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416B1 - Wheel running machine - Google Patents

Wheel runn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416B1
KR100378416B1 KR10-2000-0034699A KR20000034699A KR100378416B1 KR 100378416 B1 KR100378416 B1 KR 100378416B1 KR 20000034699 A KR20000034699 A KR 20000034699A KR 100378416 B1 KR100378416 B1 KR 10037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action
reaction force
load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96435A (en
Inventor
이따니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4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반력 롤러 및 반력 롤러 구름면에 편마모 혹은 국부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력 롤러 및 반력 라이너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다.The reaction roller and the reaction roller prevent long-sided wear or local wear from occurring on the rolling surface, and thus, the life of the reaction roller and the reaction liner is extended.

반력 롤러축 (14) 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반력 롤러 (10) 를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으로 미는 잭업용 스프링 (17) 을 구비한다. 또 잭업용 스프링 (17) 은, 반력 롤러상자 (15) 를 통해 반력 롤러축 (14) 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또한 반력 롤러 상자 (15) 의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부재 (30) 에 의하여 안내하는 구조로 한다. 또한, 반력 롤러상자 (15) 의 바닥면 (15a) 을 시트부재 (18) 로 지지함으로써, 부하력의 반력에 의한 잭업용 스프링 (17) 으로의 과대한 하중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잭업용 스프링 (17) 의 휨에 의한 반력 롤러 (10) 의 과대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The jack-up spring 17 which pushes the reaction roller 10 to the reaction roller roller surface 11a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ction roller shaft 14 in the reaction roller roller surface direction is provided. The jack-up spring 17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action roller shaft 14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eaction roller roller surface direction through the reaction roller box 15, and the reaction roller roller surface direction of the reaction roller box 15 is also provided. The structure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30. 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15a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15 with the sheet member 18, an excessive load action on the jackup spring 17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force is prevented, and the jackup spring The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by the curvature of 17 is comprised.

Description

차륜하중 피로시험기{WHEEL RUNNING MACHINE}Wheel Load Fatigue Tester {WHEEL RUNNING MACHINE}

본 발명은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도로교량의 철근 콘크리트 상판 (床版) 등에 대하여 차륜하중 피로시험을 행할 경우에 적용하여 유용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load fatigue tester, and is useful when applied to a wheel load fatigue test on reinforced concrete slabs of road bridges.

도 4 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의 전체 구성도, 도 5 는 도 4 의 A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6 은 상기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구비된 종래의 반력 지지기구 (반력 롤러 기구부) 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의 E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장치 프레임은 도시생략)), 도 7 은 도 6 의 B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8 은 도 7 의 C 부 확대 단면도이다.FIG. 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heel load fatigue tester, FIG. 5 is a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4, and FIG. 6 is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reaction roller mechanism part) provided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Fig. 7 is a plan view (Fig. 7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E in Fig. 7 (apparatus frame is not shown)), Fig. 7 is a view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B in Fig. 6, and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C in Fig. 7.

도 4 및 도 5 에 나타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도로교량의 철근 콘크리트 상판 등의 내구성 및 보수 ·보강공사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교량의 사용상황과 동일하게 차륜하중으로 이동부하를 가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이동체로서의 주행유니트 (4), 주행유니트 (4) 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의 장치 프레임 (7), 및 주행유니트 (4) 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니트 (1) 를 갖는다.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shown in FIGS. 4 and 5 applies moving loads to the wheel load in the same manner as the actual use condition of the bridge in order to examine the durability, repair, and reinforcement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of road bridge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reciprocates the traveling unit 4 as a moving body, the device frame 7 a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traveling unit 4, and the traveling unit 4. It has a drive unit 1 for making it.

