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408B1 - Engaging parts, hook and ring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 Google Patents

Engaging parts, hook and ring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408B1
KR100387408B1 KR10-2001-0010413A KR20010010413A KR100387408B1 KR 100387408 B1 KR100387408 B1 KR 100387408B1 KR 20010010413 A KR20010010413 A KR 20010010413A KR 100387408 B1 KR100387408 B1 KR 10038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garment
ring
waist size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87241A (en
Inventor
고지 가토
Original Assignee
고지 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 가토 filed Critical 고지 가토
Publication of KR2001008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2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40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0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44B13/0017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made of metal plat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6Setting slide or glide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 A44B13/0041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and a backing element on which prongs are bent 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41Slot and tab or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지퍼(F)로 개폐할 수 있는 앞부분(3)과, 앞부분(3)의 상단을 분리 자유롭게 결합하고, 결합부분에 있어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걸림부재(100)와, 지퍼(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과 앞부분 (3)의 겉자락(3a) 사이에 바지(1)의 허리사이즈 여분의 길이가 되는 중합부(21a)를 가지고 꿰매붙여진 조절포(21)를 구비하여,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걸림부재(100)에 의해 조절하고, 동시에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 하부주위의 치수를 조절포(21)의 중합부(21a)를 적절히 잡아 늘임으로써 조절한다.Fastening memb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F)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3) freely coupled, the engaging member to freely adjust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engaging portion It is sewn with a polymerization part 21a which becomes the waist size extra length of the pants 1 between 100 and the zipper tape Fa which becomes the seam of the zipper F, and the outer hem 3a of the front part 3. With the attached adjusting cloth 21,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1 is adjusted by the lock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wearer, and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the lower waist of the wearer is adjusted. It adjusts by extending | stretching the polymerization part 21a of the cloth 21 suitably.

Description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ENGAGING PARTS, HOOK AND RING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ENGAGING PARTS, HOOK AND RING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본 발명은, 바지(팬티) 혹은 스커트 등과 같은 의복의 허리부분의 분할부분을 결합하는 의복용 걸림부재, 또는 장식품의 벨트 혹은 장식품의 개폐덮개 등과 같은 부분을 결합하는 장식용 걸림부재 및 이러한 걸림부재를 비롯하여 결합구가 장착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를 가지는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하는 사람에 맞추어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스커트 등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engaging member for joining a part of a waist of a garment such as a pants (panties) or a skirt, or a decorative engaging member for joining a part such as an opening or closing cover of an ornament or a belt of an ornament a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equipped with a coupling, particularly a pants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waist size of a garment to a wearer, a skir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nd the like. It relates to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일반적으로, 바지 혹은 스커트는, 허리부분이 분할되어 분리가 자유롭게 되어 있고, 이 분할부분은, 통상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걸림부재(20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Generally, the waist or the skirt is divided to freely separate the pants or the skirt, and the divided part is normally joined by the locking member 200 as shown in FIG.

도 75는 종래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전개사시도이다.7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ocking member.

도 75에 있어서, 걸림부재(200)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겉자락(310)의 허리부분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걸고리형태의 훅크구성체(200A)와, 속자락(320)의 허리부분 겉쪽에 장착되어 있는 고리부(241)로 이루어지고, 훅크구성체(200A)를 고리부 (241)에 걸어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부분을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In Fig. 75, the locking member 200 is attached to the hook structure 200A in the form of a hook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waist of the outer hem 310 of the pants or skirt, and the outer side of the waist of the inner hem 320. Consists of a hook portion 241, by hooking the hook structure (200A) to the hook portion 241 is coupled to separate the waist of the pants or skirt.

더욱, 종래의 걸림부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urther, the conventional locking memb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재(200)는, 단일의 훅크부(221)를 갖는 훅크본체(202) 및 훅크부착판(203)으로 이루어진 훅크구성체(200A)와, 훅크본체(202)의 훅크부(221)를 자유롭게 걸수 있는 단일의 고리부(241)를 갖는 고리본체(204) 및 고리부착판(205)으로 이루어진 고리구성체(200B)를 구비하며, 훅크본체(202)의 주위에는 2개의 훅크부돌기(202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훅크부돌기(202b)는 훅크본체(202)의 이면쪽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2개의 훅크부돌기(202b)는, 끝단부가 천 등에 끼워져 통할 수 있도록 끝단이 예리하게 되어 있다. 또한 훅크부착판(103)은, 2개의 훅크부돌기(202b)가 자유롭게 끼워지는 관통구멍(203a)을 갖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5, the locking member 200 includes a hook body 200A formed of a hook body 202 having a single hook portion 221 and a hook mounting plate 203, and a hook body 202. It has a ring body 204 consisting of a ring body 204 and a ring attachment plate 205 having a single ring portion 241 to freely hook the hook portion 221, and around the hook body 202 Four hook portions 202b are formed, and the hook portions 202b are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hook body 202. The two hook portion projections 202b have sharp ends so that the end portions can be inserted through a cloth or the like. In addition,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 has a through hole 203a into which the two hook protrusions 202b are freely fitted.

또한, 고리부(241)의 양 끝단에는 고리부돌기(204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고리부돌기(204b)는, 고리부(241)의 이면쪽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고리부착판(205)에는, 고리본체(204)의 2개의 고리부돌기(204b)가 자유롭게 끼워지는관통구멍(205a)을 갖고 있다.Further, annular projections 204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annular portion 241, and these annular projections 204b ar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back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241. The annular plate 205 has a through hole 205a into which two annular projections 204b of the annular body 204 are fitted freely.

훅크본체(202)는, 훅크부착판(203)과의 사이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겉자락 (310)을 끼운 상태로 겉자락(310)의 안쪽에 부착된다. 이 때 훅크본체(202)의 2개의 훅크부돌기(202b)는 훅크부착판(203)이 대응하는 관통구멍(203a)에 끼워져서 구부려지고, 훅크본체(202)와 훅크부착판(203)은 결합된다.The hook body 202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shell 310 in a state where the outer shell 310 of the pants or skirt is sandwiched between the hook attaching plate 203. At this time, the two hook protrusions 202b of the hook body 202 are bent by the hook attachment plate 203 being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203a, and the hook body 202 and the hook attachment plate 203 are bent. Combined.

고리본체(204)는, 고리부착판(205)과의 사이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속자락 (320)을 끼운 상태로 속자락(320)의 겉쪽에 장착된다. 고리본체(204)의 2개의 고리부돌기(204b)는, 고리부착판(205)의 대응하는 관통구멍(205a)으로 끼워져서 구부려지고, 고리본체(204)와 고리부착판(205)이 결합된다.The ring body 204 is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hem 320 while the inner hem 320 of the pants or skirt is sandwiched between the ring attachment plate 205. The two annular projections 204b of the annular body 204 a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s 205a of the annular attachment plate 205 and bent, and the annular main body 204 and the annular attachment plate 205 are coupled to each other. do.

이와 같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 중의 한쪽을 훅크본체(202)와 훅크부착판(203)에 끼워서 훅크구성체(200A)를 고정부착함으로써, 상기 분할부분중 한쪽에 훅크구성체(200A)를 장착한다. 또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 분할부분 중의 다른쪽을 고리본체(204)와 고리부착판(205)에 끼워서 고리구성체(200B)를 부착한다.In this way, by attaching the hook structure 200A to one of the divided portions of the waist of the pants or skirt to the hook body 202 and the hook attachment plate 203, the hook structure 200A is attached to one of the divided portions. Mount it.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waist portion of the pants or skirt is inserted into the ring body 204 and the ring attachment plate 205 to attach the ring structure 200B.

또한, 종래의 바지에는, 지퍼로 앞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바지에서는, 통상 지퍼뿐만 아니라, 앞부분의 상단을 상기 걸림부재 (200)와 같은 걸고리 훅크로 자유롭게 분리되도록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some pants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zipper. In this type of pants, not only the zipper, but also the top of the front portion is coupled to be freely separated by a hook hook such as the locking member 200.

즉, 바지를 착용할 때에는, 상기 걸림부재(200)와 같은 걸고리 훅크를 풀고, 지퍼를 열어, 바지에 양 다리를 통과시킨다. 다음에 걸고리 훅크로 앞부분의 상단을 결합하고, 지퍼를 닫는다. 여기에서 상기 걸고리 훅크 중에는, 결합부위에서 약간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도 있다. 예컨대 앞부분의 속자락 상부에는 고리부재를 고정시키고, 앞부분의 겉자락의 상부에는 바지의 허리사이즈 방향으로 소정범위에서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도록 훅크부재를 고정부착하고, 고리부재와 훅크부재를 걸어서, 바지 앞부분의 상단을 결합하는 것이다. 이 걸고리 훅크에 의하면, 바지의 허리둘레 치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 훅크부재가 겉자락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이동하여, 바지의 허리둘레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를 착용할 때에 바지의 허리둘레 치수가, 착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조절된다.That is, when wearing the pants, unhook the hook like the hook member 200, open the zipper, and let both legs pass through the pants. Then hook the top of the front with the hook hook and close the zipper. Here, among the hook hooks, some lengths can be adjusted at the engaging portion. For example, the hook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hem, and the hook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hem of the front part so that the slide movement is freely pressurized by a spring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waist size direction of the pants, and the hook member and the hook member are hooked To join the top of the front of the pants. According to this hook hook, if the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waist size of the pants, the hook member can b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edge of the outer hem to increase the waist size of the pants. Therefore, when the pants are worn, the waist size of the pant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그러나, 종래의 걸림부재(200)에 의하면, 훅크구성체(200A)와 고리구성체 (200B)의 부착위치에 따라서 일률적으로 위치가 결정되므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조절을 할 수 없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locking member 200, since the position is determined uniformly according to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hook structure 200A and the ring structure 200B,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본 발명자는, 허리둘레의 치수조절을 행 할수 있는 바지 등으로서, 일본국 특허 제2518803호 공보, 특허 제2518804호 공보, 특허 제2518807호 공보, 특허 제 2578079호 공보 등의 발명이 이루어져 있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have inventions, such as the Japanese Patent No. 2518803, the patent 2518804, the patent 2518807, the patent 2578079, etc. as pants which can adjust the waist size.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은 구조가 복잡하여,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없었다. 상술한 슬라이드이동식의 걸고리 훅크에 대해서도 같은 문제점이 있고, 저렴하게 허리둘레의 치수조절을 할 수 있는 바지 등이 요구되고 있었다.However, the above patent invention has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duce the unit cost. The above-mentioned problem also exists with the above-mentioned slide hook hook, and the pants which can adjust the circumference of a waist at low cost were calculated | required.

또한, 상기와 같은 바지의 허리둘레의 치수가 조절되는 걸고리 훅크나 걸림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걸림부재에 의하면, 바지의 허리사이즈 중 조절되는 부분은 허리부뿐이다.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가 커지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허리둘레뿐만 아니라 허리주변도 치수가 커지게 되므로, 허리사이즈가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의 치수에 대응하여 조절하더라도, 다른 부분의 치수는 그대로이며, 바지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함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바지 허리부의 하부치수가 부족하여 앞부분의 주위가 당겨져서 보기에 좋지 않은 경우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ok member that can adjust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as described above or the locking member that can adjust the locking position, only the waist portion of the pants is adjusted in the waist size. If the waist size of the wearer is increased, not only the waist size but also the waist circumference is increased accordingly, even if the waist size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waist size of the wearer, the dimensions of the other parts remain the same. Inevitably, the crampedness of wearing pants was inevitable.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ack of the pants may be pulled around the front part is not good to see.

그렇다고 해서, 바지 허리부의 하부치수에 여유를 주게 되면,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사이즈의 치수가 감소하였을 때, 바지 허리부의 하부가 너무 커서 바지에 주름이 생겨 보기에 좋지 않은 경우가 있다.However, if the lower dimension of the waist of the pants is allowed, when the size of the waist size of the wearer decreases, the lower part of the waist of the pants is too large, and the pants may be wrinkled.

본 발명은, 걸림위치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member whose locking position is adjustable.

또한, 본 발명은,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사이즈 뿐만 아니라 허리근방의 치수가 다소 변화하더라도, 착용감이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제공도 과제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that does not impair the feeling of wearing or appearance even if the waist size of the wearer and the dimensions of the waist vicinity change somewhat.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한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훅크부를 가지는 훅크본체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쪽의 제 2 면측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이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한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가지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이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의 형성하는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king member for fixedly hoo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with respect to the ring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hook structu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a ring structu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The hook structure includes a hook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a hook portion protrusion free of three or more bends formed on a second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t has a through-hole into which this hook part projection is inserted, and is provided with the plate-shaped hook attachment plate facing the said 2nd surface. The ring member has a r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a ring protrusion having at least three bends formed in the ring body, 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ring protrusion is inserted. It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ring attachment plate facing the surface on which the ring body is formed.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훅크구성체가 제공된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훅크부를 가지는 훅크본체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쪽인 제 2 면측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이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k structure for use in a locking member which is fixed by wal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with respect to the ring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The hook structure is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the hook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on a particular first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and three or mor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t is provided with the hook part protrusion free of bending, and the through-hole which this hook part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 plate-shaped hook attachment plate facing the said 2nd surface.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고리구성체가 제공된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가지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이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가 형성하는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ing structure for use in a locking member which is fixed by wal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with respect to the ring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The ring member is made of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the r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formed in the hanging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ing orb protrusions at least three bends formed in the ring body, and the ring protrusions are inserted It has a through-hole, and is provided with the plate-shaped ring attachment plate which opposes the surface which the said ring body forms.

걸림부재는, 상기 훅크구성체와, 이하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리구성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훅크본체의 훅크부에 걸리는단일의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에 형성된 2개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 이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한다.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the hook structure and a ring structure made of the following metal or synthetic resin. The ring member has a ring body having a single ring portion hooked to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body, two ring portions freely formed in the ring body, 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ring portions are inserted. It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annular plate opposed to the plate.

걸림부재는, 상기 고리구성체와, 이하의 훅크구성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단일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이 훅크본체의 제 1 면과 반대쪽 면에 형성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 이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한다.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the ring structure and the following hook structure. The hook structure is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the hook body having a single hook portion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the hook portion protrusion free three or more bent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hook body, It has a through-hole into which a hook part projection is inserted, and is provided with the plate-shaped hook attachment plate facing the said 2nd surface.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한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이 훅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member is provided, which is fixed by wal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with respect to the ring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hook structu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a ring structu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The hook structure includes a hook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hanging direction, and four or more hook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hook body. . The ring member includes a r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and four or more ring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positions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ring body.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훅크구성체가 제공된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거는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이 훅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k structure for use in a locking member which is fixed by wal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with respect to the ring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The hook structure i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has a hook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and four formed at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hook body. The hook portion attaching hole described above is provided.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의하면,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된 고리구성체가 제공된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이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ing structure used for a locking member which is fixed by wal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with respect to the ring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The ring member i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has a r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and four or more ring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positions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ring body. Equipped.

걸림부재는, 상기 훅크구성체와, 이하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고리구성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고리구성체는 상기 훅크본체의 훅크부에 거는 단일의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 상기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형성한 2개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the hook structure and a ring structure made of the following metal or synthetic resin. The ring structure includes a ring body having a single ring portion to be hooked to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body, and two ring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ring body.

걸림부재는, 상기 고리구성체와, 이하의 훅크구성체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특정의 면쪽에 형성된 단일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 상기 훅크본체의 거는방향 및 이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된 3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한다.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the ring structure and the following hook structure. The hook structure i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has a hook body having a single hook portion formed on a specific surface side, and three or more hook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and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hook body. do.

상기 훅크본체의 복수의 훅크부 또는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 위치는, 양자의 걸림위치가 10 내지 30mm의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of the hook body or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of the hook body may be set so that the locking positions thereof can be changed in a range of 10 to 30 mm.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 상호간은, 상기 고리부의 길이방향 끝단부에형성한 연결부에 접속하여도 좋다.The plurality of annular portions of the annular body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annular portion.

상기 훅크본체 및/또는 상기 고리본체는, 그 일부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hook body and / or the ring body may have irregularities formed in a part thereof.

상기 훅크본체 및/또는 상기 고리본체에는, 그 일부에 훅크부돌기 및/또는 고리부돌기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hook body and / or the ring body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convex bent portion into which a hook portion protrusion and / or a ring portion protrusion enter.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의하면, 의복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하는 걸림부재와, 이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고, 상기 의복의 한쪽에 꿰매붙여져서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상의 조절포와, 상기 조절포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의복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nge in which the garment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locking member freely adjusting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is freely adjusted by the locking member. A free-form adjustment cloth which is sewn on one side of the garment and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reely change the shape, and one zipper tape which is seam seamed to the adjustment cloth, is sewn on the other side of the garment. A garment is provided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having a zipper stitched with another zipper tape.

상기 조절포에는, 이 조절포가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The adjusting cloth may be provided with a shape holding member that applies a force such that the adjusting cloth maintains a predetermined shape.

상기 지퍼테잎의 상단부는, 앞부분으로 향해 바깥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상기 의복에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may be sewn onto the garment in a state inclined outward toward the front part.

상기 지퍼테잎은, 그 상단을 상기 조절포의 상단에 맞춘 상태이며, 상기 조절포에만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The zipper tape is in a state where the upper end is alig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and may be sewn only on the adjusting cloth.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꿰매붙여지는 위치에는, 안감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안감의뒷쪽에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A cutout is formed in the lining at a position where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is sewn, and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may be fitted to the cutout to be sewn to the back of the lining.

상기 조절포에 대하여 상기 지퍼테잎이 상기 걸림부재쪽을 향해 개구하는 각도이며, 상기 지퍼테잎을 상기 조절포에 꿰매붙여도 좋다.The zipper tape may be opened at an angle toward the lock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adjusting cloth, and the zipper tape may be sewn onto the adjusting cloth.

상기 조절포는, 그 폭이 상단 또는 상단에서 소정길이 내려간 위치로부터 하단을 향해 점차로 가늘어지도록 하여도 좋다.The said adjustment cloth may make it narrow gradually toward the lower end from the position which the predetermined length fell from the upper end or the upper end.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의하면, 의복의 앞부분의 상단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결합부분에서의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와, 상기 앞부분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서,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상으로서 상기 앞부분의 한쪽에 꿰매붙여진 조절포와, 상기 조절포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앞부분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garment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coupler to freely adjust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at the joining por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An adjustment cloth sewn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extending up and down to freely change the shape in a range in which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is freely adjusted by the coupler, and one side that is seam welded to the adjustment cloth. A garment is provided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having a zipper taped thereto, and a zipper stit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art of which another seam tape is seamed.

상기 조절포에는, 상기 조절포가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The adjusting cloth may be provided with a shape retaining member that applies a force such that the adjusting cloth maintains a predetermined shape.

또한, 상기 앞부분의 속자락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돌출하고, 상기 앞부분의 겉자락에 부착된 단추에 거는 단추구멍을 갖는 걸이구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단추구멍은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소정범위에서, 상기 허리사이즈 방향으로 신장한 성분을 갖는 긴 구멍이다.The hook may protrude from the end edge of the inner hem of the front portion and have a hook hole that has a button hole that hangs on a button attached to the outer hem of the front portion. The button hole is a long hole having a component extending in the waist size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in which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can be freely adjusted.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에 꿰매붙여짐과 동시에,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겉자락의 폭방향 끝단부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그 상단을 허리부 안감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여도 좋다.The zipper tape may be sewn onto the outer hem, and the zipper tape may be sewn on the inner side of the waist lining while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is inclin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dge.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에 꿰매붙여짐과 동시에, 상기 지퍼테잎은, 그 상단을 상기 조절포의 상단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절포에만 꿰매붙여도 좋다.The zipper tape may be sewn to the outer hem, and the zipper tape may be sewn only to the adjusting cloth while the upper end thereof is alig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상기 겉자락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꿰매붙여지는 위치에는, 겉자락의 안감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안감의 뒷쪽에 꿰매붙여도 좋다.A cutout is formed in the lining of the outer hem at a position where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is sewn to the outer hem, and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may be fitted to the cutout to sew to the back of the lining.

상기 조절포는, 그 폭이 상단 또는 상단에서 소정 길이 내려간 위치로부터 하단을 향해서 점차로 가늘어지게 되어도 좋다.The said adjustment cloth may become taper gradually toward the lower end from the position from which the width | variety went dow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end or the upper end.

본 발명의 제 9 관점에 의하면, 의복을 분리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고, 상기 의복의 한쪽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장식주름과, 상기 장식주름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의복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tool for freely combining clothes and freely adjusting the waist size of the clothes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n a range in which the waist size of the clothes is freely adjusted by the coupling tool. To freely change the shape, decorative wrinkles formed on one side of the garment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zipper tape which is seam seamed to the decorative wrinkles, and another zipper tape which is sea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arment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provided with the stitched zipper is provided.

상기 의복 한쪽의 안감의 뒷쪽에는 상기 장식주름의 폭보다 넓은 범위에 걸치는 안감이 상기 장식주름의 양측에서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A lining covering a wider range than the width of the decorative wrinkles may be sewn on both sides of the decorative wrinkles on the back of the lining of one side of the garment.

상기 의복 한쪽의 안감의 뒷쪽에는 상기 의복 한쪽의 안감의 접힘부분이 상기 장식주름의 근방에 양면접착테잎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A folded portion of the lining of one of the garments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lining of one of the garments by a double-sided adhesive tape in the vicinity of the decorative wrinkles.

