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425B1 -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425B1
KR100379425B1 KR10-2000-0034185A KR20000034185A KR100379425B1 KR 100379425 B1 KR100379425 B1 KR 100379425B1 KR 20000034185 A KR20000034185 A KR 20000034185A KR 100379425 B1 KR100379425 B1 KR 10037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shing
oilless bearing
polish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913A (ko
Inventor
윤성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4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기의 세탁날개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하며 원활히 회전되도록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하여 설치되는 세탁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에 내경이 다른 제1오일리스 베어링과 제2오일리스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는 탈수축과; 상기 탈수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부에는 제1오일리스 베어링의 상단에 걸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는 제1오일리스 베어링에 접하도록 제1연마가공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오일리스 베어링에 접하도록 제2연마가공부가 형성된 세탁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Washing spindle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기의 세탁날개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하며 원활히 회전되도록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하여 설치되는 세탁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세탁날개 또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 헹굼 및 탈수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계장치이다.
세탁날개를 회전시키는 세탁축은 클러치 하우징으로 싸여 있는 기어 하우징을 상하로 관통하여 탈수축 안쪽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세탁날개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부위는 상기 기어 하우징 내에 설치된 유성기어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세탁축과 탈수축 사이에는 오일리스 베어링이 설치되어 회전시 마찰이 최소화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7, 8)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세탁축(1)은 단조가공을 통해서 상부에 세탁날개(미도시)가 고정되도록 세레이션(serration)(2)이 형성되고, 상기 세레이션(2)이 형성된 상부 바로 아래에는 와셔 등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원주면을 따라서 홈(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축(1)은 상기 탈수축(6) 내로 설치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과 구별되도록 상기 홈(3)보다 조금 아래에 원주면을 따라서 환형의 돌출부(4)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이하로는 일정한 지름을 갖는 봉형 연마가공부(5)로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돌출부(4)가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 상단에 걸림으로서 상기 돌출부(4) 위쪽의 세탁축(1)의 다른 부위는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7, 8)에 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세탁축에 있어서 상기 연마가공부(5)는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해서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이 억제되도록 전체적으로 연마가공을 하는 부분으로 그 길이에 따라서 상기 연마가공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증가된다.
그래서, 상기 세탁축 부분 중에서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상기 탈수축 상에 상하로 설치된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하는 부분만 연마가공을 하고자하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하는 부위의 지름이 전체적으로 불연속으로 변화되어 나머지 부분과 상대적인 지름의 크기가 상당히 달라지게 되어 완벽하게 동심도가 맞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세탁축 자체가 휘어지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이루어진 세탁축은 상기 탈수축 내에 위치하는 상기 세탁축의 전체 둘레면을 다 연마가공 해야만 하는 구조로 상기 연마가공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낭비될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구조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연마가공부를 최소화하여 생산비용 절약 및 생산시간이 단축되도록 형성된 세탁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세탁축 203: 제 1 연마가공부
207: 탈수축 208: 제 1 오일리스 베어링
209: 제 2 오일리스 베어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에 내경이 다른 제1오일리스 베어링과 제2오일리스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는 탈수축과; 상기 탈수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부에는 제1오일리스 베어링의 상단에 걸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는 제1오일리스 베어링에 접하도록 제1연마가공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오일리스 베어링에 접하도록 제2연마가공부가 형성된 세탁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를 제공한다.