구동유니트 (1) 는, 전동기 혹은 유압모터인 구동원 (1a) 과, 이 구동원 (1a) 의 회전을 플라이휠 (2) 에 전달하는 커플링 (1b) 및 감속기 (1c)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플라이휠 (2) 은 커넥팅 로드 (3) 를 통해 주행유니트 (4) 에 연결되어 있다. 커넥팅 로드 (3) 의 한 끝은 플라이휠 (2)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지지축 (21) 주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커넥팅 로드 (3) 의 다른 끝은 주행유니트 (4) 의 상부 프레임 (4a) 의 측부에 지지축 (22) 주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주행유니트 (4) 는 도 4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 (7) 에 안내되어 도 4 중 좌우방향 (화살표 (D) 방향) 으로 직선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플라이휠 (2) 의 회전은, 커넥팅 로드 (3) 를 통해 주행유니트 (4) 에 전달되고, 여기서 직선적인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The drive unit 1 comprises a drive source 1a which is an electric motor or a hydraulic motor, a coupling 1b and a speed reducer 1c which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drive source 1a to the flywheel 2. The flywheel 2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4 via a connecting rod 3.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3 is freely coupled with a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support shaft 21 at the peripheral edge of the flywheel 2,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3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of the traveling unit 4 ( The rotational movement is freely coupled around the support shaft 22 on the side of 4a). On the other hand, the traveling unit 4 is guided to the apparatus frame 7 and is linearly reciproc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rrow (D) direction) in FIG. 4,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Thus, the rotation of the flywheel 2 is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unit 4 via the connecting rod 3, where it is converted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또한, 주행유니트 (4) 는 차륜 (5) 을 장비한 유니트이고, 상부 프레임 (4a) 과 하부 프레임 (4b) 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부 프레임 (4a) 의 내부에는 차륜 (5) 에 부하력을 가하는 유압식의 부하 실린더 (9) 가 장비되어 있고, 이 부하 실린더 (9) 의 피스톤 로드 (9a) 의 선단부 (하단부) 에 하부 프레임 (4b) 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 (4b) 에는 가이드축 (8) 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축 (8) 은 상부 프레임 (4a) 에 설치된 가이드부 (23) 에 상하방향으로 접동 (摺動) 이 자유롭게 삽입관통 되어있다. 따라서, 부하 실린더 (9) 의 피스톤 로드 (9a) 가 상하방향으로 스트로크하면, 하부 프레임 (4b) 은 가이드축 (8) 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인다. 차륜 (5) 은 하부 프레임 (4b) 에 지지축 (24)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 (4b) 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며, 또한 도로교량의 철근 콘크리트 상판 등의 시험체 (6) 상을 구를 수 있게 되어있다.In addition, the traveling unit 4 is a unit equipped with the wheel 5, and is divided into the upper frame 4a and the lower frame 4b. Inside the upper frame 4a, a hydraulic load cylinder 9 for applying a load force to the wheels 5 is equipped, and the lower frame (at the lower end) of the piston rod 9a of the load cylinder 9 is provided. 4b) is combined. In addition, the guide shaft 8 protrudes and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4b, and these guide shafts 8 are free to slide up and down with the guide part 23 provided in the upper frame 4a. Insertion is through. Therefore, when the piston rod 9a of the load cylinder 9 strokes up and down, the lower frame 4b is guided to the guide shaft 8 and moves up and down. The wheel 5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support shaft 24 by the lower frame 4b,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ower frame 4b, and also includes a test body 6 such as a reinforced concrete upper plate of a road bridge. ) You can roll the prize.

따라서, 이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서는, 구동유니트 (1) 에서 플라이휠 (2) 을 회전시키면, 이 플라이휠 (2) 의 회전이 주행유니트 (4) 에 전달되어 주행유니트 (4) 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차륜 (5) 이 시험체 (6) 상에서 동 방향으로 구른다. 그리고 이때 유압으로 부하 실린더 (9) 를 스트로크 (피스톤 로드 (9a) 를 하방으로 신장) 시키면, 그 부하력이 차륜 (5) 을 통해 시험체 (6) 로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시험체 (6) 에 차륜하중으로 이동부하가 가해져, 시험체 (6) 의 피로시험이 실시된다.Therefore, in this wheel load fatigue tester, when the flywheel 2 is rotated in the drive unit 1, the rotation of the flywheel 2 is transmitted to the travel unit 4 so that the travel unit 4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The wheels 5 are rolled in the same direction on the test piece 6. When the load cylinder 9 is stroked (expand the piston rod 9a downward) at this time, the load force is transmitted to the test body 6 via the wheels 5. In this way, the moving load is applied to the test body 6 by the wheel load, and the fatigue test of the test body 6 is performed.

