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582B1 -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582B1
KR100385582B1 KR10-2000-0073692A KR20000073692A KR100385582B1 KR 100385582 B1 KR100385582 B1 KR 100385582B1 KR 20000073692 A KR20000073692 A KR 20000073692A KR 100385582 B1 KR100385582 B1 KR 100385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ercise
control
learning system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690A (ko
Inventor
강문상
이성한
Original Assignee
(주)엠텍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텍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엠텍소프트
Priority to KR10-2000-007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5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임의의 또는 정해진 궤도 상을 이동하는 운동체; 소정의 교육내용을 저장하고, 운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운동체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운동체 감지센서로부터 운동체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저장된 교육내용을 출력하는 다수의 고정체; 및 고정체로부터 출력되는 교육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정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 따르면, 놀이를 겸하여 교육내용을 학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동신경 향상은 물론, 탁월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STUDY SYSTEM USING REMOTE CONTROL MOBILE}
본 발명은 원격제어되는 운동체, 예를 들어 자동차 등과 같은 완구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비행기 등의 형태로 형성되는 원격제어 운동체는 사용자, 특히 어린이의 운동신경을 발달시킬 수 있는 놀이기구로써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운동체의 사용자는 운동체로부터 떨어져, 조정기를 조작하여 운동체의 이동, 즉 속도, 방향 등을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원격제어 운동체는 놀이용으로만 이용되는 사용상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운동신경 향상은 물론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의 운동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은 도1의 고정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4는 도1의 조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동체 20 : 고정체
30 : 조정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원격제어되는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학습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임의의 또는 정해진 궤도 상을 이동하는 운동체; 소정의 교육내용을 저장하고, 상기 운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운동체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운동체 감지센서로부터 운동체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교육내용을 출력하는 다수의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로부터 출력되는 교육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정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학습 시스템은 임의의 또는 정해진 궤도 상을 이동하는 운동체(10), 다수의 고정체(20) 및 조정기(30)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운동체(10)는 조정기(30)와 교신하기 위한 운동체용 통신부(10a), 운동체용 코덱부(10b), 운동체 제어부(10c), 구동부(10d), 카메라(10e) 및 상기 각 부분들(10a, 10b, 10c, 10d, 10e)을 장착한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상기 운동체용 통신부(10a)는 조정기(30)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운동체용 코덱부(10b)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운동체용 통신부(10a)는 운동체용 코덱부(10b)로부터 운동체(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 예를 들어 후술되는 피사체의 영상에 관련되는 신호를 전송받아 조정기(30)로 송신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운동체용 코덱부(10b)는 운동체용 통신부(10a)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운동체 제어부(10c)로 전송하고, 상기 피사체의 영상정보를 코딩(Coding)하여 운동체용 통신부(10a)로 전송한다. 상기 운동체 제어부(10c)는 운동체용 코덱부(10b)에서 디코딩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부(10d) 및 카메라(10e)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부(10d)는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켜 하우징을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10d)가 정역회전할 수 있는 두 개의 스텝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각 스텝모터는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각각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구동부(10d)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구동부(10d)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10e)는 하우징이 이동되는 궤도로부터 소정거리 내에 위치된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을 운동체 제어부(10c)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운동체 제어부(10c)는 카메라(10e)로부터 전송되어온 피사체의 영상을 운동체용 코덱부(10b)로 전송한다. 상기 하우징은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등과 같이 어린이에게 익숙한 운송수단(Vehicle)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고정체(20)는 고궁, 박물관 등과 같은 건물, 역사적인 인물, 산 등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다. 이와 같은 고정체(20) 각각은, 도3을 참조하면, 운동체 감지센서(20a), 메모리(20b), 메모리 제어부(20c), 교육내용 코덱부(20d) 및 교육내용 송신부(20e)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체 감지센서(20a)는 궤도상을 이동하는 운동체(10)가 소정거리이내로 근접하게 될 경우, 운동체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메모리(20b)는 고정체(20)가 나타내는 건물 또는 인물 또는 산에 대한 교육내용을 영상 또는 음성/음향의 형태로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20c)는 운동체 감지센서(20a)에서 발생된 운동체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20b)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므로써, 상기 메모리(20b)에 저장된 교육내용을 인출하고, 상기 인출된 교육내용을 교육내용 코덱부(20d)로 전송한다. 