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282B1 - 페인트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인트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282B1
KR100383282B1 KR10-2000-0024101A KR20000024101A KR100383282B1 KR 100383282 B1 KR100383282 B1 KR 100383282B1 KR 20000024101 A KR20000024101 A KR 20000024101A KR 100383282 B1 KR100383282 B1 KR 10038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ston
paint
pressu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669A (ko
Inventor
신선빈
Original Assignee
신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선빈 filed Critical 신선빈
Priority to KR10-2000-002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28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1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reciprocating pumps, e.g. membrane pump, piston pump, bellow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0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pumps being driven by a hydraulic or a pneumatic fluid

Landscapes

  • Nozzl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분사시스템은, 오일이 담겨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오일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공급되는 공급경로; 상기 용기 내부의 오일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경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핑장치; 상기 공급경로와 연결되고,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이용하여 페인트를 분사하는 페인트분사장치; 상기 페인트분사장치에서 빠져나온 오일이 상기 용기로 귀환하는 귀환경로; 그리고 상기 귀환경로와 공급경로를 서로 연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되어, 공급경로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을 초과하면 이를 흡수하여 귀환경로로 배출시키는 쇼크리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용기 내부의 오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페인트 분사 시스템{Paint spray system}
본 발명은 페인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을 이용하는 페인트 분사시스템에서, 지속적인 유압의 공급이 가능함과 동시에 외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유압공급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페인트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과 같은 거대한 건조물의 외부를 도장하는 경우에는, 페인트를 분사함으로써, 외부의 도장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페인트의 분사를 위한 기구로서, 현재까지는 거의 공압을 구동원으로 하는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즉, 공기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장치를 이용하여, 페인트의 분사에 필요한 압력을 형성한 다음, 이러한 압력을 이용하여 페인트를 분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압을 이용하는 페인트 분사장치는, 공압 자체에 기인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선박과 같은 거대한 건조물의 페인팅장치로써는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지적된다. 즉 예를 들면 압축성 유체인 공기 자체에 기인하는 압축상의 단점을 지적할 수 있다. 공기는 압축성 유체이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압축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시간에 따른 압축력의 편차가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공압을 이용하는 압축력에는, 공기의 압축에 기인하는 압축력 자체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압축 및 페인트 분사능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이와 같은 페인트 분사장치 자체의 단점이 제기되는 것은 물론이고, 유압을 이용할 수 있는 일부의 페인트 분사장치가 개시된 바 있지만, 이러한 장치는 유압을 이용할 때 외부환경(예를 들면 외부의 온도조건과 순환하는 유압의 이물질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치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을 이용하여 페인트 분사장치를 구현하되, 외부환경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대응하여 항상 균일한 압력의 제공 및 외부환경에 적응할 수있는 페인트 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분사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분사부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 5은 도 2의 A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B부분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 102 ..... 공급경로
104 ..... 귀환경로 110 ..... 모터
112 ..... 펌프 120 ..... 쇼크리스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분사시스템은, 오일이 담겨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오일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공급되는 공급경로; 상기 용기 내부의 오일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경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핑장치; 상기 공급경로와 연결되고,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이용하여 페인트를 분사하는 페인트분사장치; 상기 페인트분사장치에서 빠져나온 오일이 상기 용기로 귀환하는 귀환경로; 그리고 상기 귀환경로와 공급경로를 서로 연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되어, 공급경로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을 초과하면 이를 흡수하여 귀환경로로 배출시키는 쇼크리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 분사시스템은, 일정한 용기(100)의 내부에 담겨 있는 오일을 이용하여, 페인트를 분사하기 위한 동력원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상기 용기(100) 내부에 담겨져 있는 오일은, 구동모터(110)에 의하여 구동되는 오일 공급 펌프(112)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공급경로(102)를 따라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경로(102) 상에는 체크밸브(116)가 설치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오일의 강한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공급경로(102)를 따라서 공급되는 오일은, 페인트분사장치(1)의 내부로 공급된다. 페인트분사장치(1)의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은, 그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페인트분사장치(1)를동작시킨 후, 귀환경로(104)를 따라 다시 상기 용기(10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귀환경로(104)의 후단부분에서, 용기(100)의 내부로 들어오는 부분에는 드레인필터(118)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일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충분히 필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경로(102)의 초기부분과, 귀환경로(104)의 후단부에는 쇼크리스밸브(120)에 의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쇼크리스밸브(120)는, 공급경로(102)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에 정해진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이 걸리게 되면, 초과하는 압력부분이 쇼크리스밸브(12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초과된 압력은 직접 귀환경로(104)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쇼크리스밸브(120) 자체는 공지된 것으로, 현재 많은 종류의 모델과 기능을 가지는 것이 출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쇼크리스밸브를 공급경로(102)와 귀환경로(104) 사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펌프(112)에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귀환경로(104)로 안내하는 것에 의하여 기준을 초과하는 압력이 페인트분사장치(1)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기계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는 히터(1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히터(124)는, 외부의 온도 및 기타 환경에 따라 상기 오일의 점성과 같은 성질이 변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오일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추운 겨울철에는, 히터를 가동함으로써 오일의 점성을 낮추어 보다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히터(124)로의 전원의 공급은,제어패널(20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100)에는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126)도 설치된다. 