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032B1 - 대립 목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립 목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032B1
KR100383032B1 KR10-2000-0023504A KR20000023504A KR100383032B1 KR 100383032 B1 KR100383032 B1 KR 100383032B1 KR 20000023504 A KR20000023504 A KR 20000023504A KR 100383032 B1 KR100383032 B1 KR 10038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reatment
water
sewage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624A (ko
Inventor
류종원
박철만
Original Assignee
류종원
박철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원, 박철만 filed Critical 류종원
Priority to KR10-2000-002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03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일정한 크기의 목편(wood chip)으로 제조하여 보온성이 유지되는 살수 여상식 고도 처리조에 충진하여 단위시간당 일정 양을 간헐적으로 처리조에 살수하게 되면 오수가 물방울로 적하되면서 목편에 부착·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성 오염물질이 분해, 소멸되어 오수가 정화 처리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에는 목편 입자의 크기가 0.5∼5㎝인 것이 충진된 것으로 미세 공극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되어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서, 미생물의 분해작용이 높아 처리효율이 높아지고 슬러지 발생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처리조 내외부의 구조에 있어서도 보온성이 유지되고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되어 주택, 숙박, 급식시설 뿐만 아니라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내 존재하는 난분해성 물질 처리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립 목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Sewage and waste water disposal plant and its method using large wood chip}
본 발명은 오폐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일정 크기 이상의 대립 목편(0.5∼5cm)를 보온성이 유지되는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에 충진하여 오수를 정화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폐수 처리 방법으로는 활성오니법, 접촉산화법, 살수여상법등이 공지되어 있다. 활성오니법은 관리부실시 팽화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슬러지 발생이 많아 슬러지 관리가 어렵다. 또한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가 단순하여 부하변동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지고 계(界)의 붕괴시 회복에 오랜시간이 걸린다. 또한 수온이 낮을 경우 처리 효율이 낮아진다.
접촉산화법은 활성오니법의 변형으로서 폭기조에 미생물이 부착·성장할 수 있는 매개물을 충진하는 생물막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연속적으로 호기성 조건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폭기조내에 용존 산소 농도(DO)가 1∼2mg/ℓ정도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수심이 깊고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송풍기(Blower)로 인한 동력이 대 단위로 소요될 뿐 만 아니라, 시끄러운 소음과 다량의 슬러지 발생은 2차 오염을 유발시키며, 폭기시 거품이 발생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장치 등 복잡한 시설로 유지 관리가 어렵고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을 20㎎/ℓ이하로 고도 정화처리 하기가 어렵다.
쇄석, 자갈 등을 이용한 기존의 살수여상 처리방법은 접촉산화법과는 달리, 저 동력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슬러지 등의 2차 오염원이 적게 발생하나 살수된 오수가 살수여상 고도처리조로 재 순환되지 않고 1회 처리 후 유출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고도처리가 어려우며, 이를 고도처리하기 위하여 대단히 많은 부지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처리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오존처리, 막 분리 기술이 외국에서 수입 보급되고 있으나, 시설비가 과다하고 처리비용이 높아 현장 적용성이 대단히 낮은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 본 발명자들은 목편을 이용한 살수여상 오폐수 처리기술'을 개발하여 실용화하였다. 이 기술은 부하변동이 크지 않은 오수의 경우 처리상의 문제가 없었으나, 부하의 변동이 큰 오수에 적용하였을 때, 미립 및 중립 목편(0.1∼0.5cm)을 충진한 시설에서 미립자에 의한 공극 폐쇄와 탈리된 생물막이 제때 배출되지 않아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우리 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목편 살수여상에 의한 오폐수 처리기술은 외기 온도 저하가 큰 경우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처리조를 개발하지 않으면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살수여상 고도처리조가 포함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물빠짐이 원활하고 처리조의 공극폐쇄 현상이 방지되며 부하변동이 큰 경우에도 처리효율이 높고 저동력 운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채널링(channeling) 현상이 방지되고 산소 공급이 촉진되며 보온성이 높아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온도가 낮은 겨울철이나 유입수의 수질 변동이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고도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대립 목편을 이용한 정화처리 시설 평면도,
