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518B1 -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518B1
KR100383518B1 KR10-2001-0004008A KR20010004008A KR100383518B1 KR 100383518 B1 KR100383518 B1 KR 100383518B1 KR 20010004008 A KR20010004008 A KR 20010004008A KR 100383518 B1 KR100383518 B1 KR 100383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page
sheet
sheets
pag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381A (ko
Inventor
남용석
Original Assignee
남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용석 filed Critical 남용석
Priority to KR10-2001-000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5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91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reading, e.g. e-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a) 사용자가 손으로 시트를 넘기는 단계; (b) 감지부가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한 후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처리하여 페이지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d) 제어부가 연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페이지 번호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전환방법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표지 내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보여지도록 창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시트; 상기 복수개 시트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사용자가 손으로 시트를 넘길 때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감지부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페이지 번호를 연산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연산된 페이지 번호에 해당하는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Method of electronic page conversion synchronized with turning over the leave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중심부에 창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시트(Sheet)를 구비하고 표지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손으로 시트를 넘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컨텐츠(Contents)의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페이지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E-Book으로 널리 알려진 전자책 단말기는 기존의 종이책에 비해서 방대한 양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휴대성이 뛰어나 그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록, 현재는 그 무게와 비용이 만만치 않고 컨텐츠도 한정되어 있는 단점이 있지만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의 가격이 하락하여 생산비가 절감되고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된다면 전자책 시장이 매우 활성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전자책을 살펴보면, 상기 단점외에 인간친화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로켓e북, 소프트북, everybook등 다양한 전자책들이 판매되고 있지만 한결같이 책이라는 느낌보다는 휴대가 간편한 퍼스널 컴퓨터에 가깝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손으로 책장을 넘기는 데 익숙해져 있고, 또 그것이 책의 매력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종이책과 같이 복수개의 시트를 구비하여 시트를 넘김에 따라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페이지 전환방법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손으로 책장을 넘길 때 페이지가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를 펼쳤을 때 분포되는 등가저항의 일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앞표지를 펼쳤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시트의 전체 페이지 수보다 컨텐츠의 전체 페이지 수가 많을 경우, 시트의 마지막 페이지를 펼쳤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5: 전자펜 9: 시트 11: 디스플레이부
12: 도전막 13: 저항막 16: 키패드
17: 메모리 18: 제어부 19: 감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a) 사용자가 손으로 시트를 넘기는 단계; (b) 감지부가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한 후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페이지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d) 제어부가 연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페이지 번호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표지 내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보여지도록 창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시트; 상기 복수개 시트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사용자가 손으로 시트를 넘길 때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감지부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페이지 번호를 연산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연산된 페이지 번호에 해당하는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표지의 내측면 및 시트의 양면에 형성되는 도전막; 각각의 시트 양면에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도전막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서로 단락되는 저항막; 및 그 측정단자의 일측은 상기 복수개 저항막이 단락되는 부분에 접속되고 타측은 표지 내측면의 도전막에 접속되는 저항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전자펜으로 직접 디스플레이부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펜입력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손으로 책장을 넘기는 기존 종이책의 특징과, 방대한 자료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전자책 및 전자노트의 특징이 함께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손으로 책장을 넘길 때 페이지가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책장, 즉 시트를 넘기면(S10), 감지부에서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감지부에는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감지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광(光)이나 자기장의 변화, 혹은 시트끼리의 전기적 접촉을 감지하는 방법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감지부는 시트 수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S20).
제어부는 메모리와 연동하여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비교연산하여 현재 몇 페이지가 펼쳐졌는지를 인식한다(S30).
이어서, 제어부는 연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상기 연산처리된 페이지 번호와 일치하는 페이지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S40). 아울러, 현재 펼쳐진 페이지에 사용자가 전자펜으로 정보를 입력할 경우 현재 페이지에 대응되는 연동 메모리의 저장공간에 정보가 저장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검색이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노트와 같이 시트를 뒤적이며 기입한 내용을 열람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명한,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가 제공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입출력 장치는 감지부(19)와; 연동 메모리(17)가 결합되어 있는 제어부(18)와; 디스플레이부(11)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감지부(19)는 시트가 넘겨지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지수단으로는 바람직하게 저항분포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시트에 특정 저항치의 저항기(Resistor)를 구비해 놓고 시트끼리 접촉할 때 합성저항치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감지된 시트 수의 변화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제어부(18)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18)로는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채용되어 상기 감지부(19)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동 메모리(17)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처리한다. 예컨대, 감지부(19)로부터 저항치와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메모리(17)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저항치에 대응되는 페이지 번호를 바탕으로 연산처리하여 현재 입력된 데이터에 따른 페이지 번호를 계산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18)는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연산된 페이지 번호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1)로 출력한다.