이러한 냉각장치(126)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112)를 이용하여 일부의 오일을 순환시키면서, 순환과정중에 냉각용 에어플로를 불어서, 가열되는 오일을 냉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은, 제어패널(200)을 통하여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펌프(112)에 의하여 공급경로(102)로 공급되는 오일 중에서 일부(예를 들면 10 내지 20%)를 다시 용기(100)의 내부로 순환시키되, 순환하는 오일은 스프링형태의 관을 통과하게 하고, 이러한 스프링형태의 관에 냉각팬(126a)을 이용한 냉각용 에어플로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오일을 냉각시키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오일을 냉각시키는 것은, 상기 페인트분사장치(1)의 내부로 들어가서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오일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급경로(102) 상에는 압력게이지(101)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구성하고, 공급경로(102) 상에서 페인트분사장치(1)로 들어가기 직전에는 밸브(105)(예를 들면 볼밸브)를 설치한다. 이러한 밸브(105)는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공급경로(102)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이, 상기 페인트분사장치(1)의 내부로 공급되는 여부를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페인트분사장치(1)이 내부를 오일이 통과하면서, 그 내부에서 페인트를 분사시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페인트분사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고, 먼저 상기 페인트분사장치(1)를 지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된 페인트가 분사되는 기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인트분사장치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된 상태의 페인트는, 분배기(107)를 거치게 된다. 상기 분배기(107)는, 상기 페인트분사장치(1)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는 페인트를 다수개의 스프레이건(142,144)을 통하여 분사할 때, 각각의 스프레이건(142,144)에 동일한 압력이 걸리도록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107)을 경유한 다음에는 유체압력조절기(Fluid pressure regulator)(132,134)를 통하여 스프레이건(142,144)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 유체압력조절기(132,134)는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균일하도록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것은 여러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현재 시판중에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페인트 분사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페인트분사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의 분사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다. 그리고 용기(100)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이용하여, 페인트를 분사하는 어떠한 분사장치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도 2에 기초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유압을 이용한 왕복운동장치는, 도 2에서 A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B부분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왕복운동장치를 이용하여, 분사하는 페인트에 압축력을 인가하여, 충분한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는 페인트 분사부분이다. 이러한 페인트 분사부분(B)이 상기 왕복운장치(A)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페인트 분사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먼저 상기 도 2에서 A부분으로 도시하고 있는 유압을 이용한 왕복운동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을 이용한 왕복운동장치는,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일정한 왕복운동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을 이용한 왕복운동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페인트분사장치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왕복운동을 필요로 하는 어떠한 기계장치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도 2의 A부분으로 도시된 왕복운동장치에 대하여, 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3 및 그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5에 기초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왕복운동장치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실린더헤드(2)에는 압축된 오일이 투입되는 오일공급공(2a)과 오일배출공(2b)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2)의 내부에는, 상하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내부스풀(4)과, 상기 내부스풀(4)의 외측과 실린더헤드(2)의 내측에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스풀(6)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스풀(4)은,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상태의 원통형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 외주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로 성형되는 복수개의 통과공(4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스풀(4)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일정한 홈형상으로 성형되는 상부홈(4b)과 하부홈(4c)이 일정한 간격(높이차)을 가지고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스풀(4)은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있으며, 중간 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상부통과공(6a)과 하부통과공(6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통과공(6a) 및 하부통과공(6b) 사이와,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의 외주연에는 패킹링(7a,7b,7c)이 설치된다. 