도 2는 대립 목편을 이용한 정화처리 시설 단면도,
도 3은 대립 목편을 이용한 살수 여상 고도처리조의 상세도,
도 4는 살수관 모형도, 및
도 5는 대립 목편의 전자현미경(SEM)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제 1 혐기성 부패조 2: 제 2 혐기성 부패조
3: 제 3 혐기성 부패조 4: 제 4 혐기성 부패조
5: 제 1 유량조정조 6: 1차 살수여상 고도 처리조
7: 제 1 집수정 8: 제 1 모래여과조
9: 제 2 유량조정조 10: 2차 살수여상 고도 처리조
11: 제 2 집수정 12: 제 2 모래여과조
13: 방류조 14: 유입관
15: H관(PVC pipe) 16: 혐기성 부패조 내 대립 목편 매개물
17: 부패조 매개물 받침대 18: 수중 펌프
19: 스틸 격자 20: 호퍼
21: 스치로풀 22: 배수관
23: 살수관 24: 자연산소 공급장치(다공성 BOX)
25: 균일 살수용 칸막이 26: 목편
27: 사각형 목편 충전 블록조
28: 6인치 블록 29: 오수 가장자리 유출방지 물받침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살수여상 고도처리조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다공성인 0.5∼5cm 크기의 대립 목편을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립 목편은 침염수를 원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 충진되는 상기 대립목편의 양은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총 유효용량의 85 - 95 v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상부 3-10 vol%는 산소접촉이 가능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하부 3-10 vol% 용적은 바닥에서 이격되고, 그내부에 다공성 상자가 적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립목편이 충진된 고도처리조에 앞서, 5-10cm의 입자크기를 갖는 보조목편이 충진된 전처리조가 직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폐수 처리장치에는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 앞서 혐기성 부패조가 1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고 그 각각은 내부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인장철망판(expanded metal)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입자크기를 가지는 대립목편이 충진된 다공성 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의 내벽에는 보온단열재와 오수가 살수여상 고도처리조 가장 자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받침이 설치되고, 충진층 내부에는 오수 살수시 오수가 균등하게 적하되도록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는 오수를 간헐적으로 살수하기 위해, 살수관과 연결된 펌프 및 수위 조절 펌프에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따른 일반적인 오폐수 장치에 의한 처리 공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폐수는 혐기성 부패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 모래여과조로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다. 이중 오폐수를 정화하는 핵심적인 역할은 혐기성 부패조 및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서 이루어진다.
① 혐기성 부패조
혐기성 부패조는 오폐수의 성상에 따라 복수개, 예를 들어 2∼4개 정도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의 경우 혐기성 부패조(1,2,3,4)내 수심 1/2지점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인장 철망판(expanded metal)을 설치한 것이다. 이 인장철망판의 상부에는 대립 목편이 충진된 다공성 망을 설치하여 생물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100∼300mg/ℓ인 오폐수가 제 1 혐기성 부패조(1)에 유입되면, 처리조내 침지되어 있는 목편(16)에 부착 성장하는 생물막에 의해 분해되고, 일부 BOD는 제 2 혐기성 부패조(2)로 H관을 통해 이송된다. 각 혐기성 부패조(1,2,3,4)에서 유기성 오염물질은 담체에 부착된 생물막에 의해 분해되며, 미처리된 유기성 오염물질은 상등수와 함께 이송펌프(18)에 의해 살수관(23)을 통하여 고도처리조(6)로 살수된다.
② 살수여상 고도처리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는 오폐수의 성상과 목표 수질에 따라 1∼3개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살수여상 고도처리조는 블록으로 조적하여 구조물을 만들고, 그 내부에 충진재로서 일정 크기이상의 대립 목편(0.5∼5cm)을 선별하여 충진함으로서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공극 폐쇄 방지와 물 빠짐이 원활하게 되도록 고안되며, 그 벽면에는 보온성이 있는 센드위치 판넬이나 스치로폴이 설치된다.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는 오수가 균등하게 살수되고 살수된 오수가 살수 여상조 하부까지 균등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구획을 만들고 각 구획별로 오수가 침투되어 물길형성(Channeling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오수가 살수여상 고도처리조 가장 자리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 받침 장치를 고안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의 크기는 오수처리량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며 적정 용적은 오수처리량 대비 살수여상 고도처리조 용량은 1 : 0.8∼1.5 정도 크기로 설계한다. 실제 적용시,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의 높이는 2∼4m를 기준으로 하여 통상 2.5m를 사용하지만 고도처리가 요구될 때는 3∼4m로 할 수 있다. 고도처리조의 바닥면은 1/200∼1/500의 구배를 주어 고도처리조를 통과한 오수가 자연적으로 한 곳으로 모이도록 하였다. 고도처리조 바닥은 자연산소 공급장치(24)로서 다공성 상자를 적재하고 그 위에 목편을 충진한다. 다공성 상자는 아래 부분의 면적이 가로 50∼100㎝, 세로 30∼50㎝이며, 높이가 30∼50㎝인 형태이고 상자의 벽면과 바닥에 소공이 뚫려 있다.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외벽은 6인치 정도의 블록을 사용하여 사각형 조적조를 완성하고 내벽에 보온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치로폴(21)을 설치하고 그 안쪽에 목편을 충진한다.
