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085B1 - 지중 앵커파일 - Google Patents

지중 앵커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085B1
KR100387085B1 KR10-2000-0060306A KR20000060306A KR100387085B1 KR 100387085 B1 KR100387085 B1 KR 100387085B1 KR 20000060306 A KR20000060306 A KR 20000060306A KR 100387085 B1 KR100387085 B1 KR 100387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hole
ground
tread bar
grou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694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용마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마공영 filed Critical (주)용마공영
Priority to KR10-2000-006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08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등에 매설되어 지반을 안정시키기 위한 지중 앵커파일에 관한 것으로, 트레드바(1)가 커플러(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길이조정된 상태에서 지반에 천공되어진 파일구멍(5)으로 삽입되어 파일구멍(5)내로 주입되는 그라우트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한 지중 앵커파일에 있어서, 트레드바(1)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주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호 연통되어 파일구멍(5)의 바깥으로 돌출되고 그 몸체에 다수개의 분출공(23)이 다단계로 형성된 순환호스(20)가 장착되며, 분출공(23)의 둘레에 그라우트재의 분사압에 의해 팽창/수축되면서 분출공(23)을 개폐하여 주는 고무밴드(30)가 감싸여지고, 고무밴드(30)의 외측에 고무밴드(30)의 순환호스(20)의 외경보다 큰 제1,2배출공(41)(42)을 형성하고 있는 그라우트밸브 (4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하여서, 그라우팅작업을 실시한 후 순환호스내에 잔류하는 그라우트재를 제거한 다음 여러번에 걸쳐 그라우팅을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일구멍내로 삽입되는 앵커파일의 정착력 및 하중 지지력을 증대시켜 지반의 안정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앵커파일{Anchor Pile}
본 발명은 연약지반 등에 매설되어 지반을 안정시키기 위한 지중 앵커파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중 앵커파일의 정착력 및 하중 지지력을 증대시켜 지반의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지중 앵커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앵커파일(geo-anchor pile, 이하 "앵커파일"이라 함)은 연약지반 또는 경사지 등의 지반내에 매설되어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켜 주기 위한 구조체를 말한다.
종래의 앵커파일은, 몸체 외주면에 결착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진 트레드바(thread-bar)와, 트레드바에 너트식으로 체결되어 또다른 트레드바를 연결하는 커플러(coupler)와, 트레드바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천공구멍내로 삽입되어진 앵커파일의 중심을 유지하는 중심유지재(centralizer) 및 트레드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순환호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순환호스는 하단부가 막힌 상태로 트레드바에 장착되며, 그 상단의 입구는 지상의 바깥으로 노출되며, 호스의 일정높이마다에 지상으로부터 주입되는 그라우트재를 파일구멍으로 분출시켜 주는 그라우트밸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앵커파일은, 지반에 천공된 파일구멍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순환호스를 통해 파일구멍안으로 주입되는 그라우트재와 일체화됨으로써지반의 안정을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앵커파일은 일단 1차 그라우팅을 실시한 이후에는 재차적인 그라우팅작업이 불가능하여서 견고한 앵커파일 구조체를 구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약지반 또는 공동이 많은 지반에서는 1차 그라우팅 만으로는 파일구멍안에 그라우트재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아, 2차·3차적인 그라우팅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앵커파일 장치는 순환호스가 외줄의 형태로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밀폐되었기 때문에 그라우트재를 1차 주입하여 경화시킨 다음에는 순환호스의 내부에 잔존하는 그라우트재도 호스 안에서 경화되어 호스의 통로가 폐쇄되므로, 2차·3차의 그라우트재를 반복적으로 주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앵커파일 장치에 의해서 시공된 앵커파일은 지반내의 정착력 및 하중 지지력이 미약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앵커파일은 상하의 트레드바를 연결하는 커플러의 상하단을 고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결속력이 약하여 인장력이 작용할 때 해체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앵커파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라우트재가 파일구멍 및 주변에 밀실하게 채워질 때까지 그라우팅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앵커파일의 정착력 및 하중 지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지중 앵커파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의 트레드바가 연결되는 이음부의 결속력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인장력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지중 앵커파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시공상태의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고정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중심유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밸브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트레드바 2 : 커플러