상기 패킹링(7)은 실린더헤드(2)의 내면과 외부스풀(4) 사이에서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내부스풀(4)은, 외부스풀(6)의 내부에서 상하 일정 간격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하이동에 의하여, 내부스풀(4)의 통과공(4a)이, 외부스풀(6)의 상부통과공(6a) 또는 하부통과공(6b)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게 되면 그 통과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이 내부스풀(4) 및 외부스풀(6)의 내외부를 관통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내부스풀(4)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단부에도 통과공(4e)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스풀(6)의 상부통과공(6a)를 통하여 오일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스풀(4)의 통과공(4a)이 상기 상부통과공(6a)과 일치하는 상태로 되면, 공급되는 오일은, 내부수풀(4)의 내측부분으로 공급되어, 그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상기 실린더헤드(2)의 내부에는 오일이 가득차게 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헤드(2)의 하부에 설치되는 실린더(10)의 내부 공간(10a)에도 오일이 가득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스풀(6)의 외측에는, 세개의 패킹링(7a,7b,7c)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패킹링(7)은, 실제로 실린더헤드(2)의 내측면과 상기 외부스풀(6) 사이에서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세개의 패킹링(7a,7b,7c)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통과공(6a) 및 하부통과공(6b)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헤드(2)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인 외부스풀(6)의 상부통과공(6a)는, 실린더헤드(2)의 오일공급공(2a)과 일치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실린더헤드(2)의 오일배출공(2b)는, 외부스풀(6)의 하부통과공(6b)과 일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공급공(2a)을 통하여 투입되는 오일은, 상기 외부스풀(6)의 상부통과공(6a)과, 내부스풀(4)의 통과공(4a)이 일치하는 상태로 되어야 내부로 공급되어, 실린더(10)의 내부에 오일이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내부스풀(4)의 통과공(4a)이 외부스풀(6)의 하부통과공(6b)과 일치하게 되면, 오일배출공(2b)을 통하여 실린더(10) 내부에 높은 압력으로 충진된 오일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2)에는, 그 내부에 일정 간격 상하 이동하는 내부스풀(4)을 정해진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한쌍의 볼(3a,3b)이 스프링(34)에 의하여 내측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4)은, 실린더헤드(2)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볼트(32)와 상기 볼(3a,3b)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스프링(34)의 탄성력이 상기 볼(3a,3b)에 전달된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상하 일정 구간 왕복이동하는 내부스풀(4)의 상하 이동시 상기 볼(3a,3b)의 마모 방지를 위하여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예를 들면 초경합금)로 성형되는 시트(36)를 상기 스프링(34)과 볼(3a,3b) 사이에 개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34)에 의하여 내측으로 탄성력을 받는 볼(3a,3b)는, 내부스풀(4)의 상부홈(4b) 또는 하부홈(4c)에 일정하게 삽입되어 위치결정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스풀(4)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2)는, 내부의 실링을 확보하기 위하여, 캡(2m) 및 패킹링(2n)을 이용하여 상단부를 완전히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캡(2m)의 구성은 실린더헤드(2) 내부의 부품을 조립을 위한 구성이다.
상하로 일정 구간 왕복이동하는 상기 내부스풀(4)은, 밸브로드(20)과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로드(20)의 상단부는, 내부스풀(4)의 내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내부스풀(4)의 상단부에 볼트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로드(20)는, 피스톤너트(22)의 중심을 관통한 상태이고, 그 하단부에는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24)이 설치되는 밸브로드(20)의 하단부는 실제로 그 직경이 보다 작게 성형되어 있어서, 그 연결부분에 걸림턱(20a)이 성형된다.
상기 스프링(24)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도록 상단부에는 와셔부재(24a)에 의하여, 그리고 하단부에는 와셔부재(24b)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부의 와셔부재(24a)의 상단부는 상기 걸림턱(20a)에 걸려 있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을 압축시킬 수는 있어서, 더 이상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의 와셔부재(24b)는너트부재(24c)가 밸브로드(2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하되는 것에 의하여 더 이상 하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와셔부재(24b)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24)은,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의 와셔부재(24b)가 회전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24)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너트(24c)는, 나사산의 방향이 각각 반대로 성형된 한쌍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기구의 반복되는 동작에서 풀리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절너트(24c)를 이용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24)은 일정한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이 조절너트(24c)를 이용하여, 스프링(24)의 탄성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로드(20)가 중심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너트(22)는, 원통형의 피스톤로드(40)와 나사결합부(K)에 의하여 나사결합되고 있으며, 이러한 나사결합에 의하여 오일의 밀봉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너트(22)와 피스톤로드(40)가 서로 결합하는 나사결합부(K)의 상부에는 피스톤(42)의 내측 플랜지부(42f)가 삽입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피스톤너트(22), 피스톤(42), 그리고 피스톤로드(40)는 같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2)은,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외측면과 실린더(10)의 내측면 사이에 패킹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피스톤(42)의 외주연에는 한쌍의 패킹링(42a,42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42)의 상면(42u)과 하면(42m)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의 유압이 인가되는 부분으로 밸브로드(20)의 상하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이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실린더(10)의 하단부는 실린더블럭(50)과 밀봉상태로 연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블럭(50)의 상단부와 실린더(10)의 하단부는 서로 밀봉 상태로 결합되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패킹링(52)과 같은 패킹부재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50)과 실린더헤드(2)는 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로드(50k)에 의하여 서로 나사결합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블럭(50)의 일측에는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오일공급공(54)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오일공급공(54)은, 상기 실린더헤드(2)의 오일공급공(2a)으로 공급되는 것과 동일한 압력의 오일이 동시에 공급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2)과 (K)부분에서 나사 결합된 피스톤로드(40)의 중심부분(40a)으로는 상술한 밸브로드(20)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40)의 내측 중심부분의 하단부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44)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걸림턱(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44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로드(20)의 하단부(또는 하단부에 조립된 플랜지(24b) 또는 조절너트(24c) 등)가 걸리게 되어 충격을 가하는 부분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을 이용한 왕복운동장치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왕복운동장치로 공급되는 오일은, 일정한 구동장치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2개소의 오일공급공(2a,54)으로 동시에 공급된다. 상부에 있는 오일공급공(2a)로의 오일의 공급은, 오일공급원에서의 파이프를 통하여, 예를 들면 엘보우형 연결구(2d) 등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린더헤드(2)의 오일공급공(2a)과, 실린더블럭(50)의 오일공급공(54)으로 공급되는 오일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오일공급원에서 동일한 압력을 가지고 공급되는 오일이다.