상기 의복의 한쪽 끝단부와 상기 장식주름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한쪽이 상하방향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One side of the said garment may be sewn along the up-down direction in the part between one end part of the said garment and the said decorative wrinkle.

상기 장식주름 안쪽의 접힘부분에 다리미에 의한 프레스가공이 실시되어도 좋다.Press processing by an iron may be applied to the folded portion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상기 장식주름 내측의 접힘부분에 플리츠가공이 실시되어도 좋다.Pleat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the folded portion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상기 장식주름 내측의 접힘부분이 접은 선의 근방에서 상기 접은 선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The fold portion inside the decorative fold may be sewn along the fold line in the vicinity of the fold line.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부는, 앞부분으로 향하는 바깥방향을 향해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의복에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ne zipper tape may be sewn onto the garment in an inclined state toward the outside toward the front portion.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은 슬라이딩테잎에 의해서 상기 의복의 한쪽 상단에 꿰매붙여지고, 상기 슬라이딩테잎은 앞부분으로 향하는 바깥방향으로 향해서 경사진 상태에서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The upper end of the one zipper tape may be sewn to one upper end of the garment by a sliding tape, and the sliding tape may be sewn in an inclined state toward the outside toward the front part.

상기 한쪽의 지퍼테잎의 상단은 2자루의 고무테잎에 의해서 상기 의복의 한쪽 상단에 꿰매붙여지고, 상기 2자루의 고무테잎은 상기 의복에 대략 V자형상으로 벌려서 꿰매붙여져 있어도 좋다.The upper end of the one zipper tape may be sewn on one upper end of the garment by two rubber tapes, and the two rubber tapes may be sewn in an approximately V-shape to the garment.

또한, 훅크구성체 및 고리구성체의 노출하는 면을 무광택면으로 할 수 있고 반대로 광택을 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상, 훅크구성체 및 고리구성체의 전체를 모떼기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훅크부돌기와 고리부돌기는, 주위에 4개 배설한 것이 기준이 되지만, 특히 훅크부돌기는 1개를 훅크본체로부터 잘라 세움으로써, 3개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훅크본체의 복수의 훅크부와 고리본체의 복수의고리부와의 형상 및 폭 등의 면적은, 그 용도에 따라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훅크구성체와 고리구성체가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도록, 양자의 걸림상태가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설정된다.Moreover, the exposed surface of a hook structure and a ring structure can be made into a matte surface, and can also give gloss on the contrary. And usually, it is used in the state which chamfered the whole hook structure and ring structure. In addition, although four hook protrusions and ring protrusions are arrange | positioned aroun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ree hook hook protrusions especially by cutting one off from a hook body. Moreover, the area, such as shape and width, of the some hook part of the said hook body and the some ring part of a ring body can be arbitrarily formed according to the u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ttaching to the waist of a pants or a skirt, the hooking state and the ring structure are set so as not to be easily peeled off, so that the locked state of both is easily removed.

그리고, 조절포는 그 모양에서 앞부분의 겉자락에 마련되어 있으나, 앞부분의 속자락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포의 재질로서는, 의복과 동일한 종류의 안감을 비록하여 여러 가지 천을 이용할 수 있으나, 고무나 스판렉스 등의 탄성재를 사용하여도 좋다.And, although the adjusting cloth is provided on the outer hem of the front part in the shape, it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hem of the front part. As the material of the adjusting cloth, although various types of cloth can be used with the same type of lining as clothing,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or spandex may be used.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예를 명확하게 나타낸 첨부도면과 함께, 이하의 발명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in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clearly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본체를 나타낸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a hook body of a hook structure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본체를 나타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hook body of a hook structure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부착판을 나타낸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 hook attachment plate of a hook structure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부착판을 나타낸 평면도,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hook attachment plate of a hook structure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분해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ok structure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본체를 나타낸 정면도,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ing body of the ring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본체를 나타낸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 ring body of the ring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의 Ⅸ-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III-VIII cross section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착판을 나타낸 정면도,10 is a front view showing a ring attachment plate of the ring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착판을 나타낸 평면 측면도,Fig. 11 is a plan side view showing a ring attachment plate of a ring structure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와 고리구성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12 is a plan view showing an engaged state of a hook structure and a ring structure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본체와 고리본체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의 설명도,13 (a) to 13 (b) are explanatory views of a plane showing a coupling form of a hook main body and a ring main body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도 1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본체와 고리본체의 다른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14 (a) to 14 (d) are plan explanatory views showing another coupling form of the hook body and the ring body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ing structure of the engag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걸림부재의 각종 조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19 to 2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combinations of locking member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 정면도,Fig. 22 is a front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2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2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2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Fig. 2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걸이구를 나타낸 설명도,Fig. 2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hook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2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Fig. 2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3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3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3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3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3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Fig. 3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3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치수조절기구 전체를 나타낸 설명도,Fig. 3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ntire dimension adjusting mechanism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FIG. 3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Fig. 3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은, 도 39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FIG. 4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39;

도 41은, 도 4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FIG. 4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40;

도 42는, 도 41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FIG. 4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41;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치수조절기구를 부착한 부분을 외부에서 보아 나타낸 정면도,Fig. 43 is a front view showing, from the outside, a portion to which the dimensional adjustment mechanism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4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4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ing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Fig. 4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Fig. 4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걸이구를 나타낸 설명도,Fig. 4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hook mechanism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4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able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Fig. 5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Fig. 5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5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Fig. 5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wn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여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Fig. 5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n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5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able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Fig. 5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Fig. 5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5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Fig. 5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bric for adjusting clothes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Fig. 6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1은, 도 6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FIG. 6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8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60;

도 62는, 도 61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FIG. 6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8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61;

도 63은, 도 62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FIG. 6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8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62;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 6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 6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Fig. 6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6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a twen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의 장식주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 6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decorative wrinkles in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6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arment with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7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a twenty-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장식주름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 7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corative wrinkle part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장식주름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7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corative wrinkles portion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속자락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7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hem part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겉자락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7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uter hem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5는, 종래의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7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ocking member;

도 76은, 종래 의복의 걸이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the hanger of the conventional clothin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바지 3 : 앞부분1: pants 3: front

3a : 겉자락 3b : 속자락3a: outer hem 3b: inner hem

4 : 절취부 21,21A,21B,21C: 조절포4: Cutting part 21, 21A, 21B, 21C: Adjustment gun

21a : 중합부 22 : 형상유지부재21a: polymerization part 22: shape holding member

100,200 : 걸림부재100,200: locking member

100A,100AX,100AZ,200A,250 : 훅크구성체100A, 100AX, 100AZ, 200A, 250: Hook structure

100B,100BX,100BZ,200B,260 : 고리구성체100B, 100BX, 100BZ, 200B, 260: Ring structure

102,102Z,202,251 : 훅크본체102,102Z, 202,251: Hook body

102b,202b : 훅크부돌기102b, 202b: Hook protrusion

102e,253,254 : 훅크부 장착구멍102e, 253,254: Hook part mounting hole

103,103X,203 : 훅크부착판103,103X, 203: Hook mounting plate

103a,103ax,105a,105ax,203a,205a : 관통구멍103a, 103ax, 105a, 105ax, 203a, 205a: through hole

103b,105b,105by : 요철절곡부 104,104Z,204,261 : 고리본체103b, 105b, 105by: uneven bending portion 104,104Z, 204,261: ring body

104c,202b,204b : 고리부돌기 104b,104d : 연결부104c, 202b, 204b: ring protrusion 104b, 104d: connection part

104e,263 : 고리부 장착구멍 105,105X,205 : 고리부착판104e, 263: Hook mounting hole 105,105X, 205: Hook mounting plate

105c : 요철부 121,122,221,252 : 훅크부105c: Uneven portion 121, 122, 221, 252: Hook portion

141,142,141Z,142Z : 고리부 F : 지퍼141,142,141Z, 142Z: Ring F: Zipper

Fa : 지퍼테잎 Fb : 물림돌기Fa: Zipper tape Fb: Bite

Fc : 슬라이더Fc: slider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member or element,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부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훅크부착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hook body of a hook structure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hook main body of the hook member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hook attachment plate of the hook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hook attachment plate of a hook member of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7의 A-A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착판을 나타낸 평면 측면도이다. 또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 내지 부분에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부여한다.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ing body of the ring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ring body of the ring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ure 7,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ring attachment plate of the ring structure of the hook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side view which shows the ring attachment plate of a ring structure. Moreover, in each embodimen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member or part.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재(100)는,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방향인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나열되는 2개의 훅크부(121,122)을 갖는 훅크본체(102) 및 훅크부착판(103)으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100A)와, 훅크본체 (102)의 훅크부(121,122)가 자유롭게 걸리도록 거는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되는 2개의 고리부(141,142)를 갖는 고리본체(104) 및 고리부착판(105)으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100B)를 구비하며,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 중의 한쪽을 훅크본체(102)와 훅크부착판(103)으로 끼워 훅크구성체(100A)를 고정부착함으로써, 상기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100A)를 고정한다. 또한 바지 혹은 스커트 허리의 분할부분 중의 다른쪽을 고리본체(104)와 고리부착판(105)으로 끼워 고리구성체(100B)를 고정부착한다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훅크구성체(100A) 및 고리구성체(100B)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11, the locking member 100 made of the metal or the synthetic res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gener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The hook structure 100A which consists of the hook body 102 and the hook mounting plate 103 which have two hook parts 121 and 122, and the hook part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are predetermined | prescribed in the direction which hangs freely. The hook body 100B which consists of the ring body 104 and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 which have the two ring parts 141 and 142 which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pace | interval is provided, One side of the division part of the waist of a pants or a skirt is a hook body ( The hook structure 100A is fixed to one of the said divided parts by fixing the hook structure 100A by 102 and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split portion of the pants or skirt waist is fitted by the ring body 104 and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 has a configuration that is fixed to the ring structure (100B). And hook structure (100A) and ring structure (100B) is formed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훅크본체(102)는, 쉽게 변형되지 않는 금속제의 판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여 굴곡가공한 것이며,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 (121,122)는, 고리본체 (104)의 고리부(141,142)에 걸리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훅크본체(2)의 훅크부(121,122)를 제외한 부분의 주위에는, 4개의 훅크부돌기(102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훅크부돌기(102b)는 훅크본체(102)의 이면쪽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특히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는 그 절곡부분이 훅크본체(102)로부터 서서히 변화하여 신장되는 것보다도, 직각 또는 역방향으로 구부려서, 거기에 고리부(141,142)가 걸리도록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와 고리부(141,142)가 안정되게 걸리도록 한다.The hook body 102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that is not easily deformed into a desired shape, and the two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are loop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Four hook portion projections 102b are formed around the portions of the hook body 2 except for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and these hook portion projections 102b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body 102. FIG. Bent In particular, the hook portion 122 of the hook body 102 is bent at a right angle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bent so that the hook portions 141 and 142 are caught therein, rather than the bent portion gradually changing and extending from the hook body 102. desirable. That is, the hook portion 122 and the hook portions 141 and 142 of the hook body 102 are stably engaged.

이 4개의 훅크부돌기(102b)는, 끝단부가 천 등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되어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절곡하였을 때에 서로 겹치는 일이 없도록, 쐐기형상으로 하거나, 혹은 길이를 짧게 하여 사용된다.The four hook protrusions 102b have a sharp end so that the end can be fitted to a cloth or the lik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they are wedge-shaped or shortened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when bent. do.

훅크부착판(103)은, 훅크본체(102)와 마찬가지로 쉽게 변형하지 않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4개의 훅크부돌기(102b)가 자유롭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103a)을 갖고 있다.The hook attachment plate 103 is made of a metal plate that is not easily deformed like the hook main body 102, and has a through hole 103a for allowing the four hook protrusions 102b to fit freely.

고리본체(104)는, 쉽게 변형하지 않는 금속제의 판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여 구부려서 가공한 것이며,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는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가 걸리는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고, 고리부 (141,142)의 양 끝단부는 연결부(104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2개의 고리부 (141,142)의 양 끝단에는 고리부돌기(10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고리부돌기(104c)는 고리부(141,142)의 이면쪽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The ring body 104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that is not easily deformed into a desired shape, and the two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ar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both ends of the ring portions 141 and 142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104b. In addition, the annular projections 104c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wo annular portions 141 and 142, and the annular projections 104c are bent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to the rear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s 141 and 142.

고리부착판(105)은, 쉽게 변형하지 않는 금속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고리본체(104)의 4개의 고리부돌기(104c)가 자유롭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 (105a)을 구비하고 있다.The ring attachment plate 105 is made of a metal plate which is not easily deformed, and has a through hole 105a for allowing the four ring protrusions 104c of the ring body 104 to fit freely.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에 고정부착되어 사용되며, 이 분할부분을 결합이 자유롭도록 한다.The locking member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s used by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division part of the waist of a pants or a skirt, as shown in FIG. 12, and makes this division part free to engag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100B)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hook structure 100A and the ring structure 100B of the engag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훅크본체(102)는, 훅크부착판(103) 사이에 바지 혹은 스커트의 겉자락(106)을 끼운 상태에서 겉자락(106)의 뒷쪽에 부착된다. 이 때 훅크본체(102)의 4개의 훅크부돌기(102b)는 훅크부착판(103)가 대응하는 관통구멍(103a)으로 끼워져서 구부려지고, 훅크본체(102)와 훅크부착판(103)이 결합된다. 또한 훅크부(121,122)의 거는방향은, 겉자락(106)의 끝가장자리의 안쪽을 향하고 있다.The hook body 102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outer shell 106 in a state where the outer skirt 106 of the pants or skirt is sandwiched between the hook attachment plates 103. At this time, the four hook protrusions 102b of the hook body 102 are bent by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 being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s 103a, and the hook body 102 and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 are bent. Combined. In addition, the hooking directions of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face the inside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106.

고리본체(104)는, 고리부착판(105) 사이에 바지 혹은 스커트의 속자락(107)을 끼운 상태에서 속자락(107)의 겉에 장착된다. 이 때 고리본체(104)의 4개의 고리부돌기(104c)는, 고리부착판(105)이 대응하는 관통구멍(105a)으로 끼워져서 구부려지고, 고리본체(104)와 고리부착판(105)이 결합된다. 또한 고리부(141,142)는, 훅크부(121,122)에 걸리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The ring body 104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em 107 in a state where the inner hem 107 of the pants or skirt is sandwiched between the ring attachment plates 105. At this time, the four annular projections 104c of the annular body 104 are bent by the annular mounting plate 105 being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s 105a, and the annular main body 104 and the annular mounting plate 105 are bent. Is combined. In addition, the ring portions 141 and 142 are directed toward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또, 도 12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겉자락(106), 속자락(107)은 허리부 속심뿐이며, 실제로 겉자락(106), 속자락(107)에는 허리부 속심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천이 있다. 그리고 훅크부착판(103), 고리부착판(105)은, 허리부 속심의 피복부분의 안쪽에 매립된다.In addition, the outer hem 106 and the inner hem 107 which are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2 are only a waist core, and actually, the outer hem 106 and the inner hem 107 have the cloth which covers the outer side of a waist core.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 and the annular attachment plate 105 are embedded inside the cover portion of the waist core.

그리고,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를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 142)에 걸어서 바지 혹은 스커트 허리의 분할부분을 결합한다.Then,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are hooked on the hook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to join the divided portions of the pants or the skirt waist.

다음에,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 142)의 결합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upling | bonding form of the hook parts 121 and 122 of the hook main body 102 and the ring parts 141 and 142 of the ring main body 104 is demonstrated.

도 13(a)∼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의 훅크본체 (102)와 고리본체(104)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4(a)∼도 1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훅크본체(102)와 고리본체(104)의 다른 결합형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13 (a) to 13 (d) are plan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coupling form of the hook main body 102 and the ring main body 104 of the engag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D are plan explanatory views showing another coupling form of the hook main body 102 and the ring main body 104 of the lock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 (121,122)가 이웃하는 간격이 적어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 사이의 안치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2개의 훅크부(121,122)를 2개의 고리부(141,142)중 어디에나 무리없이 걸 수 있다.As shown in FIGS. 13A to 13D, the distance between two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is at least between two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In the case of smaller than the inner dimension, the two hook portions 121 and 122 can be hanged anywhere in the two ring portions 141 and 142 without difficulty.

도 13(a)∼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3A to 13D,

도 13(a)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2)에 걸린 상태,13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121 of the hook body 102 is caught by the hook portion 142 of the ring body 104,

도 13(b)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에 걸린 상태,13 (b): The hook portion 121 of the hook body 102 is caught by the hook portion 141 of the ring body 104.

도 13(c)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에 걸린 상태,13 (c): the hook portion 122 of the hook body 102 is caught by the hook portion 141 of the ring body 104,

도 13(d)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2)에 걸린 상태의 순서에 따라, 훅크본체(102)와 고리본체(104)의 결합깊이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13 (d):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e hook portion 122 of the hook body 102 being caught by the hook portion 142 of the ring body 104, the hook body 102 and the ring body 104 are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depth of engagement changes.

즉, 실시형태 1의 걸림부재(100)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훅크본체(102)의 도 13(a) 상태에서 도 13(c) 상태로의 이동에서는,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인 거리(L)만큼 훅크본체(102)의 위치는 변화하고, 훅크본체(102)의 도 13(c) 상태에서 도 13(d) 상태로의 이동에서는,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의 간격인 거리(M)만큼 훅크본체(102)의 위치는 변화한다.That is, the locking memb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can adjust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in four steps. In the movement of the hook body 102 from the state of FIG. 13 (a) to the state of FIG. 13 (c), the hook body 102 is separated by the distance L, which is an interval between two hook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Position of the hook body 102 changes in the state of the hook body 102 from the state of FIG. 13 (c) to the state of FIG. 13 (d), the distance M between two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The position of the hook body 102 changes as much.

그 때문에,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에 의하면,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에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 (121,122)의 간격을 더할 수 있는 거리(L+M)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 (121,122)가 이웃하는 간격이 적어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와 고리부(142) 사이의 안치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무리없이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locking member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the space | interval of the two hook part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can be added to the space | interval of the two ring part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You can adjust the size of the waist of the pants or skirt at the distance (L + M). In particular, when the distance between two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is smaller than at least the inner dimension between the two hook portions 141 and the hook portion 142 of the ring body 104, the pants or skirt The size of the waist can be adjusted in four easy steps.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1의 걸림부재(100)에 의하면, 도 14(a)∼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크구성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가 이웃하는 간격이 적어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 사이의 바깥치수보다도 큰 경우에도,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무리없이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에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의 간격을 가한 거리(L+M)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Similarly, according to the locking member 100 of Embodiment 1, the space | interval which the two hook part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2 adjoins is at least annular as shown to FIG. 14 (a)-FIG. 14 (d). Even when larger than the outside dimension between the two loop portions 141 and 142 of the main body 104,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can be adjusted in four steps without difficulty. Also in this case, the waist of the pants or skirt at a distance (L + M)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is added to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loop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The dimensions of the circumference can be adjusted.

도 14(a)∼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4 (a) to 14 (d),

도 14(a)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2)에 걸린 상태,14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121 of the hook body 102 is caught by the hook portion 142 of the ring body 104,

도 14(b)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에 걸린 상태,14 (b): The hook portion 121 of the hook body 102 is caught in the hook portion 141 of the ring body 104.

도 14(c)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에 걸린 상태,14 (c): the hook portion 122 of the hook body 102 is caught by the hook portion 141 of the ring body 104,

도 14(d) :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2)가,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2)에 걸린 상태의 순서에 따라, 훅크본체(102)와 고리본체(104)의 결합깊이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14 (d):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e hook portion 122 of the hook body 102 being caught by the hook portion 142 of the ring body 104, the hook body 102 and the ring body 104 are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depth of engagement changes.

즉, 훅크본체(102)는, 도 14(a) 상태에서 도 14(b) 상태로의 이동과정에서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인 거리(L)만큼 위치를 바꾸고, 도 14(b) 상태에서 도 14(d)의 상태로의 이동과정에서 2개의 훅크부(121)와 훅크부(122)의 간격인 거리 (M)만큼 위치를 바꾼다.That is, the hook body 102 is changed in position by a distance L, which is an interval between two ring portions 141 and 142,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state of FIG. 14 (a) to the state of FIG. 14 (b), and FIG. The position is changed by the distance (M)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hook parts 121 and the hook part 122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state of FIG.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의 걸림부재(100)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간격에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의 간격을 가한 거리(L+M)에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고, 종래의 걸림부재(220)에 없는 치수조절이 가능해졌다.In this way, the locking memb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can adjust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in four stages, the hook body 102 at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ring portions (141, 142) of the ring body 104 At the distance L + M at which the two hook portions 121 and 122 are spaced apart, the waist circumference can be adjusted, and the dimension can be adjusted without the conventional locking member 220.

또한, 허리둘레의 치수조절을 할수 있는 일본국 특허 제2518803호 공보, 특허 제2518804호 공보, 특허 제2518807호 공보, 특허 제2578079호 공보 등에 게재된 것보다도, 구조가 단순하고,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structure is simpler and the unit price is cheaper than thos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s. 2518803, 2525804, 2518807, and 2578079, which can adjust the waist circumference. can do.

