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228B1 - 회절효율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회절효율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228B1
KR100387228B1 KR1019950001571A KR19950001571A KR100387228B1 KR 100387228 B1 KR100387228 B1 KR 100387228B1 KR 1019950001571 A KR1019950001571 A KR 1019950001571A KR 19950001571 A KR19950001571 A KR 19950001571A KR 100387228 B1 KR100387228 B1 KR 10038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
electrode
laser beam
acoustic
diffraction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499A (ko
Inventor
지성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0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228B1/ko
Publication of KR96003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33Acousto-optical deflection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cousto-optical elements, e.g. using variable diffraction by sound or like mechanical waves
    • G02F1/1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cousto-optical elements, e.g. using variable diffraction by sound or like mechanical waves using an optically anisotropic medium, wherein the incident and the diffracted light waves have different polarizations, e.g. acousto-optic tunable filter [AOT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는, 음향광학특성이 있는 트랜스듀서를 적용하여 초음파를 발진시키고,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 레이저 빔을 입사시킴에 따라,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서 상기 초음파와 상기 레이저 빔이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음향광변조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이 상기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과 정합된 형태이다.

Description

회절효율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회절효율(diffraction efficiency)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AOM :Acousto-Optic Modulato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기록용에 적용되는 음향광변조장치의 성능은 회절효율과 스위칭시간(Switching time)으로 평가되어진다. 음향광변조장치에 있어서광회절(Optical diffraction)이란, 음향광학특성이 있는 단결정 내부에서 발진되는 초음파(acoustic wave)와 입사되는 레이저 빔(LASER beam)이 상호 작용을 야기시킴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다. 고성능의 음향광변조장치는 회절효율이 높아야 하며, 동시에 스위칭 시간도 짧아야 한다. 현재 통용되는 음향광변조기의 회절효율은 85 %이고 스위칭시간은 8 ns(nano-second) 정도이다. 공지된 이론에 의하면, 입사되는 레이저 빔이 평행한 상태일수록 회절효율은 높아지고, 레이저 빔의 폭이 작을수록 스위칭시간은 짧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두 성능을 동시에 증진시키는 조건 즉,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폭이 작아지면서 더욱 평행한 상태가 된다는 것은 물리학적(物理學的)으로 모순이다. 따라서 공지된 이론에 의거하여 회절효율을 높이면 스위칭시간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스위칭시간을 짧게하면 회절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 스위칭시간을 유지시키면서 회절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향광변조방법은, 음향광학특성이 있는 트랜스듀서를 적용하여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 레이저 빔을 입사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서 상기 초음파와 상기 레이저 빔이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이 상기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과 정합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향광변조장치는, 음향광학특성이 있는 트랜스듀서를 적용하여 초음파를 발진시키고, 상기 프랜스듀서의 전극에 레이저 빔을 입사시킴에 따라,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서 상기 초음파와 상기 레이저 빔이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음향광변조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이 상기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과 정합된 형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광변조장치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전극 형태를 발진되는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에 맞게 설계하면, 스위칭시간을 유지시키면서 회절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제1도는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도에서 f는 레이저 빔을 집적시키는 볼록렌즈; 2ω는 상기 볼록렌즈(f)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직경; 그리고 2ω0는 초점(focus)이 맞춰진 상태에서의 레이저 빔의 직경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의 발산 각도는 λ/ (πω0)가 된다. 상기 발산 각도를 트랜스듀서의 전극 형태로 적용함에 따라
여기서, λ는 레이저 빔의 파장이며, ω0는 초점(focus)이 맞춰진 상태에서의 레이저 빔의 반경이다. 상기 λ와 π는 상수(常數)가 되며, ω0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전극 내의 회절 특성에 따라, 2ω0= vtτt의 공식이 성립된다. 여기서 vt는전극 내에서의 초음파속도이고, τt는 초음파가 레이저 빔의 직경( 2ω0)을 통과하는 시간이다. 대표적인 음향광학 단결정( TeO2)내에서 초음파 속도( vt)는 4200 m/sec 이다.
초음파가 레이저 빔의 직경( 2ω0)을 통과하는 시간( τt)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 공식이 적용된다. 즉, τt= 1.5 τs이다. 여기서 τs는 음향광변조장치의 스위칭시간이다. 8 ns의 스위칭시간( τs)을 적용하면, τt는 12 ns이다.
따라서 2ω0= vtτt= 4200 × 12 × 109= 50.4 × 10-6≒ 50 ㎛이다.
통상적인 레이저 빔의 파장은 532 nm이고, 레이저 빔의 발산 각도는 λ/ (πω0) = ( 532 × 10-9) / ( 25π × 10-6) = 6.8 × 10-3rad = 0. 4 °가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거하여 설계된 트랜스듀서의 전극 형태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의 전극은 나비넥타이(Bow-tie) 형태를 취하게 된다.
제3도는 종래의 트랜스듀서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다이아몬드(diamond)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제3도와 제4도에서, 1은 음향광학특성이 있는 단결정; 2는 트랜스듀서 상에 전극물질이 입혀진 부분; 3은 트랜스듀서 상에 전극물질이 입혀지지 않는 부분; 그리고 4는 트랜스듀서 전극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칭시간을 유지시키면서 회절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제1도는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거하여 설계된 트랜스듀서의 전극 형태이다.
제3도는 종래의 트랜스듀서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향광학특성이 있는 단결정,
2... 전극물질이 입혀진 부분,
3... 전극물질이 입혀지지 않는 부분,
4... 트랜스듀서 전극.

