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905B1 -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 - Google Patents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905B1
KR100379905B1 KR10-2000-0012096A KR20000012096A KR100379905B1 KR 100379905 B1 KR100379905 B1 KR 100379905B1 KR 20000012096 A KR20000012096 A KR 20000012096A KR 100379905 B1 KR100379905 B1 KR 10037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tree
frogs
tree frogs
b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084A (ko
Inventor
장현유
이유식
서덕규
Original Assignee
장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유 filed Critical 장현유
Priority to KR10-2000-001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905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청개구리류의 사육, 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개구리류의 사육을 위한 5 내지 40℃의 온도, 70 내지 98%의 습도, 및 이산화탄소가 1000ppm 이하가 되도록 5 내지 20분에 대해 3 내지 6분간의 환기로 설정된 조건과, 청개구리류의 인공배란 및 수정을 유도하기 위한 0 내지 10℃의 온도와 30 내지 70%의 습도로 설정된 조건이 3 내지 6개월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설정되고, 식물화분이 배치된 사육장에서 곤충류를 먹이로 급여하면서 암컷과 수컷의 청개구리류를 대량 번식시켜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육방법은 청개구리류를 대량으로 번식 및 사육할 수 있기 때문에 청개구리류를 의약용, 애완용, 관찰용, 해부용, 버섯파리 방제 등 친환경 농업적 이용용으로 실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청개구리류를 농가의 부업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농가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A method of feeding and propagating treefrogs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청개구리류를 일정한 온도, 습도 및 환기로 사육조건과 번식조건이 반복되도록 조성된 사육장에서 적정 먹이를 제공하여 대량으로 인공 번식시켜 사육하는 방법및 이를 사육하여 의약용, 애완용, 관찰용, 해부용, 버섯파리 방제 등으로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청개구리류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전무한 상태이고, 외국에서는 청개구리류의 육종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초보적인 수준이다. 따라서, 청개구리류에 대해 이들이 어떤 조건에서 자라는지, 몸 색깔은 어떻게 변하는지, 일생동안 몇번이나 알을 낳는지, 몇 년쯤이나 사는지 등 이들의 생태에 대해 밝혀진 것이 거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버섯재배를 하면서 청개구리가 자연적으로 버섯재배사에 찾아 들어오는 것을 발견하고 청개구리류의 서식환경이 버섯재배의 환경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버섯재배 환경인 온도, 습도, 환기 조건을 조성하여 암수컷의 자연교미와 번식을 유도하고 물풀과 버섯파리처럼 살아서 움직이는 곤충을 먹이로 제공하면 대량번식시킬 수 있음을 알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개구리류를 그의 서식환경을 조성하여 대량번식시켜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개구리 사육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개구리류의 사육을 위한 5 내지 40℃의 온도, 70 내지 98%의 습도 및 이산화탄소가 1000ppm 이하가 되도록 5 내지 20분에 대해 3 내지 6분간의 환기로 설정된 조건과, 청개구리류의 인공배란 및 수정을 유도하기 위한 0 내지 10℃의 온도 및 30 내지 70%의 습도로 설정된 조건이 3 내지 6개월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설정되고, 식물화분이 배치된 사육장에서 곤충류를 먹이로 급여하면서 번식시켜 사육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청개구리류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5 내지 40℃의 온도, 70 내지 98%의 습도, 5 내지 20분에 대해 3 내지 6분동안의 환기가 적정조건이다. 그러나, 청개구리류의 인공배란 및 수정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청개구리가 겨울잠을 자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겨울잠을 잘 수 있도록, 0 내지 10℃의 온도, 30 내지 70%의 습도 조건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개구리류의 사육조건과 인공배란 및 수정 조건을 3 내지 6개월마다 반복되도록 한다. 따라서, 자연적인 환경에서 청개구리는 1년에 1 내지 3회 배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인공환경조성에 의하면 1년에 3 내지 6회까지 배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인공환경조성에 의해서 1년에 최대 70,000개(1회 1,000 내지 12,000개)까지 알을 낳을 수 있지만, 자연적 환경에서는 기껏해야 1년에 30,000개(1회 8,000 내지 10,000)의 알을 낳을 수 있다. 알의 부화조건은 청개구리류의 사육조건과 일치한다.