한편, 목편 상단에서 10cm 이격하여 살수관(23)을 설치한다. 오수는 통상적으로 1차 처리조를 통과한 후 모래여과조를 거쳐 방류되지만 오수의 농도가 높거나고도처리가 요구될 경우 1차 처리조(6)에서 처리된 오수를 집수정으로 자연 유인 후 2차 처리조(10)에서 처리함으로써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살수여상 고도처리조 내부에는 오수가 한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아크릴판 등의 재료로 칸막이(25)를 설치하여 살수된 오수가 칸막이 범위 내에서만 균등하게 적하되어 물길형성(channeling)이 최대한 방지되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오수가 살수여상의 담체를 통과하지 않고 가장자리 부분으로 직접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수 여상조 내벽면 가장자리 부분에 예를 들어 10∼20㎝크기의 침투방지용 물받침을 설치할 수 있다.
유기물 분해와 여과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목편 여재의 충진량은 살수여상 고도처리조(6,10)의 총 유효용량의 85 - 95 vol%를 충진하고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상부 3-10vol%를 공기중의 산소가 충분히 전달되도록 빈 공간으로 둔다. 이러한 빈 공간은 공기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하여 오수 살수시 오수와 산소의 접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살수여상 고도처리조 하부 3-10vol%용적은 바닥에서 20∼30㎝가량 이격시켜 다공성 상자를 적재하여 하부로부터 공기가 충진된 목편 내부로 자연적으로 통기되도록 하여 조 내부에 호기성 조건을 형성하여 준다.
오수의 살수는 유량조정조에 설치된 수중 펌프(18)에 의해 이루어진다. 펌프(18)는 펌프의 토출구를 살수장치(23)와 연결하여 살수여상 고도처리조(6,10)에 오수를 살수할 뿐만 아니라, 타이머가 연결되어 있어서 수분 내지 수십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오수를 살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살수된 오수는 중력에 의해 처리조를 통과하면서 목편(25)에 의해 고액분리가 이루어지고 목편에 부착·성장하는 생물막에 의해 유기성 오염물질은 분해 소멸되어 정화 처리된다.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공정은 아래와 같다.
③ 혐기성 부패조와 고도처리조에 이용되는 목편
혐기성 부패조(1,2,3,4)와 살수여상 고도처리조(6, 10)에 이용되는 담체는 쇄석, 자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여재들은 보온성이 없는 여재이므로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에 설치시 겨울철에 처리효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목재의 목편 물관세포가 다공성이고 보온성이 높아서 미생물의 서식장소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침엽수인 소나무 목편칩의 단면을 전자현미경 사진 촬영 결과 목편 물관에 다수의 소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서 미생물의 서식공간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오수가 살수 여상조에서 목편 헛물관을 통하여 소량씩 하부로 침투하기에 적절한 조건이었다(도5). 정화용 목편 목재는 미생물의 분해가 어려운 침엽수를 이용하며 침엽수 중에서 편백, 삼나무, 미송, 육송 등을 주로 이용한다. 특히 정화용 목편으로서 가장 유용한 목재는 소나무와 삼나무이다. 그러나 목편의 크기가 0.1-0.5cm의 미립 및 중립목편을 살수여상고도처리조에 충진하면 BOD 농도가 100mg/ℓ이상이거나 유입 오수의 유량 변동시 살수 여상조내 목편 충진층에서 공극 폐쇄현상을 초래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0.5∼5cm 크기의 대립 목편을 선별하여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 충진함으로서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오수의 살수중력에 의한 충진재의 다짐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정화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충진재인 목편 적정입자의 크기는 통상 0.5∼5cm 범위의 것을 이용한다. 그러나 오수의 부하량이 높을 경우 1차 살수여상 고도처리조(6), 2차 살수여상 고도처리조(10)를 직렬로 연결하여 1차 살수여상 고도처리조(6)의 목편 입자의 크기를 5∼10cm 사이의 것을 사용하고, 2차 살수여상 고도처리조(10)는 0.5∼5cm의 목편을 사용한다(표1). 미립목편(0.1∼0.3cm), 중립목편(0.3∼0.5cm)은 오수의 BOD 농도가 50mg/ℓ 이하의 고도 처리시에 활용할 수 있다.