먼저 실린더헤드(2)의 오일공급공(2a)으로 공급되는 오일의 이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가장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실린더헤드(2)의 내부에 있는 내부스풀(4)은 상방의 위치(상사점)에 있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볼(3a,3b)이 내부스풀(4)의 하부홈(4c)에 들어가 걸린 상태로 있다. 이 때 상기 볼(3a,3b)는 스프링(3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스풀(4)이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이러한 상태는 일정 구간 왕복이동하는 내부스풀(4)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내부스풀(4)의 통과공(4a)는, 외부스풀(6)의 상부의 통과공(6a)와 일치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헤드(2)의 오일공급공(2a)로 오일이 공급되면, 서로연통하는 위치를 가지는 외부스풀(6)의 상부 통과공(6a)와, 내부스풀(4)의 통과공(4a)를 따라 오일이 공급된다. 내부스풀(4)의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은, 내부스풀(4)의 상단부에 성형된 통과공(4e)을 따라 내부스풀(4)의 외측에서 실린더헤드(2)의 내부에도 오일이 충진됨과 동시에, 내부스풀(4)의 내측의 개방된 하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공급되어, 실린더헤드(2) 및 그 하부에 설치되는 실린더(10)의 내부공간(10a)에 충진된다.
이렇게 상기 실린더(10)의 내부공간(10a)에 충진되는 오일이 가득차게 되면, 실질적으로 오일은 피스톤(42)의 상면(42u)에 대하여 일정한 유압을 작용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피스톤(42)의 상면(42u)에 작용하는 유압의 크기는, 유압의 공급원에서 공급하는 유압에 기초하여 결정될 것이다. 즉, 피스톤(42)은, 그 상면(42u)에서 오일에 의한 압력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상면(42u)로 가해지는 오일에 의한 압력은 실제로는 상기 피스톤(42)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의 동작과정을 정리하면, 실린더헤드(2)의 오일공급공(2a)을 통하여 들어오는 오일은, 외부스풀(6), 내부스풀(4)을 거쳐 실린더(10)의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42)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피스톤(42)에 작용하는 오일에 의한 힘은, 오일 자체의 압력과 피스톤(42)의 상면(42u)의 면적에 비례하게 된다.
다음에는 실린더블럭(50)의 오일공급공(54)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의 경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실린더헤드(2)의 오일공급공(2a)으로의 공급과 동시에, 실린더블럭(50)의 오일공급공(54)으로도 오일이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오일은, 상기 실린더블럭(50)의 내부로 유입되어, 실린더블럭(50)의 내부와 피스톤로드(40)의 외주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50a)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50a)는 실질적으로 피스톤(42)의 저면(42m)과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40)의 저면(42m)에 작용하게 되어, 상기 피스톤(42)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피스톤(42)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힘의 크기도, 오일자체가 가지는 압력과, 상기 피스톤(42)의 저면(42m)의 면적에 비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초기에 오일이 2개소의 오일공급공(2a,54)을 통하여 공급되면, 이러한 각각의 오일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42u)과 피스톤의 하면(42m)에 각각 가해지게 되는 것임을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힘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42)의 운동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그런데 공급되는 오일 자체가 가지는 압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피스톤의 상면(42u)과 하면(42m)의 면적의 차이에 의하여, 피스톤(42)의 운동방향이 결정된다. 상면(42u)과 하면(42m)의 면적을 비교하여 보면, 상면(42u)이 하면(42m)에 비하여 크게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피스톤(42)의 상면(42u)에서 오일이 접하는 면적이, 하면(42m)의 면적에 비하여 크게 설계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피스톤의 하면(42m)은 실린더블럭(50)과 피스톤로드(40)이 점유하는 면적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면(42u)의 면적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 초기에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오일이 공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상의 피스톤의 상면(42u)과 하면(42m)의 면적의 차이에 의하여, 실제로 피스톤(42)는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초기과정에서 오일의 공급과 동시에 피스톤(42)이 받는 힘은, 실제로는 순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오일의 공급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상기 피스톤(42)가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피스톤(42)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내측 하면에 접촉상태로 조립되는 피스톤로드(40) 및 상기 피스톤로드(40)와 나사결합된 피스톤너트(22)도 동일하게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피스톤로드(40)의 하방 이동에 의하여, 피스톤너트(22)의 하단부가 스프링(24)의 상부를 지지하는 와셔부재(24a)에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력에 의하여, 스프링(24)은 일정 간격 압축되면서, 밸브로드(20)도 같이 하방으로 일정간격 내려오도록 가압하게 된다.
