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719B1 - 디아조형 감광필름 - Google Patents
디아조형 감광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6719B1 KR100386719B1 KR1019960067991A KR19960067991A KR100386719B1 KR 100386719 B1 KR100386719 B1 KR 100386719B1 KR 1019960067991 A KR1019960067991 A KR 1019960067991A KR 19960067991 A KR19960067991 A KR 19960067991A KR 100386719 B1 KR100386719 B1 KR 100386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s
- weight
- diazo
- binder
- fil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52—Compositions containing diazo compounds as photosensitive substan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03F7/031—Organic compounds not covered by group G03F7/029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인더로서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열가소성 아크로이드 바인더 및 아크릴릭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과; 유기산류로서 옥살산, 염화아연, 염화주석, 티오우레아, p-톨루엔술폰산, 디부틸프탈레이트 및 살리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을 함유하는 디아조늄 감광층이 플라스틱필름 지지체상에 도포된 디아조형 감광필름을 제공하며, 이러한 감광필름은 광분해 효과가 우수하여 백지부 투명도가 우수하며 감광층과 지지필름의 접착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광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지지체상에 디아조늄 감광층을 도포하여서 된, 접착력 및 백지부 투명도가 우수한 디아조형 감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토마스크나 나염, 설계도면 카피용으로 사용되는 디아조형 감광필름은 플라스틱 지지체상에 셀룰로오즈에스테르 바인더, 기타 첨가제(유기산, 무기입자, 안정제 등), 커플러, 디아조늄염 등으로 구성된 감광조액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디아조형 감광필름은 자외선에 노광시키면 노광된 부위는 광분해 반응이 일어나고, 미노광부위는 현상공정에서 디아조늄염과 커플러와의 반응에 의해서 일정한 화상으로 발색하게 된다.
이와같은 디아조형 감광재료는 조작이 간단하고, 처리속도가 빠르며, 원가가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어서 근래에는 디아조형 감광재료를 이용하여 제2원료용 디아조복사물을 얻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아조형 감광필름은 노광, 현상후 일정한 화상을 형성하여업체에서 사용함에 있어서, 첫째, 자외선 노광후 광분해가 완변하게 진행되지 않아 디아조 필름을 여러장 겹쳤을 시, 노광부(백지부)가 황변되어(색상이 누르게 되어)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과, 둘째 하절기와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암모니아 현상후 미노광부(베다부)의 아조 감광층과 지지필름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제품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감광층과 지지필름의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일본특허공개 소 52-80118 호, 50-23219 호 및 52-134718 호에는 고분자 바인더로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니트로셀룰로오즈, 셀룰로오즈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 프로피오닉산, 폴리아실릭산, 셀룰로오즈 에틸에스테르, 셀룰로오즈 부틸 에스테르, 셀룰로오즈 부틸레이트, 아실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인더물질은 피막강도 및 밀착력 약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93-20534호에서 플라스틱 지지체상에 도포되는 디아조 감광층의 바인더로서 셀룰로오즈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카르복실레이트아크릴공중합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감광층과 지지필름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첫 번째 문제점, 즉 광분해성 결여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아무런 해결책도 제시하지 않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분해 효과가 우수하여 백지부 투명도가 우수하며 감광층과 지지필름의 접착력이 충분히 만족스러운 디아조형 감광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필름 지지체상에 바인더 및 유기산류를 함유하는 디아조늄 감광층을 도포하여서 된 디아조형 감광필름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카르복실레이트아크릴 공중합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열가소성 아크로이드 바인더 및 아크릴릭 플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이고; 상기 유기산류가 옥살산, 염화아연, 염화주석, 티오우레아, p-톨루엔술폰산, 디부틸프탈레이트 및 살리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조형 감광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디아조형 감광필름에 있어서, 디아조늄 감광층에 함유되는 바인더로는 카르복실레이트아크릴 공중합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열가소성 아크로이드 바인더 및 아크릴릭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조합에 의하면 노광 및 현상후 감광층과 플라스틱 지지체 필름과의 접착력이 하절기 수분에 대해서도 상실되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디아조늄 감광층에 함유되는 유기산류로는 옥살산, 염화아연, 염화주석, 티오우레아, p-톨루엔술폰산, 디부틸프탈레이트 및 살리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기산류의 조합에 의하면 암모니아 현상시 황변현상이 발생됨이 없이 우수한 광분해 효과가 발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에 의하면, 상기 바인더로서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공중합체 2∼12중량부(바람직하게 4∼8 중량부),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1∼10중량부 (바람직하게 2∼8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로이드 바인더 5∼15 중량부 (바람직하게 7∼13 중량부), 아크릴릭 폴리머 3∼13중량부 (바람직하게 6∼12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유기산류로서 옥살산 0.05∼0.30 중량부 (바람직하게 0.1∼0.2 중량부), 염화아연 0.1∼0.5 중량부 (바람직하게 0.15∼0.35 중량부), 염화주석 0.1∼0.5 중량부 (바람직하게 0.15∼0.35 중량부), 티오우레아 0.05∼0.35 중량부 (바람직하게 0.1∼0.25 중량부), p-톨루엔술폰산 0.3∼0.6 중량부(바람직하게 0.35∼0.50 중량부), 디부틸프탈레이트 0.1∼2.5 중량부 (바람직하게 0.2∼1.5 중량부), 살리실산 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 0.2∼0.6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이 사용된다.