즉, 상기 세탁축은 탈수축의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하는 부분에만 연마가공부을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상하로 오일리스 베어링(208, 209)이 내부에 설치된 탈수축(207)으로 삽입되도록 전체적으로 봉형상을 갖는 세탁축(200) 상단부에는 세탁날개가(미도시) 고정되도록 세레이션(serration)(201)이 형성되고, 상기 세레이션의 하단에는 와샤 등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탁축(200)은 탈수축(207)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탈수축(207)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오일리스 베어링(208)의 상단에 걸리는 돌출부(202)가 상기 세탁축(200)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세탁축(200)은 상기 홈에서 돌출부(202)까지 일정한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02)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세탁축 부분에 있어서 상기 세탁축(200)이 탈수축(207) 내로 삽입시 상기 탈수축(207)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오일리스 베어링(208)의 내부면과 접하는 세탁축의 제 1 연마가공부(203)의 지름(A)은 상기 제 1 오일리스 베어링(208)의 내부 직경(a)과 거의 같지만 약간 크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의 하단에는 단(20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의 지름(A)이 상기 제 1 오일리스 베어링의 내부 직경(a)보다 큰 이유는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에 연마가공시 요구되는 가공오차를 고려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 아래에는 제 1 연마가공부보다 작은 작을 직경을 가지며 연마가공되지 않은 축부(205)가 소정 길이 형성된다. 이러한 직경차에 의해 제 1 연마가공부의 하단에는 단(204)이 형성된다. 상기 축부(205)의 하부에는 제 2 연마가공부(206)가 소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세탁축(200)의 제 1 연마가공부(203)는 상기 제 1 오일리스 베어링(203)과 접하여 회전시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도록 표면을 연마가공하게 되고, 상기 연마가공을 통해서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의 지름(A)은 상기 제 1 오일리스 베어링의 내부 직경(a)과 같게 된다.
또한, 상기 연마가공부(203) 아래에 위치하는 축부(205) 및 제2연마가공부(206)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9)과 접하는 제 2 연마가공부는 가공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9)의 내경(b)에 비해서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제 2 연마가공부(206)를 연마가공하게 되면 상기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9)의 내부 지름(b)과 거의 동일한 직경(B)을 갖게 된다.
그래서, 상기 세탁축(200)이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208, 209)을 손상시키지않으면서 상기 탈수축(207)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208, 209)과 접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세탁축(200)은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208, 209)과 접하는 부분에만 연마가공부를 형성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 2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하는 제 2 연마가공부가 형성되는 제 2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축(200)은 상기 제 1 오일리스 베어링(208)과 접하고 있는 제1연마가공부(203)까지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제1연마가공부(203)의 아래에 위치하는 축부(30) 및 제2연마가공부(32)는 직경이 달라진다.
즉, 상기 세탁축(200)은 탈수축(207) 하부에 설치된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9)과 접하도록 제 2 연마가공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탈수축(207)의 제 1 오일리스 베어링(208)과 접하는 제 1 연마가공부(203), 상기 탈수축의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9)과 접하는 제 2 연마가공부(209),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208, 209)과 접하지 않는 축부(30) 순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직경차에 의해 상기 축부의 하단에는 단(31)이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와 제 2 연마가공부(32)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연마가공시 요구되는 가공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의 지름(A)과 상기 제 2 연마가공부(32)의 지름(B)은 상기 제 1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8, 209)의 내부 직경보다 거의 같거나 약간 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연마가공부(203)와 제 2 연마가공부(32) 사이에 위치하는 축부(30)는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와 제 2 연마가공부(32) 보다 지름이 작기 때문에 상기 탈수축(207)과 접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그래서, 상기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비해서 상기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9)과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좀 더 정확한 연마가공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연마가공을 통해서 상기 세탁축이 불필요하게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상기 제 1 실시예에 비해서 최소화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 2 연마가공부가 형성되는 제 3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세탁축(200)은 상기 제 1 오일리스 베어링(208)과 접하는 제 1 연마가공부(203)까지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의 아래에 위치하는 축부(40) 및 제2연마가공부(42)의 지름이 달라진다.