특히, 훅크본체(102)의 2개의 훅크부(121,122)가 이웃하는 간격이, 적어도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 사이의 안치수보다도 작은 경우, 혹은 고리본체(104)의 2개의 고리부(141,142)의 사이의 바깥치수보다도 큰 경우에는,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무리없이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거리(L)과 거리(M)의 관계가 1대2 또는 2대1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거리(L)과 거리(M)의 관계가 1대1일 때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소로의 이동이 되고, 1개소에서 중복하는 형태가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distance between two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is smaller than at least the inner dimension between the two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or two of the ring bodies 104 When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between the dog rings 141 and 142,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can be adjusted in four stages without difficulty. Preferab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L and the distance M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one to two or two to on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mentioned distance L and distance M is one-to-one, in this embodiment, it moves to three places, and it overlaps in one place.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훅크구성체(100A)의 훅크본체(102)가 갖는 훅크부 (121,122) 및 고리구성체(100B)의 고리본체(104)가 갖는 고리부(141,142)의 각 갯수는 어느 것이나 2개이지만, 훅크부(121,122) 및 고리부(141,142)의 각 갯수는 2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훅크구성체(100A)의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훅크부(121,122)을 갖는 훅크본체(102)와,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 122)를 자유롭게 걸고 고리구성체(100B)의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고리부(141,142)를 갖는 고리본체(104)를 구비하는 걸림부재(100)이면, 훅크부(121,122) 및 고리부(141,142)의 각 갯수가 2 이상이더라도,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100A)의 훅크부(121,122)가 허리둘레에 나란히 부착되고, 다른쪽에 고리구성체(100B)의 고리부(141,142)가 허리둘레에 나란히 부착되면,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142)에 걸리는 훅크구성체(100A)의 훅크부(121,122)를 바꿈으로써, 훅크본체(102)의 복수의 훅크부 (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고,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가 걸리는 고리본체(104)의 고리부(141,142)를 바꿈으로써, 고리본체(104)의 복수의 고리부(141,142)가 위치하는 범위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훅크본체(2)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와 고리본체(104)의 복수의 고리부(141,142)가 위치하는 범위의 양쪽을 합친 거리에서,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의 치수의 조절범위를 종래의 치수조절기구를 구비한 걸림부재에 의한 한계를 대폭 넘는 값으로까지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each of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of the hook structure 100A and the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of the ring structure 100B is two. Although it is a dog, each of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and the hook portions 141 and 142 may be two or more. Hook body 100 having a plurality of hook parts 121 and 122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oking direction of hook structure 100A, and hook parts 121 and 122 of hook body 102 are freely hooked and loop structure 100B. If the hooking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ring body 104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and the hook portions 141 and 142 each have two or more.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0A ar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aist portion of the waist of the pants or skirt side by side, and the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 are on the other side of the waist side. When attached,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0A caught by the hook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are replaced, so that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are located. The size of the waist of a pants or a skirt can be adjusted, and the hook of the hook body 102 By changing the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to which the rings 121 and 122 are applied,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where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are located. have. That is, at the distance between the range where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2 are located and the range where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are located,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The dimensions can be adjusted. Therefore, the range of adjustment of the waist circumference of a pants or a skirt can be increased to the value exceeding the limit by the latching member provided with the conventional dimension control mechanism.

그런데, 신사용 바지는, 통상 허리둘레 치수가···76cm, 79cm, 82cm, 85cm··· 등으로 3cm 피치로 다른 규격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실시형태 1의 걸림부재(100)에 의하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 치수를 3cm 이상의 범위에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적어도 종래의 반정도 종류의 바지로서 종래와 같은 허리치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76cm, 79cm, 82cm, 85cm의 4종류의 허리치수에 대신하여, 76∼79cm, 82∼85cm의 두 가지의 허리치수로 대응할 수 있다. 즉 훅크본체 (102)의 복수의 훅크부 (121,122)가 위치하는 거리(M)와, 고리본체(104)의 복수의고리부(141,142)가 위치하는 거리(L)의 합계를 3cm 이상이라고 하면,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둘레 치수를 3cm 이상의 범위에서 조절가능하며, 1종류의 바지 혹은 스커트에서, 통상 3cm 피치로 허리둘레 치수를 바꿔 시판하고 있는 바지 혹은 스커트 중의 허리둘레 치수가 다른 적어도 2종류에 대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 혹은 스커트의 재고부담을 덜 수 있고, 염가로 바지 혹은 스커트를 제공할 수 있다.By the way, a pair of pants is generally available in 3cm pitch with waist size of 76cm, 79cm, 82cm, 85cm, etc., but according to the latching member 100 of Embodiment 1, pants or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skirt in the range of 3 cm or more, and at least half of the conventional pants can correspond to the same waist size as the conventional one. For example, instead of four waist dimensions of 76 cm, 79 cm, 82 cm, and 85 cm, two waist dimensions of 76 to 79 cm and 82 to 85 cm can be used. That is, if the sum of the distance M where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are located and the distance L where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body 104 are located are 3 cm or more, You can adjust the waist circumference of your pants or skirt in the range of 3cm or more, and in one type of pants or skirt, change the waist circumference by 3cm pitch. Can be substituted. This reduces the inventory burden of the pants or skirts, and can provide pants or skirts at a low cost.

실시형태 2Embodiment 2

다음에, 실시형태 2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 is described.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100)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에 있어서, 훅크구성체(100AX)의 훅크부착판(103X)의 훅크본체(102)의 결합부분에 훅크부돌기(102b)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103b)를 형성하며, 또한 고리구성체(100BX)의 고리부착판(105X)의 고리본체(104)의 결합부분에,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105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훅크부착판(103X)은, 관통구멍(103a)에 대응하는 관통구멍(103ax)을 갖고 있다. 또한 고리부착판(105X)의 관통구멍(105a)에 대응하는 관통구멍(105ax)을 구비하고 있다.The lock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hook projection 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hook body 102 of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X of the hook structure 100AX in the lock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oncave-and-convex bent portion 103b into which the concave-convex bent portion 103b enters is formed, and also the convex-concave bent portion 104c enters in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ring body 104 of the ring-attached plate 105X of the ring structure 100BX. It forms 105b.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X has a through hole 103ax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03a. Moreover, the through hole 105ax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05a of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X is provided.

또한, 고리부착판(105X)의 2개의 요철절곡부(105b) 사이에 X자형상의 요철홈으로 이루어지는 요철부(105c)를 형성하고 있다.Moreover, the uneven part 105c which consists of X-shaped uneven groove | channel is formed between two uneven bent part 105b of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X.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관한 걸림부재(100)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훅크구성체(100AX)의 훅크본체(102)와 훅크부착판(103X)의 결합시에, 훅크부착판(103X)의 요철절곡부(103b)에 훅크부돌기(102b)가 들어가고, 또한 고리구성체(100BX)의 고리본체(104)의 고리부착판(105X)의 결합시에, 고리부착판(105X)의 요철절곡부(105b)에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므로, 훅크부돌기(102b) 및 고리부돌기(104c)에 의해 천이 걸리거나, 긁혀서 찢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부착상태에서 접촉하여도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또한 훅크부착판(103X)과 고리부착판(105X)의 판재에, 요철절곡부(103b), 요철절곡부 (105b) 등의 절곡부분의 형성에 의해, 판재의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변형이 방지되므로, 훅크본체(102)의 바지 혹은 스커트로의 고정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으며, 요철부(105c)에 의해 고리부착판(105X)의 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고리본체(104)의 바지 혹은 스커트로의 고정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in addition to the effect similar to the locking member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the hook main body 102 and hook attachment plate 103X of hook structure 100AX are carried out. ), The hook projections 102b enter the concave-convex bent portion 103b of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X, and the engagement of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X of the ring body 104 of the ring structure 100BX. At the time, since the annular projection 104c enters the uneven bent portion 105b of the annular attachment plate 105X, the cloth is caught or scratched by the hook projection 102b and the annular projection 104c. There is no work. In addition, even when contacted in the attached state does not feel rejection. In addition,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late can be increased by forming bent portions such as the uneven bent portion 103b and the uneven bent portion 105b in the plate material of the hooked plate 103X and the annular plate 105X. In addition, since the deformation is prevented, the fixed state of the hook body 102 to the pants or skirt can be firmly secured, and since the deformation of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X is prevented by the uneven portion 105c, the ring body 104 is prevented. ) Can be firmly fixed to the pants or skirt.

또, 상기 설명에서는, 고리부착판(105X)의 요철부(105c)의 갯수는 X자형상이 1개이지만, 훅크부착판(103X), 고리부착판(105X)의 요철부(105c)의 갯수 및 크기,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요철부(105c)는 크기, 형상에 따른 임의의 갯수로 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number of the uneven portions 105c of the looped plate 105X is one X-shaped, but the number of the uneven portions 105c of the hooked plate 103X and the looped plate 105X is one. The size and shape are not limited, and the uneven portion 105c may be any number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실시형태 3Embodiment 3

다음에, 실시형태 3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3 will be described.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고리구성체(100BY)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ing structure 100BY of the locking member 100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형태 3에 관한 고리구성체(100BY)의 고리부착판(105Y)의 고리본체(104)와의 결합부분에,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105by)를 형성하고 있다.The concave-convex bent portion 105by through which the annular projection 104c enters is formed 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annular plate 100Y of the annular structure 100B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th the annular body 104.

그리고, 고리구성체(100BY)의 고리부착판(105Y)의 고리본체(104)와의 결합부분에는, 고리본체(104)의 연결부(104b)가 들어가는 여유를 얻기 위해서, 요철절곡부(105by)를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는 영역만으로 한 것이다. 또한 받아부착판 (105Y)는 관통구멍(105a)에 대응하는 관통구멍(105ay)을 구비하고 있다.Then, the concave-convex bent portion 105by is looped 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Y with the ring body 104 of the ring structure 100BY so as to allow room for the connecting portion 104b of the ring body 104 to enter. Only the area into which the subprojection 104c enters is used. In addition, the receiving plate 105Y has a through hole 105ay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05a.

또한, 고리부착판(105Y)의 2개의 요철절곡부(105b) 사이에 1개의 X자형상의 요철홈으로 이루어지는 요철부(105c)를 형성한 것이다.Moreover, the uneven part 105c which consists of one X-shaped uneven groove | channel is formed between two uneven bending part 105b of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Y.

실시형태 3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 관한 걸림부재(100)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에 더하여, 고리구성체(100BY)의 고리본체(104)의 고리부착판(105Y)의 결합부분이, 고리부착판(105Y)의 요철절곡부 (105b)로 들어가, 고리부돌기(104c)에 의해서 천이 걸리거나, 긁혀서 찢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부착상태에서 접촉하더라도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또한 요철절곡부(105b)를 고리부돌기(104c)가 들어가는 영역만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연결부 (104b)가 고리부착판(105Y)에 근접하는 위치로 되고, 천에 일부가 들어간 상태로 되므로, 바지 혹은 스커트에 장착한 경우에 보기에도 좋다. 물론 고리부착판(105Y)에, 요철절곡부(105b) 등의 절곡부분의 형성에 의해, 판재의 기계적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요철부(105c)에 의하여 고리부착판(105Y)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훅크본체(102)의 바지 혹은 스커트로의 고정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고, 고리본체(104)의 바지 혹은 스커트로의 고정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in addition to the effect similar to the locking member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and Embodiment 2, the loop of the ring body 104 of the ring structure 100BY is carried ou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attachment plate 105Y enters the uneven bent portion 105b of the annular attachment plate 105Y, so that the cloth is not caught by the annular projection 104c or scratched. In addition, even when contacted in the attached state does not feel rejection. In addition, since the uneven bent portion 105b is only a region into which the annular protrusion 104c enters, the connecting portion 104b is positioned close to the annular plate 105Y, and part of the cloth is in the state, so that the pants Or look good if you're wearing it on a skirt. Of course, by forming the bent portion such as the uneven bent portion 105b in the annular plate 105Y,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late can be increased, and also the deformation of the annular plate 105Y by the uneven portion 105c. Since this is prevented, the fixed state of the hook body 102 to the pants or a skirt can be strengthened, and the fixed state of the loop body 104 to the pants or a skirt can be firmly secured.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서는, 훅크구성체(100AX)와 고리구성체(100BY)를 사용하는 사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종래예의 걸림부재(200)를 구성하는 훅크구성체(200A) 또는 고리구성체(200B)와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By the way, in this embodiment, it demonstrated with the example using the hook structure 100AX and ring structure 100BY. However, it can als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hook structure 200A or the ring structure 200B constituting the locking member 200 of the prior art.

실시형태 4Embodiment 4

다음에, 실시형태 4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4 will be described.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걸림부재(100)는, 실시형태 1의 훅크구성체 (100A)와, 종래예의 고리구성체(200B)와 조합시켜 사용한다. 즉 고리본체(204)는, 훅크본체(102)의 훅크부(121,122)에 걸리는 단일의 고리부(241)를 갖는다.The latching member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hook structure 100A of Embodiment 1, and the ring structure 200B of a prior art example. That is, the ring body 204 has a single ring portion 241 that is hooked to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102)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102b)를 훅크부착판(103)의 관통구멍(103a)으로 끼워넣어 절곡하면 간단히 훅크구성체(100A)의 부착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고리본체(204)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 (204b)를 고리부착판(205)의 관통구멍(205a)으로 끼워넣어 절곡하면 간단히 고리구성체(200B)의 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100A)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200B)를 허리둘레에 부착하면, 고리구성체(200B)의 고리부(241)에 걸리는 훅크구성체(100A)의 훅크부 (121,122)의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100A)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에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훅크구성체(100A)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와 고리구성체(200B)의 단수의 고리부 (241)가 위치하는 범위의 양자 상대위치에서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훅크구성체(100A)가 갖는 훅크부(121,122)의 갯수는, 통상 디자인적으로 2개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the hook structure 100A by inserting the hook portion projection 102b free of bending of the hook body 102 into the through hole 103a of the hook attachment plate 103 and bending. Similarly, the ring body 204 can be easily be attached to the ring body 204 by inserting the free ring protrusion 204b into the through hole 205a of the ring attachment plate 205 and bending it. For example, when the hook structure 100A is attached to one of the divided portions of the waist of the pants or skirt, and the ring structure 200B is attached to the waist circumference on the other side, the hook structure that is caught by the loop portion 241 of the ring structure 200B is attached. By changing the locking positions of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100A,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in which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0A are located. That is, the dimension can be adjusted at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range where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0A are located and the range where the single ring portion 241 of the ring structure 200B is located. Although the number of hook parts 121 and 122 which the hook structure 100A has here is generally preferable about two by design, it can also set it as three or more.

실시형태 5Embodiment 5

다음에, 실시형태 5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5 will be described.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걸림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걸림부재(100)는, 종래의 훅크구성체(200A)와, 실시형태 1의 고리구성체(100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고리구성체 (100B)는, 훅크본체(202)의 훅크부(221)에 걸리는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고리부(141,142)를 갖는다.The locking member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can be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conventional hook structure 200A and the ring structure 100B of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ing structure 100B has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hanging direction of the hook portion 221 of the hook body 202.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203)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202b)를 훅크부착판(203)의 관통구멍(203a)으로 끼워넣어 절곡하면 간단히 훅크구성체(200A)의 부착이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고리본체(104)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 (104c)를 고리부착판(105)의 관통구멍(105a)으로 끼워넣어 절곡하면 간단히 고리구성체(100B)의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의 분할부분중 한쪽에 훅크구성체(200A)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100B)를 허리둘레에 나열되도록 설치하면, 고리구성체(200A)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에 걸리는 훅크구성체 (200A)의 단일 훅크부의 상대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200A)의 단일 훅크부(221) 및 고리구성체(100B)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의 상대 걸림위치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리구성체(100B)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와 훅크구성체(200A)의 단일 훅크부(221) 양자의 상대위치에서 치수가 조절된다. 여기서 고리구성체(100B)가 갖는 고리부(141,142)의 갯수는, 통상 디자인적으로 2개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hook structure 200A can be easily attached by inserting the hook portion projection 202b free of bending of the hook body 203 into the through hole 203a of the hook attachment plate 203 and bending it. Similarly, the ring body 104 can be easily attached by inserting the free ring protrusion 104c into the through hole 105a of the ring attachment plate 105 and bending it. For example, when the hook structure 200A is installed at one of the divided portions of the waist of the pants or skirt and the ring structure 100B is arranged at the waist circumference, the plurality of ring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200A are arranged. By changing the relative locking position of the singl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200A to be applied to the hook, the waist of the single hook portion 221 of the hook structure 200A and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 The dimensions of the circumference can be adjusted. That is, the dimensions are adjusted a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 and the single hook portion 221 of the hook structure 200A. Although the number of the ring parts 141 and 142 which the ring structure 100B has is generally about 2 preferably by design here, it can also be three or more.

실시형태 6Embodiment 6

다음에, 실시형태 6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6 will be described.

도 19∼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걸림부재(100)의 각종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즉 실시형태 6은 훅크구성체(100AZ) 및 고리구성체 (100BZ)를 조합시키거나, 그 어느 하나를 종래의 훅크구성체(250) 또는 고리구성체 (260)와 조합시켜 사용한다.19 to 2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combinations of the locking member 100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Embodiment 6 combines the hook structure 100AZ and the ring structure 100BZ, or uses either of them in combination with the conventional hook structure 250 or the ring structure 260.

우선, 도 19에 나타낸 예에서, 걸림부재(100)는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면쪽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121,122)를 갖는 훅크본체(102Z)와, 훅크본체 (102Z)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의 훅크부 장착구멍(102e)를 구비한 훅크구성체(100AZ)와, 훅크본체(102Z)의 훅크부(121,122)에 걸려지는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141,142)을 갖는 고리본체(104Z)와, 고리본체(104Z)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의 고리부 장착구멍 (104e)을 가진 고리구성체(100BZ)를 구비한 것이다.Firs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9, the locking member 100 has a hook body 102Z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1, 122 formed on a specific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hanging direction, and the hook body 102Z. Hook structure 100AZ having four hook portion mounting holes 102e formed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hanging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ok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body 102Z. And a ring body (100BZ) having a ring body (104Z) having formed ring portions (141, 142) and four ring portion mounting holes (104e) formed at positions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ring body (104Z). .

즉, 도 19의 예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5의 훅크부착판(103) 및 고리부착판(105)을 생략하고, 훅크부돌기(102b)와 고리부돌기(104c)를 훅크부 베이스 (102d) 및 훅크부 장착구멍(102e)과 고리부 베이스(104d) 및 고리부 장착구멍 (104e)으로 치환한 것이다.That is, the example of FIG. 19 omits the hook attaching plate 103 and the annular attaching plate 105 of Embodiment 1 thru | or Embodiment 5, and the hook attaching part 102b and the annular attaching 104c are hook part bases. 102d and hook part mounting hole 102e, ring base 104d, and ring part mounting hole 104e.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102Z)의 훅크부 장착구멍(102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훅크구성체(100AZ)를 바지 혹은 스커트에 부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고리본체(104Z)의 고리부 장착구멍(104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고리구성체(100BZ)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100AZ)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100BZ)를 허리둘레에 나열되도록 부착하면, 고리구성체(100BZ)의 고리부에 걸리는 훅크구성체(100AZ)의 훅크부의 상대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100AZ)의 복수의 훅크부(121,122) 및 고리구성체(100BZ)의 고리부(141,142)의 상대위치에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훅크구성체(100AZ)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와 고리구성체(100BZ)의 복수의 고리부(141,142) 양쪽의 상대위치에서 치수가 조절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hook portion mounting hole 102e of the hook body 102Z is secured with a thread, the hook structure 100AZ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pants or skirt, and similarly, the hook portion mounting hole of the ring body 104Z ( By fixing the 104e) with a thread, it is possible to simply attach the ring structure 100BZ. For example, when the hook structure 100AZ is attached to one of the waist divisions of the pants or skirt and the ring structure 100BZ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ist, the hook structure 100AZ caught on the loop portion of the loop structure 100BZ. By changing the relative engaging position of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a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0AZ and the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Z. That is, the dimension is adjusted in the range where the hook part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0AZ are located,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both the ring part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Z.

여기서, 훅크구성체(100AZ)가 갖는 훅크부(121,122) 및 고리구성체(100BZ)가 갖는 고리부(141,142)의 각 갯수는, 통상 디자인적으로 각 2개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한쪽 또는 양쪽을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number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0AZ and the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Z are generally preferably about two in design, but three of one or both sides are preferable. You can also do the above.

특히, 본 실시형태 6의 걸림부재(100AZ,100BZ)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걸림부재의 훅크구성체(250) 또는 고리구성체(260)와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locking members 100AZ and 100BZ of the sixth embodimen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hook structure 250 or the ring structure 260 of the conventional locking member. .

즉, 종래의 고리구성체(260)에서는, 고리본체(261)의 고리부(262)는, 도 20과 같이 고리본체(261)의 양 끝단에 고리부 장착구멍(2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훅크구성체(250)에서는, 훅크본체(251)의 훅크부(252)는, 도 21과 같이 훅크본체(251)의 양 끝단에 고리부 장착구멍(253)이 형성되고, 훅크본체(251)의 훅크부 (252)의 반대쪽에 고리부 장착구멍(254)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ring structure 260, the ring portion 262 of the ring body 261, the ring portion mounting hole 263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ing body 26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ook structure 250, the hook portion 252 of the hook body 251, the hook portion mounting holes 25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ok body 251, as shown in Figure 21, the hook body ( A ring portion mounting hole 254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ok portion 252 of 251.