상기 밸브로드(20)가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게 되면, 실제로 상기 밸브로드(20)의 상단부와 연결된 내부스풀(4)도 일정 간격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내부스풀(4)의 하부홈(4c)에 걸려있는 볼(3a,3b)은, 내부스풀(4)의 상부홈(4b)에 다시 걸리게 된다. 고정된 위치의 볼(3a,3b)가, 밸브로드(20)의 하방 이동에 따라, 하부홈(4c)에서 상부홈(4b)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볼(3a)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34)의 탄성력 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너트(22)의 하단부가 스프링(24)를 가압하는 힘이 크기 때문인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실제로 피스톤너트(22) 및 피스톤로드(40)의 하강하는 힘이스프링(24)에 충격을 가하면서, 힘이 적절하게 흡수됨과 동시에, 그 나머지 힘이 상기 내부스풀(4)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스풀(4)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내부스풀(4)의 통과공(4a)는, 외부스풀(6)의 하부 통과공(6b)와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스풀(6)의 상부 통과공(6a)과 하부통과공(6b) 사이에는, 패킹링(7b)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헤드(2)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통과공(6b)와 상부통과공(6a) 사이에는, 오일이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스풀(4)의 통과공(4a)이 외부스풀(6)의 하부 통과공(6b)과 일치하는 상태가 되면, 내부스풀(4)의 내부 및 실린더(10)의 내부공간(10a)에 충진되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있는 오일은, 외부스풀(6)의 통과공(6b)을 따라 빠져 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스풀(6)의 통과공(6b)은, 실제로 실린더헤드(2)의 오일배출공(2b)와 연통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수풀(4)의 내부 및 실린더(10)의 내부공간(10a)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진되어 있던 오일은, 실린더헤드(2)의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렇게 내부의 오일이 빠져나오게 되면, 실린더(10)의 내부공간(10a)에는 압력이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중에서도, 상기 실린더헤드(2) 및 실린더블럭(50)의 오일공급공(2a,54)으로는 오일의 공급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린더헤드(2)의 오일공급공(2a)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은, 내부스풀(4)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즉, 내부스풀(4)의 통과공(4a)이, 외부스풀(6)의 하부 통과공(6b)과 일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스풀(6)의 상부 통과공(6a)는 내부스풀(4)의 원통형 몸체에 의하여 막혀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때에도, 상기 실린더블럭(50)의 오일공급공(54)을 통해서는 오일이 일정한 압력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오일공급공(54)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은, 피스톤로드(40)의 외부와 실린더블럭(50)의 내부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부(50a)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오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40)의 저면(42m)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42) 및 피스톤로드(40)이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실린더블럭(50)의 오일공급공(54)으로 유입되는 오일은, 상기 피스톤(42)의 저면(42m)을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42)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피스톤(42)이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게 되면, 상기 피스톤너트(22) 및 피스톤로드(40)도 같이 상승하게 될 것이다. 상기 피스톤로드(40)가 일정 구간 상승하게 되면, 피스톤로드(40)의 하단 내부에 성형된 구멍(44)에 의한 걸림턱(44a)이, 스프링(24)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와셔부재(24b)에 접촉하게 되면서, 충격력을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40)의 하단부가 와셔부재(24b)의 하측에 가하는 충격력의 일부는 스프링(24)에 의하여 흡수되고, 여분의 힘은 상기 밸브로드(2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밸브로드(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은, 실제로 내부스풀(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힘의 크기는,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하여 볼(3a)이 내부스풀(4)의 상부홈(4b)에 가압하는 힘의 크기보다는 큰 힘이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기 내부스풀(4)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방으로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볼(3a)는 내부스풀(4) 외주연의 하부홈(3a)에 걸리게 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의하면, 상기 내부스풀(4)이 상방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동한 다음, 다시 상방의 위치로 복귀하는 한번의 왕복운동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기 내부스풀(4)이 상방으로 복귀한 다음, 오일공급공(2a) 및 오일공급공(54)를 통하여 오일의 공급이 지속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왕복운동과정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 및 과정에 의하면, 오일의 공급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로드(40)는 왕복운동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의 공급에 의하여 일정한 행정거리를 가지는 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왕복운동을 위한 구성을 어떠한 기술 분야에서라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왕복운동장치에 있어서의 출력은, 실질적으로 상기 피스톤의 상하왕복운동을 위하여 제공되는 오일의 압력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상하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오일의 압력을 높이면, 왕복운동의 출력이 보다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왕복운동장치에 있어서는, 왕복운동의 출력을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일정 구간 왕복운동하는, 상기 피스톤로드(40)를 이용하여, 페인트를 분사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페인트 분사부분(B)은 상술한 왕복운동부분(A)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왕복운동장치를 