상기 교육내용 코덱부(20d)는 메모리제어부(20c)로부터 전송되어온 교육내용을 코딩하여 교육내용신호를 생성하고, 교육내용 송신부(20e)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교육내용 송신부(20e)는 전송되어온 교육내용을 조정기(30)로 송신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조정기(30)는 조정기용 통신부(30a), 조정기용 코덱부(30b), 제1명령 입력부(30c), 제2명령 입력부(30d), 조정기 제어부(30e), 디스플레이부(30f) 및 스피커(30g)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기용 통신부(30a)는 운동체용 통신부(10a)로부터 송신된 피사체의 영상신호 및 교육내용 송신부(20e)로부터 송신된 교육내용신호를 수신하여 조정기용 코덱부(30b)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조정기용 통신부(30a)는 조정기 제어부(30e)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운동체용 통신부(10a)로 송신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조정기용 코덱부(30b)는 조정기용 통신부(30a)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신호 및 교육내용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조정기 제어부(30e)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조정기용 통신부(30a)로 전송한다. 상기 제1 및 제2명령 입력부(30c, 30d)는 운동체(10)의 이동에 관련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명령 입력부(30c)는 다수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명령 입력부(30d)는 조이스틱 또는 마우스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기 제어부(30e)는 제1 또는 제2명령 입력부(30c, 30d)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받아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생된 제어신호를 조정기용 코덱부(30b)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조정기 제어부(30e)는 조정기용 코덱부(30b)로부터 전송되어온 영상신호 및 교육내용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f) 또는 스피커(30g)에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피사체의 영상과 영상으로된 교육내용이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조정기용 제어부(30e)는 영상으로된 교육내용을 디스플레이부(30f)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f)는 카메라(10e)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영상으로된 교육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30g)는 음향/음성으로된 교육내용을 방송한다. 더욱이, 상기 운동체(10)의 하우징이 자동차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f)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는 운동체(10)를 실제로 운전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5를 참조하면, 운동체(10)는 소정 지도 상에 위치되며, 상기 지도 상에는 경복궁에 대응하는 고정체, 이순신 장군의 동상에 대응하는 고정체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체의 메모리(20b)에는 각 고정체가 상징하는 건물 또는 인물에 대한 교육내용이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또는 제2명령 입력부(30c, 30d)를 통해 전진, 후진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조정기 제어부(30e)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조정기용 통신부(30a)는 제어신호를 운동체용 통신부(10a)로 송신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운동체 제어부(10c)는 운동체용 통신부(10a)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부(10d)를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카메라(10e)에 의해 촬영되는 운동체(10) 주변의 고정체는 운동체용통신부(10a)를 통해 조정기(3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30f)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되는 운동체(10)를 경복궁에 대응하는 고정체내의 운동체 감지센서(20a)가 감지하여 운동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메모리 제어부(20c)는 메모리(20b)에 저장된 경복궁에 대한 교육내용을 인출하여 교육내용 코덱부(20d)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교육내용 코덱부(20d)는 전송되어온 교육내용을 인코딩하여 교육내용 송신부(20e)로 전송하며, 상기 교육내용 송신부(20e)는 교육내용신호를 조정기(30)로 송신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육내용은 조정기의 디스플레이부(30f) 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스피커(30g)를 통해 방송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정기(30)와 운동체(10) 및 조정기(30)와 고정체(20)가 무선으로 교신하도록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정기(30)와 운동체(10) 및 조정기(30)와 고정체(20)가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교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동체(10)가 조정기(3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소정궤도를 감지하는 궤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운동체 제어부(10c)는 조정기(30)의 제어신호 및 궤도감지센서의 궤도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부(10d)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궤도는 사용자가 싸인펜, 테이프 또는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 따르면, 놀이를 겸하여 교육내용을 학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동신경 향상은 물론, 탁월한 학습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임의의 또는 정해진 궤도 상을 이동하는 운동수단;
    소정의 교육내용을 저장하고, 상기 운동수단을 감지하기 위한 운동수단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운동수단 감지센서로부터 운동수단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교육내용을 출력하는 다수의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로부터 출력되는 교육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조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조정수단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운동수단용 통신부;