한편, 상기 시험시에 시험체 (6) 에 가해진 부하력의 반력은, 상부 프레임 (4a) 의 상부에 장비된 반력 롤러 (10) 를 통해 장치 프레임 (7) 으로 전달되도록 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프레임 (7) 에는 반력 라이너 (11) 가 교환이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고, 이 반력 라이너 (11) 의 표면 (하면) (11a) 이 반력 롤러 (10) 의 구름면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시험시에는, 반력 롤러 (10) 가 상기 부하력의 반력에 의하여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으로 밀린 상태에서 동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상을 구른다. 이렇게 하여, 상기 부하력의 반력이, 반력 롤러 (10) 를 통해 장치 프레임 (7) 으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force applied to the test body 6 at the time of the said test is transmitted to the apparatus frame 7 via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equipped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4a. Specifically, the reaction frame liner 11 is equipped with the apparatus frame 7 so that replacement is possible, and the surface (lower surface) 11a of this reaction liner 11 becomes the rolling surface of the reaction roller 10. .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said test, the reaction reaction roller 10 rolls on the reaction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11a in the state in which the reaction roller 10 was pushed to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11a by reaction force of the said load force. In this way, the reaction force of the said load force is transmitted to the apparatus frame 7 via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그리고, 이 반력 지지기구에서의 종래의 반력 롤러 기구부의 구성은 도 6 ∼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있다. 즉,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력 롤러 (10) 는 상부 프레임 (4a) 의 이동방향 (화살표 (D) 방향) 의 양측에 각각 2 륜씩 합계 4 륜 장비되어 있고, 또한 모두 상부 프레임 (4a) 에 고정된 반력 롤러축 (14) 에 베어링 (25) 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And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reaction force roller mechanism part in this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is as showing in FIGS. That is,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is equipped with four wheels a total of two wheels each on both sides of the movement direction (arrow D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4a, and all of the upper frame 4a Rotation is freely supported by the bearing 25 to the reaction force roller shaft 14 fixed to it.

그리고, 상부 프레임 (4a) 의 상부에는 지지 롤러 (12) 와 가이드 롤러 (13) 도 설치되어 있다. 지지 롤러 (12) 는 수평인 지지축 (26)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장치 프레임 (7) 의 상면 (7a) 에 걸어 멈추어, 이 상면 (7a) 상을 구를 수 있게 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 (13) 는 수직인 지지축 (27)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장치 프레임 (7) 의 측면 (7b) 에 맞닿아, 이 측면 (7b) 상을 구를 수 있게 되어있다. 따라서, 시험체 (6) 에 부하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행유니트 (4) 는 장치 프레임 (7) 에 지지 롤러 (12) 를 통하여 매달린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주행 유니트 (4) 가 왕복이동할 때에는, 가이드 롤러 (13) 에 의하여 주행유니트 (4) 의 가로이동이 규제된다.And the support roller 12 and the guide roller 13 are also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4a. The support roller 12 is freely rotated around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26, and hangs on the upper surface 7a of the apparatus frame 7 so as to be able to roll the upper surface 7a. The guide roller 13 is freely rotatable around the vertical support shaft 27, and abuts against the side surface 7b of the apparatus frame 7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side surface 7b. Therefore, when the load force is not applied to the test body 6, the running unit 4 is supported by the apparatus frame 7 in the state suspended by the support roller 1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the traveling unit 4 reciprocat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raveling unit 4 is restricted by the guide roller 13.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반력 지지기구에서는, 반력 롤러 (10) 가 상부 프레임 (4a) 에 고정된 반력 롤러축 (14) 을 통해 상부 프레임 (4a) 에 부착된 4 륜 고정식 구조이기 때문에, 각각의 반력 롤러 (10) 에는 자유도가 없다. 따라서 각각의 반력 롤러 (10) 에 대한 미는 힘의 불균형 및 반력 롤러 (10) 의 편접촉 현상에 의하여, 반력 롤러 (10) 의 반력 라이너 (11) (반력 롤러 구름면 (11a)) 로의 접촉이 불균일해진다. 또한, 주행유니트 (4) 의 이동단에서는 주행유니트 (4) 로의 커넥팅 로드 (3) 에서의 작용력 변화에 수반하는 하중변동에 의하여 부상 현상이 생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action force supporting mechanism, since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is a four-wheel fixed structure attached to the upper frame 4a via the reaction force roller shaft 14 fixed to the upper frame 4a, each reaction force The roller 10 has no degrees of freedom. Therefore, the contact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to the reaction force liner 11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11a) is caused by the unbalance of the pushing force with respect to each reaction force roller 10 and the one-sided contact phenomenon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Becomes uneven. In addition, in the moving end of the traveling unit 4, the floating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load variation accompanying the change in the action force of the connecting rod 3 to the traveling unit 4.