도 20의 예는,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260)를 구비한 것이다.The example of FIG. 20 is provided with hook structure 100A and ring structure 260.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102Z)의 훅크부 장착구멍(102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훅크구성체(100AZ)의 부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고리본체(261)의 고리부 장착구멍(263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고리구성체(260)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 (100AZ)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260)를 허리둘레에 나열되도록 부착하면, 고리구성체(260)의 고리부(262)에 걸리는 훅크구성체(100AZ)의 훅크부(121,122)의 상대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100AZ)의 복수의 훅크부(121,122) 및 고리구성체(260)의 고리부(262)의 상대위치에서 허리둘레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훅크구성체(100AZ)의 복수의 훅크부(121,122)가 위치하는 범위와 고리구성체(260)의 단일 고리부(262) 양자의 상대위치에서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hook portion mounting hole 102e of the hook body 102Z is fixed with a thread, the hook structure 100AZ can be easily attached, and similarly, the hook portion mounting hole 263e of the ring body 261 is threaded. When fixed, the ring structure 260 can be attached simply. For example, when the hook structure 100AZ is attached to one of the waist divisions of the pants or skirt and the ring structure 260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ist, the hook is caught on the loop portion 262 of the loop structure 260. By changing the relative locking positions of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construct 100AZ, the waist circumference a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construct 100AZ and the loop portion 262 of the loop construct 260 is changed. The dimensions can be adjusted. That is, the dimensions can be adjusted at a relative position between both th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100AZ and the single ring portion 262 of the ring structure 260.

도 21의 예는, 훅크구성체(250)와 고리구성체(100BZ)를 구비한 것이다.The example of FIG. 21 is equipped with the hook structure 250 and the ring structure 100BZ.

이 구성에 의하면, 훅크본체(251)의 훅크부 장착구멍(253,254)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훅크구성체(250)를 부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고리구성체(100BZ)의 고리부 장착구멍(104e)을 실로 고정시키면 간단히 고리구성체(100BZ)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바지 혹은 스커트의 허리 분할부분 중의 한쪽에 훅크구성체(250)를, 다른쪽에 고리구성체(100BZ)를 허리둘레에 나란히 부착하면, 고리구성체(100BZ)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에 걸리는 훅크구성체(250)의 단일 훅크부 (121,122)의 상대 걸림위치를 바꿈으로써, 훅크구성체(250)의 단일 훅크부(252) 및 고리구성체(100BZ)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의 상대 걸림위치에서 허리주위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리구성체(100BZ)의 복수의 고리부(141,142)와 훅크구성체(250)의 단일 훅크부(252) 모두의 상대위치에서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hook portion mounting holes 253 and 254 of the hook body 251 are fixed with a thread, the hook structure 250 can be easily attached, and similarly, the hook portion mounting hole 104e of the ring structure 100BZ is threaded. When fixed, the ring structure 100BZ can be attached simply. For example, when the hook structure 250 is attached to one of the waist divisions of a pants or a skirt, and the ring structure 100BZ is attached to the waist circumference side by side, the plurality of loop portions 141 and 142 of the loop structure 100BZ are caught. By changing the relative locking positions of the single hook portions 121 and 122 of the hook structure 250, the relative locking positions of the single hook portion 252 of the hook structure 250 and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Z. You can adjust the dimensions around the waist. That is, the dimensions can be adjusted at the relative positions of both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Z and the single hook portion 252 of the hook structure 250.

실시형태 7Embodiment 7

다음에, 전술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6을 이용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실시형태 7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Embodiment 7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using Embodiments 1 to 6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를 사례로서 설명하지만, 퀼로트 스커트 등의 각종 스커트에 있어서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스커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Here,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ants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but the skir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in various skirts such as a quilted skirt. The same is true for.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걸이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It is a front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of this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principal part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of this invention. Fig. 2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5 is attached to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of a garment and the adjustable cloth. Fig. 2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hanger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으로서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1)(이하, 간단히「바지(1)」이라 표현함)는, 바지(1)의 상단까지 해방할 수 있는 앞부분(3)과 앞부분 (3)을 개폐하는 지퍼(F)와, 앞부분(3)의 상단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는 걸림부재(100)와, 지퍼(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과 앞부분(3)의 겉자락(3a) 사이에 꿰매붙여진 조절포(21)와, 앞부분(3)의 속자락(3b)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돌출하여, 겉자락(3a)에 부착된 단추(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는 단추구멍(31a)을 가진 걸이구(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인복은 걸이구(31)를 갖지 않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신사복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22 to 27, the pants 1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pants 1")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s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re as follows. A zipper (F) to open and close the front part (3) and the front part (3), which can be freed up to the top of the pants (1), the locking member (100) for freely combining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3), and the zipper ( F) protrudes from the end edge of the inner fabric 3b of the adjusting cloth 21 sewn between the zipper tape Fa and the outer hem 3a of the front part 3, which becomes the seam allowance of the front part 3, and the outer hem ( A hook hole 31 having a buttonhole 31a that catches a button (not shown) attached to 3a) is provided. In addition, the lady's wear does not have the hanger 31, but it demonstrates as a men's wear in this embodiment.

걸림부재(100)는, 훅크구성체(100A) 및 고리구성체(100B)로 이루어지며, 10mm에서 30mm 정도로 변화할 수 있도록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100B)의 조합을 설정하고 있다. 이 훅크구성체(100A)를 속자락(3b)의 상부에 고정부착된 고리구성체(100B)에 걸고, 겉자락(3a)과 속자락(3b)의 각 상부를 이탈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훅크구성체(100A)가 고리구성체(100B)로 당겨지게 되므로,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가 복수단으로 길어진다. 즉 고리구성체(100B) 및 훅크구성체(100A)로 이루어진 걸림부재(100)는, 바지(1)의 앞부분(3)의 상단을 단지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할 뿐만이 아니라, 결합부분에 있어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도록 하고 있다.The locking member 100 is comprised of the hook structure 100A and the ring structure 100B, and sets the combination of the hook structure 100A and the ring structure 100B so that it may change about 10 to 30 mm. The hook structure 100A is fastened to the ring structure 100B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hem 3b, and the portion is fre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outer hem 3a and the inner hem 3b.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enlarging the dimension of the waist 2 of the pants 1, the hook structure 100A is pulled to the loop structure 100B, so that the waist of the pants 1 at the engaging portion ( The dimension of 2) is lengthened in multiple stages. That is, the locking member 100 composed of the loop structure 100B and the hook structure 100A not only detachably couples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3 of the pants 1 freely, but also the pants 1 in the engagement portion. The waist size can be adjusted free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조절포(21)는, 소정의 가요성을 갖는 띠형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폭방향의 일부분을 헐겁게 한 상태에서 겉자락(3a)의 안쪽을 따라 폭방향의 양 끝단이 꿰매붙여져 있다. 즉 V자형상으로 된 앞부분(3)의 하단과 상단의 사이에서, 걸림부재 (100)에 의해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로운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봉제에 의하여 대략 통형상으로서 앞부분(3)의한쪽, 즉 겉자락(3a)에 꿰매붙여져 있다.The adjusting cloth 21 consists of a strip | belt-shaped cloth which has predetermined | prescribed flexibility, and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are sewn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hem 3a in the state which loosened a part of the width direction. In other words,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V-shaped front portion (3), by the sewing member 100 by the sewing continu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reely change the shape in the range of free adjustment of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t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is sewed to one side of the front part 3, that is, to the outer hem 3a.

그리고,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 중, 겉자락 (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먼쪽의 끝단부는, 그 근방을 산모양으로 접어 중합부 (21a)를 형성하여 꿰매붙여져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을 꿰매붙인 위치중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부에는 위치에는, 겉자락(3a)의 뒷면에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취부(4)에 조절포(21)의 폭방향의 다른쪽 끝단부가 끼워져서 뒷쪽에서 꿰매붙여져 있다. 조절포 (21)의 절취부(4)에 끼워진 끝단부는, 꿰매붙여진 부위가 은폐되어, 접촉되었을 때에 거부감이 없으며, 보기에도 좋게 된다. 그리고 중합부(21a)는, 조절포(21)의 폭방향에 여분의 길이를 형성하고, 조절포(21)에는, 중합부(21a)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꿰매붙인 후에 다리미 등의 프레스기에 의한 가압 및 가열이 행해져서,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그리고 조절포(21)가 겉자락(3a)에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겉자락 (3a)의 위쪽보다 아래쪽을 향하여 그 사이 길이의 약 1/3∼1/2의 위치까지라면, 사용에 있어서는 충분하지만, 더욱 아래쪽까지 조절포(21)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And as shown in FIG. 26, in the width direction edge part of the control cloth 21, the edge part farther from the edge edge of the outer hem 3a, the vicinity is folded in a mountain shape, and the polymerization part 21a is formed and sewn. It is attach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6, in the position which sewn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ment cloth 21 in the edge part of the outer edge of the outer shell 3a, the cutout part 4 is carrie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ack surface of the outer shell 3a. ) Is formed, and the other end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fitted to this cutout part 4, and is sewed from the back side. The end portion fitted to the cutout portion 4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concealed, has no objection when contacted, and looks good. And the polymerization part 21a forms an extr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 The sewing cloth 21 is sewn so that the shape of the polymerization part 21a is maintained, and it presses by presses, such as an iron, Pressurization and heating are performed, and the shape is specified. And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adjusting cloth 21 is formed in the outer hem 3a is sufficient in use as far as it is located below about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em 3a to the position of about 1/3-1/2 of the length between them, The adjusting cloth 21 may be formed further down.

이 조절포(21)가 꿰매붙여져 있는 영역은, 원래 지퍼(F)를 직접 꿰매붙이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 1의 바지(1)에서는, 지퍼(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은, 조절포(21)가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조절포(21)에 꿰매붙여지고, 조절포(21)가 존재하지 않은 영역에서는, 겉자락(3a)의 안쪽에 직접 꿰매붙여져 있다. 또한 지퍼테잎(Fa1)의 상단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붙여지거나, 또는 지퍼테잎(Fa2)의 상단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상단에 가지런히 하여 조절포(21)에만 꿰매붙여져 있다.The region in which the adjusting cloth 21 is sewn is a portion where the zipper F is sewn directly. In the pants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zipper tape Fa, which is the seam allowance of the zipper F, is sewn onto the adjusting cloth 21 in the region where the adjusting cloth 21 exists, and the adjusting cloth ( In the area | region where 21) does not exist, it is sewn directly inside the hem 3a.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1 is sewn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waist lining 2a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nd is sewn, or a zipper As shown in FIG. 25, the upper end of the tape Fa2 is sewn only to the adjusting cloth 21 at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에 꿰매붙여진 부분은, 중합부(21a)에 의한 여분의 길이의 범위내에서, 도 26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조절포(21)의 중합부(21a)는, 조절포(21)의 폭방향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먼쪽에 형성되어 있고, 조절포(21)가 지퍼테잎(Fa)을 통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쪽으로 당겨짐으로써, 중합부(21a)가 늘여지고, 겉자락(3a)에서의 지퍼테잎(Fa)와 조절포(21)의 고정부착위치가 이동한다. 그 때문에 지퍼테잎(Fa)을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겉자락(3a)에 꿰매붙여진 지퍼테잎(Fa)의 상단은,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붙여져 있거나 (Fa1), 또는 조절포(21)의 상단을 가지런히 하여 조절포(21)에만 꿰매붙여져 있기 때문에(Fa2),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로의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여유 방향으로의 이동이 되므로, 그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Thus, the part sewn to the adjusting cloth 21 of the zipper tape Fa is within the excess length by the polymerization part 21a, as shown by arrow AR in FIG. It can be pulled and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end edge. That is, the polymerization part 21a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 from the edge of the outer edge 3a of the outer edge 3a, and the adjusting cloth 21 is a zipper tape Fa. By pulling outward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the polymerization portion 21a is elongated, and the fixed attachment position of the zipper tape Fa and the adjusting cloth 21 on the outer hem 3a moves. Therefore, the zipper tape Fa can be moved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sewed on the outer hem 3a is sewn on the inside of the waist lining 2a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or sewn (Fa1) Or, since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sewn only to the adjusting cloth 21 (Fa2),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is the stitched portion of the zipper tape Fa to the adjusting cloth 21. Moving outward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is a movement in the marginal direction, and therefore does not disturb the movement.

그리고, 지퍼(F)는 2개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과, 각 지퍼테잎(Fa)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물림돌기(Fb)와, 각 지퍼테잎(Fa)의 복수의 물림돌기(Fb)를 맞물리게 하여 2개의 지퍼테잎(Fa)을 결합하는 슬라이더(Fc)로 이루어지고, 다른쪽의 지퍼테잎(Fa)은 속자락(3b)에 꿰매붙여져 있다. 그리고 앞부분(3)은 지퍼(F)의슬라이더(Fc)를 상하이동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d, the zipper (F) is a zipper tape (Fa) which is two seam allowance, a plurality of stitches (Fb) arranged along each of the zipper tapes (Fa), and a plurality of stitches of each zipper tape (Fa) It consists of a slider Fc which engages Fb) and couples two zipper tapes Fa, and the other zipper tape Fa is sewn to the inner ring 3b. And the front part (3) is to be opened and closed by moving the slider (Fc) of the zipper (F).

조절포(21)에 의하면, 지퍼(F)로서 앞부분(3)을 닫은 상태에서, 바지(1)의 허리부(2)를 늘리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퍼테잎(Fa)과 겉자락(3a) 사이에 조절포(21)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조절포(21)의 중합부(21a)를 당겨 늘릴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늘어나고, 허리부(2)의 하부도 그 사이즈가 늘어난다.According to the adjusting cloth 21, when the front part 3 is closed as the zipper F,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extending the waist 2 of the pants 1, the zipper tape Fa and the outer hem 3a are applied. In the region where the adjusting cloth 21 exists between,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ncreases in the range of the length that can stretch the polymerization portion 21a of the adjusting cloth 21, so that the waist of the waist 2 The lower part increases in size, too.

걸이구(31)는, 앞부분(3)의 속자락(3b) 끝단가장자리에서 돌출하고, 단추구멍(31a)을 갖는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단추구멍(31a)을 앞부분(3)의 겉자락(3a)에 형성된 단추(도시하지 않음)에 걸어 앞부분(3)의 속자락(3b)과 겉자락(3a)을 결합하는 것이다. 걸이구(31)의 단추구멍(31a)은, 통상적으로는 도 76(종래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구(31)의 길이방향에 따른 긴 구멍이다.The hooking tool 31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inner end 3b of the front part 3, and consists of a piece of cloth having a buttonhole 31a, and the buttonhole 31a is the outer hem 3a of the front part 3. The inner shell 3b and the outer shell 3a of the front portion 3 are joined to a button (not shown) formed in the upper portion 3. The button hole 31a of the hook tool 31 is a long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tool 31 normally, as shown in FIG. 76 (conventional example).

이 경우, 겉자락(3a)의 단추에 단추구멍(31a)을 걸면, 겉자락(3a)의 단추는, 단추구멍(31a)의 속자락(3b)에서 먼쪽의 끝단부에 위치 결정되고, 겉자락(3a)은 속자락(3b)에 대하여, 그 이상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늘이는 것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 7의 바지(1)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추구멍(31ax)은 대략 수평방향으로 늘어나는 긴 구멍이다. 그 때문에 도 27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단추는 단추구멍(31ax)의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겉자락(3a)의 단추가 단추구멍의 긴 구멍에 대한 위치에 따라, 겉자락(3a)이 속자락(3b)에 대하여 바지(1)의 허리사이즈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즉단추구멍(31ax)이 바지(1)의 허리사이즈방향으로 늘린 성분을 갖는 긴 구멍이므로, 겉자락(3a)의 단추가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구속되는 일이 없다.In this case, when the buttonhole 31a is fastened to the button of the outer hem 3a, the button of the outer hem 3a is position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ner hem 3b of the buttonhole 31a, and the outer hem 3a Cannot move in a direction further away from the inner hem 3b.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of preventing the increase in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However, in the pants 1 of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27, the button hole 31ax is an elongated hole extending substanti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in FIG. 27, as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the button of the outer hem 3a can move to various positions of the buttonhole 31ax, and the button of the outer hem 3a is positioned to the long hole of the buttonhole. The position where the outer hem 3a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pants 1 in the waist siz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hem 3b can be changed. That is, since the button hole 31ax is a long hole having a component extending in the waist size direction of the pants 1,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s restr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which the button of the outer hem 3a can move. There is no work.

또, 단추구멍(31ax)의 구멍을 꿰매붙이는 등의 가공은, 재봉틀 등을 사용한 기계가공이어도 좋고, 손작업에 의한 가공이라도 좋다. 특히 걸림부재에 의한 조절이 자유로운 범위가 커져 단추구멍(31ax)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의 재봉틀로서는 대응할 수가 없고, 특수한 재봉틀을 도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손작업에 의한 가공쪽이 유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sewing the hole of the button hole 31ax, etc. may be machine processing using a sewing machine etc., and may be process by hand work.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range of free adjustment by the locking member becomes large and the length of the button hole 31ax is long, it may not be possible to use a sewing machine in which the length is relatively short, and a special sewing machine may be introduced. In this case, machining by hand is advantageous.

이와 같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exhibit the following effects.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앞부분(3)의 상단의 걸림부재(100)에 의한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한 상태로 걸림부재(100)에 의해 앞부분(3)의 상단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3)의 상부보다 밑을 향하여 소정위치까지의 영역『겉자락(3a)과 지퍼 (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 사이에 조절포(21)가 꿰매붙여져 있는 영역』에서는, 조절포(21)의 중합부(21a)를 늘일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겉자락(3a)의 단추(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는 걸이구(31)의 단추구멍(31a)이 대략 수평방향성분을 갖는 긴 구멍이기 때문에, 겉자락(3a)의 단추(도시하지 않음)가 걸이구(31)의 단추구멍(31a)의 긴 구멍에 대한 위치에 대응하여, 겉자락(3a)이 속자락(3b)에 대하여 바지(1)의 허리사이즈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위치를 바꿀 수 있다. 그 때문에 겉자락(3a)의 단추가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걸이구(31)가 바지(1)의 허리사이즈의 신축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dimension of the waist 2 of the pants 1, at the engaging portion by the locking member 100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3, the waist 2 of the pants 1 is removed. The dimension can be enlarged.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3 may be coupled by the locking member 100 in a state adjusted to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erson wearing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n addition, in the area "upward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3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adjusting cloth 21 is sewn between the outer edge 3a and the zipper tape Fa which becomes the seam allowance of the zipper F ",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can be increased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that can extend the polymerization portion 21a of the adjusting cloth 21.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hole 31a of the hook tool 31 which hangs on the button (not shown) of the outer hem 3a is a long hole which has a substantially horizontal component, the button (not shown) of the outer hem 3a hang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hole 31a of the sphere 31 with respect to the long hole, the position where the outer hem 3a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pants 1 in the waist siz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hem 3b can be changed. . Therefore,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n which the button of the outer hem 3a can move, the hanger 3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tretching of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또한, 겉자락(3a)에 꿰매붙여진 지퍼테잎(Fa)의 상단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붙여져 있거나, 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상단에 맞추어 조절포(21)에만 꿰매어져 있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로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조절되는 구간은, 바지(1)의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해 조절포(21)를 구비하는 부분까지 완전히 연결되어, 바지(1)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함이 더욱 저감되며, 앞부분(3)의 주위가 당겨짐으로써 보기에 나빠지는 일도 한층 더 줄어든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sewed on the outer hem 3a is inside the waist lining 2a in an inclined state toward the outside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s shown in FIG. As it is sewn and sewn or as shown in FIG. 24,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is adjusted to the zipper tape Fa because it is sewn only on the adjustment cloth 21 in accordance with the upper end of the adjustment cloth 21. The portion sewn with the fabric 21 can move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outer hem 3a. Therefore, the section in which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s adjusted is completely connec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pants 1 to the part including the adjusting cloth 21 downward, and the crampedness when the pants 1 are worn is It is further reduced, and the worsening of the view is further reduced by pulling the periphery of the front part 3.

즉,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부(2)의 치수가 커지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허리둘레 근방의 주위 치수도 커진다. 그 때문에 허리부에만 치수의 여유가 있다고 해서, 갑갑함에서 탈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7의 바지(1)에 의하면,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의 변화분 뿐만 아니라, 허리둘레 근방의 치수의 변화분까지 대응하여 바지(1)의 각 부의 허리부(2)가 커지게 되어, 갑갑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또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부족하여 앞부분(3) 주위가 당겨져서 보기에 나빠지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mension of the waist part 2 of a wearer becomes large, the peripheral dimension of the vicinity of a waist circumference grows accordingly. For this reason, having a margin of dimension only at the waist cannot escape from crampednes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ants 1 of the seventh embodiment, not only the change in the waist size of the wearer but also the change in the size in the vicinity of the waist, the waist 2 of each part of the pants 1 It grows big and doesn't feel cramped. In addition,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s insufficient to be pulled around the front portion (3) can also be prevented to look bad.

실시형태 8Embodiment 8

다음에, 실시형태 8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8 will be described.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Fig. 2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9 is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control cloth of the attached garment. Fig. 3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겉자락(3a)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넣어지는 위치를,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로부터 겉자락 (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먼쪽의 끝단부로 바꾼 것이다.As shown in FIGS. 28-30,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8 is a hem which sews the width direction edge part of the adjustment cloth 21 in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3a) The position where the cutout portion 4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ing is chang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end portion close to the edge edge of the outer edge 3a is sewn from the edge edge of the outer edge 3a. .