페인트 분사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로드(40)의 하단부는 변위로드(51)와 연결되어, 변위로드(51)를 같이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피스톤로드(40)의 하단부와 변위로드(51)의 연결은, 공지된 여러가지 연결방법에 의하여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커플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커플러의 예는, 너트와 유사하게 내부에 나사가공된 것을 이용하여, 양자를 나사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변위로드(51)는, 외주연에 아무런 구멍도 없는 단순한 파이프상태의 부재이고, 왕복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페인트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변위로드(51)은, 상부하우징(60)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상부하우징(60)은, 일측면에 페인트가 외부로 분출하게 되는 분출공(64)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변위로드(51)와의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부(60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60a)에는 페인트와 같이 분사하고자 하는 비압축성유체가 압력이 걸린 상태로 충진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60) 내부의 공간부(60a)를 밀폐하기 위하여, 상부하우징(60)의 상단부는 패킹부재(66)와 부분(M)에서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완전히 밀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사이에는 필요하다면 방수링(60a)와 같은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은 연결로드(62)를 통하여고정프레임(58)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프레임(58)은, 상술한 실린더블럭(5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하우징(60)의 하단부는 슬리브(55)와 밀봉상태로 연결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부분(N)에서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밀봉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55) 역시 원통형의 부재이고, 상기 변위로드(51)는 슬리브(55) 내부에 조립되나, 그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54a)가 형성된다. 슬리브(55)와 변위로드(51) 사이의 공간부(54a)는, 실질적으로 상부하우징(60)과 변위로드(51) 사이의 공간부(60a)와 연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55)와 상부하우징(60)은 예를 들면 일체화된 하나의 부재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 필요하다면 상기 슬리브(55)와 상부하우징(60)을 일체로 성형하는 실시예를 설명할 때는 슬리브(55)를 포함하는 의미로 하우징부재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변위로드(51)의 하단부는 통형상의 하부피스톤(56)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피스톤(56)는, 내부에 세로방향의 내부통로(56b)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통로와 연통할 수 있도록 상단부는 방사형통로(56a)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56b)의 상단부는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의 볼(70)이 올려지게 된다. 상기 볼(70)이, 하부피스톤(56)의 통로(56b) 상에 올려지면, 실질적으로 상기 통로(56b)는 막히게 되어, 페인트와 같은 비압축성유체가 통과할 수 없도록 된다. 그러나 상기 볼(70)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즉 뜨게 되면, 상기 통로(56b)는 방사형통로(56a)와 연통하게 되어 페인트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의 편의상 상기 하부피스톤(56)는, 하나의 부재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두개의 구성부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공상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하부피스톤(56)를 상하의 두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이들의 연결부분에 서로 맞물리는 나사가공을 한 다음 서로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하부피스톤(56)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서는 이렇게 하부피스톤을 두개의 부재로 만드는 경우에, 그 하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을 도면부호 72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에서는 56과 72번 부재가 결합하여 하부피스톤을 형성하게 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으며, 그 사이에 볼(70)이 개재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피스톤(56)의 외주면은, 패킹링(74) 의하여, 슬리브(55)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비압축성 유체가 하방으로 새지 않는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55)의 하단부는 인테이크하우징(76a)과 방수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도, 서로간의 접합부분에 각각 나사를 성형하여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도면에 있어서, 부분(L)은 양자를 방수상태로 연결하는 나사결합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하우징(76a)는 튜브(76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인테이크하우징(76a)의 내부통로(76r)은, 튜브(76b)의 내부통로(76p)와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하우징(76a)과 튜브(76b)는 하나의 부재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고, 서로 연통하는 연결통로(76r,76p)를 구비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도면에서는 각각의 부품에 대한 가공의 편의상 양자를 서로 분리하여 성형하고, 나사결합부(P)에 의하여 서로 밀봉상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인테이크하우징(76a)의 내부통로(76r)의 상단부는 금속재의 볼(71)이 올려져 있다. 상기 볼(71)이 인테이크하우징(76a)의 내부통로(76r)의 상부에 올려지면, 상기 내부통로(76r)은 상부와는 차단되는 상태로 되고, 만일 볼(71)이 뜨게 되면, 상기 내부통로(76r)은 상부와 연통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하우징(76a)와 하부피스톤(56)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간격은, 상기 슬리브(55)의 내부에서의 공간(54b)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술한 페인트 분사부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왕복운동부분(A)의 설명에 의하여, 피스톤로드(40)가 일정한 행정거리를 가지고 왕복운동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피스톤로드(40)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그와 연결된 변위로드(51)도 왕복운동하게 된다.
