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903B1 -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 Google Patents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903B1
KR100380903B1 KR10-2002-0064737A KR20020064737A KR100380903B1 KR 100380903 B1 KR100380903 B1 KR 100380903B1 KR 20020064737 A KR20020064737 A KR 20020064737A KR 100380903 B1 KR100380903 B1 KR 10038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using
terminal
batter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426A (ko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유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섭 filed Critical 유병섭
Publication of KR2002008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장치간 전기적 콘택(electric contact)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장치 1의 하우징;장치 2의 하우징;상기 장치 1 의 하우징에 구비된 장치 1 측 제 1 자석;상기 장치 1 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1 측 제 2 자석;상기 장치 2 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2 측 제 1 자석;상기 장치 2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 및 장치 1 측 제 2 자석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만큼 상기 장치 2 측 제 1 자석으로 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장치 2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2 측 제 2 자석;상기 장치 1의 하우징에 구비된 장치 1 측 콘택 단자;및 상기 장치 2의 하우징상의 지점 중,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 및 장치 2 측 제 1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하고, 상기 장치 1 측 제 2 자석 및 장치 2 측 제 2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할 때, 상기 장치 1 측 콘택 단자가 접촉하는 지점에 구비된 장치 2 측 콘택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STRUCTURE OF ELECTRIC CONTACT BETWEEN TWO DEVICES}
본원은 출원인에 의한 선특허출원 출원번호 10-2002-0061159호를 기초로한 국내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본 발명은 2 장치간 전기적 콘택(electric contact)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적인 접속 및 해제가 빈번한 2 장치간에 있어서, 각 장치의 하우징 형상에 상관없이 전기적 접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기적 접속 및 해제가 빈번하고, 하우징의 형상이 다양한 장치의 일례(一例)로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와 충전기를 들 수 있다.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는 셀, 보호 회로 및 콘택 단자로 구성된다. 이들중 셀 및 보호 회로는 밧데리의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고, 콘택 단자는 외부에 돌출된다. 또한, 콘택 단자는 인출선에 의하여 보호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콘택 단자 중 밧데리 하우징 배면에 돌출된 것이 밧데리측 충전 단자이다. 밧데리측 충전 단자는 2개의 전력 입력 단자 뿐만 아니라, 밧데리 종류 식별 단자 및 접촉 상태 판단 단자 등을 포함하여 통상 3개 내지 4개로 구성된다.
반면, 충전기측 충전 단자는 충전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 및 고정 설치된 콘택 단자로 밧데리측 충전 단자와 일치하는 갯수만큼 단자 소켓에 실장 형성되고, 인출선에 의하여 충전기 하우징 내부의 충전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충전기측 충전 단자의 위치, 간격 및 크기는 밧데리와 충전기가 체결 수단에 의하여 체결될 때 밧데리측 충전 단자와 정확히 접촉할 수 있는 위치, 간격 및 크기로 한다.
종래,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의 하우징 형상은 제조 회사나 모델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됨으로 인하여 서로 다르다. 또한,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하우징의 하부 형상도 밧데리의 하우징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하므로, 제조 회사나 모델 별로 서로 다르다. 밧데리의 하우징 형상과 충전기의 하우징 형상이 서로 부합되어야 밧데리측 충전 단자와 충전기측 충전 단자를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밧데리측 충전 단자와 충전기측 충전 단자간의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밧데리와 충전기간에 기구적인 체결 수단을형성하는데, 종래에는 그 체결 수단으로 밧데리 하우징과 충전기의 하우징에 서로 체결될 수 있는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 수단도 밧데리 하우징의 디자인에 따라 그 형성 위치, 형상 및 구조가 달랐다. 이 같은 밧데리 하우징 형상의 다양화와 거기에 따른 밧데리 및 충전기간의 체결 구조의 차이 및 충전 단자의 차이는 다른 제조사의 밧데리 및 충전기간 뿐만아니라, 동일한 제조사간의 밧데리 및 충전기간에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하여 왔다.