이때문에, 반력 롤러 (10) 및 반력 라이너 (11)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에 편마모 혹은 국부마모가 생기고, 이것이 반력 롤러 (10) 및 반력 라이너 (11) 의 수명을 제약하여 이들의 조기교환이 필요하였다.For this reason, partial wear or local wear occurs in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and the reaction force liner 11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11a), which limits the life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and the reaction force liner 11, Early exchange was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반력 롤러 및 반력 롤러 구름면에 편마모 혹은 국부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력 롤러 및 반력 라이너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반력 지지기구를 구비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he wheel load having a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partial wear or local wear on the reaction roller and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to achieve a long life of the reaction roller and the reaction liner The task is to provide a fatigue teste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서의 반력 지지기구 (반력 롤러 기구부) 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reaction roller mechanism part)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 는 도 1 의 F-F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in FIG. 1;

도 3a 는 도 1 의 H 부 확대 단면도, 도 3b 는 도 2 의 I 부 확대 단면도,3A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portion H of FIG. 1, and FIG. 3B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portion I of FIG. 2;

도 4 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의 전체 구성도,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heel load fatigue tester,

도 5 는 도 4 의 A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5 is a view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A of FIG.

도 6 은 상기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구비한 종래의 반력 지지기구 (반력 롤러 기구부) 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reaction roller mechanism portion) provided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도 7 은 도 6 의 B 방향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FIG. 7 is a view seen from a direction B of FIG. 6;

도 8 은 도 7 의 C 부 확대 단면도.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C of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구동유니트1: drive unit

1a: 구동원 (전동기(電動機) 혹은 유압모터)1a: drive source (electric motor or hydraulic motor)

1b: 커플링 1c: 감속기1b: coupling 1c: reducer

2: 플라이휠 3: 커넥팅 로드2: flywheel 3: connecting rod

4: 주행유니트 4a: 상부 프레임4: drive unit 4a: upper frame

4a-1: 상부 프레임의 일부 4b: 하부 프레임4a-1: part of the upper frame 4b: lower frame

5: 차륜 6: 시험체5: wheel 6: test body

7: 장치 프레임 7a: 장치 프레임의 상면7: Device frame 7a: Top of the device frame

7b: 장치 프레임의 측면 8: 가이드축7b: Side 8: Guide shaft of device frame

9: 부하실린더 9a: 피스톤 로드9: bushing cylinder 9a: piston rod

10: 반력 롤러 11: 반력 라이너10: Reaction Roller 11: Reaction Liner

11a: 반력 롤러 구름면 12: 지지 롤러11a: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12: support roller

13: 가이드 롤러 14: 반력 롤러축13: guide roller 14: reaction roller shaft

15: 반력 롤러상자 15a: 반력 롤러상자의 바닥면15: reaction roller box 15a: bottom surface of reaction roller box

15b: 반력 롤러상자의 측면 16: 가이드 라이너15b: Side 16: Guide liner on reaction roller box

17: 잭업용 스프링 18: 시트부재17: Jack up spring 18: Seat member

21, 22, 24, 26, 27: 지지축 25: 베어링21, 22, 24, 26, 27: support shaft 25: bearing

30: 가이드 부재30: guide member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제 1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이동체에 설치한 차륜을 통해 시험체에 차륜하중으로 이동부하를 가함으로써, 상기 시험체의 피로시험을 행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로서, 상기 시험체에 가해지는 부하력의 반력을 상기 이동체에 설치한 복수의 반력 롤러를 통하여, 동 반력 롤러의 구름면을 갖는 지지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반력 지지기구를 구비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력 롤러에 대하여 각각,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반력 롤러를 반력 롤러 구름면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first invention which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 wheel load fatigue tester which performs a fatigue test of the test body by applying a moving load to the test body by the wheel load through a wheel provided on the moving body. A wheel load fatigue tester having a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configured to transmit a reaction force of a load load to a support member having a rolling surface of the reaction reaction roller through a plurality of reaction rollers installed on the moving body. Each of the reaction rollers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which pushes the reaction roller onto the reaction roller roller surface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ction roller shaft in the reaction roller roller surface direction.

