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867B1 - 엠피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엠피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엠피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엠피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867B1
KR100377867B1 KR10-2001-0016177A KR20010016177A KR100377867B1 KR 100377867 B1 KR100377867 B1 KR 100377867B1 KR 20010016177 A KR20010016177 A KR 20010016177A KR 100377867 B1 KR100377867 B1 KR 10037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wireless transmission
wireless
control program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383A (ko
Inventor
이용안
이래춘
Original Assignee
(주)안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세기술 filed Critical (주)안세기술
Priority to KR10-2001-001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8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06Arrangements for sorting, selecting, merging, or comparing data on individual record carriers
    • G06F7/10Selecting, i.e. obtaining data of one kind from those record carriers which are identifiable by data of a second kind from a mass of ordered or randomly- distribut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3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 G11B20/0015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involving a passwo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59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control step which is implemented as an executable file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선택된 MP3 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파일 타입을 지정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하고 수신된 이 MP3 파일을 지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으로 반복 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운영자가 운영 체계 하에서 운영되는 자신의 PC에 내장된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 및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와,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필요한 MP3파일들을 선택한 후 MP3파일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들 개별 MP3 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을 파라미터로서 첨가해주고 저장 처리하는 가공된 MP3 파일과,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에 내장된 유선이나 무선 통신 방식의 선택, 전송 속도의 선택, 출력포트의 선택 등의 조건에 따라 가공된 MP3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 송, 수신부 및 유선 송, 수신부로 구성된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부와; 제어 프로그램과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된 MP3 파일이 저장되고 이 파일은 제어 프로그램이 정한 바에 따라 다시 가공되어 D/A변환기를 거쳐 생성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전송 장치 접속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FM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송부로 구성된 MP3 파일 재생 전송부와; 무선 전송부와 같은 변조 방식과 주파수를 동기 시켜 송신된 내용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엠피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엠피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A low powe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using wire/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iving of MP3file and wireless transmission of MP3file}
본 발명은 MP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MP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3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상에서 이용되는 가장 널리 쓰이는 오디오 압축 방식으로 오디오 파일을 12분의 1까지 거의 손실 없이 압축해주고 훌륭한 원음재생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가 MP3 기능을 지원하여 인코딩과 디코딩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MP3 파일을 이용한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는 그동안 없었고 단지 컴퓨터를 이용한 MP3 파일의 인코딩과 휴대형 재생 장치(플레이어)를 이용한 단순한 디코딩이 개인의 취미생활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그 동안의 MP3 파일 기록방식은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의 정보를 매 MP3 파일마다 첨가하여 저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동안의 MP3 파일 재생 방식은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의 정보를 읽어 원하는 재생형태로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특정 MP3파일 재생장치를 구별할 수 있는 확인기능이 없어서 특수한 용도를 위해 저장된 정보를 비인가자로 부터의 삭제,변경, 추가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선택된 MP3 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을 지정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전송하고 수신된 이 MP3 파일을 지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으로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를 구현하여 MP3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의 파라미터를 추가로 첨부해 MP3 파일 재생 시 활용 능력을 제고하고, MP3파일을 재생하는 장치에 인가자 만이 MP3 파일을 추가, 변경,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영자가 운영 체계하에서 운영되는 자신의 PC에 내장된 MP3파일 제어 프로그램 및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와,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필요한 MP3 파일들을 선택한 후 MP3 파일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들 개별 MP3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을 파라미터로서 첨가해주고, 별도의 가공된 MP3 파일로 저장하는 가공된 MP3 파일 저장부와, 이 가공, 저장된 MP3파일을 MP3파일 제어 프로그램에 내장된 유선이나 무선 통신 방식의 선택, 전송 속도의 선택, 출력포트의 선택 등의 조건에 따라 가공된 MP3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 송, 수신부 및 유선 송, 수신부로 구성된 MP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부와; 제어 프로그램과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된 MP3 파일이 저장되고 이 파일은 제어 프로그램이 정한 바에 따라 다시 가공되어 D/A 변환기를 거쳐 생성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전송 장치 접속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FM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송부와; 무선 전송부와 동일한 변조 방식과 주파수를 동기 시켜 송신된 내용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운영자 20 : 운영 체계
