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598B1 -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 - Google Patents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598B1
KR100382598B1 KR10-2000-0046291A KR20000046291A KR100382598B1 KR 100382598 B1 KR100382598 B1 KR 100382598B1 KR 20000046291 A KR20000046291 A KR 20000046291A KR 100382598 B1 KR100382598 B1 KR 100382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size
polishing
color
abrasive
polis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2984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00-004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5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2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각 입도 마다 지정된 색상을 부여하여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하므로서 입도가 인쇄된 연마부재의 인쇄면 마모로 인한 혼돈을 방지할 수 있는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각각의 입도 마다 서로 다른 지정된 색상을 부여한 다음,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연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마부재의 입도를 7개로 구분한 다음,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가장 큰 입도의 연마부재에서 가장 작은 입도의 연마부재, 또는 가장 작은 입도의 연마부재에서 가장 큰 입도의 연마부재로 갈 수록 무지개색깔의 배열상태와 같은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보라색으로 색상을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A identification method for gra in size of abrasives utility color}
본 발명은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각 입도 마다 지정된 색상을 부여하여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하므로서 입도가 인쇄된 연마부재의 인쇄면 마모로 인한 혼돈을 방지할 수 있는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금속이나 석재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연마하기 위해서 연마장치가 널리 통용되며, 상기 연마장치는 도 1과 같이 그 샤프트에 연마헤드(1)가 끼움 고정되는데, 상기 연마헤드(1)의 탄성체(1a) 저면에 벌크로테이프의 후크면 (1b)이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면(1b)에는 다른 일면에 연마지, 또는 연마포일 수 있는 연마부재(2b)가 형성된 벌크로테이프(2)의 루프면(2a)이 부착되므로서 연마수단(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연마수단(2)의 루프면(2a)에는 입도[그레이드(grade)]를 인쇄하여 이를 보고 필요에 따라 연마부재(2b)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연마수단(2)의 루프면(2a)에 그에 해당되는 입도를 인쇄하였기 때문에 연마부재(2b)가 부분적으로 마모될 시에는 이 인쇄부분이 지워짐으로써 연마수단(2)의 오사용으로 인하여 가공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연마수단(2)의 오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부분에만 마모된 연마수단(2)을 폐기처분하기 때문에 이의 낭비가 심화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각 입도 마다 지정된 색상을 부여하여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입도를 구분하므로서 입도가 인쇄된 연마부재의 인쇄면 마모로 인한 혼돈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연마부재의 일부분이 손상되더라도 입도의 혼란없이 연마부재의 전면을 균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마수단의 낭비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마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연마부재의 입도와 색상을 표준화한 조견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마헤드 1a:탄성체
2:연마수단 2a:루프면
2b:연마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각각의 입도 마다 서로 다른 지정된 색상을 부여한 다음,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연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마부재의 입도를 7개로 구분한 다음,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가장 큰 입도의 연마부재에서 가장 작은 입도의 연마부재로 갈 수록 무지개색깔의 배열상태와 같은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보라색으로 색상을 지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마수단(2)의 루프면(2a)에 각각의 입도 마다 서로 상이한 지정된 색상을 부여한 다음, 각 입도마다 지정된 색상을 조견표를 만들어 이 조견표를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때, 연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마부재(2b)의 입도를 7등분한 다음, 연마수단(2)의 루프면(2a)에 도 3과 같이 가장 큰 입도의 연마부재(2b)에서 가장 작은 입도의 연마부재(2b)로 갈 수록 무지개색깔의 배열상태와 같은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보라색으로 색상을 지정한 다음, 이 조견표를 각 작업장에 비치하여 이를 보고 연마부재(2b)의 입도를 구분, 선택하여 사용한다. 한편, 가장 작은 입도의 연마부재(2b)에서 가장 큰 입도의 연마부재(2b)로 갈 수록 무지개색깔의 배열상태와 같은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보라색으로 색상을 지정한 다음, 이 조견표를 각 작업장에 비치하여 이를 보고 연마부재(2b)의 입도를 구분,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연마공정에서는 도 3과 같이 7가지의 입도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입도는 #80, #120, #180, #220, #320, #400, #600이며, 이 입도의 색상을 각각 #80=빨강색, #120=주황색, #180=노랑색, #220=초록색, #320=파랑색, #400=남색, #600=보라색으로 지정하므로서 조금만 숙련이 되면 조견표를 보지 않고 색상만으로도 쉽게 연마부재(2b)를 쉽게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연마부재(2b)의 입도를 7등분한 다음, 연마수단(2)의 루프면(2a)에 도 3과 같이 가장 큰 입도의 연마부재(2b)에서 가장 작은 입도의 연마부재(2b)로 갈 수록 무지개색깔의 배열상태, 