또한, 제 2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제 1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상자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는 이 반력 롤러상자를 통해 상기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지지에 의한 상기 반력 롤러상자의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안내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second invention,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first invention, by supporting the reaction roller shaft with a reaction roller box,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reaction roller box to the reaction roller shaft through the reaction roller box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olling surface direction, and further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in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direction by the guide member by the elastic support of the elastic member.

또한, 제 3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제 2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반력 롤러상자의 바닥면을 시트부재로 지지함으로써, 부하력의 반력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로의 과대한 하중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휨에 의한 반력 롤러의 과대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third invention,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second invention, b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with a sheet member, excessive load to the elastic member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for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load action, and to control the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reaction roller by the bending of the elastic member.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서의 반력 지지기구에 대하여 상술하고, 차륜하중피로시험기의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Here, the reaction force supporting mechanism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of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서의 반력 지지기구 (반력 롤러 기구부) 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의 G-G 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F-F 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3a 는 도 1 의 H 부 확대 단면도 (도 3b 의 J-J 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3b 는 도 2 의 I 부 확대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reaction roller mechanism part)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sectional drawing se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GG line of FIG. 2), FIG. 3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 in FIG. 1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JJ in FIG. 3B), and FIG. 3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 in FIG. 2.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유니트 (4) 의 상부 프레임 (4a) 에는, 상부 프레임 (4a) 의 이동방향 (화살표 (D) 방향) 의 양측에 각각 2 륜씩 합계 4 륜 장비된 반력 롤러 (10), 이들의 반력 롤러 (10) 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반력 롤러축 (14), 이들의 반력 롤러축 (14) 을 지지하는 반력 롤러상자 (15), 이들의 반력 롤러상자 (15) 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잭업용 스프링 (17), 반력 롤러상자 (15) 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30), 및 반력 롤러상자 (15) 의 바닥면 (15a) 을 지지하는 시트부재 (18) 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 reaction force roller (4 wheels) is provided in the upper frame 4a of the traveling unit 4 in total by two wheels on both sides of the moving direction (arrow D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4a. 10) a reaction roller shaft 14 for supporting these reaction rollers 10 freely in rotation, a reaction roller box 15 for supporting these reaction roller shafts 14, and a reaction roller box 15 for these Jack-up spring 17 for elastically supporting upward, guide member 30 for guiding reaction roller box 15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heet member 18 for supporting bottom surface 15a of reaction roller box 15. ) Is provided.

반력 롤러축 (14) 은, 그 축방향이 주행유니트 이동방향 (화살표 (D) 방향) 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양단부가 반력 롤러상자 (15) 에 고정되어 있다. 반력 롤러 (10) 는 각각의 반력 롤러축 (14) 에 베어링 (25) 를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The reaction force roller shaft 14 has its axial direction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travel unit movement direction (arrow (D) direct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reaction force roller case 15. The reaction roller 1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earing 25 to each reaction roller shaft 14.

잭업용 스프링 (17) 은, 반력 롤러상자 (15) 의 바닥면 (15a) 과 상부 프레임 (4a) 의 일부 (4a-1) 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도 3b 참조), 상기 바닥면 (15a) 의 네모퉁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참조). 이들의 잭업용 스프링 (17) 은, 반력 롤러상자 (15) 를 통해 반력 롤러축 (14) 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반력 롤러 (10) 를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으로 민다. 그리고, 이 때의 잭업용 스프링 (17) 에서의 작용력 (스프링력) 은 지지 롤러 (12) 로 받는다.The jack-up spring 17 is sandwiched between the bottom face 15a of the reaction roller box 15 and a part 4a-1 of the upper frame 4a (see FIG. 3B), and the bottom face 15a is provided. ) Is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see FIG. 1). These jack-up springs 17 push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to the reaction force roller rolling surface 11a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ction force roller shaft 14 in the direction of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via the reaction roller box 15. . Then, the action force (spring force) in the jack-up spring 17 at this time is received by the support roller 12.