원래 유기산은 디아조 필름의 제조시 혹은 사용전까지 디아조 화합물의 분해방지와 2성분계에서 프리커플링(pre-coupling) 방지 목적으로 용액내의 pH와 코팅층 내의 조건을 산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염화아연과 염화주석과 같은 금속염과 티오우레아(ANOX계)는 종류상으로는 유기산이 아니나 그 역할로 보아 프리커플링 방지효과가 있으므로 유기산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유기산류'라고 일괄 지칭한다. 프리커플링 반응과 디아조필름 황변방지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프리커플링 반응]
[디아조필름 황변방지 메카니즘]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디아조늄화합물로는, 2-에톡시-4-몰포리노벤젠디아조늄 플루오로보레이트, 2,5-디에톡시-4-몰포리노벤젠 디아조늄 플루오로보레이트, 2,5-디이소프로폭시-4-몰포리노벤젠 디아조늄 플루오로보레이트, 2,5-디에톡시-4-몰포리노벤젠디아조늄 플루오로보레이트, 2,5-디에톡시-4-몰포리노벤젠디아조늄클로라이드·1/2 무수염화아연, 2,5-디이소프로폭시-4-몰포리노벤젠디아조늄 클로라이드·1/2 무수염화아연, 3-메틸-4-피롤리디노벤젠디아조늄 플루오로보레이트, 3-메톡시-4-피롤리디노벤젠디아조늄 플루오로보레이트, 3-메톡시-4-피롤리디노벤젠디아조늄 술포살리실레이트, 3-메틸-4-피롤리디노벤젠디아조늄 플루오로포스페이트, 2,5-디-N-부톡시-4-몰포리노벤젠디아조늄 플루오로보레이트, 2,5-디-N-부톡시-4-몰포리노벤젠디아조늄 클로라이드·1/2 무수염화아연, 2,5-디에톡시-4-(P-폴리티오)벤젠디아조늄 플루오로보레이트, 2,5-에톡시-4-(P-폴리티오)벤젠디아조늄 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이 있다.
또한, 감광층에는 상기한 것들 이외에도, 현상촉진제, 색농도증감제, 열안정제, 보존성 향상제, 용해촉진제 등을 첨가하여 디아조형 감광재료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감광층이 적층되는 플라스틱 지지체로는 투명, 반투명한 것이 있는데 예를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플리에틸렐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트레이싱 용지, 셀룰로오즈트리아세테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지지체에 감광층을 적층시키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에어-나이프 도포, 롤 도포, 독터나이프 도포, 나이프오버롤 도포 등의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아조형 감광필름을 이용하여 디아조 복사를 함에 있어서 고압수은 등에 제2원료용 디아조 감광필름을 진공 밀착시켜 노광을 시키고, 알칼리현상 처리한 후 건조를 하면 선명한 복사필름을 용이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께가 50㎛인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단면에 하기 표 1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조성된 감광층을 도포량이 42 g/㎡ 되도록 도포하여 100℃에서 2∼3분 건조후 디아조형 감광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두께가 50㎛인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단면에 하기 표 2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조성된 감광층을 도포량이 42 g/㎡ 되도록 도포하여 100℃에서 2∼3분 건조후 디아조형 감광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두께가 50㎛인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단면에 하기 표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조성된 감광층을 도포량이 42 g/㎡ 되도록 도포하여 100℃에서 2~3분 건조후 디아조형 감광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두께가 50㎛인 이축연신 플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단면에 하기 표 4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조성된 감광층을 도포량이 42 g/㎡ 되도록 도포하여 100℃에서 2∼3분 건조후 디아조형 감광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디아조형 감광필름에 대하여 다음에 제시되는 방법으로 접착력 및 백지부투명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5에 제시된다.
* 접착력 :
평가방법 …시료에 폭 5cm, 길이 10cm의 테이프(대일화학 제품)로 강하게 붙인 후, 테이프를 떼어내서 박리되지 않고 남아있는 접착층의 넓이비율로 평가.