즉, 상기 세탁축(200)은 탈수축(200)의 제 1 오일리스 베어링(208)과 접하는 제 1 연마가공부(203),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208, 209)과 접하지 않는 면부(40), 상기 탈수축(207)의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9)과 접하는 제 2 연마가공부(42) 순으로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세탁축(200)이 순차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서 살기 세탁축(200)의 가공상의 편의를 도모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마가공부(42)의 상단에는 단(41)이 형성된다. 상기 단(41)은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9)의 상단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상기 세탁축(200)이 상기 탈수축(207)에 좀 더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와 제 2 연마가공부(42)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연마가공시 요구되는 가공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연마가공부(203)의 지름(A)과 상기 제 2 연마가공부(42)의 지름(B)은 상기 제 1 ,제 2 오일리스 베어링(208, 209)의 내부 직경보다 거의 같거나 약간 크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축은 상기 탈수축에 설치된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하는 연마가공부의 지름을 다르게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세탁축을 균일하게 연마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오일리스 베어링과 접하는 염마가공부에만 연마가공을 하면 되고 상기 연마가공부를 제외한 부분은 최초의 단조가공 상태를 유지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축과 같이 탈수축 부분에 삽입되는 전체 부분을 연마가공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세탁축의 가공시간을 줄임으로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당한 정밀도를 요하는 연마가공 부분을 감소시킴으로써 경제적으로도 가공비용이 낮아져 전체적인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상부 및 하부에 내경이 다른 제1오일리스 베어링과 제2오일리스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는 탈수축과;
    상기 탈수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부에는 제1오일리스 베어링의 상단에 걸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는 제1오일리스 베어링에 접하도록 제1연마가공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오일리스 베어링에 접하도록 제2연마가공부가 형성된 세탁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축은 제1연마가공부의 직경이 제2연마가공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탈수축의 제1,2오일리스 베어링은 상기 제1,2연마가공부의 직경에 각각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세탁기의 세탁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마가공부의 하부에는 연마가공되지 않은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하부에는 제2연마가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연마가공부, 축부 및 제2연마가공부 순으로 큰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마가공부의 하부에는 연마가공되지 않은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의 하부에는 제2연마가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연마가공부, 제2연마가공부 및 축부의 순으로 큰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KR10-2000-0034185A 2000-06-21 2000-06-21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KR10037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85A KR100379425B1 (ko) 2000-06-21 2000-06-21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85A KR100379425B1 (ko) 2000-06-21 2000-06-21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913A KR20020000913A (ko) 2002-01-09
KR100379425B1 true KR100379425B1 (ko) 2003-04-10

Family

ID=1967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185A KR100379425B1 (ko) 2000-06-21 2000-06-21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4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913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318B1 (ko) 세탁기
CN1769577B (zh) 洗衣机
CN109267296B (zh) 一种全自动洗衣机清洁装置
KR100379425B1 (ko) 세탁기의 세탁축 회동장치
KR20020000914A (ko) 솔리드형 구동축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20085411A (ko) 직결식 세탁기
AU753870B2 (en) Washing machine
KR100379424B1 (ko) 세탁기용 베어링 하우징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14559945U (zh) 一种轴承加工打磨装置
SU1498851A1 (ru) Диафрагма бака центрифуги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дл герметизации свободно вращающегос вала
KR101573217B1 (ko) 세탁기
JPH03118095A (ja) 脱水洗濯機のクラッチ切換装置
KR920010397B1 (ko) 로울러를 구비한 산형회전자방식 세탁기
KR920003553Y1 (ko) 세탁기용 클러치 풀리
KR200153536Y1 (ko) 세탁기의 탈수용 밸로우즈구조
KR100188600B1 (ko) 세척기의 세척/건조에 이용되는 지그와 세척/건조방법
KR100421881B1 (ko) 드럼세탁기의 풀리
KR950001347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224577Y1 (ko) 세물 신선재의 파도선 방지 걸이
KR880000114B1 (ko) 세탁기용 교반날개
KR0125915Y1 (ko) 동력전달용 회전부품의 지지장치
KR930005470Y1 (ko) 볼베어링 일체 로울러클러치를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장치
KR20050066518A (ko) 세탁기의 회전축 지지 구조
KR20010114095A (ko) 세탁기의 클러치 어셈블리
KR200208306Y1 (ko) 와이어로드의 스케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