또한, 시트부재 (18) 는 반력 롤러 상자 (15) 의 바닥면 (15a) 과 상부 프레임 (4a) 의 일부 (4a-1) 와의 사이에 끼워 설치되고, 잭업용 스프링 (17) 과 간섭이 없는 적정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이 시트부재 (18) 에 의하여 부하력의 반력에 의한 잭업용 스프링 (17) 으로의 과대한 하중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잭업용 스프링 (17) 의 휨에 의한 반력 롤러 (10) 의 과대변위를 제어하도록 되어있다.In addition, the sheet member 18 is fit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15a of the reaction roller box 15 and the part 4a-1 of the upper frame 4a, and is provided with no interference with the jack-up spring 17.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Usually, the sheet member 18 prevents an excessive load action on the jack-up spring 17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force, and also prevents the reaction roller 10 from bending by the jack-up spring 17. It is supposed to control overdisplacement.

가이드부재 (30) 는 평면도로 보면 コ 형 부재이며, 그 내측면에는 가이드 라이너 (16)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재 (30) 에 반력 롤러상자 (15) 의 측면 (15b) 이 끼워 맞춰져 있고, 반력 롤러상자 (15) 의 측면 (15b) 과 가이드 라이너 (16) 가 접동이 자유롭게 접하고 있다. 즉, 반력 롤러상자 (15) 는, 가이드부재 (30) 에 의하여, 주행유니트 이동방향 및 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도 3b 에 화살표 (K) 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안내된다.The guide member 30 is a co-shaped member in plan view, and a guide liner 16 is provided on its inn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15b of the reaction roller box 15 is fitted with this guide member 30, and the side surface 15b of the reaction roller box 15 and the guide liner 16 contact | connect freely. That is,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15 is restricted by the guide member 30 in the traveling unit mov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ame direction, and the reaction force roller rolling as shown by the arrow K in FIG. 3B. Guided in the plane direction.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following action and effects can be acquired.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란 및 도 4, 5 를 참조), 유압으로 부하 실린더 (9) 를 스트로크시킴으로써, 그 부하력을 차륜 (5) 을 통해 시험체 (6) 에 전달하여 시험체 (6) 에 차륜하중으로 이동부하를 가하면, 이때의 부하력의 반력에 의하여 반력 롤러 (10) 가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으로 밀린다. 이 때, 상부 프레임 (4a) 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에 설치된 좌우의 반력 롤러 (10) 에는 반력하중의 불균형화 혹은 주행유니트 (4) 의 이동단에서의 주행유니트 (4) 에 작용하는 커넥팅 로드 (3) 로부터의 작용력 변화에 따른 하중변동에 의한 부상 현상이 발생하려고 한다.As described above (see the prior art column and FIGS. 4 and 5), the load cylinder 9 is hydraulically stroked to transmit the load force to the test body 6 via the wheels 5 to the test body 6. When the moving load is applied to the wheel load,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is pushed to the reaction force roller rolling surface 11a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force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reaction force rollers 10 provided on one end side or the other end side of the upper frame 4a have an unbalanced reaction load or a connecting rod acting on the traveling unit 4 at the moving end of the traveling unit 4. The floating phenomenon due to the load change due to the change of the action force from (3) is about to occur.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4 륜의 반력 롤러 (10) 에 대하여 각각, 반력 롤러축 (14) 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반력 롤러 (10) 를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으로 미는 잭업용 스프링 (17) 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반력 롤러 (10) 가 독립적으로 잭업용 스프링 (17) 에 의하여 밀어올려져 (탄성지지되어)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반력 롤러 (10) 도 항상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으로 확실하게 밀린다. 그리하여, 반력 롤러 (10) 및 반력 라이너 (11)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에 편마모 혹은 국부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들의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is supported by the reaction force roller rolling surface 11a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ction force roller shaft 14 with respect to the four-wheel reaction force roller 10, respectively, in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direction. By providing the jack-up springs 17 to be pushed to each other, since each reaction force roller 10 is independently pushed up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jack-up springs 17, any reaction force roller 10 can be moved. Is always reliably pushed against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11a. Thus, occurrence of partial wear or local wear can be prevented on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and the reaction force liner 11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11a), and the exchange frequency thereof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력 롤러축 (14) 을 반력 롤러 상자 (15) 로 지지함으로써, 잭업용 스프링 (17) 은 이 반력 롤러 상자 (15) 를 통해 반력 롤러축 (14) 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또한 잭업용 스프링 (17) 의 탄성지지에 의한 반력 롤러 상자 (15) 의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부재 (30) 에 의하여 안내하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반력 롤러 (10) 를 더욱 확실히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력 롤러 구름면 (11a) 으로 밀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y supporting the reaction roller shaft 14 by the reaction roller box 15, the spring 17 for jack up makes the reaction roller roller 14 move the reaction roller roller 14 through this reaction roller box 15. The structure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plane dir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reaction roller box 15 in the direction of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by the elastic support of the jack-up spring 17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30. Therefore,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can be moved to the reaction force roller rolling surface direction more reliably, and can be pushed to the reaction force roller rolling surface 11a.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력 롤러 상자 (15) 의 바닥면을 시트부재 (18) 로 지지함으로써, 부하력의 반력에 의한 잭업용 스프링 (17) 으로의 과대한 하중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잭업용 스프링 (17) 의 휨에 의한 반력 롤러 (10) 의 과대변위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ction roller box 15 with the sheet member 18, the excessive load action to the jack-up spring 17 by the reaction force of a load force is prevented, and also a jack The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10 due to the bending of the up spring 17 can be controlled.