④ 살수장치
살수 여상조에 설치된 살수장치(23)는 도시하지 아니한 펌프, 살수관, 살수날개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는 타이머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며 이송된 오수는 펌핑 압력에 의해 살수관을 통과하여 각 살수날개로 분산되고 각각의 살수구멍이 다공성 용기의 중앙에 위치하여 고르게 살수된다.
⑤ 유지 및 관리
살수장치(23)와 펌프(18)는 이물질에 막히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 살수여상 고도처리조(6,10)의 상부가 부하량 증가로 인해 두터운 생물막이 형성될 경우 살수량을 감소시킨다.
하기의 실시예는 상기한 구성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보인 것이다.
(실시예)
1. 실험 대상 선정 및 수로 실험 설비 설치
본 정화조의 현장 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약 1년간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은 상숭원부호구역내에 위치한 식당으로서 오수 발생량은 20㎥/일이었고, 오수처리시설로서 섬모상 생물막법을 이용한 간헐 폭기식 활성오니 시설(접촉산화법)이 설치되었으나 식당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기름 성분과 음식 찌꺼기로 인해 오수는 거의 정화 처리되지 않고 방류되고 있었다.
본 수로 실험에서 혐기성 부패조로서 기설치된 오수처리시설을 활용하였다.
실험탑1은 0.1∼0.5cm의 미립 및 중립 목편을 충진한 살수여상식 처리조를 만들고, 실험탑2는 접촉산화 폭기조를 만들어 대조구로 이용하였다. 실험탑3은 본 발명에 의한 0.5∼5cm 크기의 대립 목편을 이용한 살수여상식 처리조를 설치하였다. 위의 3가지 수로 실험장치를 만들어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타이머가 부착된 순환용 펌프(18)를 조 바닥에 설치하였다. 대조구인 접촉산화식 오수처리시설에 사용된 송풍기는 500 Lair/min의 비율로 폭기할 수 있었으며 20분 간격으로 운전하였다.
2. 결과
(1) 원수 및 혐기성 부패조 통과 오수의 수질
① 원수의 수질
유입수의 평균수질은 BOD가 155mg/ℓ, 부유물질(SS)가 80.5mg/ℓ, 질소(T-N) 52mg/ℓ, 인(T-P) 10mg/ℓ이었으며 수질변동이 매우 심하였다. 혐기성 부패조를 통과한 오수의 수질은 BOD가 102mg/ℓ, SS가 42mg/ℓ, 질소(T-N) 39mg/ℓ, 인(T-P) 7mg/ℓ이었다.
② 방류수의 수질
3개 실험탑의 시료를 1주 간격으로 채취하여 분석한 방류수의 평균 수질은 표2와 같다. 실험탑3(대립 목편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이 실험탑1, 2의 대조구 보다 BOD 제거효율이 높았으며, 슬러지 발생량은 적었다.
실험탑3(대립 목편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 처리수의 평균 수질은 BOD가 8.7mg/ℓ, SS가 6.3mg/ℓ, T-N 22mg/ℓ, T-P 7mg/ℓ로 매우 안정적으로 처리 되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험탑3은 BOD 94%, SS 88%, T-N 59%, T-P 34%의 처리 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정화조에 의하여 상수원 보호 구역 방류수 수질기준이 BOD 20mg/ℓ로 충분히 만족하면서 질소와 인의 동시 제거가 가능하여 수질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탑 3의 운전시기인 1998년 10월부터 1999년 4월까지 6개월간 수질의 경시적 변화는 표 3과 같다. 실험탑3의 처리효율은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다소 낮아지지만 안정적으로 처리되어 BOD 20mg/ℓ이하 고도처리가 가능하였다.