제어부(18)의 입력단에는 상기 감지부(19) 외에 키패드(16) 및펜입력수단(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패드(Key Pad)(16)는 페이지 검색이나 모드선택과 같이 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에 구비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바람직하게 표지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별도의 키패드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1)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11) 상에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1)에는 터치스크린 외에도 태블릿(Tablet)과 같은 펜입력수단(20)을 구비하여 메뉴선택은 물론, 도형이나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펜(5)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 상의 태블릿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노트나 수첩의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전원공급부(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이 된다. 전원공급부(21)는, 복수개의 시트를 묶는 고정부재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후 그 내부공간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는, 시트처럼 박막으로 구성하여 고정부재에 끼워 넣는 방법도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를 넘기면 감지부(19)에서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18)로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18)는 감지부(19)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치를 바탕으로 연산처리하여 현재 몇 페이지가 펼쳐져 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8)가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컨텐츠의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1)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펜입력수단(2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나 도형를 기입했을 때 기입정보와 함께 페이지 번호가 메모리(17)에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노트나 수첩의 기능도 포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구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복수개의 시트(9)와; 시트(9) 수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표지(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9)로는 바람직하게 박막의 합성수지 혹은 쉽게 찢어지지 않는 종이가 채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트(9)에는 상기 표지(10) 내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가 보여질 수 있도록 창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창은 디스플레이부(11)의 형태로 뚫린 구조가 될 수 있으며 투명창이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입출력 장치는 상기와 같은 시트(9)를 손으로 넘길 때, 시트(9) 수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감지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감지부는 시트(9)의 양면 및 표지(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도전막(12)과; 상기 각각의 시트(9) 양면에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도전막(12)과 접속되고 타단은 서로 단락되는 저항막(13)과; 저항치를 측정하는 저항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막(12)은 도전성 물질의 박막으로서 접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전막(12)의 형태와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시트(9)끼리의 효과적인 전기적 접촉을 위해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항막(13)은 박막의 저항기로서 그 막두께와 재료 및 박막형성방법은 상기 시트(9)의 재질을 고려하여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항막(13)의 저항치는 실시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각 시트(9)의 저항막(13)이 동일한 저항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다른 시트(9)의 저항막(13)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저항막(13)은 절연물질로 피막이 되어야 한다.
저항측정수단은 그 측정단자의 일측이 상기 복수개 저항막(13)이 단락되는 부분에 접속되고 타측은 표지(10) 내측면의 도전막(12)에 접속되어 시트(9)끼리 접촉될 때 형성되는 합성저항을 측정한다. 바람직하게 앞표지(10a)와 뒷표지(10b) 내측면에 각각 도전막(12)이 형성될 경우, 상기 앞표지(10a)의 도전막(12)은 첫번째 시트와, 상기 뒷표지(10b)의 도전막(12)은 마지막 시트와 접촉됨으로써 시트(9)를 넘김에 따라 저항측정수단이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표지(10)와 복수개의 시트(9)의 일측은 고정부재(15)에 의해 묶이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5)는 바람직하게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저항측정수단을 비롯한 전원공급부와 각종 전자회로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통해 시트(9)를 손으로 넘김에 따라 저항분포가 변화되고 저항치의 변화에 따라 시트(9) 페이지와 컨텐츠 페이지가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부(11)에 컨텐츠가 표시된다.
그러면, 도 3과 더불어 회로도 도 4를 통해 시트(9)를 넘김에 따라 저항분포가 변화되는 원리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사용자가 임의로 200페이지를 펼쳤을 때 저항막(13)이 접속된 복수개의 도전막(12)이 서로 접촉함에 따라 분포되는 등가저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바람직하게 저항측정수단으로서 제1저항측정수단(19a)과 제2저항측정수단(19b)을 포함하여, 앞표지(10a) 내측면의 도전막과 접속되는 저항은 제1저항측정수단(19a)을 통해 측정이 되고, 뒷표지(10b) 내측면의 도전막과 접속되는 저항은 제2저항측정수단(19b)을 통해 측정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저항측정수단(19a)과 제2저항측정수단(19b)에서는 각각 병렬연결된 200개의 저항에 대한 합성저항값을 측정하게 된다. 예컨대, 저항막(13) 하나의 저항치가 1㏁일 경우, 아래의 수학식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저항측정수단(19a)에서 측정한 합성저항과 제2저항측정수단(19b)에서 측정한 합성저항의 값은 각각 5㏀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한 페이지를 더 넘기면, 제1저항측정수단(19a)에서는 병렬연결된 201개의 저항에 대한 합성저항값을 측정하게 되고 제2저항측정수단(19b)에서는 병렬연결된 199개의 저항에 대한 합성저항값을 측정하게 된다. 즉, 제1저항측정수단(19a)에는 아래의 수학식 2에서와 같이 4.975㏀의 합성저항값이 측정되며, 제2저항측정수단(19b)에는 수학식 3과 같이 5.025㏀의 합성저항값이 측정된다.