종래, 핸즈프리와 핸드폰 또는 밧데리와 충전기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자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핸즈프리와 핸드폰 또는 밧데리와 충전기를 체결하는 자석은 핸즈프리 또는 핸드폰의 어느 하나에 1극성의 자석 1개를 부착하고, 다른 하나에는 철판등 강자성체를 1개 부착하거나 반대 극성의 자석을 부착하여, 이들이 접근하면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체결되는 구조를 가졌다.
그러나, 1지점에서 인력이 작용하는 종래 구조는 밧데리와 충전기의 체결 수단으로는 사용할 수 있어도 충전 단자간의 전기적 콘택 수단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도 2a를 참조하면, 밧데리 하우징(100b)과 충전기 하우징(200b)상에 극성이 서로 반대인 자석을 1개씩 구비하는 경우에도, 밧데리 하우징(100b)과 충전기 하우징(200b)이 1지점(자석 101 및 201의 접점)에서 서로 인력이 작용하여 단순히부착될 뿐, 인력이 작용하는 지점(자석 101 및 201의 접점)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밧데리 하우징(100b)상의 1점인 x점이 이에 대응하는 충전기 하우징(200b)상의 대응 지점인 x'점에 항상 접촉되는 것은 아닌 것이다. 따라서, 밧데리 하우징(100b) 및 충전기 하우징(200b)의 일정한 대응 지점에 밧데리측 충전 단자 및 충전기측 충전 단자를 구비하여도 이들이 항상 규칙적으로 접촉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모든 전기적 콘택이 이루어지는 장치간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정확하고도 용이하게 2장치에 구비된 콘택 단자를 접촉 시킬 수 있는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장치의 하우징 형상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2 장치간의 전기적 콘택 단자를 부착시킬 수 있는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의 일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및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서 밧데리와 충전기의 하우징 중 충전시 접촉되는 부분만을 평판 형태로 절개하여 다양한 갯수의 자석를 배치한 후, 평판간을 접근시켰을 때 상호 접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평판에 밧데리측 충전 단자 및 충전기측 충전 단자를 추가하여 이들 간의 전기적 콘택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자석으로 단면 2극 착자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의 밧데리와 충전기간의 전기적 콘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자석 구조 및 그 배치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밧데리측 충전 단자 11 : 밧데리측 인출선
13 : 충전기측 충전 단자 14 : 충전기측 인출선
100a ~ 100d : 밧데리 하우징 200a ~ 200d : 충전기 하우징
101 : 밧데리측 제 1 자석 102 : 밧데리측 제 2 자석
103, 104 : 밧데리측 보조 자석 105 : 밧데리측 단면 다극 착자 자석
201: 충전기측 제 1 자석 202 : 충전기측 제 2 자석
203, 204 : 밧데리측 보조 자석 205 : 충전기측 단면 다극 착자 자석
본 발명에 따른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는
장치 1의 하우징;
장치 2의 하우징;
상기 장치 1 의 하우징에 구비된 장치 1 측 제 1 자석;
상기 장치 1 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1 측 제 2 자석;
상기 장치 2 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2 측 제 1 자석;
상기 장치 2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 및 장치 1 측 제 2 자석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만큼 상기 장치 2 측 제 1 자석으로 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장치 2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2 측 제 2 자석;
상기 장치 1의 하우징에 구비된 장치 1 측 콘택 단자;및
상기 장치 2의 하우징상의 지점 중,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 및 장치 2 측 제 1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하고, 상기 장치 1 측 제 2 자석 및 장치 2 측 제 2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할 때, 상기 장치 1 측 콘택 단자가 접촉하는 지점에 구비된 장치 2 측 콘택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 1은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장치 1측 콘택 단자는 밧데리측 충전 단자, 상기 장치 2는 충전기, 상기 장치 2측 콘택 단자는 충전기측 충전 단자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 1은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장치 1측 콘택 단자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스피커 출력 단자 및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를 밧데리 하우징 배면까지 연장한 단말기 스피커 출력 단자 및 단말기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 장치 2는 핸즈프리, 장치 2측 콘택 단자는 핸즈프리 스피커 입력 단자 및 핸즈프리 마이크로폰 출력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 