30 :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 40 :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
50 : MP3 파일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 55 : 가공된 MP3 파일 저장부
60 : 무선 송, 수신부 70 : 유선 송, 수신부
80 : 제어 프로그램 90 : 운영 프로그램
100 : 가공된 MP3 파일 110 : D/A 변환기
120 : 무선 전송 장치 접속부 200 : MP3 파일 재생 송신부
250 : MP3 파일 유/무선 송, 수신부 300 : 무선 수신부
도 1은 MP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의 구성도로서 운영자(10)가 운영 체계(20)하에서 운영되는 자신의 PC에 내장된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30) 및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40)와,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필요한 MP3 파일들을 선택한 후 MP3 파일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50)을 이용하여 이들 개별 MP3 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을 파라미터로서 첨가해주고 별도의 가공된 MP3파일로 저장 처리하는 가공된 MP3 파일 저장부(55)와,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30)에 내장된 유선이나 무선통신방식의 선택, 전송 속도의 선택, 출력 포트의 선택 등의 조건에 따라 가공, 저장된 MP3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60) 및 유선송수신부(70)로 구성된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부(250)와; 제어 프로그램(80)과 운영프로그램(90)에 따라 가공된 MP3 파일(100)이 저장되고, 이 파일은 제어프로그램(80)이 정한 바에 따라 다시 가공되어 D/A 변환기(110)를 거쳐 생성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전송 장치 접속부(120)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FM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송부(130)로 구성된 MP3파일 재생 전송부(200)와; 무선 전송부(130)와 같은 변조 방식과 주파수를 동기 시켜 송신된 내용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3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운영자(10)가 운영 체계(20)하에서 운영되는 자신의 PC에 내장된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30)을 기동하여 미리 준비되어 있는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필요한 MP3 파일들을 선택한 후 MP3 파일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50)을 이용하여 이들 개별 MP3 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시간, 파일타입 등을 파라미터로서 첨가해주고 별도의 가공된 MP3 파일 저장부(55)에서 저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가공 저장된 MP3 파일 저장부(55)의 MP3 파일은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30)에 내장된 유선이나 무선 통신 방식의 선택, 전송 속도의 선택, 출력포트의 선택 등의 조건에 따라 무선 송, 수신부(60)나 유선 송, 수신부(70)를 거쳐 전송된다. 제어 프로그램(80)과 운영 프로그램(90)에 따라 가공된 MP3 파일(100)이 저장되고 이 파일은 제어 프로그램(80)이 정한 바에 따라 다시 가공되어 D/A변환기(110)에 의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무선 전송 장치 접속부(120)로 전달된다.
무선 전송 장치 접속부(120)에 전달된 오디오 신호는 무선 전송부(130)를 거쳐 FM방식으로 송신된다.
이 후에는 제어 프로그램(80)이 가공된 MP3 파일(100)이 갖고있는 파라미터대로 반복 재생하게 된다.
무선 수신부(300)에서는 무선 전송부(130)와 같은 변조 방식과 주파수를 동기 시켜 송신된 내용을 수신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의 흐름도로서 도1의 구성도를 기반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MP3파일 제어프로그램을 기동하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1), 인가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 인가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3회까지 기회를 주는 단계(S3), 인가된 사용자의 경우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S4),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의 MP3 파일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S5), 가공된 MP3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6), MP3 파일 재생 송신부의 ID를 입력하는 단계(S7), 입력된 MP3 파일 재생 송신부의 ID가 인가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S8), 인가된 MP3 파일 재생 모듈부인 경우 MP3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S10), 수신된 MP3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1), 파라미터에 따른 MP3 파일 재생단계(S12), FM변조 단계(S13), 변조 신호 증폭 송출 단계(S14)로 수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MP3 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의 파라미터를 부가하여 이들 파라미터를 재생 시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MP3 파일 재생 장치에 인가용 ID확인 기능을 넣어 비인가로부터의 메시지삭제, 변경, 입력을 막는데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MP3 음악 파일 뿐 만이 아니고 MP3파일로 된 음성 파일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종 음악, 음성, 정보의 방송 장치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을 구현하는데 있어 MP3 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시간, 파일타입 등의 파라미터를 추가로 첨부해 MP3 파일 재생 시 활용 능력을 제고하고, MP3 파일을 재생하는 장치에 인가자 만이 MP3 파일을 추가, 변경,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특히, 특정 장소(관공서, 음식점, 유적지 등)나 위치에 MP3 파일 유/무선 송, 수신 장치를 통한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를 설치하여 그 특정 장소에 위치한 국내외 여행객이 소지한 무선 수신기를 통하여 가공된 MP3 파일의 내용(인사말, 특정 소개문, 현 위치 등 국내, 외 언어)을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여행객의 편의성 제공은 물론 특정장소의 광고 효과를 높여 관광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Claims (2)