상기와 같이 저항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합성저항값은 제어부(18)로 입력이 된다.
제어부(18)는 메모리(17)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항값에 대응되는 페이지 번호 정보를 바탕으로 측정저항값을 비교연산하여 현재 몇 페이지가 펼쳐졌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8)는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현재 펼쳐진 페이지와 동일한 번호의 컨텐츠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1)로 출력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저항측정수단(19a)의 측정값에 대응되는 페이지의 컨텐츠 정보는, 앞표지(10a) 내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에, 제2저항측정수단(19b)의 측정값에 대응되는 페이지의 컨텐츠 정보는 뒷표지(10b) 내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로는 다양한 종류의 평판디스플레이가 채용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용이하게 박막으로 구성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디스플레이)나 ELD(Electroluminescent Display; 전계발광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앞표지(10a)와 뒷표지(10b)의 내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앞표지(10a)와 뒷표지(10b) 중 일측에만 구비한 후 페이지 넘김방식으로서 좌, 우 혹은 윗넘김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를 구비함에 있어서 표지(10) 내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부(11) 자체에 제어부(18)를 비롯한 구동회로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를 표지(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기존의 전자책 혹은 전자노트와 호환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기존의 제품을 장착하여 시트(9)를 넘기면서 정보를 입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시트(9)와 컨텐츠의 페이지가 동기화되어 책장을 넘기면서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다 보면, 시트(9)의 전체 페이지 수와 컨텐츠의 전체페이지 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정보입출력 장치는 몇가지 페이지 모드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도 5는 시트(9) 및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고려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정보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해야 한다(S100). 이를 위해, 전원을 켰을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한 후에는 페이지 모드를 선택해야 한다. 즉, 시트(9) 수를 고정해서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S110), 시트(9) 수를 컨텐츠의 장(張)수와 일치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트(9)를 가감하여 컨텐츠와 시트(9)의 전체 페이지 수를 일치시킨다(S120). 제어부는 저항막(13) 하나의 저항치을 시트(9)의 첫 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 번호에 대응시켜 이를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시트(9)를 넘겼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S122). 상기와 같이 페이지 번호를 설정한 후 제어부는 측정된 저항값에 대응되는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열람하도록 한다(S124).
한편, 시트(9) 수를 교체하지 않고 고정모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시트(9)의 전체 페이지 수가 설정되어야 한다(S130). 즉, 사용자가 바람직하게 표지(10) 내측면에 구비되는 키패드(16)를 이용해 시트(9)의 전체 페이지 수를 입력하거나 제어부가 전체 시트(9)의 저항값을 연산함으로써 현재 시트(9)의 전체 페이지 수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시트(9)의 전체 페이지 수는 선택된 컨텐츠에 따라 컨텐츠 전체 페이지 수보다 작을 수 있고, 또한 크거나 같은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가 판단했을 때(S140),일 경우(: 시트의 전체 페이지 수,: 컨텐츠의 전체 페이지 수) 제어부는 시트(9)의 첫 페이지 번호와 마지막 페이지 번호를에 대응시키고(S142), 측정되는 저항값을 통해 페이지 번호를 연산하여 해당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로 출력하게 된다(S144). 본 발명의 정보 입출력 장치는, 시트(9)의 마지막 페이지를 펼친 후에는 페이지 전환기능을 통해, 시트(9)를 반대로 넘김에 따라 혹은 시트(9)의 첫 페이지부터 계속해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이 된다(S146). 이를 위해,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페이지가 전환된 후에는 저항치에 대응되는 페이지 번호가 재설정되어 시트(9)를 넘김에 따라 컨텐츠의 모든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트(9) 전체 페이지 수가 컨텐츠의 전체 페이지 수보다 많거나 같을 경우에는 시트(9)의 첫 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 번호를에 대응시키고(S150), 제어부가 측정된 저항값에 대응하는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든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S152).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와 페이지 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시트(9)를 손으로 넘김에 따라 시트(9)의 페이지 번호에 해당되는 컨텐츠의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므로 기존의 종이책과 같은 방식으로디지탈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는, 종이책의 특징에 전자책 및 전자노트의 특징을 절충함으로써 기존의 전자책이나 전자노트가 가졌던, 인간친화적이지 못했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디지탈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존의 전자책 혹은 전자노트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종이책과 같이 책장을 넘길 수 있는구조를 채용하므로 사용이 간편하여 부담없이 책을 읽거나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대한 양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종이책과 같이 손으로 책장을 넘기게 되므로 원하는 페이지를 찾는 일이 기존의 전자책보다 매우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단순한 단어가 아닌 특정한 내용들을 검색해야 할 경우, 기존의 전자책은 일일이 키워드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를 표시하면서 찾아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종이책과 동일한 방식으로 책장을 뒤적이며 찾으면 되므로 검색을 위한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책갈피를 할 경우에도 기존의 전자책은 읽던 페이지 번호를 입력해 놓아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전환방법을 이용하는 정보 입출력 장치는, 책장사이에 간단히 작은 물건 하나만 끼워놓으면 되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a) 사용자가 손으로 시트를 넘기는 단계;