(2) 동력비 및 기타효과
수중에 용존산소를 높이기 위해 강제 송풍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동력비가 접촉산화법에 비하여 90%이상 절감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오수 처리 방식 중 미립목편을 이용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의 단점을 해소하여 공극폐쇄현상을 방지하고 오수의 부하 변화가 심한 생활하수를 사계절 안정적으로 고도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내에 산소를 자연적인 방법으로 담체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처리시설의 설치, 운전과 조작이 간단하고 슬러지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 유지관리비 비용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립 목편 정화조는 기존의 접촉산화식 정화조에 비하여 설치비용이 50%, 동력비는 91% 전체 유지관리비는 95%정도 절감이 가능하였다(표 4).
이로써 본 발명 기술은 가정이나 식당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오수를 좁은 면적에서 복잡한 시설 없이 적은 동력으로 처리 효율을 크게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5-10cm 의 입자크기를 갖는 보조목편이 충진된 혐기성부패조와, 그 다음단계로서 생분해가 가능하고 다공성인 0.5-5㎝ 의 크기의 대립목편이 충진되어 있는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 부패조는 1개 또는 복수개 설치되고, 그 각각은 내부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인장 철망판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입자크기를 가지는 대립목편이 충진된 다공성 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여상식 고도처리조의 내벽에는 보온단열재와 오수가 살수여상 고도처리조 가장 자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받침대가 설치되고, 충진층 내부에는 오수 살수시 오수가 균등하게 적하되도록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는 오수를 간헐적으로 살수하기 위해, 살수관과 연결된 펌프 및 수위 조절 펌프에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립목편을 침엽수를 원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에 충진되는 상기 대립목편의 양은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총 유효용량의 85-95v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상부 3-10vol%는 산소접촉이 가능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여상 고도처리조의 하부 3-10vol%용적은 바닥에서 이격되고, 그 내부에 다공성 상자가 적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15. 제6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하는 방법.
KR10-2000-0023504A 2000-05-02 2000-05-02 대립 목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8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504A KR100383032B1 (ko) 2000-05-02 2000-05-02 대립 목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504A KR100383032B1 (ko) 2000-05-02 2000-05-02 대립 목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24A KR20010102624A (ko) 2001-11-16
KR100383032B1 true KR100383032B1 (ko) 2003-05-09

Family

ID=4578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504A KR100383032B1 (ko) 2000-05-02 2000-05-02 대립 목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53B1 (ko) * 2007-04-20 2008-08-20 (주)진성하이테크 주방용 오폐수 수집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041B1 (ko) * 1997-08-07 2000-01-15 류종원 미생물 담체를 다공성 상자에 충전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041B1 (ko) * 1997-08-07 2000-01-15 류종원 미생물 담체를 다공성 상자에 충전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24A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3453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A2065350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iological reactor to purify water
US5951866A (en) Cold climate wetlan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7320752B2 (en) Integrated hydroponic and wetl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5690827A (en)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peat and a constructed wetland
US6190553B1 (en) Purification system for disposal of polluted or waste water using water plants
US5980739A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6153094A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5632896A (en) Method for treating sewage and other liquids
CN113979603A (zh) 一种填料可替换双层种植套筒活水式模块化人工湿地装置
KR101167599B1 (ko) 다공성여재를 충진한 자연 생태적 여과 및 흡착에 의한 질소, 인 고도처리장치
KR100237041B1 (ko) 미생물 담체를 다공성 상자에 충전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KR100383032B1 (ko) 대립 목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424289B1 (ko) 정화처리용 자연평형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설비
WO1999001385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Qasid et al.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orizontal flow wetlands as an option for tertiary treatment of secondary sedimentation basins
KR200220403Y1 (ko) 반송습지법을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KR0165947B1 (ko) 토양피복형 오수정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357625Y1 (ko) 자연친화형 접촉순환 하수처리장치
KR100369956B1 (ko) 자연적 탈수 및 분해력을 이용한 슬러지 처리 장치 및 이장치를 사용한 슬러지 처리 방법
KR20000008079A (ko) 흡수성 바이오휠터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과 장치
JP2001340883A (ja) 排水処理装置
Chauhan EMERGING ECO-FRIENDLY GREEN TECHNOLOGY FOR WASTE WATER TREATMENT IN INDIA
SU947081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WO1998021153A1 (en) Device for cleaning polluted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