    상기 궤도를 감지하여 궤도감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궤도감지센서; 및
    상기 운송수단용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궤도감지센서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궤도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운동수단용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은
    상기 궤도로부터 소정거리내에 위치된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운동수단용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운동수단용 통신부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운동수단용 제어부를 통해 제공받아 상기 조정수단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고정체는
    상기 교육내용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교육내용을 상기 조정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교육내용 송신부; 및
    상기 운동수단 감지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운동수단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교육내용을 인출하고, 상기 인출된 교육내용을 상기 교육내용 송신부로 전송하는 메모리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입력부;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교육내용 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교육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조정수단용 제어부; 및
    상기 조정수단용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운동수단용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운동수단 및 상기 고정체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 및 상기 교육내용은 상기 조정수단용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정수단용 통신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음향/음성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의 메모리부는
    상기 교육내용에 관계되는 음향/음성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2000-0073692A 2000-12-06 2000-12-06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0385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692A KR100385582B1 (ko) 2000-12-06 2000-12-06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692A KR100385582B1 (ko) 2000-12-06 2000-12-06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690A KR20020044690A (ko) 2002-06-19
KR100385582B1 true KR100385582B1 (ko) 2003-05-27

Family

ID=2767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692A KR100385582B1 (ko) 2000-12-06 2000-12-06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8045B2 (en) 2015-11-11 2021-04-13 Mglish Inc.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tion learning device based on foreign language rhythm detection sensor and motion learning method, electronic recording medium, and learning materi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1562A (en) * 1975-12-27 1978-05-30 Okuma Seisakusho Co. Ltd. Toy railway system
US4334221A (en) * 1979-10-22 1982-06-08 Ideal Toy Corporation Multi-vehicle multi-controller radio remote control system
KR970000431A (ko) * 1995-06-28 1997-01-21 서상기 납(Pb)이 함유되지 않은 땜질(solder)용 주석(Sn)-아연(Zn)-비스므스(Bi) 합금
KR20000072325A (ko) * 2000-08-29 2000-12-05 연대성 가상현실을 이용한 광고삽입형 주행 시뮬레이션 게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1562A (en) * 1975-12-27 1978-05-30 Okuma Seisakusho Co. Ltd. Toy railway system
US4334221A (en) * 1979-10-22 1982-06-08 Ideal Toy Corporation Multi-vehicle multi-controller radio remote control system
KR970000431A (ko) * 1995-06-28 1997-01-21 서상기 납(Pb)이 함유되지 않은 땜질(solder)용 주석(Sn)-아연(Zn)-비스므스(Bi) 합금
KR20000072325A (ko) * 2000-08-29 2000-12-05 연대성 가상현실을 이용한 광고삽입형 주행 시뮬레이션 게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690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126B2 (en) Remote control of wireless electromechanical device using a web browser
JP4512830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
US20110111849A1 (en) Spatially Aware Mobile Projection
CN1486456A (zh) 一对一直接通信
CN106205245A (zh) 沉浸式在线教学系统、方法和装置
US9558676B2 (en) Method for simulating specific movements by haptic feedback,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JP2012530317A (ja) バーチャルビューを変更するシステム
WO2008157061A1 (en) Spatially aware mobile projection
JP2000193480A (ja) 車載入出力装置
KR20100044779A (ko) 오디오 애니메이션 장치
US20100137066A1 (en) Simulation game system
KR101808598B1 (ko) 다중 화면 실감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체험형 라이드 재현장치 및 그 방법
Lisus et al. Misplacing memory: The effect of television format on Holocaust remembrance
KR100385582B1 (ko) 원격제어 운동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101620326B1 (ko) 장난감 차량 원격제어용 자전거 운동기구 시스템
CN1991691B (zh) 交互式控制平台系统
CN1251503C (zh) 与实时内容流互动的设备
KR102344322B1 (ko) 어린이 교육 시스템
KR20110133335A (ko) 축소모형 마을 여행 관람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110092140A (ko) 개인별 맞춤 학습이 가능한 r-러닝 시스템
US20020029388A1 (en) Interactive toy system
KR20200101300A (ko) 증강현실과 연계 동작 가능한 스마트 코딩블록 시스템
KR101015984B1 (ko) 감각신호 생성시스템
KR101640410B1 (ko) 다중 디지털 교감 시스템 및 방법
JP2019087927A (ja) 赤外線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