이상, 발명의 실시형태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이동체에 설치한 차륜을 통해 시험체에 차륜하중으로 이동부하를 가함으로써 상기 시험체의 피로시험을 행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로서, 상기 시험체에 가하는 부하력의 반력을, 상기 이동체에 설치한 복수의 반력 롤러를 통해, 동 반력 롤러의 구름면을 갖는 지지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반력 지지기구를 구비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A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has a wheel load for performing a fatigue test of the test body by applying a moving load as a wheel load to the test body through a wheel provided on the moving body. As a fatigue tester, a wheel load provided with a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configured to transmit a reaction force of a load force applied to the test body to a support member having a rolling surface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through a plurality of reaction rollers provided on the movable body. In the fatigue tester,

상기 복수의 반력 롤러에 대하여 각각,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반력 롤러를 반력 롤러 구름면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reaction rollers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pushing the reaction roller to the reaction roller roller surface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ction roller shaft in the reaction roller roller surface direction.

따라서, 이 제 1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의하면, 각각의 반력 롤러가 독립적으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반력 롤러도 항상 반력 롤러 구름면으로 확실히 밀린다. 그리하여, 반력 롤러 및 반력 롤러 구름면 (반력 라이너 등) 에 편마모 혹은 국부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들의 교환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since each reaction force roller is independent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and is movable, any reaction force roller is always reliably pushed to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Thus, occurrence of partial wear or local wear on the reaction roller and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reaction liner, etc.) can be prevented, and the exchange frequency thereof can be reduced.

또한, 제 2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제 1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 상자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는 이 반력 롤러상자를 통해 상기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지지에 의한 상기 반력 롤러 상자의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안내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second invention,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first invention, by supporting the reaction roller shaft with a reaction roller box,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reaction roller box to the reaction roller shaft through the reaction roller box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olling surface direction, and further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in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direction by the elastic support of the elastic member by the guide member.

따라서, 이 제 2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에 의한 반력 롤러상자의 안내에 의하여, 반력 롤러를 더욱 확실하게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력 롤러 구름면으로 밀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second invention, the reaction force roller can be moved more reliably in the reaction force roller rolling direction by the guide member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by the guide member, and can be pushed to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또한, 제 3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는, 제 2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 상기 반력 롤러 상자의 바닥면을 시트부재로 지지함으로써, 부하력의 반력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로의 과대한 하중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휨에 의한 반력 롤러의 과대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third invention, in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second invention, b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with a sheet member, excessive load to the elastic member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for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load action, and to control the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reaction roller by the bending of the elastic member.

따라서, 이 제 3 발명의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의하면, 시트부재에 의하여, 부하력의 반력에 의한 탄성부재로의 과대한 하중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탄성부재의 휨에 의한 반력 롤러의 과대변위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wheel load fatigue tester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member prevents the excessive load action from the load force to the elastic member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and the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due to the bending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controlled.