즉, 실시형태 8에 관한 바지(1)에서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 (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먼쪽의 끝단부를 절취부 (4)에 끼워넣고 뒷쪽에서 꿰매붙이고 있다. 또한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폭부분을 산모양으로 접어 2장을 겹친 상태로 꿰매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절포(21)의 절취부(4)에 끼워넣는 쪽의 끝단부가 다르지만, 조절포(21)의 절취부(4)에 끼워넣는 쪽의 끝단부는, 꿰매붙인 곳이 은폐되어, 접촉하였을 때에거부감이 없고 보기에도 좋다.That is,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30, the end portion of the widthwise end por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 that is farther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i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4. Put and sew from the back. Moreover, as shown in FIG. 27, the edge part of the edge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 which is close to the edge of the hem 3a is sewn in the state which folded the predetermined width part in a mountain shape, and overlapped two pieces. have.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nd part of the side which fits into the cutout part 4 of the adjustment cloth 21 is different, the end part of the side which fits into the cutout part 4 of the adjustment cloth 21 hides the stitched place, When touched, there is no feeling of rejection and good to see.

실시형태 9Embodiment 9

다음에, 실시형태 9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9 will be described.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Fig. 3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control cloth of the attached garment. Fig. 3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1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넣어지는 위치를,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만으로,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로 바꾼 것이다. 즉 실시형태 3에 관한 바지 (1)에서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안감에는, 세로방향으로 2개의 절취부(4)가 형성되어,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가 다른 절취부(4)에 끼워지고 뒷쪽에서 꿰매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가 절취부(4)에 끼워져서 은폐되어 있어, 보기에도 매우 좋다.31 to 33,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is the cutout portion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ing of the outer hem 3a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position which sews the edge part of the width direction edge part of the control cloth 21 which is close to the edge edge of the outer hem 3a in the position where the paddle is inserted, sews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rol cloth 21 in the width direction. Changed to position. That is,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29, two cutouts 4 are formed in the lining of the outer hem 3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provided. Both ends are fitted to the other cutout 4 and sewed from the back. In this embodiment,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 are inserted in the cutout part 4, and it is concealed, and it is also very good to see.

실시형태 10Embodiment 10

다음에, 실시형태 10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0 will be described.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Fig. 3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5 is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control cloth of the attached garment. Fig. 3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서는, 겉자락 (3a)의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를 넣고,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를 절취부(4)에 끼워넣어 꿰매붙이고 있었으나, 실시형태 10에 관한 바지(1)에서는, 도 34∼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안감에 절취부(4)를 만드는 것을 그만두고,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를 겉자락(3a)의 안감에 직접 꿰매붙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조절포(21)의 겉자락(3a)에 꿰매붙이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cutout portion 4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ing of the outer hem 3a, and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placed on the cutout portion 4.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4 to 36, the cutout 4 is stopped in the lining of the outer hem 3a, and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inserted. Both ends of the direction are directly sewn onto the lining of the outer hem 3a. By doing in this way, the operation to sew to the hem 3a of the adjustment cloth 21 becomes easy.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퍼(F)의 겉자락(3a) 쪽에 꿰매붙여져 있는 지퍼테잎 (Fa3)의 상단을,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만큼 바깥방향을 향하여 각도 θ로 경사지는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 조절포(21)에 꿰매붙여도 좋다. 즉 조절포(21)에 각도 θ로 윗쪽이 열리도록 지퍼테잎(Fa3)을 꿰매붙임으로써,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100B)의 걸림상태에 따른 변화량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100B)의 걸림상태에 따른 변화량이, 조절포(21)와 지퍼테잎(Fa)을 꿰매붙임으로써 얻을 수 있으므로, 조절포(21)에 각도 θ= 0으로서 평행하게 지퍼테잎(Fa)을 꿰매붙인 것에서는, 쓸데 없이 남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앉을 때, 떠오르는 부분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조절포(21)에 각도 θ로 윗쪽이 열리도록 지퍼테잎(Fa3)으로 꿰매붙임으로써, 훅크구성체(100A)와 고리구성체 (100B)의 걸림상태에 따른 변화량을 얻을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남는 부분이 생기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zipper tape Fa3 sewn on the side of the hem 3a of the zipper F is inclined at an angle θ toward the outside in the outward direction by the hem 3a, as shown in FIG. 35. The inner side of the lining 2a may be fitted and sewed onto the adjusting cloth 21. That is, by sewing the zipper tape Fa3 so that the upper side is opened to the adjusting cloth 21 at an angle θ,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mount of change depending on the hooking state of the hook structure 100A and the ring structure 100B. In particular, since the amount of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hooking state of the hook structure 100A and the ring structure 100B can be obtained by sewing the adjusting cloth 21 and the zipper tape Fa, the angle is set to 0 at the adjusting cloth 21. In the case of stitching the zipper tape Fa in paralle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floating part occurs when sitting, but the zipper tape Fa3 is opened so that the upper side is opened at an angle θ on the adjusting cloth 21. By sewing, the amount of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locked state of the hook structure 100A and the ring structure 100B can be obtained, and the remain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does not occur.

또, 실시형태 8∼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도, 지퍼(F)의 겉자락(3a) 쪽에 꿰매붙여져 있는 지퍼테잎(Fa)의 상단을, 도 28, 도 3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지퍼테잎(Fa1)과 같이, 가장자리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 꿰매붙여도 좋다. 또는 도 29, 도 32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지퍼테잎(Fa2)과 같이, 조절포(21)의 상단에 맞추어 조절포(21)에만 꿰매붙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로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바지(1)의 허리둘레가 조절되는 구간은, 바지(1)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조절포(21)를 구비하는 부분까지 연속하여, 바지(1)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함이 없어지고, 앞부분(3)의 주위가 잡아 당겨짐으로써 보기가 나빠지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쓸데 없이 남는 부분이 생기는 일도 없다.Moreover, also in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8-10,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sewed on the hem 3a side of the zipper F is shown to FIG. 28, FIG. Like the zipper tape Fa1 of the shape, it may be sewn on the inside of the waist lining 2a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edge outward direction. Alternatively, as with the zipper tape Fa2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9 and 32, the fabric may be sewn only on the adjustment fabric 21 in accordance with the upper end of the adjustment fabric 21. By doing in this way,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does not prevent the part sewn with the adjusting cloth 21 of the zipper tape Fa from moving outward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1) is adjusted, continuously from the top of the pants (1) to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control cloth 21, there is no crampiness when wearing the pants (1) By pulling around the front part 3, the view does not worsen. Also, there is no useless part left.

또, 실시형태 8∼10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Moreover, in the other structure of the pants 1 concerning Embodiment 8-10,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pants 1 concerning Embodiment 7, and exhibit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concerning Embodiment 7. do.

실시형태 11Embodiment 11

다음에, 실시형태 11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1 will be described.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치수조절기구 전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3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the dimension adjusting mechanism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서는, 바지(1)에 있어서, 걸림부재(100)는 허리부(2)를 따라 나열되도록 속자락(3b)의 상부에 고정부착된 고리구성체(100B)와, 겉자락(3a)의 상부에 고정부착되어 고리구성체(100B)의 복수의 고리부(141,142,143)로 위치를 바꿔서 거는 훅크구성체(200A)로 이루어지며, 바지(1)의 허리부(2)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고리구성체(100B)는, 예컨대 실시형태 1의 고리구성체(100B)의 고리부(141,142)에 또한 벌써 1개의 고리부(143)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 (100)에 있어서도, 바지(1)의 앞부분(3)의 상단을 단순히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허리부(2)의 치수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한다. 그 때문에 걸림부재(100)에 의하면,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치수에 맞추어 조절한 상태에서 앞부분(3)의 상단을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7, 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in the pants 1, the locking member 100 is arranged along the waist 2 so as to be arranged along the waist 3b. The hook structure 100B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hook structure 200A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hem 3a to be replaced by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141, 142, and 143 of the ring structure 100B. The waist 2 of (1) is engaged. In addition, the ring structure 100B can be configured by, for example, adding one ring portion 143 to the ring portions 141 and 142 of the ring structure 100B of the first embodiment. Also in such a locking member 100,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3 of the pants 1 is not only detachable and freely coupled, but also allows the dimension of the waist 2 to be freely adjusted in a predetermined range. Therefore, according to the locking member 100,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3) in a state adjusted to the waist size of the person wearing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또, 실시형태 1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의 걸림부재 (100)는, 실시형태 8 내지 실시형태 1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 1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member 100 of the pants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may be used for a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to the tenth embodiment. In the other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11,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and exhibit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실시형태 12Embodiment 12

다음에, 실시형태 12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2 will be described.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0은 도 39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1은 도 4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2는 도 41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38: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structure of the adjustment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2 of this invention. 3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wing process of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0 is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ewing process of the adjusting cloth of the attached garment, FIG. 41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ewing process of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2 of this invention following FIG. 40, FIG. FIG. 4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41.

도 38∼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가,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닫히(겹쳐지)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로 된 판형상의 고무(22)를 구비한 것이다. 고무(22)의 한끝단은,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먼쪽의 꿰매붙임위치에 꿰매붙여져 있다. 고무(22)의 다른 끝단은, 고무(22)가 수축한 상태에서, 지퍼테잎(Fa)의 조절포(21)로의 꿰매붙임위치에 함께 꿰매붙여져 있다.As shown in FIGS. 38-42,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2 is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and the polymerization part 21a of the adjustment cloth 21 is closed (overlapping) It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rubber (22) made of a shape holding member for applying a force. One end of the rubber 22 is sewn to the sewing position farther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mong the widthwise ends of the adjusting cloth 21. The other end of the rubber 22 is sewn together at the sewing position of the zipper tape Fa to the adjusting cloth 21 in the state in which the rubber 22 is contracted.

구체적으로는,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에 조절포(21)의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먼쪽이 되는 끝단부를, 고무(22)의 한끝단과 함께 겉자락(3a)을 따라 꿰매붙인다. 다음에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가 겉을 보이도록 뒤집어, 조절포(21)의 겉으로 폭방향의 대략 중앙을 따라 지퍼(F)의 지퍼테잎(Fa)을 꿰매붙이고, 동시에 조절포(21)의 뒷쪽에서 고무(22)의 다른 끝단을 지퍼테잎(Fa)의 꿰매붙임위치에 꿰매붙인다. 이 때 고무(22)는 수축한 상태이다. 다음에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겉자락(3a)의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절취부(4)에 끼워넣어 뒷쪽에서 꿰매붙인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9, the edge part which becomes farther than the edge edge of the outer edge 3a of the control cloth 21 is sewn along the outer edge 3a with one edge of the rubber | gum 22 at first. Next, as shown in FIG. 40, the adjusting cloth 21 is turned upside down, and the zipper tape Fa of the zipper F is sewn along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adjusting cloth 21,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of the rubber 22 is sewn to the sewing position of the zipper tape Fa at the rear side of the adjusting cloth 21. At this time, the rubber 22 is in a contracted state. Next, as shown in FIGS. 41 and 42, the cutout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ing of the outer hem 3a of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close to the edge of the outer hem 3a ( 4) and sew from the back.

이 본 실시형태 12의 구성에 의하면, 도 33에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F)를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으로 당기면,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확대되고, 중합부(21a)가 넓어짐에 따라, 고무(22)가 당겨져서 늘어난다. 반대로 지퍼(F)를 화살표 X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확대된 중합부 (21a)는 고무(22)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중합부(21a)가 원래의 봉제상태로 되돌아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중합부(21a)가 실수로 열린 상태로 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바지(1)의 허리하부 주위의 치수가 너무 늘어나, 바지(1)가 헐렁해져서 주름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원래의 봉제상태로 되돌아가기 쉽도록 힘을 가하는 고무(22)는, 본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형태 8 내지 실시형태 1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구비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8 내지 실시형태 12에 관한 바지(1)가 조절포(21)의 중합부 (21a)를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고무(22)를 구비하여도 본 실시형태 12에 대한 바지(1)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실시형태 12에 관한 바지 (1)에서는,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닫히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는 고무(22)이지만, 형상유지부재로서는, 조절포(21)에 형상기 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섬유를 짜넣는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12, when the zipper F is pulled outward of the edge of the outer edge 3a as shown by the arrow X in FIG. 33, the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part 21a of the adjustment cloth 21 will be made. As it expands and the polymerization portion 21a is widened, the rubber 22 is pulled out and stretched. On the contrary, upon releasing the pulling force of the zipper F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the expanded polymerized portion 21a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ubber 22 shrinks, so that the polymerized portion 21a returns to the original sewing state. Easier Therefore, the case where the polymerization part 21a is accidentally opened is prevented, the dimension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pants 1 increases too much, and the pants 1 do not loosen and wrinkles do not arise. Moreover, the rubber | gum 22 which applies the force so that the superposition | polymerization part 21a of the adjustment cloth 21 will return to the original sewing state is not only this embodiment but the waist size adjustment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8-12. Clothing with a mechanism may be provided.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even if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eighth to twelve embodiments include the rubbers 22 that apply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lymerization portions 21a of the adjusting cloth 21 overlap each other ( It has the same effect as 1).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the shape holding member that applies a force to close the polymerization portion 21a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rubber 22, but the shape holding member is the adjusting cloth 21. It can be in the form of, for example, weaving a fiber made of a shape-memory alloy.

요컨대, 각 실시형태 7∼12의 구성에 의하면, 걸림부재(100)에 앞부분(3) 상단의 결합부분으로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3)의 상부보다 밑을 향하여 소정 위치까지의 영역『겉자락(3a)과 지퍼(F)의 시접으로 되는 지퍼테잎(Fa) 사이에 조절포(21)가 꿰매붙여져 있는 영역』에서는, 조절포(21)의 중합부(21a)를 늘일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가 길어질 수 있다. 그 때문에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의 변화분뿐만 아니라 허리둘레 근방의 치수의 변화분까지,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따라 바지(1)의 각 부의 허리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바지(1)의 허리부(2) 뿐만 아니라, 그 허리의 하부주위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바지(1)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한 느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부족하여 앞부분(3)의 주위가 잡아 당겨져서 보기에 싫어지는 경우도 없다.That i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each embodiment 7-12, it can be adjusted to the waist circumference dimension of the person who wears the waist circumference dimension of the pants 1 by the engaging part of the upper part 3 upper end to the locking member 100. Furthermore, in the area "upward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3"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adjusting cloth 21 is sewn between the hem 3a and the zipper tape Fa which becomes the seam allowance of the zipper F", Waist circumference dimension of the pants 1 can be lengthened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which can extend the polymerization part 21a of the adjusting cloth 21. Therefore, the waist size of each part of the pants 1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wearer, not only the change in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wearer, but also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waist circumference. For example, the dimension of not only the waist 2 of the pants 1 but also the lower periphery of the waist can be enlarged. Therefore, the feeling of crampiness when wearing the pants 1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s not enough to be pulled around the front part (3) is not hate to see.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걸이구(31)를 갖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걸이구(31)를 갖지 않은 바지(1)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숙녀복에는 사용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신사복에도 사용을 생략할 수도 있다.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it has a hanger 31. However, in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ts 1 without the hanger 31 are also implemented. can do. In particular, it is not commonly used for ladies' wear, but may be omitted for men's wear.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조절포(21)를 균일폭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조절포(21)의 상단의 폭을 널리, 하단의 폭을 좁게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포(21)가 겉자락(3a)에장착되는 영역은, 겉자락(3a)의 윗쪽보다 아래쪽을 향하여 그 사이 길이의 대략 1/3∼1/2의 위치까지이지만, 조절포(21)의 상단의 폭이 넓고, 하단의 폭이 좁아지게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아래쪽은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생략하지 않아도 상관없다.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adjusting cloth 21 has a uniform width. However, in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widely used, a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clothes. It can also be carried out narrowing. In addition, the area where the adjusting cloth 21 is attached to the outer hem 3a is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em 3a to the position of about 1/3 to 1/2 of the length therebetween, but Since the upper width is wider and the lower width is narrower, the lower part can be omitted. Of course you don't have to omit it.

실시형태 13Embodiment 1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를 사례로서 설명하지만, 퀼로트 스커트 등의 각종 스커트에 있어서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스커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Here,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ants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but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in various skirts such as a quilted skirt is attached. The same applies to the skirt.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걸이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43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ain portion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6 is attached to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of a garment and the adjustable cloth. Fig. 4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hook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3∼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부착된 의복으로서의 바지(1A)는, 실시형태 7의 바지(1)와 동일하지만, 앞부분(3)의 상단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는 걸고리 훅크(11)를 구비한다.43 to 48, the pants 1A as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pants 1 of the seventh embodiment, bu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3 is separated. The hook hook 11 which engages freely is provided.

걸고리 훅크(11)는, 고리부재(12) 및 훅크부재(13)로 이루어지며, 겉자락 (3a)의 상부에 고정부착된 가이드부재(14)에,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안쪽방향에 스프링(15)으로서 힘을 가하여 10mm∼3mm의 범위에서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훅크부재(13)를 지지하고, 이 훅크부재(13)를 속자락(3b)의 상부에 고정부착된 고리부재(12)에 걸고, 겉자락(3a)과 속자락(3b)의 각 상부를 이탈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훅크부재(13)가 가이드부재(14)에 안내되어 고리부재(12)에 당겨지는 방향으로 스프링(15)의 가압력을 저항하여 이동하고,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가 길어진다. 즉 고리부재(12) 및 훅크부재(13)로 이루어진 걸고리 훅크(11)는, 바지(1)의 앞부분(3)의 상단을 단지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분에 있어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본 실시형태의 결합구이다.The hook hook 11 is composed of a ring member 12 and a hook member 13, and is attached to the guide member 14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hem 3a,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pplying a force as a spring 15, slide movement freely supports the hook member 13 in the range of 10 mm to 3 mm, and the hook member 13 is attached to the ring member 12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hem 3b. It is a part 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outer hem 3a and the inner hem 3b detach | decouples freely.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ist 2 of the pants 1 is enlarged, the hook member 13 is guided to the guide member 14 and the spring 15 is pulled in the ring member 12. Resist the pressing force of) and the length of the waist 2 of the pants 1 is increased at the engaging portion. That is, the hook hook 11 composed of the hook member 12 and the hook member 13 not only detachably couples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3 of the pants 1, but also the pants 1 in the joining part. It is a coupl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freely adjusts the waist size in a predetermined range.

조절포(21)는, 실시형태 7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며, 걸고리 훅크(11)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구에 의하여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도록 한다. 즉 조절포(21)는 실시형태 7의 것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The adjusting cloth 21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eventh embodiment, and allows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to be freely adjusted by the engaging tool made of the hook hook 11 or the like. That is, the adjusting cloth 21 has the same effects and effects as those of the seventh embodiment.

본 실시형태 13의 바지(1A)에서는,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추구멍 (31ax)은 대략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긴 구멍이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In the pants 1A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48, the button hole 31ax is a long hole extending substanti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it has the same effect and effect as Embodiment 7.

이와 같이,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는,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Thus,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have the same effects and effects as the seventh embodiment.

즉,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앞부분(3)의 상단의 걸고리 훅크(11)에 의한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한 상태에서 걸고리 훅크(11)에 의해 앞부분(3)의 상단을 결합할 수 있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dimension of the waist 2 of the pants 1, the waist 2 of the pants 1 at the engaging portion by the hook hook 11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3 is applied. ) Can be enlarged.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3 can be coupled by the hook hook 11 in the state adjusted to the waist circumference dimension of the person who wears the waist circumference dimension of the pants 1.

실시형태 14Embodiment 14

다음에, 실시형태 14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4 will be described.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FIG. 4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0 is attached to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of a garment and the adjustable cloth. Fig. 5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itched state of a zipper and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9∼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실시형태 8의 관계와 마찬가지의 관계를 실시형태 13에 대하여 갖는다. 즉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에서,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겉자락(3a)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넣어진 위치를, 겉자락(3a)의 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에서 겉자락(3a)의끝단가장자리로부터 먼쪽의 끝단부로 바꾼 것이다.49-51,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4 has the same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Embodiment 13 as the relationship of Embodiment 8 with respect to Embodiment 7. As shown to FIG. That is,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the edges of the outer hem 3a are plac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utouts 4 ar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hem 3a lining to sew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It is changed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to the far en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end near the end is sewn.

실시형태 15Embodiment 15

다음에, 실시형태 15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5 will be described.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Fig. 5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15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3 is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15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control cloth of the attached garment. Fig. 5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15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2∼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실시형태 9의 관계와 마찬가지의 관계를 실시형태 13에 대하여 갖는다. 즉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가 넣어진 위치를,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쪽의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만으로, 조절포 (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로 바꾼 것이다.As shown in FIGS. 52-54,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5 has the same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Embodiment 13 as the relationship of Embodiment 9 with respect to Embodiment 7. As shown to FIG. That is,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the position where the cutout portion 4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m 3a lining is the end of the hem 3a among the widthwise ends of the adjusting cloth 21. Only the position which sews the edge part near the edge is changed into the position which sews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ment cloth 21.

실시형태 16Embodiment 16

다음에, 실시형태 16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6 will be described.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다.Fig. 5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6 is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other example of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control cloth of the attached garment. Fig. 5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각 실시형태 13∼1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서는, 겉자락(3a) 안감의 세로방향으로 절취부(4)를 넣어,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를 절취부(4)에 끼워넣어 꿰매붙이고 있었으나, 실시형태 16에 관한 바지(1)에서는, 실시형태 10와 같이 도 55∼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안감에 절취부 (4)를 형성하지 않고, 조절포(21)의 폭방향의 양 끝단부를 겉자락(3a)의 안감에 직접 꿰매붙이고 있다.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3 to 15, the cutout portion 4 is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hem 3a lining, and the cutout portion 4 is disposed at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ment cloth 21.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5 to 57 like the tenth embodiment, the cutouts 4 are not formed in the lining of the outer hem 3a.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 are directly sewn onto the lining of the outer hem 3a.

