기초하여 제 2미분지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미분지수를 시간적으로 누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미분지수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정보의 시간에 대한 변동율을 나타내는 저크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치들을 계층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2미분지수가 소정 계층들에 있는 상기 두개 조장치들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가변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제1유형의 충돌사고가 다중충돌유형의 충돌사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을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전도 지수를 감쇠인자로 감쇠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방법.
  16. 차량의 순간가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정보와 관련한 다수의 연속적인 값들을 저장하는 수단;
    상기 저장된 값들 중 하나를 또다른 저장값과 관련 비교하여 제1의 미분자수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수신된 가속도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의 진전도와 관련된 임의의 지수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샘플링주기에 관련비교하여 임의의 지수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제1미분지수, 진전도지수 및 상기 주기 관련지수를 각각의 제1, 제2 및 제3의 한계치들과 비교하는 제1수단;
    소정 제1유형의 차량충돌사고가 발생하였는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수단에 응답하는 수단; 및
    만일 상기 제1유형의 차량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기본적인 충돌판별지수를 발생시키고 만일 상기 비교단계가 상기 소정 제1유형의 충돌사고 발생을 가리키는 상기 제 1유형과 구체적으로 연관된 제 1대체 충돌판별지수를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된 충돌판별지수를 관련한계치와 비교하고 만일 상기 관련한계치를초과하는 경우에는 안전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안전장치의 작동을 요하는 임의의 사고에 응답하여 차량승객을 안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분지수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 정보의 시간에 관한 변동률을 평가하는 저크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치들을 계층순위화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미분지수가 소정계층의 상기 저장치들 중 두개 값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적인 충돌판별지수가 발생되었으나 그와 관련한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1미분지수, 진전도 지수 및 평가지수를 각각의 제4, 제5 및 제6한계치들과 비교하는 제2수단;
    상기 소정 세2유형의 충돌사고 발생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수단에 응답하는 수단;
    만일 상기 소정 제2유형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유형의 충돌사고와 구체적으로 연관된 제2의 대체 충돌판별지수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지수가 차량 순간가속도에 근접하고 상기 소정 제 2유형의 충돌사고지수가 상기 제 1미분 지수가 0 미만인 동시에 상기 진전도지수가 제 5한계치 미만인 동시에 상기 평가지수가 제 6한계치보다 큰경우에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제1유형의 충돌이 다중 충돌사고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제2유형의 충돌이 심각한 차량충돌유형인 충돌사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지수는 차량 순간가속도에 근접하고 상기 제1미분지수가 상기 제1한계치 미만인 동시에 상기 진전도 지수가 상기 제 2한계치보다 큰 동시에 상기 평가지수가 상기 제 3한계치보다 큰경우에만 상기 소정 제 1유형의 차량충돌이라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정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체 충돌판별지수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상기 사고의 심도의 예상지수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예상지수를 제 7한계값과 비교하는 수단; 및
    상기 예상지수가 제 7한계값을 초과하면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지수 발생수단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시간적으로 누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지수 발생수단이 상기 저장치들에 기초하여 제 2미분지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2미분지수를 시간적으로 누적하여 상기 제 2예상지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미분지수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 정보의 시간에 관한 변동율인 저크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을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미분지수가 상기 수신된 가속도 정보의 시간에 관한 변동율인 저크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치들을 계층화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2미분지수는 소정 계층의 상기 두개의 저장치들 간의 차를 가리키는 가변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전도지수를 감쇠인자를 이용하여 감쇠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객용 안전장치의 작동제어장치.
KR1019960703387A 1994-10-25 1995-09-13 조기충돌 및 다중추돌에 응답하는 차량충돌 판별장치 KR100389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29077 1994-10-25
US08/329,077 1994-10-25
US08/329,077 US5508920A (en) 1994-10-25 1994-10-25 Crash discriminator responsive to early-crush and multiple-hit scenario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119A KR970700119A (ko) 1997-01-08
KR100389063B1 true KR100389063B1 (ko) 2003-11-01

Family

ID=2328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387A KR100389063B1 (ko) 1994-10-25 1995-09-13 조기충돌 및 다중추돌에 응답하는 차량충돌 판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08920A (ko)
EP (1) EP0739280B1 (ko)
JP (1) JPH09507809A (ko)
KR (1) KR100389063B1 (ko)
CA (1) CA2177281A1 (ko)
DE (1) DE69525837T2 (ko)
WO (1) WO1996012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701A (en) * 1995-06-07 1997-11-0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 vehicle crash
US6532408B1 (en) 1997-05-29 2003-03-1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mart airbag system
US7284769B2 (en) * 1995-06-07 2007-10-2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 vehicle crash
US5777225A (en) * 1993-11-02 1998-07-07 Sensor Technology Co., Ltd. Crash sensor
US6070113A (en) * 1996-06-21 2000-05-3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Hybrid vehicle crash discrimination system
JP3528440B2 (ja) * 1996-07-17 2004-05-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情報通信装置
JP3910293B2 (ja) * 1998-03-12 2007-04-2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ユニット
US6076028A (en) * 1998-09-29 2000-06-13 Veridian Engi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vehicle event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reporting
US6460882B1 (en) * 1999-01-07 2002-10-08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Airbag actuation event discrimination system and method