Claims (3)

이동체에 설치한 차륜을 통해 시험체에 차륜하중으로 이동부하를 가함으로써, 상기 시험체의 피로시험을 실시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로서, 상기 시험체에 가해지는 부하력의 반력을, 상기 이동체에 설치한 복수의 반력 롤러를 통해, 동 반력 롤러의 구름면을 갖는 지지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반력 지지기구를 구비한 차륜하중 피로시험기에 있어서,A wheel load fatigue tester which performs a fatigue test of the test body by applying a moving load to the test body by a wheel load through a wheel provided on the moving body, wherein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force applied to the test body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moving bodies. In a wheel load fatigue tester having a reaction force support mechanism configured to transmit through a reaction force roller to a support member having a rolling surface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상기 복수의 반력 롤러에 대하여 각각,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반력 롤러를 반력 롤러 구름면으로 미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And a resilient member that pushes the reaction roller to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ction roller shaft in the reaction roller roll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reaction roller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상자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는 이 반력 롤러상자를 통해 상기 반력 롤러축을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지지에 의한 상기 반력롤러 상자의 반력 롤러 구름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안내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The elastic memb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action force roller shaf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reaction force roller rolling direction through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an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Wheel loading fatigue t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member to guide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reaction roller rolling surface of the reaction roller box by the support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 롤러상자의 바닥면을 시트부재로 지지함으로써, 부하력의 반력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로의 과대한 하중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휨에 의한 반력 롤러의 과대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하중 피로시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ction force roller box is supported by a sheet member, thereby preventing an excessive load action on the elastic member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load force, and the reaction force roller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elastic member. Wheel load fatigue test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trol the excessive displacement.
KR10-2000-0034699A 2000-04-05 2000-06-23 Wheel running machine KR1003784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3223A JP2001289762A (en) 2000-04-05 2000-04-05 Wheel load fatigue testing machine
JP2000-103223 2000-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35A KR20010096435A (en) 2001-11-07
KR100378416B1 true KR100378416B1 (en) 2003-03-29

Family

ID=1861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699A KR100378416B1 (en) 2000-04-05 2000-06-23 Wheel runn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89762A (en)
KR (1) KR1003784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2916B (en) * 2011-04-25 2013-06-05 山东省交通科学研究所 Method for testing fatigue damage of inorganic binding material stabilizing material
ITBS20120019A1 (en) * 2012-02-13 2013-08-14 Effe Engineering S R L 2 FATIGUE TEST BENCH FOR ARTICLES
CN102607834B (en) * 2012-03-02 2014-05-07 武汉理工大学 Fatigue testing device capable of synchronously loading loads in three directions for structural test piece
CN111537249B (en) * 2020-06-09 2022-09-27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Elastic wheel fatigue test method and te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35A (en) 2001-11-07
JP2001289762A (en) 200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5990B (en) Lift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KR100378416B1 (en) Wheel running machine
KR870008634A (en) Work Roll Shifting Rolling Mill
KR100373893B1 (en) Wheel running machine
CN101712447A (en) Three-dimensional vehicle
CN202704905U (en) Bucket-type hoister and concrete mixing plant containing same
CN2923194Y (en) Roller-changing clamp device of wide-thick plate cold straightening machine
JP5130343B2 (en) Branching device
JP7365186B2 (en) wheel shaft lifting device
CN215883203U (en) Open running gear and portable platform that turns over board
KR20040032388A (en) Apparatus for testing roller
JPH07151137A (en) Cantilever supportable roller
CN105127251B (en) A kind of bender and its operation method
US5558018A (en) Support frame for nip rollers
CN111074792A (en) Large-span bridge fabrication machine and sliding device thereof
KR101909728B1 (en) Apparatus for accending and descending
EP2617621A1 (en) Step apparatus for vehicle
CN209849785U (en) Forging hydraulic hammer guiding device
CN109556889A (en) A kind of vertical bearing wheels testing stand
CN214560938U (en) Robot with behavior decision control system
CN103205960A (en) Dynamic compactor and oriented lifting mechanism
CN214464231U (en) Concrete plastering device
KR20190132741A (en) Skid apparatus for a floating structure
CN217672913U (en) Crawler traveling device, crawler chassis and engineering machinery
JP3691712B2 (en) Openable roof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