  1. 운영자(10)가 운영 체계(20)하에서 운영되는 자신의 PC에 내장된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30) 및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40)와, MP3 파일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필요한 MP3 파일들을 선택한 후 MP3 파일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램(50)을 이용하여 이들 개별 MP3 파일에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을 파라미터로서 첨가해주고 별도의 가공된 MP3 파일로 저장 처리하는 가공된 MP3 파일 저장부(55)와,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30)에 내장된 유선이나 무선 통신 방식의 선택, 전송 속도의 선택, 출력 포트의 선택 등의 조건에 따라 가공, 저장된 MP3 파일 저장부(55)의 MP3 파일을 전송하는 무선 송, 수신부(60) 및 유선 송, 수신부(70)로 구성된 MP3 파일의 유/무선 송수신부(250)와; 제어 프로그램(80)과 운영 프로그램(90)에 따라 가공된 MP3 파일(100)이 저장되고 이 파일이 제어프로그램(80)이 정한 바에 따라 다시 가공되어 D/A 변환기(110)를 거쳐 생성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 전송 장치 접속부(120)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FM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전송부(130)로 구성된 MP3 파일 재생 전송부(200)와; 무선 전송부(130)와 같은 변조 방식과 주파수를 동기시켜 송신된 내용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3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MP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2. 사용자가 MP3 파일 제어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사용자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1)와, 인가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 및 인가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3회까지 기회를 주는 단계(S3)와, 인가된 사용자의 경우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S4)와, 메시지 번호, 반복 횟수, 재생 시간, 종료 시간 및 파일 타입 등의 MP3 파일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S5)와, 가공된 MP3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6)와, MP3 파일 재생 송신부의 ID를 입력하는 단계(S7)와, 입력된 MP3 파일 재생 송신부의 ID가 인가된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S8)와, 인가된 MP3 파일 재생 모듈부인 경우 MP3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S10)와, 수신된 MP3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1)와, 파라미터에 따른 MP3 파일 재생 단계(S12)와, FM변조 단계(S13) 및 변조 신호 증폭 송출 단계(S1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MP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
KR10-2001-0016177A 2001-03-28 2001-03-28 엠피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엠피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 KR10037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177A KR100377867B1 (ko) 2001-03-28 2001-03-28 엠피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엠피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177A KR100377867B1 (ko) 2001-03-28 2001-03-28 엠피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엠피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383A KR20020076383A (ko) 2002-10-11
KR100377867B1 true KR100377867B1 (ko) 2003-03-29

Family

ID=2769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177A KR100377867B1 (ko) 2001-03-28 2001-03-28 엠피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엠피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8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359A (ja) * 1998-03-26 1999-10-15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KR20000012313A (ko) * 1999-11-24 2000-03-06 이상훈 휴대형 오디오 기기의 에프엠 송출기능
KR20000059925A (ko) * 1999-03-10 2000-10-16 배용국 음악파일의 전송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10504A (ko) * 1999-07-21 2001-02-15 손국일 문자 또는 그래픽 정보와 동기화된 엠피3 플레이어용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의 생성 및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359A (ja) * 1998-03-26 1999-10-15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KR20000059925A (ko) * 1999-03-10 2000-10-16 배용국 음악파일의 전송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10504A (ko) * 1999-07-21 2001-02-15 손국일 문자 또는 그래픽 정보와 동기화된 엠피3 플레이어용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의 생성 및 재생 방법
KR20000012313A (ko) * 1999-11-24 2000-03-06 이상훈 휴대형 오디오 기기의 에프엠 송출기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383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1874A (en) Messaging terminal with voice notification
US8073898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6658247B1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and data receiving method therewith
EP2025130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ublishing, sharing and accessing media files
JP2006317972A (ja) オーディオデータ編集方法とこれを適用した記録媒体及びデジタル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
KR20080038946A (ko) 휴대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679314A (zh) 超越勿扰模式的设备和方法
KR20100014821A (ko) 음악 인식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6700049B2 (en) Music data providing apparatus, music data receiving apparatus, music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usic data providing method
JP5674629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KR200438425Y1 (ko) 저장수단을 구비한 음성데이터 처리 단말기 및 상기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0377867B1 (ko) 엠피3 파일의 유/무선 송, 수신 및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 및 엠피3 파일의 무선 전송 방법
JP3949648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2013097133A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JP2004536506A (ja) 情報伝達の方法及び装置
KR20060065046A (ko) 날씨 정보에 따른 알람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과 날씨 정보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JP200504969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US20060150116A1 (en) Data distribution system
WO2012133360A1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JP4416132B2 (ja) 携帯電話着信音を鍵として利用する電子錠システム
KR10060871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벨소리다운로드 및 변환 장치와 방법
KR100344871B1 (ko) 휴대폰의 착신음 선택 방법
JPH07222226A (ja) 受信装置
KR100356033B1 (ko) 녹음 기능을 구비한 엠피3 플레이어
KR200294768Y1 (ko) 휴대형 개인정보 및 벨소리용 음악파일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