US6397133B1 (en) 1999-04-19 2002-05-28 Palmer Safety Systems, Llc Vehicle rollover safety system
US6236921B1 (en) 1999-08-04 2001-05-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hree speed algorithm for airbag sensor activation
US6571161B2 (en) 2001-01-22 2003-05-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Pre-crash assessment of crash severity for road vehicles
US20040254729A1 (en) 2003-01-31 2004-12-16 Browne Alan L. Pre-collision assessment of potential collision severity for road vehicles
US6496764B1 (en) 2001-08-23 2002-12-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impact-sensing method with improved severity discrimination
US6512969B1 (en) 2001-08-23 2003-0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ensing system using biased severity measure
DE10311524A1 (de) * 2003-03-17 2004-09-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uslösung von Rückhaltemitteln
DE102011077486B3 (de) * 2011-06-14 2012-10-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lösung eines Insassenschutzmittels, Auslösesystem und Fahrzeug
DE102013202397A1 (de) * 2013-02-14 2014-08-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r Modulation einer physikalischen Größ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8872C2 (de) * 1978-03-02 1986-01-23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Auslöseschaltung für eine Insassenschutzeinrichtung in Kraftfahrzeugen
FR2504474A1 (fr) * 1981-04-28 1982-10-29 Renault Procede et systeme de detection de collision et de commande de dispositifs de securite
DE3621580C2 (de) * 1986-06-27 1995-06-29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Auslösen von Insassenschutzsystemen
DE3803426A1 (de) * 1988-02-05 1989-08-17 Audi Ag Verfahren zur wirksamschaltung eines sicherheitssystems
DE3924507A1 (de) * 1989-02-18 1990-08-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usloesung von rueckhaltemitteln
WO1990011207A1 (de) * 1989-03-20 1990-10-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uergerät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und/oder -schutzsystem für fahrzeuge
JPH03114944A (ja) * 1989-09-28 1991-05-16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ク制御装置
US4975850A (en) * 1989-11-03 1990-12-04 Trw Technar Inc. Apparatus and method responsive to vehicle jerk for actuating a passenger restraint system in a passenger vehicle
US4994972A (en) * 1989-11-06 1991-02-19 Trw Technar Inc.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multiple crash evaluation algorithms for actuating a restraint system in a passenger vehicle
US5040118A (en) * 1989-11-06 1991-08-13 Trw Technar Inc.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multiple crash evaluation algorithms and evaluation expertise for actuating a restraint system in a passenger vehicle
DE3942011C3 (de) * 1989-12-20 1996-10-17 Telefunken Microelectron Einrichtung zur Auslösung einer passiven Sicherheitseinrichtung für Fahrzeuginsassen
US5182590A (en) * 1990-02-09 1993-01-26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US5309138A (en) * 1991-03-19 1994-05-0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collision detecting method employing an acceleration sensor
DE4117811A1 (de) * 1991-05-31 1992-12-03 Messerschmitt Boelkow Blohm Verfahren zur aufprallerkennung bei fahrzeugen
US5363302A (en) * 1991-06-04 1994-11-0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ower rate system and method for actuating vehicle safety device
US5337238A (en) * 1991-10-08 1994-08-0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actuating vehicle safety device using damped measures
US5339242A (en) * 1991-11-26 1994-08-16 Delco 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crash discrimination based on oscillation and energy content
US5377108A (en) * 1992-04-28 1994-12-27 Takata Corporation Method for predicting impact and an impact prediction system for realizing the same by using neural networks
EP0590476B1 (en) * 1992-09-21 1997-12-10 Nec Corporation Crash/non-crash discrimination using frequency components of acceleration uniquely generated upon crash impact
US5394326A (en) * 1994-01-24 1995-02-28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Air bag deploy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9280B1 (en) 2002-03-13
JPH09507809A (ja) 1997-08-12
WO1996012629A1 (en) 1996-05-02
EP0739280A1 (en) 1996-10-30
DE69525837T2 (de) 2002-09-19
US5508920A (en) 1996-04-16
DE69525837D1 (de) 2002-04-18
EP0739280A4 (en) 1997-02-26
KR970700119A (ko) 1997-01-08
CA2177281A1 (en) 199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063B1 (ko) 조기충돌 및 다중추돌에 응답하는 차량충돌 판별장치
KR0159294B1 (ko) 차량용 안전장치의 작동방법과 시스템
US53392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crash discrimination based on oscillation and energy content
JP3872103B2 (ja) 衝突識別測定値を調節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KR100365123B1 (ko) 단기간 충돌을 판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0715991B1 (en) Method of filtering vehicle deceleration data
KR0159295B1 (ko) 차량용 안전장치의 기동 방법과 시스템
JP4675106B2 (ja) 支持面の占有形式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
US73272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a collision
WO2009070069A1 (en) A system for classifying objects in the vicinity of a vehicle
KR100360213B1 (ko) 충돌판별 측정값을 감쇠시키는 방법
KR100271905B1 (ko) 장기 저속충돌 판별방법
US5478108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ffect of negative data in crash discrimination
CN117500698A (zh) 用于识别车辆处的接触的方法
Leschke et al. Model for the Description of Threshold-Based Algorithms
JPH10505034A (ja) 車両衝突弁別用整合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