    (b) 감지부가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한 후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페이지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d) 제어부가 연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페이지 번호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
  2. 표지 내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보여지도록 창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시트;
    상기 복수개 시트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사용자가 손으로 시트를 넘길 때 시트 수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감지부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페이지 번호를 연산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연산된 페이지 번호에 해당하는 컨텐츠 페이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감지부는,
    표지의 내측면 및 시트의 양면에 형성되는 도전막;
    각각의 시트 양면에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도전막과 접속되고 그 타단은 서로 단락되는 저항막; 및
    그 측정단자의 일측은 상기 복수개 저항막이 단락되는 부분에 접속되고 타측은 표지 내측면의 도전막에 접속되는 저항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전자펜으로 직접 디스플레이부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펜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KR10-2001-0004008A 2001-01-29 2001-01-29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KR100383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008A KR100383518B1 (ko) 2001-01-29 2001-01-29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008A KR100383518B1 (ko) 2001-01-29 2001-01-29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381A KR20020063381A (ko) 2002-08-03
KR100383518B1 true KR100383518B1 (ko) 2003-05-12

Family

ID=2769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008A KR100383518B1 (ko) 2001-01-29 2001-01-29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545B1 (ko) * 2009-09-07 2012-06-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것의 화면 전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11B1 (ko) * 2002-08-12 2005-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개인용 정보 단말기의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
KR100893170B1 (ko) * 2006-12-22 2009-04-17 이정숙 팝-업 북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KR100682323B1 (ko) * 2006-12-29 2007-02-16 일우산업 주식회사 전기히터를 이용한 초소형 난방장치
KR101602643B1 (ko) 2009-08-19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종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545B1 (ko) * 2009-09-07 2012-06-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것의 화면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381A (ko) 200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0882B (zh) 终端设备及其控制程序
AU2013100572A4 (en) Smart cover peek
EP2194453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aking up the same from sleep mode through touch screen
CN102200885B (zh) 终端设备及其控制程序
US78687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responsive display materials
US20070085845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duct
US2012010242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age flipping method therefor
US201302224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flexible display
JP2005182687A (ja) 表示と入力の少なくとも一方を行なうための装置
TWM436875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lowing two-sided display and operation
GB2386707A (en) Display and touch screen
JP2008033686A (ja) 電子ブック
US20110181624A1 (en) Interactive Publication and Associated Method of Displaying Community-Based Content Therewith
KR20150060278A (ko) 다단 절첩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기능 제어방법
US20110267306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the note recording method thereof
US9495322B1 (en) Cover display
KR100383518B1 (ko) 손으로 책장을 넘겨서 페이지를 전자적으로 전환하는 방법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입출력 장치
CN103309601B (zh) 用于触摸屏的快速翻页方法、电子阅读装置及终端设备
TW200304089A (en) Content list display method for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US20110176077A1 (en) Driving methods for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US20130151961A1 (en) Character string retrieval apparatus
US20090040399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201300994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장치, 휴대용 단말 및 방법
JP2010026565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01046B2 (ja) 関連ドキュメント閲覧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