평가등급 … ◎ : 전혀 박리되지 않음 (100% 남음)
○ : 약간 박리됨 (80% 이상 남음)
△ : 절반정도 박리(박리된 부분은 비연속적) (80∼40% 남음)
× : 전부 다 박리되고 연속적인 박리형태 (40% 이하 남음)
* 백지부 투명도 :
측정목적 … 우수한 복사재현성 기능확보를 위한 노광부의 투명도 확인
측정방법 … 노광(200mJ/㎠), 현상시킨 후, 노광부의 투명도를 칼라미터 (color meter)로 B치를 측정(관리기준 11이하)
상기 표 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 및 2의 디아조형 감광필름은 비교예의 디아조형 감광필름에 비하여 감광층과 플라스틱 지지체 필름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현상시 광분해효과가 우수하여 황변현상이 발생됨이 없이 우수한 투명도를 유지하므로 복사 재현성이 우수하다.
Claims (2)
- 플라스틱필름 지지체상에 바인더 및 유기산류를 함유하는 디아조늄 감광층을 도포하여서 된 디아조형 감광필름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열가소성 아크로이드 바인더 및 아크릴릭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이고; 상기 유기산류가 옥살산, 염화아연, 염화주석, 티오우레아, p-톨루엔술폰산, 디부틸프탈레이트 및 살리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조형 감광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로서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4∼8 중량부,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2∼8 중량부, 열가소성 아크로이드 바인더 7∼13 중량부, 아크릴릭 폴리머 6∼12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을 사용하고;상기 유기산류로서 옥살산 0.1∼0.2 중량부, 염화아연 0.15∼0.35 중량부, 염화주석 0.15∼0.35 중량부, 티오우레아 0.1∼0.25 중량부, p-톨루엔술폰산 0.35∼0.50 중량부, 디부틸프탈레이트 0.2∼1.5 중량부, 살리실산 0.2∼0.6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3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조형 감광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7991A KR100386719B1 (ko) | 1996-12-19 | 1996-12-19 | 디아조형 감광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7991A KR100386719B1 (ko) | 1996-12-19 | 1996-12-19 | 디아조형 감광필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9299A KR19980049299A (ko) | 1998-09-15 |
KR100386719B1 true KR100386719B1 (ko) | 2004-05-22 |
Family
ID=3741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7991A KR100386719B1 (ko) | 1996-12-19 | 1996-12-19 | 디아조형 감광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8671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09494B2 (en) | 2019-04-30 | 2023-03-21 | Samsung Sdi Co., Ltd. | Semiconductor photo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s using the composition |
US12013635B2 (en) | 2020-12-18 | 2024-06-18 | Samsung Sdi Co., Ltd. | Semiconductor photo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s using the composi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4186B1 (ko) * | 2002-07-24 | 2005-10-27 | 주식회사 엠아이테크 | 금속사진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금속사진 |
-
1996
- 1996-12-19 KR KR1019960067991A patent/KR1003867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09494B2 (en) | 2019-04-30 | 2023-03-21 | Samsung Sdi Co., Ltd. | Semiconductor photo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s using the composition |
US12013635B2 (en) | 2020-12-18 | 2024-06-18 | Samsung Sdi Co., Ltd. | Semiconductor photo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s using the composi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9299A (ko) | 1998-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250A (ja) | 写真用感光層支持体及び該支持体の背面被膜を製造するための水溶液 | |
US2976148A (en) | Antistatic backing layers for photographic film | |
KR100386719B1 (ko) | 디아조형 감광필름 | |
US3408192A (en) | Light-sensitive diazotype compositions and elements | |
US2266435A (en) | Photographic stripping film | |
US3516832A (en) | Photographic articles and materials useful in their manufacture | |
EP0080241B1 (en) | Diazotype material | |
US2603564A (en) | Light sensitive diazotype layer containing a white opacifying pigment | |
CA1064308A (en) | Diazotype material containing starch in a polymeric binder | |
KR970003682B1 (ko) | 디아조형 감광 필름 | |
US4131468A (en) | Diazotype materials | |
US3232756A (en) | Colloid transfer process | |
KR930008123B1 (ko) | 복사 필름의 제조방법 | |
US4705736A (en) | Thermal diazo composition | |
US4457997A (en) | Two-component diazotype material | |
US3867167A (en) | Method for production of photographic material | |
US3849191A (en) | Photographic articles and materials useful in their manufacture | |
US2289799A (en) | Antihalation film | |
GB740166A (en) | Photographi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igment image on a receiving surface and light-sensitive sheets for use therein | |
KR910010254B1 (ko) | 디아조형 감광필름 | |
WO1983000750A1 (en) | Fine line photographic transfers | |
US3700480A (en) | Vesicular film | |
DE1597564C (de) | Photographisches Aufzeichnungsmaterial mit einer thermophotographischen, gegebenen falls sensibihsierten, Schicht | |
US3396025A (en) | Photosensitive products for preparing gravure resists | |
KR960012442B1 (ko) | 광분해성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