1의 하우징에는 정확하고, 안정적인 콘택 단자간 접촉을 위하여, 1 내지 5개의 장치 1 측 보조 자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치 2의 하우징상의 지점 중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 및 장치 2 측 제 1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하고 상기 장치 1 측 제 2 자석 및 장치 2 측 제 2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할 때, 상기 장치 1 측 보조 자석이 접촉하는 장치 2측 하우징 상의 각 지점에, 상기 장치 1 측 보조 자석에 대응하여, 그 극성이 장치 1 측 보조 자석과 반대인 장치 2 측 보조 자석을 1개씩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자석들로는 1개의 자성체편의 동일한 표면에 N극 및 S극을 일부분씩 다수 형성한 단면 다극 착자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례는 자석으로 영구자석편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나, 자석으로 전자석을 이용하는 실시례 대하여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례는 2 장치로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및 충전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콘택 구조는 전기적인 연결이 필요한 모든 2 장치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의 일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및 충전기의 사시도를,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서 밧데리와 충전기의 하우징 중 충전시 접촉되는 부분만을 평판 형태로 절개하여 다양한 갯수의 자석를 배치한 후, 평판간을 접근시켰을 때 상호 접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를,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평판에 밧데리측 충전 단자 및 충전기측 충전 단자를 추가하여 이들 간의 전기적 콘택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 4a 내지 도 4c는 자석으로 단면 2극 착자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의 밧데리와 충전기간의 전기적 콘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자석 구조 및 그 배치도를 각각 나타낸다.
출원인은 서로 다른 표면 자극을 갖는 2개의 자석을 이용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 하우징(100b)에 2개의 극성이 서로 반대인 자석(101, 102)을 구비하고, 충전기 하우징(200b)에도 2개의 극성이 서로 반대인 자석(201, 202)을 구비하되, 밧데리 하우징(100b)에 구비된 2개의 자석(101, 102)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하면, 접근시 마다 밧데리 상의 1점인 y 점은 항상 충전기 상의 1점인 y'에 접촉하게 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것은 2개의 지점(자석 101과 자석 201의 접점 및 자석 102와 자석 202의 접점)에서 동시적으로 밧데리 하우징과 충전기 하우징간에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어느 1개 지점을 중심으로한 회전을 막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부연 설명하면, 도 2b에서, N극인 밧데리측 제1자석(101)은 항상 S극인 충전기측 제1자석(201)과 부착되고, S극인 밧데리측 제2자석(102)는 항상 N극인 충전기측 제2자석(202)과 부착된다. 그리고, 각 부착 지점에서 인력이 동시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밧데리측 제1자석(101) 및 충전기측 제1자석(201)간의 접촉 지점을 중심으로한 변위(變位)를 밧데리측 제2자석(102)과 충전기측 제2자석(202)의 인력이 막아 주고, 역으로 밧데리측 제2자석(102)과 충전기측 제2자석(202)간의 접촉 지점을 중심으로 변위(變位)를 밧데리측 제1자석(101)과 충전기측 제1자석(201)의 인력이 막아 주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같은 거리 만큼 이격 시킨 극성이 반대인 2개의 자석을 2 장치의 각 하우징 마다 구비하고, 하우징상의 서로 접촉하는 지점에 각 장치의 콘택 단자를 형성하면, 두 장치를 접근 시킬 때마다 항상 각 장치의 콘택 단자는 정확히 접촉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밧데리 하우징(100b)에는 상기 밧데리측제1자석 및 제2자석 이외에도 밧데리측 보조 자석(103, 104)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고, 상기 밧데리측 보조 자석(103, 104)에 접하는 충전기 하우징(200b)상의 각 지점에는 밧데리측 보조 자석(103, 104)과 반대 극성을 갖는 충전기측 보조 자석(203, 2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밧데리 및 충전기의 하우징에 서로 극성이 다른 자석을 2개씩 구비함으로써도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지만, 콘택 단자간의 더 안정되고 더 정확한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의 하우징(100b)에 보조 자석을 1개(도 2c의 부호 103) 또는 2개(도 2d의 부호 103, 104) 더 구비하고, 상기 밧데리 하우징 상의 보조 자석(103, 104)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기의 하우징상의 지점에도 밧데리 하우징 상의 보조 자석과 극성이 반대인 보조 자석을 1개(도 2c의 부호 203) 또는 2개(도 2d의 부호 203, 204) 더 구비하는 것이다.