먼저 변위로드(51)의 왕복이동과정 중에서, 변위로드(51)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의 운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변위로드(51)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부피스톤(56)의 상부에서 변위로드(51)와 슬리브(55)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54a)는 체적이 커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인테이크하우징(76a)의 상부와 하부피스톤(56) 사이의 공간(54b)은 체적이 줄어들게 된다. 즉, 공간(54b)는 압축되면서 압력이 높아지려고 하고, 공간(54a)는 팽창되기 때문에 압력이 낮아지려고 할 것이다. 그러면 상기 하부피스톤(56) 내부의 볼(70)은 이러한 압력차를 발생시키려는 힘에 의하여 실제로 내부통로(56b)에서 상부로 뜨게 되어, 내부통로(56b)와 방사형통로(56a)가 서로 연통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 공간(54b)에 페인트가 가득차 있으면, 이러한 페인트는 상기 공간(54b)에서 상부의 공간(54a)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페인트가 유입되지 않는 초기상태(공기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공간(54b)의 공기는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공간(54b)는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서, 그 하방에서 상방으로 페인트를 초기유입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변위로드(51) 및 하부피스톤(56)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첫째, 하부피스톤(56)의 상부에서 변위로드(51)와 슬리브(55) 사이에 있는 페인트는 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압축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54a) 내부의 페인트는 상부하우징(60)의 분출공(64)을 통하여 분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 장치의 실사용에 있어서는 상기 분출공(64)에는, 일정한 플렉시블한 호스가 연결되어 있고, 그 호스의 단부에는 분사노즐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분출공(64)을 통하여 분출되는 페인트가 분사노즐의 조작에 의하여 분사되기 까지는 실제로 높은 압력으로 압축된 상태로 되고, 이러한 압축력은 페인트의 분사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하부피스톤(56)과 인테이크하우징(76a) 사이에서 슬리브(55)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54b)은, 실제로 체적이 증가하게 되고(즉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볼(71)은 상부로 뜨게 되면서, 내부통로(76r,76p)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인테이크하우징(76a)과 튜브(76b)의 내부통로(76r,76p)이 개방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페인트의 공급원과 연결되는 입구(76i)를 통하여 페인트가 유입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피스톤(56)이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공간(54b)에 가득차 있던 페인트가 상부의 공간(54a)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다시 페인트가 공간(54b)로 유입되는 결과가 될 것이다. 또한 초기상태에서 상기 공간(54b)에 공기가 있는 상태라면, 상기 공간(54b)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볼(71)이 뜨게 되고, 내부통로(76r,76p)를 통하여 페인트가 공간(54b)로 유입될 것이다.
즉, 상술한 변위로드(51) 및 그 하단부에 연결된 하부피스톤(56)의 왕복운동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유체의 흐름이 일어나게 됨을 알 수 있다.
하부피스톤(56)이 하강할 때에는, 볼(70)이 뜨게 되어, 공간(54b)에 있는 페인트가 상부로 이동하여 공간(54a)로 유입된다. 그리고 하부피스톤(56)이 상승할 때에는 상부의 볼(70)이 내부통로(56b)를 막으면서 공간(54a)에 있는 유체가 압축되면서 외부로 분출공(64)을 통하여 분출되는 것과 동시에, 하부의 볼(71)이 상부로 뜨게 되면서, 외부에서 입구(76i)를 통하여 페인트가 유입되어 공간(54b)에 충진된다. 이러한 왕복운동의 반복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공간(54a)의 내부에 있는 페인트는 충분히 압축되어 강한 분사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54a) 내부의 페인트에 높은 압력이 걸리게 되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왕복운동의 반복에 의하여, 공간(54a) 내부의 페인트는 높은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고압의 비압축성유체(페인트)가 분사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종래의 공압을 이용하는 페인트 분사장치와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공압은 압축성 유체를 매개로 하기 때문에, 압력의 변화가 심하나,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페인트에 직접압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균일하면서도 높은 압력으로 페인트가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아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분사장치에 대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다. 오일의 압력을 이용하여 페인트를 분사하는 장치를 구현하는 범위 내에서 다른 많은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분사시스템에 의하면, 오일의 유압을 이용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오일을 공급하면서, 외부환경에 대해서 가장 적절한 상태로 구동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압을 이용하는 가장 효율적이고 강력한 페인트분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오일이 담겨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오일이 공급되는 공급경로;
    상기 용기 내부의 오일을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공급경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핑장치;
    상기 공급경로와 연결되고,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이용하여 페인트를 분사하는 페인트분사장치;
    상기 페인트분사장치에서 빠져나온 오일이 상기 용기로 귀환하는 귀환경로;
    그리고 상기 귀환경로와 공급경로를 서로 연통하는 통로상에 설치되어, 공급경로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을 초과하면 이를 흡수하여 귀환경로로 배출시키는 쇼크리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페인트분사장치는:
    오일공급공 및 오일배출공을 각각 구비하고, 외부와는 밀폐되고 하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실린더헤드와;
    상기 실린더헤드의 내부공간의 내면에서 그 사이에 오일이 흐르지 않도록 밀착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오일공급공과 연통하는 상부통과공과, 상기 오일배출공과 연통하는 하부통과공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외부스풀과;
    하부의 일부가 상기 외부스풀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일정 구간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사점 및 하사점에서는 상기 상부통과공 및 하부통과공과 각각 연통하는 통과공을 구비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외주면에 성형된 상부홈 및 외부홈을 구비하고, 하단부가 개방된 원통상의 내부스풀;
    상기 내부스풀이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사점 및 하사점에 위치할 때 상부홈 및 하부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내부스풀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
    상기 내부스풀과 연결되어 같이 왕복이동하고, 하부에는 한쌍의 와셔부재 사이에서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지지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연장된 바아 형상의 밸브로드;
    상기 실린더헤드의 하방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로드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스풀의 개방된 하면과 연통하는 일정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 밀착상태로 왕복운동 가능하고, 상기 밸브로드를 중심에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실린더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에 그 상면이 노출되는 피스톤부재;
    상기 밸브로드의 하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하면과 같이 밀봉상태로 연결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로드;
    상기 실린더의 하방에서 밀봉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밀봉상태로 피스톤로드의 왕복운동을 지지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측면과 피스톤부재의 하면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블럭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페인트를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하는 페인트분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재의 노출된 상면의 면적은, 하면의 면적에 비하여 넓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분사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되는 페인트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분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의 오일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인트 분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의 오일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페인트 분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는;
    밸브로드를 관통한 상태이고, 상기 피스톤로드와 하단부에서 나사결합하는 피스톤너트와; 상기 피스톤너트와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너트와 피스톤로드 사이에 결합되고, 실린더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페인트분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와셔부재의 하면에는, 밸브로드와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와셔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분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분사기구는;
    상기 피스톤로드와 연결되어 왕복운동하는 변위로드와;
    상기 변위로드의 상단부에서 설치되어 변위로드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60a)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와 연통하는 분출공을 구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공간부(54a)를 가지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서 상기 변위로드와 연결되어 왕복운동하고, 길이방향의 내부를 따른 내부통로를 구비하는 하부피스톤과;
    상기 하부피스톤의 내부통로의 상부에 올려져 내부통로를 개폐하는 볼;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 밀봉상태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른 내부통로를 구비하여 그를 통하여 페인트가 유입되고, 상기 하부피스톤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인테이크하우징과;
    상기 인테이크하우징의 내부통로를 개폐하도록 그 상부에 올려지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분사장치.