또한, 사육장의 습도를 70 내지 98%로 유지시키기 위해, 사육장 바닥에 2 내지 7㎝ 정도의 물이 흐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육장은 5 내지 20분에 대해 3∼6분간 환기를 실시하는 것이 청개구리를 사육하는데 바람직하다. 청개구리류는 산소농도가 300ppm 내지 3000ppm이 적정하며, 이산화탄소 농도는 1000ppm이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환기를 자주해야 한다. 그러나, 환기조건은 사육장내의 사육 청개구리수와 규모, 식물이나 버섯재배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청개구리의 먹이로서는 귀뚜라미, 파리, 모기, 지렁이, 응애, 버섯파리등의 곤충류가 사용되고, 그 외에 비타민제 또는 단백질류 등의 영양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곤충류 먹이는 살아 있는 곤충을 넣어 주거나 또는 곤충의 알을 넣어서 부화시켜 청개구리들이 혀를 내밀어 잡아 먹을 수 있게 한다. 그 이외에 비타민류, 단백질류 등 영양소는 물로 200 내지 1000배 희석하여 사육장에 살포하여 청개구리의 표피를 통해 영양소를 흡수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사육장에는 청개구리가 나뭇잎에 알을 산란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식물화분을 넣을 수 있다. 식물화분의 수는 사육장의 규모, 청개구리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육장은 밤에 빛을 비추지 않게 하여 야행성의 습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육장에 신선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나무 화분을 넣고, 청개구리들이 나무에서 운동하게 한다.
또한, 청개구리의 사육장은 버섯재배장의 온도, 습도, 환기 등 환경조건이 유사하기 때문에 버섯재배장을 청개구리류 사육장으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개구리가 버섯파리와 같은 버섯재배시의 해충을 잡아 먹을 수 있어, 친환경적인 농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청개구리류의 몸집이 작아 버섯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원예 작물의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방제에도 천적을 이용하여 해충방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은 청개구리류를 대량번식시킬 수 있어 다음과 같은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첫번째, 청개구리가 옛부터 민간요법으로 위장, 간장, 심장, 당뇨, 성인병, 암 등의 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대량번식시켜 사육할 수 있어 의약용으로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두번째, 청개구리는 피부의 색깔이 주위의 환경에 따라 변화하고, 깨끗하기 때문에 애완용으로 가치성이 높다.
세째, 청개구리는 한 마리가 한번에 1,000 내지 12,000알을 잎 뒷면에 산란하므로 사육장 안에서 식물 화분에 서식하여 성장하는 관찰 탐구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넷째, 개구리는 한 살이 가운데서 가장 큰 변화가 물에서 살다가 땅으로 옮겨갈 때 일어나는데 부레가 허파로 변하고 아가미가 없어지는 과정을 거친다. 허파, 간, 위, 알, 숨구멍등으로 이루어진 개구리의 몸체를 해부하여 양서류의 생리상태를 파악하고 탐구하는 해부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은 자연적으로 청개구리류를 대량번식시켜 사육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를 통하여 얻어진 청개구리는 의약용, 애완용, 관찰용, 해부용, 버섯파리 방제등 친환경 농업적 이용용으로 실용성이 매우 높고, 또한, 손쉽게 청개구리를 대량으로 번식 및 사육할 수 있어 농가의 부업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농가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청개구리류의 사육을 위한 5 내지 40℃의 온도, 70 내지 98%의 습도 및 이산화탄소가 1000ppm 이하가 되도록 5 내지 20분에 대해 3 내지 6분간의 환기로 설정된 조건과, 청개구리류의 인공배란 및 수정을 유도하기 위한 0 내지 10℃의 온도와 습도 30 내지 70%로 설정된 조건이 3 내지 6개월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설정되고, 식물화분이 배치된 사육장에서 곤충류를 먹이로 급여하면서 암컷과 수컷의 청개구리류를 번식시켜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2. 제 1항에 의해 사육번식된 청개구리류를 의약용, 애완용, 관찰용, 해부탐구용 또는 버섯파리방제 등 친환경적 천적 이용용으로 사용하는 방법.