도 2c 및 도 2d에는 보조 자석이 1개 또는 2개씩 추가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3개 내지 8개를 추가할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의 갯수는 특별한 용도가 아니면 불필요하다. 특히, 최근에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한 네오디뮴 자석(NdFeB 자석)을 사용할 경우, 보조 자석의 갯수는 1 내지 5개가 가장 적당하다. 희토류계 자석인 네오디뮴 자석은 소형인 경우에도 자기에너지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상기 밧데리 및 충전기의 하우징(101)에 구비되는 자석(101~104, 201~204)은,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자성체편에 1극이 착자된 영구자석편을 다수 사용할 수 있으나, 도 4a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자성체편(105 또는 205)의 동일 표면에 N극 및 S극을 일부분씩 자화시킨 단면 다극 착자 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편의상 도 4a에는 단면 2극 착자 자석만을 도시하였으나, 보조 자석 갯수 만큼 더 많은 자석을 동일 평면상에 착자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자석들의 접촉 면적은 동일한게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밧데리 하우징에 밧데리측 충전 단자(10)와 그 인출선(11)을 구비하고, 충전기 하우징에 충전기측 충전 단자(13)와 그 인출선(14)을 구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밧데리측 제1자석(101) 및 제2자석(102)의 밧데리 하우징상의 위치와 충전기측 제1자석(201) 및 제2자석(202)의 충전기 하우징상의 위치를이들 하우징에 구비된 충전 단자(10, 13)간에 접촉이 일어날 수 있게 배치하면, 밧데리를 충전기 근처에 접근시킬 때마다 밧데리측 충전 단자(10)가 충전기측 충전 단자(13)에 자동으로 접촉되게 된다.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 하우징 및 충전기 하우징에 보조 자석을 1개씩(103, 203) 또는 2개씩(103, 104, 203, 204)더 추가하는 경우, 더 용이하고 더 정밀한 충전 단자(10, 13)간의 전기적 접촉이 일어 나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기 하우징(200c)의 접촉면을 평면 또는 평면 형상에 가깝게 형성할 경우, 밧데리의 하우징(100c)의 크기나 형상에 상관없이 밧데리측 충전 단자를 충전기측 충전 단자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전 단자의 갯수 및 충전 단자간 거리만 일치하는 경우라면 1개의 충전기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밧데리를 충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콘택 단자는 전력 전송 단자 및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 전송 단자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 단자 구조는 전기적 연결 및 분리가 잦은 모든 장치간의 콘택 단자(connectors)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동전화 단말기의 단말기 스피커 출력 단자 및 단말기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를 이동전화 단말기의 하우징 배면을 통하여 밧데리의 하우징 배면까지 연장하고, 밧데리 하우징 배면에 충전 단자와 별도의 스피커 출력 단자 및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를 형성한 후, 이에 대응하여, 핸즈프리(hands free)의 하우징 상면에 핸즈프리 스피커 입력 단자 및 핸즈프리 마이크로폰 출력 단자를 구비하면, 이동전화 단말기와 핸즈프리간의 음성 신호 전송 단자간의 전기적 콘택 구조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 단자 구조를 갖는 충전기를 버스, 지하철, 식당 등에 설치하면, 그 호환성으로 인하여, 집이나 사무실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례를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그 보호 범위능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든 실시례에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력을 이용하여 정확하고도 용이하게 2장치에 구비된 콘택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촉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장치의 하우징 형상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2 장치간의 전기적 접촉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장치 1의 하우징;
    장치 2의 하우징;
    상기 장치 1 의 하우징에 구비된 장치 1 측 제 1 자석;
    상기 장치 1 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1 측 제 2 자석;
    상기 장치 2 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2 측 제 1 자석;
    상기 장치 2의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 및 장치 1 측 제 2 자석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만큼 상기 장치 2 측 제 1 자석으로 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장치 2 측 제 1 자석과 표면 극성이 반대인 장치 2 측 제 2 자석;
    상기 장치 1의 하우징에 구비된 장치 1 측 콘택 단자;및