또, 실시형태 14∼16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Moreover, in the other structure of the pants 1 concerning Embodiment 14-16,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pants 1 concerning Embodiment 13, and exhibit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concerning Embodiment 13. do.

실시형태 17Embodiment 17

다음에, 실시형태 17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7 will be described.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치수조절기구 전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5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the dimension adjusting mechanism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A)에서, 결합구로서의 걸고리 훅크(11)를 복수의 걸림위치를 가지는 걸고리 훅크(41)로 바꾼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결합구로서의 걸고리 훅크(41)는, 허리부(2)를 따라 나열되도록 속자락(3b)의 상부에고정부착된 고리부재(42)와, 겉자락(3a)의 상부에 고정부착되어 고리부재(42)의 복수의 고리구멍에 위치를 바꿔서 거는 훅크부재(43)로 이루어지며, 바지(1)의 허리부(2)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걸고리 훅크(41)에 있어서도, 바지(1)의 앞부분(3)의 상단을 단지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할 뿐만 아니라 허리부(2)의 치수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를 구성한다. 그 때문에 걸고리 훅크 (41)에 의하면, 바지(1)의 허리둘레 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한 상태에서 앞부분(3)의 상단을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8,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eenth embodiment includes the hook hook 11 serving as a coupler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ositions in the pants 1A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It changed to the hook 41. The hook hook 41 serving as the engaging too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ly attached to the loop member 42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hem 3b and the upper part of the outer hem 3a so as to be arranged along the waist 2. It consists of a hook member 43 hanging by changing the position in the plurality of ring holes of the ring member 42, it is to engage the waist 2 of the pants (1). Also in this hook hook 41,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3 of the pants 1 is not only detachable freely, but also constitutes the engaging tool which can adjust the dimension of the waist part 2 in a predetermined range. . Therefore, according to the hook hook 41,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3 can be combined in the state which adjusted to the waist size of the person who wears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또, 실시형태 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바지의 걸고리 훅크 (41)는, 실시형태 14∼1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 17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The hook hook 41 of the pants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eenth embodiment may be used for clothes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s. In the other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17,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3, and show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3.

실시형태 18Embodiment 18

다음에, 실시형태 18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8 will be described.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1은 도 60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2는 도 61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3은 도 62에 이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봉제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5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 for adjusting clothes of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wing process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8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1 is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8 of the present invention. 6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ewing process of the adjustable cloth of the attached garment, FIG. 6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61; FIG. 6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ewing process of the adjusting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llowing FIG. 62.

도 59∼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12와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13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의 중합부(21a)가 닫히도록 힘을 더하는 형상유지부재를 이루는 판형상의 고무(22)를 구비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59-63,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8 is the polymer part of the adjustment cloth 21 in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3 similarly to Embodiment 12 It is provided with the plate-shaped rubber 22 which comprises the shape holding member which adds a force so that 21a may be closed.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 12와 같이 도 60∼도 63의 공정에서, 고무(22)의 다른 끝단을 지퍼테잎(Fa)의 꿰매붙임위치에 꿰매붙인다.Specifically, the other end of the rubber 22 is sewn to the sewing position of the zipper tape Fa in the steps of FIGS. 60 to 63 as in the twelfth embodiment.

이 본 실시형태 18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2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고무(22)는 본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형태 14∼1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 18에 관한 바지(1)에서도, 실시형태 12와 마찬가지로, 형상유지부재로서 조절포(21)에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짜넣는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eighteen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nd effects as the twelf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The rubber 22 may include not only the present embodiment but also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4-17. Also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eightee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twelfth embodiment, the shape retaining member can be formed by incorporating a fiber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into the adjusting fabric 21.

요컨대, 각 실시형태 13∼18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7∼12와 마찬가지로 걸고리 훅크(11) 및 걸고리 훅크(41)로 이루어지는 결합구에 의해서 앞부분(3)의 상단의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둘레치수를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어,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embodiments 13 to 18, the pants 1 at the engaging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3 by the engaging tool composed of the hook hook 11 and the hook hook 41 as in the embodiments 7 to 12. The waist size can be adjusted to the waist size of the person who wears it.

상기 실시형태 13∼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12와 같이조절포(21)를 균일폭의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조절포(21)의 상단의 폭을 널게, 하단의 폭을 좁게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포(21)가 겉자락(3a)에 형성되는 영역은, 겉자락(3a)의 윗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그 사이 길이의 대략 1/3∼1/2의 위치까지이지만, 조절포(21)의 상단의 폭이 넓고, 하단의 폭이 좁아지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아래쪽에 있어서는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생략하지 않아도 상관없다.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3 to 18, the adjusting cloth 21 has a uniform width as in the embodiments 7 to 12, but in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cloth 21 It can also be carried out by making the width of the top of a) wide and making the width of the bottom narrow. In addition, the area | region in which the adjusting cloth 21 is formed in the outer hem 3a is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em 3a to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position of about 1/3-1/2 of the length in between, but of the adjusting cloth 21 The width of the top is wider, and the width of the bottom is narrower, so it can be omitted at the bottom. Of course you don't have to omit it.

실시형태 19Embodiment 19

다음에, 실시형태 19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19 will be described.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6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A)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1)까지는 일정하고, 거기에서 하단(21b)까지의 길이(L2)의 구간에서는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4,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nineteenth embodiment is uniform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when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A is from the upper end to the length L1. In the section of the length L2 from there to the lower end 21b, it becomes gradually thinner.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서는, 도 23∼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 (21)의 폭이 하단까지 일정하고, 조절포(21)에 꿰매붙여진 지퍼테잎(Fa)은 조절포 (21)가 도중에서 끊긴 부분에서는 겉자락(3a)에 직접 꿰매붙여져 있다. 여기서 조절포(21)의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조절포(21)의 하단에서 지퍼테잎(Fa)의 변위가 자유로운 부분과 고정된 부분의 사이에서 단차가 생겨 변형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조절포(21)의 형상변화시에 이 부분에 주름이 지고, 또한 거부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3 to 25,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constant to the lower end, and the zipper tape Fa sewed on the adjusting cloth 21 is made of the adjusting cloth ( In the part which 21) cut off in the middle, it is sewn directly to the outer hem 3a. Since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constant, a step occurs between the free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of the displacement of the zipper tape Fa at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the deformation occurs. For this reason, when the shape change of the adjusting cloth 21 changes, this part may wrinkle, and a rejection may arise.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1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는,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포(21A)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1)만큼 내려간 위치에서 길이(L2)의 구간에 걸쳐서 점차로 가늘어지며, 조절포(21)의 하단 (21b)의 폭은 상단에 비해서 훨씬 작아졌다. 이에 따라 조절포(21)의 하단(21b)에서의 지퍼테잎(Fa)의 단차가 거의 없어져서, 상기 변형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주름·거부감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ninete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64, the section of the length L2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A is lowered by the length L1 from the upper end. It gradually tapered over, a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21b of the control cloth 21 became much smaller than the upper end. Thereby, the step of the zipper tape Fa at the lower end 21b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almost eliminated, and the said deformation | transformation can be eliminated, and defects, such as wrinkles and rejection, can be prevented.

본 실시형태 19에 있어서의, 조절포(21A)의 폭이 일정한 구간의 길이(L1), 조절포(21)의 폭이 가늘어지는 구간의 길이(L2) 및 조절포의 길이(L1+L2)와 하단 (21b)의 폭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L1= 0로서 조절포(21)의 상단에서 폭이 가늘게 되어 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하단(21b)의 폭을 제로로 하여 조절포(21)가 자연스럽게 소멸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19, the length L1 of the s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A is constant, the length L2 of the s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tapered, and the length of the adjusting cloth (L1 + L2) The widths of the lower and lower ends 21b can be freely set. In addition, the width becomes thinner at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as L1 = 0, or the width of the lower end 21b may be zero so that the adjusting cloth 21 may naturally disappear.

또, 본 실시형태 19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의 폭을 변화시키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실시형태 8 내지 실시형태 1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조절포(21)의 폭을 변화시켜도 좋다. 본 실시형태 19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In the nineteenth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 is changed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ut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h to eighteenth embodiments is described. In the attached garment,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 may be changed similarly. In the other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19,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and exhibit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실시형태 20Embodiment 20

다음에, 실시형태 20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0 will be described.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조절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6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djusting cloth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B)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3)까지는 일정하고, 거기에서 하단(21b)까지의 길이(L4)의 구간에서는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절포(21)의 폭방향 끝단부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 끝단부를 꿰매는 위치에는, 겉자락(3a)의 세로방향으로 조절포(21B)의 폭 변화에 대응한 형상의 절취부(4)가 형성되어 있고, 절취부(4)에 조절포(21B)의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 가까운 끝단부가 끼워넣어져 뒷쪽에서 꿰매여져 있다.As shown in FIG. 65,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0 is uniform in the pants 1 concerning Embodiment 7,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adjustment cloth 21B is constant from the upper end to the length L3. In addition, in the section of the length L4 from there to the lower end 21b, it becomes thin gradually. Moreover, in the position which sews the edge part close to the edge of the hem 3a among the width direction edge parts of the adjustment cloth 21, the cutout part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dth change of the adjustment cloth 2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m 3a ( 4) is formed, and the edge part close to the edge of the outer edge 3a of the control cloth 21B is inserted in the cutout part 4, and it is sewed from the back side.

따라서, 실시형태 2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는, 조절포(21B)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3)만큼 내려간 위치로부터 길이(L4)의 구간에 걸쳐서 점차로 좁아져 있고, 조절포(21B)의 하단(21b)의 폭은 상단에 비해서 훨씬 작아져 있다. 이에 따라 조절포(21B)의 하단(21b)에서의 지퍼테잎(Fa)의 단차는 거의 없어져서, 왜곡을 해소할 수 있고, 주름·거부감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ieth embodiment,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B is gradually narrowed over the section of the length L4 from the position where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B is lowered by the length L3 from the upper e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21b of the fabric 21B is much smaller than the upper end. As a result, the step of the zipper tape Fa at the lower end 21b of the adjusting cloth 21B is almost eliminated, so that distortion can be eliminated and defects such as wrinkles and rejec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절취부(4)에 끼워진 조절포(21B)의 끝단부는, 꿰매붙인 곳이 은폐되어, 접촉할 때에 거부감이 없고, 그 모양이 좋아진다.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adjusting cloth 21B sandwiched by the cutout portion 4 is concealed, and there is no objection when contacting, and the shape is improved.

본 실시형태 20에 있어서의, 조절포(21B)의 폭이 일정한 구간의 길이(L3), 조절포(21B)의 폭이 가늘게 되는 구간의 길이(L4) 및 조절포의 길이(L3+L4)와 하단(21b)의 폭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L3=0로서 조절포(21)의 상단에서 폭이 가늘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하단(21b)의 폭을 제로로 하여 조절포(21B)가 자연스럽게 소멸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20, the length L3 of the s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B is constant, the length L4 of the s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B becomes thin, and the length of the adjusting cloth (L3 + L4) The width of the lower end 21b can be set freely.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lower end 21b may be set to be narrower at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21 as L3 = 0, or the adjusting cloth 21B may be configured to naturally disappear.

본 실시형태 20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In the other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20, it is comprised like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and exhibit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실시형태 21Embodiment 21

다음에, 실시형태 21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1 will be described.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지퍼 및 조절포의 꿰매붙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66: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stitched state of the zipper and adjustment cloth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1 of this invention.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C)의 폭이 상단에서 길이(L5)까지는 일정하고, 거기에서 하단(21b)까지의 길이(L6)의 구간에서는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조절포(21C)의 길이(L5+L6)가 길게 잡혀 있고, 하단 (21b)은 겉자락(3a)의 하단 근방까지 이른다. 그리고 조절포(21C)의 폭이 가늘어지는 구간의 길이(L6)도 길게 함으로써, 조절포(21C)의 폭 변화가 매우 완만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6,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first embodiment is uniform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when the width of the adjusting cloth 21C extends from the upper end to the length L5. In addition, in the section of the length L6 from there to the lower end 21b, it becomes thin gradually. The length L5 + L6 of the adjustment cloth 21C is hold | maintained here, and the lower end 21b reaches near the lower end of the outer hem 3a. And the width | variety change of the adjustment cloth 21C becomes very gentle by lengthening the length L6 of the section where the width | variety of the adjustment cloth 21C becomes thin.

이와 같이, 실시형태 21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는, 조절포(21C)의 폭 변화를 매우 완만하게 유지하면서, 조절포(21C)의 하단 (21b)의 폭을 상단에 비해서 훨씬 작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조절포(21C)의 형상변화의 연속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조절포(21C)의 하단(21b)에서의 지퍼테잎 (Fa)의 단차를 거의 없게 하여 왜곡을 해소할 수 있고, 주름·거부감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first embodiment, the width of the lower end 21b of the adjustment cloth 21C is compared with the upper end while keeping the width change of the adjustment cloth 21C very gently. It is much smaller. Thereby, the step of eliminating the step of the zipper tape Fa at the lower end 21b of the adjusting cloth 21C can be eliminated without damaging the continuity of the shape change of the adjusting cloth 21C, and the wrinkles can be eliminated. · Defects such as rejection can be prevented.

본 실시형태 21에 있어서도, 조절포(21)의 폭이 일정한 구간을 없애고 조절포(21C)의 상단에서 폭이 좁아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하단(21b)의 폭을 제로로 하여 조절포(21C)가 자연스럽게 소멸하는 듯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Also in this Embodiment 21, the width | variety of the adjustment cloth 21 is removed, the width | variety becomes narrow at the upper end of the adjustment cloth 21C, and the width | variety of the lower end 21b is made into zero, and the adjustment cloth (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21C) naturally disappears.

본 실시형태 2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같이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In the other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21, it is comprised like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and show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실시형태 22Embodiment 22

다음에, 실시형태 22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2 will be described.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의 장식주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67에 있어서는, 허리부 안감(2a)에 장착되는 훅크구성체(100A)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Fig. 6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decorative wrinkles in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FIG. 67, the hook structure 100A attached to the waist lining 2a is not shown.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2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조절포(21)를 꿰매 붙이는 대신에 겉자락(3a)에 장식주름(플래시)(50)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장식주름(50)에 지퍼테잎(Fa)를 꿰매붙인 것이다.As shown in FIG. 67,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is decorated on the outer hem 3a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nstead of the stitching of the adjusting cloth 21. A pleat (flash) 5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zipper tape Fa is sewn on the decorative fold 50.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주름(50)은, 겉자락(3a)의 옷감을 바깥쪽의 접힘부분(50a)과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2곳에서 되접음으로써, 접힘부분(50a)에서 접힘부분(50b)의 구간에서 겹쳐진 부분이 생기게 하고, 이 겹쳐진 부분이 늘어남으로써 걸림부재에 의해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한 것이다.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겹쳐진 부분은 장식주름(50)의 상단에서 가장 폭이 크고,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 작아지며 하단에서 소멸한다.As shown in Fig. 68, the decorative fold 50 is folded back at two places of the outer fold 50a and the inner fold 50b by folding the cloth of the outer hem 3a. In the section of the folded portion (50b) in the overlapping portion, and the overlapping portion is increased by the locking member to freely change the shape of the waist in the range that the adjustment of the size of the pants (1). As shown in Fig. 68, the overlapped portion is the largest at the upper end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becomes smaller as it goes downward, and disappears at the lower end.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지퍼테잎(Fa)은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의 위쪽에서, 겉자락(3a)에 꿰매붙여진다. 한쪽의 지퍼테잎(Fa)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물림돌기(Fb)와 맞물리는 다른쪽의 지퍼테잎(Fa)은, 도시하지 않은 속자락에 꿰매붙여진다. 그리고 바지(1)의 앞부분은, 각 지퍼테잎(Fa)의 복수의 물림돌기(Fb)를 맞물리게 하여 2개의 지퍼테잎(Fa)을 결합하는 슬라이더(Fc)를 상하이동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8, one zipper tape Fa is sewn onto the hem 3a above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folds 50. As shown in Figs. The other zipper tape Fa which meshes with the plurality of stitches Fb arranged along one zipper tape Fa is sewn on an inner hem not shown. 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pants 1 engages and engages the plurality of biting projections Fb of each zipper tape Fa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moving the slider Fc which couples the two zipper tapes Fa together. .

또한,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지퍼테잎(Fa)의 상단은,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서 슬라이딩테잎(60)에 의해 겉자락(3a)의 상단에 꿰매어져 있다. 슬라이딩테잎(60)은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어져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7, the upper end of one zippered tape Fa is sewn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hem 3a by the sliding tape 60 inside the waist lining 2a. The sliding tape 60 is sewn into the inner side of the waist lining 2a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이와 같이 지퍼테잎(Fa)의 장식주름(50)에 꿰매붙여진 부분은, 접혀서 겹쳐진 부분에 의한 여분의 길이의 범위내에서, 도 68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장식주름(50)이 지퍼테잎(Fa)을 통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쪽으로 당겨지는 것으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당겨 늘어나고, 지퍼테잎 (Fa)을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겉자락(3a)에 꿰매어져 있는 슬라이딩테잎(60)은,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져서 꿰매어져 있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의 장식주름(50)으로의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여유있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되므로, 그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The portion sewn to the decorative wrinkles 50 of the zipper tape Fa in this way is within the range of the extra length by the overlapped por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s in FIG. 68,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Towards the outward direction, it can be moved by pulling. That is,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pulled to the outside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through the zipper tape Fa,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fold 50 are stretched, and the zipper tape Fa is stretched to the outer hem 3a. ) Can be moved outward toward the edge of the edge. In addition, since the sliding tape 60 sewn on the outer hem 3a is sewn into the inner side of the waist lining 2a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edge of the outer hem 3a, the zipper tape is sewn. The movement of the stitched portion of the fabric (Fa) to the decorative wrinkles 50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is a movement in a relaxed direction, and therefore does not disturb the movement.

장식주름(50)에 의하면, 슬라이더(Fc)를 올려서 지퍼(F)로 앞부분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 바지(1)의 허리부를 넓히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지퍼테잎(Fa)의 밑으로 장식주름(50)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을 늘일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늘어나고, 허리부의 하부도 그 사이즈가 넓어진다.According to the decorative wrinkles 50, when the slider Fc is lifted up and the front part is closed with the zipper F,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widening the waist of the pants 1, and the decorative wrinkles are under the zipper tape Fa. In the region where 50 is formed,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s increased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where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can be extended, and the size of the lower part of the waist portion is also widened.

또한, 본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도, 도 2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단추구멍(31ax)을 갖는 걸이구(31)를 구비하고 있다.Furthermore,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also have a hooking tool 31 having a buttonhole 31ax as shown in FIG. 27.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는,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가 발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exhibit the same effects and effects as those of the seventh embodiment.

즉, 바지(1)의 허리부(2)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앞부분의 상단의 걸림부재(100)에 의한 결합부분에서, 바지(1)의 허리부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의 상부보다 밑을 향하여 소정위치까지의 영역『지퍼테잎 (Fa)의 밑으로 장식주름(50)이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을 늘일 수 있는 길이의 범위내에서 바지(1)의 허리사이즈를 늘일 수 있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size of the waist 2 of the pants 1, the size of the waist of the pants 1 can be increased at the engaging portion by the locking member 100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have. In addition, in the area "the area where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formed under the zipper tape Fa" u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the range of the lengths in which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can be exten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within.

또한, 겉자락(3a)에 꿰매붙여진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슬라이딩테잎(60)에의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 (2a)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이고 있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지퍼테잎 (Fa)의 장식주름(50)에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조절되는 구간은, 바지(1)의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장식주름(50)이 형성된 부분까지 완전히 연속하여, 바지(1)를 착용하였을 때의 갑갑한 느낌이 더욱 저감되고, 앞부분의 주위가 당겨짐으로써 모양이 나빠지는 것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sewed on the outer hem 3a is inside the waist lining 2a in a stat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by the sliding tape 60. Since the upper part of the zipper tape Fa is sewn and sewed, the part sewn to the decorative fold 50 of the zipper tape Fa can move outward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For this reason,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s adjusted to be completely continuous from the upper end of the pants 1 to the part where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formed. It is further reduced, and it can further reduce that shape deteriorates by pulling around the front part.

즉,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부의 치수가 커지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허리둘레 근방의 주위의 치수도 커진다. 그 때문에 허리부에만 치수의 여유가 있다고 하여, 갑갑한 느낌을 피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 22의 바지(1)에 의하면, 착용하는 사람의 허리둘레 치수의 변화분뿐만 아니라 허리둘레 근방의 치수의 변화분까지 대응하여 바지(1)의 각 부의 허리부가 커지고, 갑갑한 느낌은 들지 않는다. 또한 바지(1)의 허리사이즈가 부족하여 앞부분의 주위가 당겨져서 모양이 나쁘게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waist part of a wearer becomes large, the dimension of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a waist vicinity becomes large accordingly. Therefore, just because there is a margin of dimension only in a waist part, abdominal feeling is inevitab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ants 1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the waist of each part of the pants 1 becomes larger in response to not only a change in the waist size of the wearer but also a change in the size of the waist vicinity. It does not cost In addition, the waist size of the pants (1) is insufficient to be pulled around the front part to prevent the bad shape.