KR10-2000-0012096A 2000-03-10 2000-03-10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 KR10037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096A KR100379905B1 (ko) 2000-03-10 2000-03-10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096A KR100379905B1 (ko) 2000-03-10 2000-03-10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084A KR20010088084A (ko) 2001-09-26
KR100379905B1 true KR100379905B1 (ko) 2003-04-14

Family

ID=1965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096A KR100379905B1 (ko) 2000-03-10 2000-03-10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9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31B1 (ko) 2008-12-23 2011-05-25 문주일 개구리 양식장
KR20190119440A (ko) 2018-04-12 2019-10-2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귀뚜라미와 산개구리 산개구리 인공부화설비
KR20210003034A (ko) * 2019-07-01 2021-01-11 조원준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KR20210003035A (ko) * 2019-07-01 2021-01-11 조원준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855B1 (ko) * 2006-06-12 2008-09-05 양우진 황소개구리 유체를 동물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법
CN105532618B (zh) * 2016-01-08 2018-04-10 安庆市义云农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水稻龙虾混合养殖苗田的水雾驱虫设备
KR101968177B1 (ko) * 2017-04-25 2019-04-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서류용 미소서식지
CN108617586B (zh) * 2018-04-08 2020-08-04 丽水学院 一种用于饲养蛙类的装置
KR102117363B1 (ko) * 2018-04-12 2020-06-0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귀뚜라미와 산개구리 산개구리 동면 및 산란 설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2800A (en) * 1977-07-05 1978-10-31 Mangarell Edward M Self-contained vivarium habitat
US5799614A (en) * 1996-11-12 1998-09-01 Fct, Inc. Comprehensive reptilian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5873327A (en) * 1997-04-28 1999-02-23 Holyoak; Hugh Kenneth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amphibians in captivity
US6009838A (en) * 1998-06-29 2000-01-04 Carver; Jae Hibernation enclosure for reptiles
US6029604A (en) * 1995-05-17 2000-02-29 De Vosjoli; Patrick Vivarium with raised lateral access panel
KR101199545B1 (ko) * 2010-11-29 2012-11-12 한국식품연구원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90-1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2800A (en) * 1977-07-05 1978-10-31 Mangarell Edward M Self-contained vivarium habitat
US6029604A (en) * 1995-05-17 2000-02-29 De Vosjoli; Patrick Vivarium with raised lateral access panel
US5799614A (en) * 1996-11-12 1998-09-01 Fct, Inc. Comprehensive reptilian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5873327A (en) * 1997-04-28 1999-02-23 Holyoak; Hugh Kenneth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amphibians in captivity
US6009838A (en) * 1998-06-29 2000-01-04 Carver; Jae Hibernation enclosure for reptiles
KR101199545B1 (ko) * 2010-11-29 2012-11-12 한국식품연구원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90-1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31B1 (ko) 2008-12-23 2011-05-25 문주일 개구리 양식장
KR20190119440A (ko) 2018-04-12 2019-10-2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귀뚜라미와 산개구리 산개구리 인공부화설비
KR20210003034A (ko) * 2019-07-01 2021-01-11 조원준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KR20210003035A (ko) * 2019-07-01 2021-01-11 조원준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KR102609931B1 (ko) 2019-07-01 2023-12-04 조원준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KR102609933B1 (ko) 2019-07-01 2023-12-04 조원준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084A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855B1 (ko) 황소개구리 유체를 동물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법
Hubbard Insects affecting the orange
Maxwell-Lefroy Indian insect pests
KR100379905B1 (ko) 청개구리류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
Ingram Insects injurious to the rice crop
KR20170000656A (ko) 누리관총채벌레의 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 방제방법
Ballou Insect pests of the Lesser Antilles
Baspinar et al. Pest management in organic almond.
Sarmad et al. Feeding efficacy of Coccinella septempunctata and Propylea quatuordecimpunctata against Macrosiphum rosae
Siddhapara et al. Biology of Zygogramma bicolorata Pallister (Coleoptera: Chrysomelidae) and their feeding potential on Parthenium and sunflower
Severin The common black field cricket: a serious pest in South Dakota
Smith Our Insect Friends and Enemies: The Relation of Insects to Man, to Other Animals, to One Another, and to Plants, with a Chapter on the War Against Insects
Yuldasheva et al. The importance of natural factors in controlling the number density of pest pests
Kirkland Usefulness of the American toad
Henderson A Manual on Poultry
Gibbons Green Guide to Garden Wildlife Of Britain And Europe
Haber The food of the Carolina treefrog, Hyla cinerea Schneider
Awasthi Principles of Insect Behaviour
Sheela et al. Biology of spotted ladybird beetle, Harmonia octomaculata (Fabricius)(Coccinellidae: Coleoptera) on Lucerne aphid, Acyrthosiphon pisum (Harris)(Aphididae: Hemipter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Ebesu Integrated pest management for the home garden: insect identification and control
Packard Half hours with insects
Bruner Insect Enemies of Ornamental and Shade Trees Growing in Cities and Parks
Orazbaevich BIOECOLOGICAL DEVELOPMENT FEATURES OF DIPTERA GROUP REPRESENTATIVES IN CUCURBITS CROPS
Tankersley THE GARDEN OASIS: Observations in a Southern California Garden
Prajapati et al. Chapter-17 The USE of Beneficial Insects in Pes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