2a : 고정핀 3 : 중심유지재
3a : 날개편 5 : 파일구멍
7 : 고정너트 20 : 순환호스
21 : 주입구 22 : 배출구
23 : 분출공 30 : 고무밴드
40 : 조절밸브 41 : 제1배출공
42 : 제2배출공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시공상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고정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중심유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파일의 밸브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에 의한 앵커파일은, 트레드바(1)가 커플러(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길이조정된 상태에서, 지반에 천공되어진 파일구멍 (5)내로 삽입되어, 파일구멍(5)내로 주입되는 그라우트재(6)를 통해 고정되도록 한 지중 앵커파일에 있어서,
트레드바(1)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주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호 연통되어 파일구멍(5)의 바깥으로 돌출되고 그 몸체에 다수개의 분출공(23)이 다단계로 형성된 순환호스(20)가 장착되며, 분출공(23)의 둘레에 그라우트재의 분사압에 의해 팽창/수축되면서 분출공(23)을 개폐하여 주는 고무밴드(30)가 감싸여지고, 고무밴드(30)의 외측에 고무밴드(30)의 순환호스(20)의 외경보다 큰 제1,2배출공(41) (42)을 형성하고 있는 그라우트밸브(4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드바(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외주면에 나선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진 봉형상으로 되어서 그라우트재와의 결착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커플러(2)는 트레드바(1)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결합구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의 구멍에 트레드바(1)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돌기가 끼워지는 나선홈을 갖고 있어서 트레드바(1)에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커플러(2)의 상하단에는 도3의 도시와 같은 고정너트(7)를 트레드바(1)에 추가로 결속하여서 트레드바(1)와 커플러(2)의 사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2) 및 고정너트(7)들의 양측에는 고정핀(2a)을 관통시켜서 트레드바(1)의 외면에 압박시켜 놓아 상하로 결속되는 트레드바(1)가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트레드바(1)의 일정 높이마다에는 도4의 도시와 같은 중심유지재(3)가 설치된다.
이 중심유지재(3)는 방사상으로 외향 돌출되는 다수개의 날개편(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심유지재(3)는 앵커파일이 파일구멍(5)내에 삽입되었을 때 그 날개편(3a)이 파일구멍(5)의 내벽과 접촉함으로써 앵커파일이 파일구멍(5)내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간격유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순환호스(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바(1)의 최하단에서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중공관으로서, 그 주입구(21)와 배출구(22)가 파일구멍(5)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그 몸체에 다수개의 분출공(23)이 다단계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밴드(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호스(20)의 외주면, 즉 분출공(23)의 외주면에 감싸진 신축성이 강한 수축/팽창부재로서, 순환호스(20)의 통로로 압송되어지는 그라우트재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거나 그라우트재의 압송이 중단되었을 때 수축하여서 분출공(23)을 막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절밸브(40)는 도5의 도시와 같이, 트레드바(1)의 측면부에 부착되어진 함체로서, 그 몸체에 고무밴드(30)가 감싸진 순환호스(20)의 분출공(23)을 수용하여 주도록 상하로 맞뚫린 제1,2배출공(41)(42)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밸브(40)의 제1,2배출공(41)(42)은 그 내경이 순환호스(20)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압송되는 그라우트재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어진 고무밴드(30)를 보호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약지반이나 경사지등의 지반에 앵커구조체를 형성시켜 지반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해 앵커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커플러(3)를 이용하여 지반에 천공되어 있는 파일구멍(5)에 적합한 길이로 트레드바(1)들을 연결하고, 그 외측에 순환호스(20) 및 중심유지재(3)등을 장착하여서 앵커파일을 완성한다.
이때 순환호스(20)의 주입구(21)는 개방된 상태로 놔두고 배출구(22)는 패쇄하여 놓는다.
그후, 파일구멍(5)내에 앵커파일을 삽입하고, 순환호스(20)의 주입구(21)에 그라우트재 압송장치를 연결한 다음 가동시켜 순환호스(20)내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한다.