KR10-2000-0024101A 2000-05-04 2000-05-04 페인트 분사 시스템 KR10038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101A KR100383282B1 (ko) 2000-05-04 2000-05-04 페인트 분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101A KR100383282B1 (ko) 2000-05-04 2000-05-04 페인트 분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669A KR20010100669A (ko) 2001-11-14
KR100383282B1 true KR100383282B1 (ko) 2003-05-12

Family

ID=4578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101A KR100383282B1 (ko) 2000-05-04 2000-05-04 페인트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2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264B1 (ko) 2009-05-25 2011-11-14 황원진 유압식 도료분사시스템
KR101207507B1 (ko) 2012-06-13 2012-12-03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2액형 도료 도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631B1 (ko) * 2002-09-19 2005-07-01 신명철 단열 내화 도료의 분사 장치
KR100588547B1 (ko) * 2004-08-18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부 플로어 방음 처리장치
CN105499011A (zh) * 2016-01-15 2016-04-20 山东拓普液压气动有限公司 一种油雾喷射装置
KR102015979B1 (ko) 2019-05-20 2019-10-21 (주)현대페인트 페인트 도료 색상 검사장치
KR102015967B1 (ko) 2019-05-20 2019-08-28 최병기 검사체 거치 장치
WO2022079787A1 (ja) * 2020-10-13 2022-04-21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二流体ノズル噴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079A (ja) * 1996-06-10 1997-12-22 Konan:Kk スラリー塗料圧送用プランジャーポンプ
KR19980065294A (ko) * 1997-01-07 1998-10-15 이용범 에어리스 페인트 분사펌프
JPH1137045A (ja) * 1997-07-22 1999-02-09 Honda Motor Co Ltd 塗装用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079A (ja) * 1996-06-10 1997-12-22 Konan:Kk スラリー塗料圧送用プランジャーポンプ
KR19980065294A (ko) * 1997-01-07 1998-10-15 이용범 에어리스 페인트 분사펌프
JPH1137045A (ja) * 1997-07-22 1999-02-09 Honda Motor Co Ltd 塗装用ポン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264B1 (ko) 2009-05-25 2011-11-14 황원진 유압식 도료분사시스템
KR101207507B1 (ko) 2012-06-13 2012-12-03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2액형 도료 도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669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3627A (en) Electric airless cup gun apparatus
US5092744A (en) Intensifier
US20130202458A1 (en) Pump fluid cylinder including load transfer shoulder and valve seat for same
US4365745A (en) Diaphragm pump
TW345502B (en) Precompression pump sprayer having suck-back feature
KR100383282B1 (ko) 페인트 분사 시스템
US5137435A (en) Compression spring fluid motor
US5655885A (en) Reciprocating piston pump with modular fluid subassembly
US6299413B1 (en) Pump having a bleeding valve
US5984646A (en) Hydraulic motor for use with airless paint sprayer system
US3473480A (en) Power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n accumulator
KR200199228Y1 (ko) 유압에 의한 왕복운동장치를 이용한 페인트 분사장치
KR100383281B1 (ko) 유압을 이용한 왕복운동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페인트분사장치
KR100926499B1 (ko) 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된 왕복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페인트 분사장치
KR0136449B1 (ko) 공압식 윤활 펌프
ATE324184T1 (de) Fingerbetätigte zerstäuberpumpe
JP2009061411A (ja) 油圧を利用した往復運動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ペイント噴射装置
US5540136A (en) Reciprocating piston motor operating on pressure medium
US5495917A (en) Liquid distributing apparatus for lubricating parts
US3210011A (en) Device for pumping and dispensing liquid with air
US4616982A (en) Submersible high pressure pump
KR102491699B1 (ko) 도장용 다이어프램 피스톤 펌프
KR20090029714A (ko) 유압식 펌프
JP3320896B2 (ja) 逆止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体吐出装置
KR200272412Y1 (ko) 자동 그리스 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