또한, 본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에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 7 내지 실시형태 21의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에 있어서의 조절포(21)의 부착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의복의 겉자락을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되접히는 장식주름(플래시) 가공을 실시할 뿐으로,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공정도 단축되는 점에서, 보다 기간이 짧고 또한 저비용으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을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the garment is not required to be attached and processed 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in each of the seventh to seventeen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ffect can be obtained only by performing the decorative wrinkles (flash) processing which folds the outer edge of the sheet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lso shorten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with a shorter time and at a lower cost.

또, 본 실시형태 22에 있어서는, 의복을 분리 자유롭게 결합하고,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로서, 전술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6에 관한 걸림부재(100)를 사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결합구로서는, 그 외에도 실시형태 13에서 설명한 훅크부재(13)를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형태의 걸고리 훅크(11)나, 실시형태 17에서 설명한 훅크부재(43)를 걸어 두는 복수의 고리구멍을 구비한 형태의 걸고리 훅크(41) 등을 비롯하여, 여러가지의 허리사이즈 조절이 자유로운 결합구의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twenty-second embodiment, the engag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used as a coupler that separates clothes freely and freely adjusts the waist size of the cloth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lthough the case where it was used was demonstrated, in addition, as a coupler, the hook member 13 described in Embodiment 13 resist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5, and the hook hook 11 of the form in which slide movement was supported freely, and embodiment Various hook sizes can be used, including hook hooks 41 and the like having a plurality of hook holes for hanging the hook members 43 described above.

또한, 슬라이딩테잎(60)의 재질로서는, 면테잎, 공단테잎을 비롯하여, 고무, 스판렉스, 스트레치테잎(고무함유 천테잎) 등의 탄성재나 그 외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sliding tape 60,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spanex, stretch tape (rubber-containing cloth tape), and other materials, as well as cotton tape and satin tape, can be used.

또한, 본 실시형태 22에 있어서는, 겉자락(3a)에 꿰매붙인 지퍼테잎(Fa)의 상단은, 슬라이딩테잎(60)에 의해서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이고 있지만, 슬라이딩테잎(60)을 사용하지 않고, 도 6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테잎(Fa)의 상단을 직접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허리부 안감(2a)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22,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sewed to the outer hem 3a is the waist part in the state which inclined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outer hem 3a by the sliding tape 60. As shown in FIG. Although it is sewn on the inner side of the lining 2a and sewed,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is directly directed to the outer edge of the outer edge 3a as shown in FIG. 66 without using the sliding tape 60. In the inclined state, it may be sewn on the inside of the waist lining 2a.

이에 따라, 슬라이딩테잎(60)을 사용하는 일 없이 지퍼테잎(Fa)의 상단이, 지퍼테잎(Fa)의 장식주름(50)에 꿰매붙인 부분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보다 바깥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sewed on the decorative wrinkles 50 of the zipper tape Fa without using the sliding tape 60 is directed outward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prevent movement.

또한, 본 실시형태 22에 있어서는, 지퍼테잎(Fa)은 장식주름(50)을 형성하는 겉자락(3a)의 가장 위쪽의 옷감에만 꿰매붙여져 있고,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을 접은 자국에 따라 꿰매붙이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도 67에 있어서의 좌측의 스티치에 의해서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을 접은 자국을 따라 꿰매붙이도록, 지퍼테잎(Fa)을 장식주름(50)에 꿰매붙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의 접은 자국이 강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이 겉자락 (3a)의 끝단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지고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여지더라도,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의 접은 자국이 지워지는 일 없이 모양이 잘 유지된다. 그리고 지퍼테잎(Fa)으로의 인장력이 개방되면, 즉시 원래의 장식주름(50)의 형상으로 복원된다.In addition, in Embodiment 22, the zipper tape Fa is sewed only to the uppermost fabric of the outer hem 3a which forms the decorative wrinkle 50, and according to the fold mark which folded the outer folded part 50a, It is not in the structure to sew. Accordingly, the zipper tape Fa may be sewn onto the decorative wrinkles 50 so that the outer folded portion 50a is sewn along the folds by the left stitch in FIG. 67. Accordingly, since the folds of the outer folded portion 50a are firmly maintained, even if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toward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nd the folded portion of the decorative fold 50 is elongated, , The shape of the fold 50a of the outer side is well maintained without being erased. And when the tension force to the zipper tape Fa is opened, it is immediately restored to the shape of the original decorative wrinkles (50).

실시형태 23Embodiment 23

다음에, 실시형태 23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3 will be described.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9에 있어서는, 허리부 안감(2a)에 부착되는 훅크구성체(100A)는, 도시생략되어 있다.Fig. 6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9, the hook structure 100A attached to the waist lining 2a is not shown.

도 6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3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옷감의 뒷쪽에 장식주름(50)의 폭보다 넓은 범위에 걸치는 안감(62)이, 장식주름(50)의 양측에서 각각 스티치(62a)에 따라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9,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3 is the width | variety of the decorative wrinkle 50 in the back of the cloth of outer hem 3a in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2. FIG. Lining 62 covering a wider range is sewn along the stitches 62a on both sides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respectively.

따라서, 허리사이즈의 조절에 따라 지퍼테잎(Fa)가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 겹쳐짐 부분이 늘여진 경우에는, 장식주름(50)의 양측의 스티치(62a)에서 꿰매붙인 안감(62)에는 인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에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장식주름(50)은,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받으면서 형상변화하기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이 지퍼쪽으로 올라가는「부풀림」이 일어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이 부풀림에 의해 겉자락(3a)의 표면『지퍼테잎(Fa)이 꿰매붙여져 있는 것과 반대쪽의 면』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양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하므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실수로 열린상태로 되는 경우가 방지되며, 바지(1)의 허리부의 하부주위의 치수가 너무 길어져서 바지(1)가 헐렁하게 되어 주름이 지는 일이 없다.Accordingly, when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toward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waist size, and the folded overlapping portion of the decorative fold 50 is extended, both sides of the decorative fold 50 are extended. Since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lining 62 sewn in the stitch 62a, the pressing force which tries to return the decorative wrinkle 50 to an original state acts. As a result, since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always changed in shape while being subjected to a constant pressing force, the “folding” in which the folded portion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rises toward the zipper does not occur. In addition, the swelling can prevent wrinkles on the surface of the outer hem 3a (the surface opposite to which the zipper tape Fa is sewn), and the shape is maintained satisfactorily. 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force to return the decorative wrinkles 50 to the original state is acting,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prevented from being accidentally opened, and the lower periphery of the waist of the pants 1 The dimension is so long that the pants 1 are loose and do not wrinkle.

그리고, 본 실시형태 23에 있어서도, 지퍼테잎(Fa)은 장식주름(50)을 형성하는 겉자락(3a)의 제일 위쪽의 옷감에만 꿰매붙여져 있으므로, 바깥쪽의 접힘부분 (50a)을 접은 자국에 따라 꿰매붙이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비해 도 69에 있어서의 왼쪽의 스티치에 의해서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을 접은 자국에 따라 꿰매붙이도록, 지퍼테잎(Fa)을 장식주름(50)에 꿰매붙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의 접은 자국이 강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장식주름(50)의 접혀 겹쳐짐 부분이 늘여지더라도, 바깥쪽의 접힘부분(50a)의 접은 자국은 지워지는 일 없이 모양이 잘 유지된다. 그리고 지퍼테잎(Fa)으로의 인장력이 개방되면, 즉시 원래의 장식주름(50) 형상으로 복원된다.In addition, also in this Embodiment 23, since the zipper tape Fa is sewed only to the cloth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outer hem 3a which forms the decorative wrinkle 50, according to the fold mark of the outer folded part 50a, It does not become the structure to sew. On the contrary, the zipper tape Fa may be sewn onto the decorative wrinkles 50 so that the outer folded portion 50a is sewn along the folds by the left stitch in FIG. 69. Accordingly, since the folds of the outer folded portion 50a are firmly maintained,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toward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nd the folded portion of the decorative fold 50 is elongated. Even if it is, the fold of the outer fold 50a is well maintained without being erased. And when the tension force to the zipper tape Fa is opened, it is immediately restored to the original decorative wrinkles (50) shape.

실시형태 24Embodiment 24

다음에, 실시형태 24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4 will be described.

실시형태 24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도 67에 나타낸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옷감의 뒷쪽에는 겉자락(3a)의 옷감의 접힘부분이 장식주름(50)의 근방에 양면접착테잎에 의해 붙여져 있는 것이다. 구체예로서는, 걸림부재에 의한 허리사이즈 조절가능범위가 3cm의 경우,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대략 1.5cm의 부분에 있어서, 겉자락(3a)의 옷감의 접힘부분이 상하방향을 따라 양면접착테잎에 의해 겉자락(3a)의 옷감의 뒷쪽에 붙여진다.In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fourth embodiment,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67, the folded portion of the fabric of the outer hem 3a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hem of the outer hem 3a. It is attached by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in the vicinity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waist size adjustable range by the locking member is 3 cm, at about 1.5 cm at the edge of the outer edge of the outer hem 3a, the folded portion of the cloth of the outer hem 3a mov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back of the cloth of the hem 3a.

따라서, 허리사이즈의 조절에 따라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어진 경우에는, 이 접착부분에 인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장식주름(50)은,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받으면서 형상변화하기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혀진 부분이 지퍼쪽으로 올라가는 「부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풀림에 의해 겉자락(3a)의 표면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양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실수로 열린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되고, 바지(1)의 허리부 하부 주위의 치수가 너무 커져서 바지(1)가 헐렁하여 주름지는 일이 없다.Therefore, when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outer hem 3a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waist size, and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fold 50 are stretched, a tension is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so the decorative folds The pressing force which tries to return 50 to the original state acts. As a result, since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always changed in shape while being subjected to a constant pressing force, the folded portion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ulged up” toward the zipp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rinkles on the surface of the hem 3a due to swelling, so that the shape is maintained satisfactorily. 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decorative wrinkles 50 to its original state acts,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inadvertently, and thus the circumference of the waist lower portion of the pants 1 is prevented. The size becomes so large that the pants 1 are not loose and wrinkled.

실시형태 25Embodiment 25

다음에, 실시형태 25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5 will be described.

실시형태 25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도 67에 나타낸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와 장식주름(50)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겉자락(3a)이 상하방향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 구체예로서는,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로부터 대략 1cm의 위치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겉자락(3a)의 표면『지퍼테잎(Fa)이 꿰매붙여져 있는 면과 반대쪽의 면』에서 이면『지퍼테잎(Fa)이 꿰매붙여져 있는 면』까지 관통하도록 스티치를 실시한다.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fifth is a hem at the portion between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nd the decorative fold 50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3a) is sewn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a specific example, the back surface "zip tape (Fa) in the surface" opposite side to which the zipper tape Fa is sewn "on the surface of the outer hem 3a along the up-down direction at a position approximately 1 cm from the edge of the outer hem 3a. Stitch is made to penetrate to the side where the) is sewn.

따라서, 허리사이즈의 조절에 따라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어진 경우에는, 이 꿰매붙인 부분에 인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장식주름(5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장식주름(50)은,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받으면서 형상변화하기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이 지퍼쪽으로 올라가는 「부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풀림에 의해 겉자락(3a)의 표면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양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장식주름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장식주름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실수로 열린상태가 되는 일이 방지되어, 바지(1)의 허리부의 하부주위의 치수가 너무 늘어나서 바지(1)가 헐렁해져 주름이 생기는 일이 없다.Accordingly, when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toward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waist size, and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fold 50 are stretched, a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stitched portion. The pressing force which tries to return the wrinkle 50 to the original state acts. Thereby, since the decorative wrinkles 50 always change shape while receiving a constant pressing force, the folds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to the zipp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rinkles on the surface of the hem 3a due to swelling, so that the shape is maintained satisfactorily. 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decorative wrinkles to its original state acts,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wrinkles ar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inadvertently, so that the size of the lower periphery of the waist of the trousers 1 is increased so that the trousers (1) is loose and wrinkles do not occur.

또, 실시형태 23∼25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Moreover, in the other structure of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3-25,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2, and ha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2. Exert.

실시형태 26Embodiment 26

다음에, 실시형태 26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6 will be described.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0에 있어서는, 허리부 안감(2a)에 장착되는 훅크구성체(100A)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7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26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0, the hook structure 100A attached to the waist lining 2a is not shown.

도 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6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23에 대한 안감(62)이 부착된 바지(1)에 있어서, 지퍼테잎 (Fa)의 상단이 슬라이딩테잎(60) 대신에 2개의 스트레치테잎(고무함유 천테잎)(64)으로 겉자락(3a)의 상단에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2개의 스트레치테잎 (64)은, 그 형상이 대략 V자형으로 되도록 상단을 떨어뜨려 꿰매붙이고 있다.As shown in FIG. 70, in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sixth embodiment, in the pants 1 with the lining 62 according to the twenty-third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slides. Instead of the tape 60, two stretch tapes (rubber-containing cloth tape) 64 are sewn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hem 3a. The two stretch tapes 64 are sewn together with their upper ends dropped so that their shape becomes substantially V-shaped.

따라서, 지퍼테잎(Fa)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잡아당겨진 경우에도, 2개의 스트레치테잎(64) 중 어느 한쪽이 잡아 당겨져 늘여지기 때문에, 스트레치테잎(64)의 탄성력에 의해 지퍼테잎(Fa)의 상단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지퍼테잎(Fa)을 잡아 당기는 힘이 소멸한 경우에는, 지퍼테잎 (Fa)은 조속히 원래의 위치에 복귀된다. 특히 바지(1)의 옷감이 털이 긴 것이나 두꺼운 옷감의 경우와 같이, 지퍼테잎(Fa)의 미끄러짐이 약한 경우이더라도, 본 실시형태 26의 구성에 의하면 확실히 지퍼테잎(Fa)을 원래의 위치에 되돌릴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to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since either one of the two stretch tapes 64 is pulled out and stretched,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F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tretch tape 64. Pressing force act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ccordingly, when the pulling force of the zipper tape Fa disappears, the zipper tape Fa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oon as possible. 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where the cloth of the pants 1 has long hair or a thick cloth, even if the slippage of the zipper tape Fa is weak,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Embodiment 26, the zipper tape Fa is sure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Can be.

또, 본 실시형태 26에서는, 대략 V자형이 되도록 꿰매 붙이는 2개의 탄성재테잎으로서 스트레치테잎(64)을 사용하고 있지만, 탄성재테잎의 재질로서는, 고무,스판렉스 등의 다른 재질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tretch tape 64 is used as two elastic tapes sewed so as to be substantially V-shaped in this Embodiment 26, other materials, such as rubber and spanex, can also be used as a material of an elastic material tape. .

실시형태 26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23에 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실시형태 23에 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In the other structure of the pants 1 of Embodiment 26,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pants 1 concerning Embodiment 23, and exhibits the effect similar to the pants 1 with respect to Embodiment 23. FIG.

또한, 본 실시형태 26에 관한 대략 V자형이 되도록 꿰매붙이는 2개의 탄성재 테잎은, 실시형태 22, 24, 25의 바지(1)에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wo elastic material tapes sew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V-shape concerning this Embodiment 26 can also be applied to the pants 1 of Embodiment 22, 24, 25.

실시형태 27Embodiment 27

다음에, 실시형태 27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7 will be described.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장식주름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corative wrinkles portion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7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 (50b)에 다리미로 프레스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당겨져 늘어난 경우에도,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접은 자국(50c)이 지워지는 일 없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이 지워져서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 버리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1,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seventh press is pressed against the folded portion 50b inside the decorative fold 50 in the pants 1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ly, even when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toward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even when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pulled out and stretched, the folds of the folded portions 50b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50c) is maintained without being erased. For this reason, the defect which the fold part 50b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erases and swells outward can be prevented.

또한, 실시형태 22에 관한 바지(1)에 있어서,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 (50b)에 플리츠가공을 실시하여도 좋다. 플리츠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접은 자국(50c)은 보다 강고하게 된다. 따라서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어난 경우에도,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접은 자국 (50c)이 지워지는 일 없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 (50b)이 지워져서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 버리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플리츠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바지(1)를 세탁이나 크리닝하더라도 접은 자국(50c)이 지워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효과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pleating may be performed on the folded portion 50b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By performing pleat processing, the crease 50c of the folded part 50b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becomes more firm. Therefore, even when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toward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so that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stretched, the folds 50c of the folded portions 50b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are increased. ) Is maintained without being erased. For this reason, the defect which the fold part 50b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erases and swells outward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by performing pleat processing, even if the pants 1 are washed or cleaned, the folds 50c are not erased. Thus, such an effect can be maintained semi-permanently.

실시형태 28Embodiment 28

다음에, 실시형태 28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8 will be described.

도 7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장식주름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ecorative wrinkle part of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2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8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에서,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이 접은 선(접은 자국)(50c)의 근방에서, 접은 선(50c)을 따라 스티치(52)에 의해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퍼테잎(Fa)이 겉자락(3a)의 끝단 가장자리방향으로 당겨져서, 장식주름(50)의 접혀서 겹쳐진 부분이 늘어진 경우에도, 장식주름 (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의 접은 자국(50c)은 강고하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장식주름(50) 안쪽의 접힘부분(50b)이 지워져서 바깥쪽으로 부풀어 올라 버리는 결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2,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eighth embodiment is the fold line (folded) of the folded portion 50b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In the vicinity of the track 50c, the stitch 52 is sewn along the fold line 50c. Accordingly, even when the zipper tape Fa is pulled toward the end edge of the outer hem 3a so that the folded and overlapped portions of the decorative fold 50 are stretched, the fold 50c of the folded portion 50b inside the decorative fold 50 is stretched. ) Remains firm. For this reason, the defect which the fold part 50b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50 erases and swells outward can be prevented more reliably.

여기서, 스티치(52)에 의하여 꿰매붙이는 위치는, 접은 선(접은 자국)(50c)에서 1∼2mm 떨어진 위치가 바람직하다. 스티치(52)를 접은 선(50c)에서 너무 많이떨어진 곳에 꿰매붙이면, 장식주름(50)에 의한 형상변화의 자유로운 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버리므로, 실용상 바람직하지 못하다.Here, the position sewn by the stitch 52 is preferably 1 to 2 mm away from the fold line (fold mark) 50c. If the stitch 52 is sewn too far from the fold line 50c, the free range of the shape change caused by the decorative wrinkles 50 is reduced, which is not practically desirable.

또한, 본 실시형태 28에서는 스티치(52)로 장식주름(50)의 하단까지 꿰매붙이고 있으나, 스티치(52)로 꿰매붙이는 범위를 장식주름의 상단에서 대략 3/4∼2/3까지로 하고, 그 보다 아래쪽은 꿰매붙이는 것을 생략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28, the stitch 52 is sewn to the lower end of the decorative wrinkles 50, but the range sewn to the stitch 52 is approximately 3/4 to 2/3 at the upper end of the decorative wrinkles, It is believed that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the lower side is omitted to sew.

실시형태 27, 28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실시형태 22에 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In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27th and 28th embodiment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pants 1 for the twenty-second embodiment is performed, and the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pants 1 for the twenty-second embodiment is exhibited.

또, 실시형태 27에 관한 다리미에 의한 프레스가공 또는 플리츠가공 혹은 실시형태 28에 대한 접은 선(50c)을 따라 꿰매붙이는 것은, 실시형태 23∼26의 바지 (1)에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at is sewn along the fold line 50c about the press work or pleat processing by the iron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7, or the fold line 50c of Embodiment 28 can also be applied to the pants 1 of Embodiments 23-26.

실시형태 29Embodiment 29

다음에, 실시형태 29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29 will be described.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속자락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7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hem part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9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속자락(3b)의 허리부(2)에 부착되는 걸림부재(100)의 고리구성체(100B)의 위치를, 지퍼테잎(Fa)의 물림돌기(Fb)의 끝단가장자리에 따른 선에 좌우방향의 중심이 오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73,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twenty-ninth embodiment is the fastening member (3) attached to the waist portion 2 of the inner hem 3b in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ring structure (100B) of 100),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ine along the edge of the end of the stitching protrusion (Fb) of the zipper tape (Fa).

이것에 의해서, 겉자락의 훅크구성체(도시하지 않음)를 허리사이즈가 가장 커지도록 고리구성체(100B)에 건 경우에도, 고리구성체(100B)는 겉자락의 허리부에 가려져서, 겉에서 보이는 일이 없다. 또한 겉자락의 훅크구성체를 허리사이즈가 가장 작아지도록 고리구성체(100B)에 건 경우에도, 허리부(2)의 주변에 왜곡이 생기는 일이 없어, 주름이 지는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when the hook structure (not shown) of the hem is hooked to the ring structure 100B so that the waist size is the largest, the loop structure 100B is hidden from the waist of the hem and is not see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even when the hook structure of the outer hem is hooked to the ring structure 100B so that the waist size is the smallest, distortion does not occur around the waist 2, and defects such as wrinkles can be prevented.

또, 본 실시형태 29에 있어서는, 고리구성체(100B)의 부착위치를 최적화함에 따라, 거는 동작을 행한 경우에 고리구성체(100B)가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고리구성체(100B)의 크기를 바꿈으로써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고리구성체(100B)의 폭을 보다 작은 것으로 바꾸는 것에 의해, 거는 동작을 행한 경우에 고리구성체(100B)가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29, the ring structure 100B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when the hook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optimiz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ring structure 100B. However, the size of the ring structure 100B is changed. The same effect can also be obtained. For example,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ring structure 100B to a smaller one, the ring structure 100B may be made invisible when the hanging operation is performed.

실시형태 30Embodiment 30

다음에, 실시형태 30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Embodiment 30 will be described.