순환호스(20)로 그라우트재가 주입되면 그라우트재의 압력에 의해 순환호스 (20)의 분출공(23)에 감겨져 있던 고무밴드(3)가 팽창되면서 분출공(23)이 개방되고, 그라우트재가 분출공(23) 및 제1,2배출공(41)(42)들을 통해 파일구멍(5)내로 분출됨으로써 채워지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파일구멍(5)내로 그라우트재가 다 채워지면 그라우트 압송장치를 주입구(21)로부터 해체하고 순환호스(20)의 배출구를 개방시킨다.
다음, 주입구(21)를 통해 순환호스(20)의 내부로 물을 고압으로 주입하여서 순환호스(20)의 내부에 잔류하는 그라우트재를 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분출공(23)에 감겨있는 고무밴드(3)는 수축된 상태이며, 조절밸브(40)의 제1,2배출공(41)(42)의 주변에 있는 그라우트재도 주입되는 물에 의해 깨끗하게 청소된다.
본발명의 앵커파일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1차적인 그라우팅 작업을 끝마치게 되며, 일정기간동안 그라우트재를 양생시킨 후, 2차·3차의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즉, 연약지반 또는 지반이 부실한 지역의 경우에는 1차 그라우팅 작업만으로는 파일구멍(5)의 내부 및 주변지반에 그라우트재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게 되므로, 파일구멍(5)의 내부 및 주변지반에 그라우트재가 밀실하게 채워질 때까지 상기와 같은 작업과정을 수차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파일구멍(5)내로 연속하여 그라우트재를 충진시키게 되므로, 파일구멍(5)내에서 앵커파일의 정착력이 증대되고, 앵커구조체의 구조적인 강도가 확실하게 확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앵커파일에 의하면, 그라우팅작업을 실시한 후 순환호스내에 잔류하는 그라우트재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번에 걸쳐 그라우팅을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일구멍내로 삽입되어 지반내에 정착되는 앵커파일의 정착력 및 하중 지지력을 증대시켜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준다.
또한, 본발명의 앵커파일은 상하의 트레드바가 연결되는 이음부에 고정너트 및 고정핀을 설치하는 구성을 통해 상하로 연결되는 트레드바의 결속력을 확보하여 줌으로써, 인장력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하면 앵커파일의 상부측으로 축조되어지는 각종 건축,토목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트레드바(1)가 커플러(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길이조정된 상태에서, 지반에 천공되어진 파일구멍(5)으로 삽입되어, 파일구멍(5)내로 주입되는 그라우트재 (6)를 통해 고정되도록 한 지중 앵커파일에 있어서,
    트레드바(1)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주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호 연통되어 파일구멍(5)의 바깥으로 돌출되고 그 몸체에 다수개의 분출공(23)이 다단계로 형성된 순환호스(20)가 장착되며, 분출공(23)의 둘레에 그라우트재의 분사압에 의해 팽창/수축되면서 분출공(23)을 개폐하여 주는 고무밴드(30)가 감싸여지고, 고무밴드(30)의 외측에 고무밴드(30)의 순환호스(20)의 외경보다 큰 제1,2배출공(41) (42)을 형성하고 있는 그라우트밸브(4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앵커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2)의 상하단에는 고정너트(7)를 트레드바(1)에 추가로 결속하여서 트레드바(1)와 커플러(2)의 사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앵커파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및 고정너트(7)들의 양측에는 고정핀(2a)을 관통시켜서 트레드바(1)의 외면에 압박시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앵커파일.