    상기 장치 2의 하우징상의 지점 중,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 및 장치 2 측 제 1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하고, 상기 장치 1 측 제 2 자석 및 장치 2 측 제 2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할 때, 상기 장치 1 측 콘택 단자가 접촉하는 지점에 구비된 장치 2 측 콘택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1의 하우징에는 1 내지 5개의 장치 1 측 보조 자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치 2의 하우징상의 지점 중 상기 장치 1 측 제 1 자석 및 장치 2 측 제 1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하고 상기 장치 1 측 제 2 자석 및 장치 2 측 제 2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접촉할 때, 상기 장치 1 측 보조 자석이 접촉하는 각 지점에, 그 극성은 장치 1 측 보조 자석과 반대인 장치 2 측 보조 자석을 1 개씩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1은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장치 1측 콘택 단자는 밧데리측 충전 단자, 상기 장치 2는 충전기, 상기 장치 2측 콘택 단자는 충전기측 충전 단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1은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장치 1측 콘택 단자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스피커 출력 단자 및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를 밧데리 하우징 배면까지 연장한 단말기 스피커 출력 단자 및 단말기 마이크로폰 입력 단자, 장치 2는 핸즈프리, 장치 2측 콘택 단자는 핸즈프리 스피커 입력 단자 및 핸즈프리 마이크로폰 출력 단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KR10-2002-0064737A 2002-10-08 2002-10-23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KR100380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159 2002-10-08
KR1020020061159A KR20020082192A (ko) 2002-10-08 2002-10-08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및 충전기의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426A KR20020086426A (ko) 2002-11-18
KR100380903B1 true KR100380903B1 (ko) 2003-04-18

Family

ID=277286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159A KR20020082192A (ko) 2002-10-08 2002-10-08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및 충전기의 체결 구조
KR10-2002-0064737A KR100380903B1 (ko) 2002-10-08 2002-10-23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159A KR20020082192A (ko) 2002-10-08 2002-10-08 이동전화 단말기용 밧데리 및 충전기의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821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619B1 (ko) * 2009-12-30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충전구조 및 그의 충전방법
CN101943886B (zh) * 2010-09-01 2012-09-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手表
KR101243555B1 (ko) * 2011-02-10 2013-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충전시스템
KR101570425B1 (ko) * 2014-05-30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충전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03Y1 (ko) * 2000-04-21 2000-12-01 조성일 엔디 단면 다극(4극 이상) 자석식의 안전한 핸드폰 홀더
KR200254508Y1 (ko) * 2001-08-24 2001-11-24 이문택 자동접속 휴대용 전화기 및 핸드프리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03Y1 (ko) * 2000-04-21 2000-12-01 조성일 엔디 단면 다극(4극 이상) 자석식의 안전한 핸드폰 홀더
KR200254508Y1 (ko) * 2001-08-24 2001-11-24 이문택 자동접속 휴대용 전화기 및 핸드프리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426A (ko) 2002-11-18
KR20020082192A (ko)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5581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CN110602599B (zh) 无线耳机及其充电盒
US8237401B2 (en) Re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159705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connection
US11870274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14168337A1 (ko) 자력식 인터페이스
US20210029475A1 (en) Charging contact connection for a charger, mating contact connection, charging contact system and electrical device
CN210958740U (zh) 一种智能穿戴设备及智能穿戴设备容纳盒
KR100380903B1 (ko)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CN110677766A (zh) 无线耳机充电盒及无线耳机
KR20020086442A (ko) 영구자석 단자 및 그것을 이용한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KR20060016824A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KR20020092271A (ko)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CN211209892U (zh) 一种tws耳机
CN213402518U (zh) 充电装置及智能装置
CN109742599B (zh) 磁吸连接器、磁吸连接线及电子装置
DE50210372D1 (de) Elektrischer Akkumulator
KR20020086445A (ko) 2 장치간 전기적 콘택 구조
CN214901268U (zh) 可适应正反插连接的耳机
CN221150994U (zh) 耳机充电仓充电套件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CN219477647U (zh) 一种吸附式充电装置
CN217216851U (zh) 一种真无线耳机充电装置、组件以及耳机充电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