즉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보라색으로 색상을 지정한 다음, 이 조견표를 각 작업장에 비치하여 이를 보고 연마부재 (2b)의 입도를 구분, 선택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가장 거친 입도의 연마부재(2b)를 사용하고자 하면 루프면(2a)이 #80인 빨강색을 선택하고, #80 보다 더 미세하게 연마하고자 하면 루프면(2a)이#120인 주황색을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각 입도 마다 지정된 색상을 부여하여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하므로서 입도가 인쇄된 연마부재의 인쇄면 마모로 인한 혼돈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연마부재의 일부분이 손상되더라도 입도의 혼란없이 연마부재의 전면을 균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마수단의 낭비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연마부재의 후면부에 각각의 입도 마다 서로 다른 지정된 색상을 부여한 다음,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연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마부재의 입도를 7개로 구분한 다음, 연마수단의 루프면에 가장 큰 입도의 연마부재에서 가장 작은 입도의 연마부재, 또는 가장 작은 입도의 연마부재에서 가장 큰 입도의 연마부재로 갈수록 무지개색깔의 배열상태와 같은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보라색으로 색상을 순차적으로 지정하여 이 색상을 보고 연마부재의 입도를 구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
  2. 삭제
KR10-2000-0046291A 2000-08-10 2000-08-10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 KR100382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291A KR100382598B1 (ko) 2000-08-10 2000-08-10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291A KR100382598B1 (ko) 2000-08-10 2000-08-10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984A KR20020012984A (ko) 2002-02-20
KR100382598B1 true KR100382598B1 (ko) 2003-05-01

Family

ID=1968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291A KR100382598B1 (ko) 2000-08-10 2000-08-10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615A (ko) * 2002-05-16 2003-11-22 이종헌 다색상을 연출하는 샌드 페이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제조한 샌드 페이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9065U (ko) * 1980-08-15 1982-03-02
US4437271A (en) * 1979-03-14 1984-03-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rface treating pad having a renewable surface
JPS6011748U (ja) * 1982-09-17 1985-01-26 清水 喜陸 研磨面種別粒度表示付き切断線入り研磨紙
JPH0732268A (ja) * 1993-07-16 1995-02-03 Fuji Photo Film Co Ltd 研磨テープの識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7271A (en) * 1979-03-14 1984-03-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rface treating pad having a renewable surface
JPS5739065U (ko) * 1980-08-15 1982-03-02
JPS6011748U (ja) * 1982-09-17 1985-01-26 清水 喜陸 研磨面種別粒度表示付き切断線入り研磨紙
JPH0732268A (ja) * 1993-07-16 1995-02-03 Fuji Photo Film Co Ltd 研磨テープの識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984A (ko)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2627A (en) Color coded tools
DE69527406D1 (de) Suspension zum Gemisch-mechanisch Polieren von Metallschichten
ZA953927B (en) Modified sol-gel alumina
ATE278930T1 (de) Unebenheiten in einer gewölbten oberfläche, wie reifenseitenwand, mit bandpassfilterung
SG115562A1 (en) Flank superabrasive machining
EP1833084A3 (en) Cerium oxide abrasive and method of polishing substrates
DE69410338D1 (de) Schleifwerkzeug
US20110021114A1 (en) Abrasive article with preconditioning and persistent indicators
KR100382598B1 (ko) 색상을 이용한 연마부재의 입도 식별방법
EP0745339A4 (en) JEWELRY ORNAMENTS
ES2008823A6 (es) Una herramienta abrasiva aglutinada mejorada.
ATE175916T1 (de) Polierverfahren, hierzu bestimmte vorrichtung und schwabbel-/polierscheibe
GB2245203A (en) Method of machining slider for magnetic head
BR9401657A (pt) Abrasivo, que consiste essencialmente de coríndon cerâmico, ferramenta de esmerilhamento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o dito abrasivo
KR100541604B1 (ko) 교체 시기 판별이 용이한 연마지 및 그 사용방법
MY120614A (en) Method of machining rare earth alloy and method of fabricating rare earth magnet using the same
KR0128500Y1 (ko) 연마용 시트
CN211589786U (zh) 一种刚玉型精密研磨带
JPS6011748U (ja) 研磨面種別粒度表示付き切断線入り研磨紙
EP2180978B1 (en) System for indicating the grade of an abrasive
CN216525516U (zh) 一种防伪信息数字印刷质量检测装置
KR950008042A (ko) 피가공물의 내통내면 다듬질 가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호닝헤드구조
MY126099A (en) Cerium-based abrasive, method of examining quality thereof,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Hoffmann et al. Characterization of Fiber Materials Using Metallographic and Image Analysis Techniques
US61385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ink and printer bandwidth with preprinted transparen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