KR10-2000-0060306A 2000-10-13 2000-10-13 지중 앵커파일 KR100387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306A KR100387085B1 (ko) 2000-10-13 2000-10-13 지중 앵커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306A KR100387085B1 (ko) 2000-10-13 2000-10-13 지중 앵커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694A KR20020029694A (ko) 2002-04-19
KR100387085B1 true KR100387085B1 (ko) 2003-06-12

Family

ID=1969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306A KR100387085B1 (ko) 2000-10-13 2000-10-13 지중 앵커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953B1 (ko) * 2000-10-20 2003-10-22 최용기 유리섬유 강화파이프 주입관을 이용한 다단계그라우팅장치와 그 시공방법
KR101512031B1 (ko) * 2014-07-18 2015-04-14 이장희 그라우팅을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1977538B1 (ko) 2018-06-12 2019-05-10 문형록 보강 플레이트가 구비된 할로우 앵커 파일 조립체
CN108590724A (zh) * 2018-07-02 2018-09-28 四川大学 一种散射固灌式锚杆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5413A (en) * 1975-09-16 1977-03-18 Masaharu Shiyouji Method of improving poor bedrock
JPS5238713A (en) * 1975-09-19 1977-03-25 Shingijutsu Kaihatsu Kk Supporting device for withdrawing anchor
JPS6417916A (en) * 1987-07-14 1989-01-20 Taisei Corp Injection for filler
JPH0247417A (ja) * 1988-08-09 1990-02-16 Taisei Corp ケーシングの逆止弁装置
JPH0422524A (ja) * 1990-05-15 1992-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金属板の接続方法
JPH07238531A (ja) * 1993-10-28 1995-09-12 Japan Found Eng Co Ltd 可撓性注入管を用いたグラウト注入装置
JPH07286319A (ja) * 1994-04-18 1995-10-31 Pub Works Res Inst Ministry Of Constr グラウト注入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5413A (en) * 1975-09-16 1977-03-18 Masaharu Shiyouji Method of improving poor bedrock
JPS5238713A (en) * 1975-09-19 1977-03-25 Shingijutsu Kaihatsu Kk Supporting device for withdrawing anchor
JPS6417916A (en) * 1987-07-14 1989-01-20 Taisei Corp Injection for filler
JPH0247417A (ja) * 1988-08-09 1990-02-16 Taisei Corp ケーシングの逆止弁装置
JPH0422524A (ja) * 1990-05-15 1992-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金属板の接続方法
JPH07238531A (ja) * 1993-10-28 1995-09-12 Japan Found Eng Co Ltd 可撓性注入管を用いたグラウト注入装置
JPH07286319A (ja) * 1994-04-18 1995-10-31 Pub Works Res Inst Ministry Of Constr グラウト注入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694A (ko) 200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589B1 (ko) 락볼트의 다목적 선단정착구
KR101070072B1 (ko) 이중 팩커를 이용한 강관 다단 동시그라우팅 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100457406B1 (ko) 그라운드 앵커
KR101023477B1 (ko) 압력그라우팅 쏘일 네일 구조
KR101859259B1 (ko) 매입 중공파일의 주면 마찰력 증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16528Y1 (ko) 접착형 록볼트
KR100892245B1 (ko) 터널보강용 시멘트그라우트 주입볼트
KR100387085B1 (ko) 지중 앵커파일
KR101253496B1 (ko)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98588B1 (ko) 소일네일링의 다목적 네일선단정착구
KR100463269B1 (ko) 인장재 해체 가능 정착장치 및 인장재 제거방법
KR101633505B1 (ko) 지보재
JP647499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せん断補強方法
KR101087891B1 (ko) 패커 팽창으로 원지반 공벽에 정착되는 접이식 웨지를 다수장착한 고강도 경량 강관 쏘일네일
KR100941669B1 (ko) 지중 앵커파일 압력 재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40777A (ko) 굴착공사의 지반보강 충전제의 충전장치
KR19990026113A (ko) 인장재회수형 지중앵커용 복합정착구
KR20100060445A (ko) 돌출부재를 갖는 지반보강장치
KR102111691B1 (ko) 전단면 지지 복합식 지중 앵커
KR100383453B1 (ko) 락 볼트 시공용 고정구
KR200263955Y1 (ko) 나선형 중공파이프를 이용한 네일링장치
KR101256464B1 (ko) 다중파일 형성방법, 다중파일 형성장치 및 다중파일
KR100869369B1 (ko)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KR200183309Y1 (ko) 돌기형 쏘일네일
KR200437314Y1 (ko) 그라우팅 마감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