Claims (2)

  1. 음향광학특성이 있는 트랜스듀서를 적용하여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단계,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 레이저 빔을 입사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서 상기 초음파와 상기 레이저 빔이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광변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이 상기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과 정합된 형태인 음향광변조방법.
  2. 음향광학특성이 있는 트랜스듀서를 적용하여 초음파를 발진시키고,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 레이저 빔을 입사시킴에 따라,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에서 상기 초음파와 상기 레이저 빔이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음향광변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의 전극이 상기 레이저 빔의 프로파일과 정합된 형태인 음향광변조장치.
KR1019950001571A 1995-01-27 1995-01-27 회절효율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 KR10038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571A KR100387228B1 (ko) 1995-01-27 1995-01-27 회절효율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571A KR100387228B1 (ko) 1995-01-27 1995-01-27 회절효율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499A KR960030499A (ko) 1996-08-17
KR100387228B1 true KR100387228B1 (ko) 2003-08-02

Family

ID=3741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571A KR100387228B1 (ko) 1995-01-27 1995-01-27 회절효율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2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521A (en) * 1974-12-19 1976-12-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Linear data input transduc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8521A (en) * 1974-12-19 1976-12-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Linear data input trans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499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6965A (en) Light modulator/deflector using acoustic surface waves
US20180120600A1 (en) Control system using a phase modulation capable acousto-optic modulator for diverting laser output intensity noise to a first order laser light beam and related methods
US7039077B2 (en) Optical wavelength converting apparatus, and optical wavelength converting method
US4540244A (en) Opto-optical light deflector/modulator
US4125842A (en) Method for laser recording using zeroth order light and heat deformable medium
GB2181294A (en) Optical modulation arrangement
US4921335A (en) Optical phase conjugate beam modulator and method therefor
KR100387228B1 (ko) 회절효율이 증진된 음향광변조방법 및 장치
US6560005B2 (en) Acousto-optic devices
US5268912A (en) Harmonic light source capable of being optically modulated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6204952B1 (en) Bragg modulator
US4019155A (en) Acousto-optic modulated laser
US5706370A (en) Optical deflection scanning device
US5285309A (en) Laser light wavelength shifter
JP3368986B2 (ja) 光走査記録装置
JP2687127B2 (ja) 光パラメトリック発振器
KR100355387B1 (ko) 광변조시스템
US50938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ering a phase conjugate wave
JPS622293B2 (ko)
KR100374805B1 (ko) 광변조시스템
JPH0431805A (ja) 光導波路への光入力方法および光導波路からの光出力方法
JPS6389808A (ja) 光変調偏向素子
KR860002074B1 (ko) 광 변조 장치
JPH0653482A (ja) 光集積回路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JPH0297920A (ja) 光nand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