도 7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의 겉자락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7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m portion of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30에 관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은, 실시형태 7에 대한 바지(1)에 있어서, 겉자락(3a)의 허리부(2)의 끝단가장자리부에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포인트(54)를 겉자락(3a)의 끝단가장자리의 바깥쪽으로 튀어 나가도록 형성한 것이다.As shown in FIG. 74, the garment with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tieth embodiment is approximately the distal edge portion of the waist 2 of the outer hem 3a in the pants 1 of the seventh embodiment. The point 54 of the isosceles triangl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outer edge 3a.

이에 따라, 겉자락(3a)의 허리부(2)의 뒷쪽에 장착된 훅크구성체(100A)를, 허리사이즈가 가장 커지도록 고리구성체(100B)에 건 경우, 원래 허리부(2)의 끝단가장자리로부터 튀어 나와 겉에서 보이게 되어 버리는 고리구성체(100B)의 일부가, 포인트(54)에 가려지기 때문에, 겉에서 고리구성체(100B)가 보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모양이 좋은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이 된다.Accordingly, when the hook structure 100A mounted on the back of the waist 2 of the outer hem 3a is hooked to the ring structure 100B so that the waist size is the largest, the original edge portion of the waist 2 is Since a part of the ring structure 100B which protrudes and becomes visible from the outside is covered by the point 54, the ring structure 100B is not seen from the outside. Therefore, it becomes a garment with a good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ttached.

또, 포인트(54)의 형상은 삼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그 밖의 다각형, 혹은 반원형상 등으로 할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point 54 is not limited to a triangle, but may be rectangular, trapezoidal, pentagonal, hexagonal or other polygonal or semicircular.

실시형태 29, 30에 관한 바지(1)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7에 대한 바지(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실시형태 7에 관한 바지(1)와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In the other configurations of the pants 1 according to the 29th and 30th embodiments, they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ants 1 of the seventh embodiment and exhibit almost the same effects as the pants 1 of the seventh embodiment.

또, 실시형태 29에서 고리구성체(100B)의 위치결정 및 실시형태 30에서 포인트(54)를 마련하는 것은, 실시형태 8∼12 혹은 실시형태 19∼28의 바지(1)에 적용할 수도 있다.The positioning of the ring structure 100B in the twenty-ninth embodiment and the provision of the point 54 in the thirtieth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pants 1 of the eighth to twelve or the nineteenth to twenty-eighth embodiments.

본 발명은 각 실시형태 1 내지 30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effects as described in detail in each of the embodiments 1 to 3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rment with a locking member and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is adjustable waist size of the garment.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표시되어 있으며, 그들 청구항의 범주에 들어 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ttach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0)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로서,A hooking member for fastening and hoo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from the hook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하고,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hook structu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a ring structu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상기 훅크구성체는,The hook structure,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A hook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상기 제 1 면과 반대쪽의 제 2 면측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A hook part protrusion having three or more bends freely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상기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하며,It has a through-hole into which the said hook part projection is inserted, Comprising: The plate-shaped hook attachment plate opposing a said 2nd surface, 상기 고리구성체는,The ring structure is,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A r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상기 고리본체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Three or more bent free r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ring body; 상기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를 형성하는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하는 걸림부재.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annular projection is inserted, and having a plate-shaped annular attachment plate facing the surface forming the annular body.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훅크구성체로서,A hook structure used for a locking member which is fixed by hang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from the hook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The hook structure is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A hook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상기 제 1 면과 반대쪽의 제 2 면측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A hook part protrusion having three or more bends freely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상기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하는 훅크구성체.A hook structure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hook portion projection is inserted, and having a plate-shaped hook attachment plate facing the second surface.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고리구성체로서,A hook structure used for a locking member which is fixed by hoo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with respect to the hook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상기 고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The ring structure is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A r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상기 고리본체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Three or more bent free r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ring body; 상기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리본체가 형성되는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하는 고리구성체.And a ring-shaped attaching plate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annular projection is inserted and opposed to a surface on which the annular body is formed. 청구항 2의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하는 걸림부재로서,A hook member comprising a hook member of claim 2 and a ring member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상기 고리구성체는,The ring structure is, 상기 훅크본체의 훅크부에 걸리는 단일의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A ring body having a single ring portion hooked to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body, 상기 고리본체에 형성한 2개의 절곡이 자유로운 고리부돌기와,Two bent free protrusions formed on the ring body; 상기 고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고리본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고리부착판을 구비하는 걸림부재.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annular projection is inserted, the engaging member having a plate-shaped annular attachment plate facing the annular body. 청구항 3의 고리구성체와, 훅크구성체를 구비하는 걸림부재로서,As a locking member having a ring structure of claim 3 and a hook structure,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The hook structure is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단일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A hook body having a single hook portion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상기 훅크본체의 제 1 면과 반대측의 면측에 형성한 3개 이상의 절곡이 자유로운 훅크부돌기와,A hook hook protrusion having three or more bends freely formed on the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hook body, 상기 훅크부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에 대향하는 판형상의 훅크부착판을 구비하는 걸림부재.A hooking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hook portion projection is inserted, and having a plate-shaped hook attachment plate facing the second surface.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로서,A hooking member for fastening and hoo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from the hook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상기 걸림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하고,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hook structu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a ring structur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상기 훅크구성체는,The hook structure, 거는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A hook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hanging direction; 상기 훅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며,Four or more hook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hooking direction of the hook body, 상기 고리구성체는,The ring structure is,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A r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상기 고리본체에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는 걸림부재.And a hook member having four or more annular mount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of the hook body.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훅크구성체로서,A hook structure, which is used for a locking member that is fixedly attached by hooking a hook portion of a hook structure in a direction of hanging from a hook portion of a ring structure,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The hook structure is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특정의 제 1 면측에 형성한 복수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A hook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on a specific first surface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hanging direction; 상기 훅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는 훅크구성체.A hook structure comprising four or more hook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hook body. 훅크구성체의 훅크부를 고리구성체의 고리부에 대하여 거는방향으로 걸어서 고정부착하는 걸림부재에 사용되는 고리구성체로서,A hook structure used for a locking member which is fixed by hooking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hanging with respect to the hook portion of the ring structure. 상기 고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The ring structure is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상기 거는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A r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anging direction; 상기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4개 이상의 고리부장착구멍을 구비하는 고리구성체.And a ring structure having four or more ring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ring body. 청구항 7의 훅크구성체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리구성체를 구비하는 걸림부재로서,A hook member comprising a hook member of claim 7 and a ring member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상기 고리구성체는,The ring structure is, 상기 훅크본체의 훅크부에 거는 단일의 고리부를 갖는 고리본체와,A ring body having a single ring portion to be hooked to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body; 상기 고리본체의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2개의 고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는 걸림부재.And a hook member having two ring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ring body. 청구항 8의 고리구성체와, 훅크구성체를 구비하는 걸림부재로서,As a locking member having a ring structure of claim 8 and a hook structure, 상기 훅크구성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The hook structure is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특정의 면쪽에 형성한 단일의 훅크부를 갖는 훅크본체와,The hook body which has a single hook part formed in the specific surface side, 상기 훅크본체의 거는방향 및 거는방향에 대하여 직각위치에 형성한 3개 이상의 훅크부 장착구멍을 구비하는 걸림부재.And a hook member having at least three hook portion mount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hanging direction and the hanging direction of the hook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본체의 복수의 훅크부 또는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의 위치는, 양자의 걸림위치가 10 내지 30mm의 범위에서 변경가능하게 되도록 설정한 걸림부재.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of the hook body or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of the hook body are set so that the locking positions thereof can be changed within a range of 10 to 30 m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본체의 복수의 훅크부 또는 상기 고리본체의복수의 고리부의 위치는, 양자의 걸림위치가 10 내지 30mm의 범위에서 변경가능하게 되도록 설정한 걸림부재.7.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of the hook body or the plurality of hook portions of the hook body are set so that the locking positions thereof can be changed within a range of 10 to 30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 상호간은, 상기 고리부의 길이방향 끝단부에 형성한 연결부에서 접속한 걸림부재.The hook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annular portions of the annular body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a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annular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본체의 복수의 고리부 상호간은, 상기 고리부의 길이방향 끝단부에 형성한 연결부에서 접속한 걸림부재.7.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annular portions of the annular body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annula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본체 및/또는 상기 고리본체는, 그 일부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The hook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ok body and / or the ring body have irregularities formed in a portion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본체 및/또는 상기 고리본체에는, 그 일부에 훅크부돌기 및/또는 고리부돌기가 들어가는 요철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재.The hook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ok main body and / or the ring main body are provided with a concave-convex bent portion into which a hook part projection and / or a ring part projection enter. 의복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의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걸림부재와,A locking member which freely separates the garment and adjusts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한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고, 상기 의복의 한쪽에 꿰매붙여져서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상의 조절포와,An approximately cylindrical control cloth which is freed from the range in which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is freely adjusted by the locking member and is sewn on one side of the garment to extend vertically; 상기 조절포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의복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A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having a zipper on which one zipper tape seam seamed to the adjusting fabric is sewn, and another zipper tape sewn on the other seam seamed to the other side of the garmen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에는, 소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가 마련된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adjusting cloth is provided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provided with a shape holding member for applying a forc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hap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테잎의 상단은, 앞부분으로 향하여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is sew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zipper tape is sewn in an inclined outward direc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테잎은, 그 상단을 상기 조절포의 상단에 맞춘 상태이며, 상기 조절포에만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zipper tape is in a state in which its upper end is alig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and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is sewn only on the adjusting cloth.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에는, 안감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안감의 뒷쪽에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18. The waist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a cutout is formed in the lining at a position where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is sewn, and the widthwise end of the adjusting cloth is fitted to the cutout to sew to the back of the lining. Clothing with sizing mechanism.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에 대하여 상기 지퍼테잎이 상기 걸림부재측을 향해 개구하는 것과 같은 각도로, 상기 지퍼테잎을 상기 조절포에 꿰매붙인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18.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zipper tape is sewn onto the fabric at an angle such that the zipper tape is opened toward the lock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abric.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는, 그 폭이 상단 또는 상단에서 소정 길이만큼 내려간 위치로부터 하단을 향해서 점차로 가늘어지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18.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adjusting cloth is equipped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that gradually tapers from the top or the top of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length. 의복의 앞부분의 상단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결합부분에서의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와,A joining tool for freely separating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garment and freely adjusting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at the joining part 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앞부분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서,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통형상으로서 상기 앞부분의 한쪽에 꿰매붙여진 조절포와,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an adjustable cloth sewn to one side of the front part 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extending up and down to freely change the shape in a range in which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is freely controlled by the coupler; 상기 조절포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앞부분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A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having a zipper on which one zipper tape seam seamed to the adjustment fabric is sewn, and another zipper tape sewn to the other seam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art.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에는, 소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형상유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adjusting cloth is provided with a shape retaining member for applying a forc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hap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앞부분의 속자락의 끝단가장자리에서 돌출하고, 상기 앞부분의 겉자락에 부착된 단추에 걸리는 단추구멍을 가지는 걸이구를 구비하며, 상기 단추구멍이,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소정 범위에서, 상기 허리사이즈 방향으로 늘어난 성분을 갖는 긴 구멍인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25. A hook according to claim 24, having a hook hole that protrudes from an end edge of the inner hem of the front portion and has a button hole for catching a button attached to the outer hem of the front portion, wherein the button hole is adapted to adjust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A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which is a long hole having a component extending in the waist size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to fre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에 꿰매붙여짐과 동시에,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의 폭방향 끝단가장자리의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그 상단을 허리부 안감의 안쪽에 끼워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zipper tape is sewn to the hem, and the zipper tape is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widthwise end edge of the hem, the upper end of which is inward of the lining of the waist. Apparel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sewn on.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테잎은 상기 겉자락에 꿰매붙여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지퍼테잎은, 그 상단을 상기 조절포의 상단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절포에만 꿰매어져 있는 것을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25. The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zipper tape is sewn to the outer hem, and the zipper tape is sewn only on the adjusting cloth while the upper end thereof is alig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cloth. Attached clothing.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겉자락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를 꿰매붙이는 위치에는, 겉자락의 안감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부에 상기 조절포의 폭방향 끝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안감의 뒷쪽에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25. The cutout portion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a cutout portion is formed in a lining of the outer hem, and the cutout portion is fitted into the cutout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widthwise end portion of the adjusting cloth is sewn to the outer hem. A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sewn on it.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포는, 그 폭이 상단 또는 상단에서 소정 길이만큼 내려간 위치에서 하단을 향해 점차로 가늘게 되어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adjusting cloth is gradually tapered toward the bottom in a position where the width thereof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top or the top. 의복을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결합구와,The joining tool which separates the garment freely and adjusts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freely 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의복의 허리사이즈를 조절이 자유롭게 하는 범위에서 형상변화를 자유롭게 하여, 상기 의복의 한쪽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장식주름과,A decorative wrinkle formed on one side of the garment to exte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freeing the shape change in a range in which the waist size of the garment is freely adjusted by the coupler; 상기 장식주름에 시접으로 되는 한쪽의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지고, 또한 상기 의복의 다른쪽에 시접으로 되는 다른 지퍼테잎이 꿰매붙여진 지퍼를 구비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A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having a zipper stitched on one side of the decorative tape and a zipper tape sewn on the other side of the garment.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한쪽의 옷감의 뒷쪽에는 상기 장식주름의 폭보다 넓은 범위에 걸친 안감이 상기 장식주름의 양측에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31, having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cloth on one side of the garment, the lining of which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rnament lines being sewn on both sides of the decoration lines.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한쪽의 옷감의 뒷쪽에는 상기 의복 한쪽의 옷감의 접힘부분이 상기 장식주름의 근방에 양면접착테잎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a fold portion of the fabric of one of said garments is attached to the back of said fabric of one garment by a double-sided adhesive tape in the vicinity of said decorative wrinkles.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한쪽의 끝단부와 상기 장식주름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 의복의 한쪽이 상하방향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is attached at one side of the garment, sew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ortion between one end of the garment and the decorative folds.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주름 안쪽의 접힘부분에 다리미에 의한 프레스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folded portion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by press ironing.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주름 안쪽의 접힘부분에 플리츠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folded portion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s.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주름 안쪽의 접힘부분이 접은 선의 근방에서, 상기 접은 선을 따라 꿰매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garment with a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the fold inside the decorative wrinkle is sewn along the fold line near the fold line.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은, 앞부분으로 향하여 바깥방향으로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의복에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an upper end of said one zipper tape is sewn onto said garment in a state inclined outward toward the front portion.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은, 슬라이딩테잎에 의해 상기 의복의 한쪽 상단에 꿰매붙여지고, 상기 슬라이딩테잎은 앞부분으로 향하는 바깥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an upper end of said one zipper tape is sewn on one upper end of said garment by a sliding tape, and said sliding tape is sewn in an inclined outward direction toward the front part. With clothing attached.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지퍼테잎의 상단은, 2개의 고무테잎에 의해 상기 의복의 한쪽 상단에 꿰매붙여지고, 상기 2개의 고무테잎은 상기 의복에 대략 V자형으로 벌려서 꿰매붙여져 있는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32. The waist size adjustment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an upper end of the one zipper tape is sewn on one upper end of the garment by two rubber tapes, and the two rubber tapes are sewn in a substantially V-shape on the garment. Apparel with equipment.
KR10-2001-0010413A 2000-03-01 2001-02-28 Engaging parts, hook and ring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KR1003874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660 2000-03-01
JP2000055660 2000-03-01
JP142517 2000-05-15
JP2000142517 2000-05-15
JP2000235227A JP2002034612A (en) 2000-03-01 2000-08-03 Metal hook and clothes with waist size adjustable contrivance
JP235227 2000-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41A KR20010087241A (en) 2001-09-15
KR100387408B1 true KR100387408B1 (en) 2003-06-18

Family

ID=2734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413A KR100387408B1 (en) 2000-03-01 2001-02-28 Engaging parts, hook and ring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10023502A1 (en)
EP (2) EP1702526A3 (en)
JP (1) JP2002034612A (en)
KR (1) KR100387408B1 (en)
CN (1) CN1181769C (en)
AU (1) AU767435B2 (en)
CA (1) CA2337935C (en)
HK (1) HK1038296A1 (en)
ID (1) ID29511A (en)
TW (2) TW57273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7295B2 (en) * 2005-04-21 2010-09-22 好司 加藤 Clothes with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US20150201717A1 (en) * 2014-01-18 2015-07-23 Berkeley Bliss Modified Adhesive Zipper Device
USD853081S1 (en) * 2017-09-20 2019-07-09 Utax Co., Ltd. Fastener for brassieres
CN108030176A (en) * 2018-01-26 2018-05-15 上海衣俪特服饰有限公司 A kind of magic sleeve of adjustable cuff length
US20220104571A1 (en) * 2020-10-05 2022-04-07 Vans, Inc. Low profile closure
KR102571706B1 (en) * 2022-11-07 2023-08-28 김정범 Hook for clot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0748A (en) * 1977-09-06 1979-03-30 Mizunuma Kinzoku Kk Hook for adjusting waist
US4674158A (en) * 1986-08-22 1987-06-23 Wah Lau Adjustable buckle
JPH0314746A (en) * 1989-06-09 1991-01-23 Mazda Motor Corp Ceiling material for car
JPH06315404A (en) * 1993-05-07 1994-11-15 Mizunuma Kinzoku Kk Hook and eye and manufacture thereof
US5467509A (en) * 1993-02-08 1995-11-21 Yoshida Kogyo K.K. Hook-and-eye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927C (en) *
US2585175A (en) 1949-03-11 1952-02-12 Constance F Rosenberg Trouser fly construction
GB752800A (en) * 1954-01-27 1956-07-18 Walker Ltd Thomas Improvements relating to back-plates or clamping plates for use in conjunction with hook fasteners for wearing apparel
US4183121A (en) * 1977-10-20 1980-01-15 Bonnie Enterprises, Inc. Separable fastener
AT372583B (en) * 1980-06-23 1983-10-25 Fildan Gerhard LAUNDRY CLOSURE
DE3534694C1 (en) * 1985-09-28 1987-03-12 Norbert Huelsmann Device for adjusting the size of a trouser waistband
DE8703965U1 (en) * 1987-03-17 1987-05-07 Gutos Metallschliessenfabrik Bader & Hoch Gmbh & Co Kg, 7530 Pforzheim, De
JP2578079B2 (en) 1994-10-12 1997-02-05 好司 加藤 Waist elastic structure such as pants
JP2518804B2 (en) 1994-06-15 1996-07-31 好司 加藤 Elastic waist structure such as pants
JP2518803B2 (en) 1994-05-26 1996-07-31 好司 加藤 Elastic waist structure such as pants
JP2518807B2 (en) 1995-04-22 1996-07-31 好司 加藤 Elastic waist structure such as pants
DE69605176T2 (en) * 1996-01-22 2000-04-13 Ishizaki Press Kogyo Kk Hook-and-eye closure for dresses
FR2776481A1 (en) * 1998-03-30 1999-10-01 Leah Banayan BR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0748A (en) * 1977-09-06 1979-03-30 Mizunuma Kinzoku Kk Hook for adjusting waist
US4674158A (en) * 1986-08-22 1987-06-23 Wah Lau Adjustable buckle
JPH0314746A (en) * 1989-06-09 1991-01-23 Mazda Motor Corp Ceiling material for car
US5467509A (en) * 1993-02-08 1995-11-21 Yoshida Kogyo K.K. Hook-and-eye fastener
JPH06315404A (en) * 1993-05-07 1994-11-15 Mizunuma Kinzoku Kk Hook and eye and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476901A (en) 2001-09-06
US20010023502A1 (en) 2001-09-27
ID29511A (en) 2001-09-06
TW200400013A (en) 2004-01-01
AU767435B2 (en) 2003-11-13
HK1038296A1 (en) 2002-03-15
KR20010087241A (en) 2001-09-15
EP1129638A2 (en) 2001-09-05
CA2337935A1 (en) 2001-09-01
CN1181769C (en) 2004-12-29
EP1702526A2 (en) 2006-09-20
JP2002034612A (en) 2002-02-05
TW589160B (en) 2004-06-01
CN1310964A (en) 2001-09-05
CA2337935C (en) 2005-02-01
EP1129638A3 (en) 2005-01-19
EP1702526A3 (en) 2007-04-04
TW572737B (en)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9794A (en) Adjustable neck and cuff closures for dress shirts
CA2486749C (en) Shirts having neck size adjusting function
GB2448803A (en) Garment with elasticated waist
KR100387408B1 (en) Engaging parts, hook and ring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US8205270B2 (en) Garment having a waist size adjusting mechanism
US6434754B2 (en) 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garment and garment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JP4223198B2 (en) Clothes with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WO2022176620A1 (en) Trousers
JP3223704U (en) Kimono
CA2481366C (en) 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clothes and clothes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JP3108617U (en) Work clothes
JP6583910B2 (en) Upper garment
JP2008050701A (en) Undergarment
JP4547295B2 (en) Clothes with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JPS5831852Y2 (en) Clothing such as pants and skirts
KR20090004533U (en) Shirt with structure to prevent slack on pants
JP2006291384A (en) Garment
JP4071740B2 (en) clothing
AU2003248293A1 (en) 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ting Mechanism of Garment and Garment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JP4022028B2 (en) Stretchable structure of clothing belt
JP3183022U (en) Adjuster
JP2024027600A (en) Pants with hemming function
KR20140146979A (en) Method for sewing hem having button
JP2017115273A (en) Waist-stretchable bottoms
JP2010024571A (en)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