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784B1 - 어소 - Google Patents

어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784B1
KR100376784B1 KR1019960001560A KR19960001560A KR100376784B1 KR 100376784 B1 KR100376784 B1 KR 100376784B1 KR 1019960001560 A KR1019960001560 A KR 1019960001560A KR 19960001560 A KR19960001560 A KR 19960001560A KR 100376784 B1 KR100376784 B1 KR 10037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artificial fishing
entrance
fishing bottl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539A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1996000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784B1/ko
Publication of KR97005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통상적으로 설치하는 콘크리트어초는 단순히 사각형, 원뿔형,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시키어서 곧바로 바다에 투하시켜주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독성이 없어지지 않을 때까지는 신규설치한 어초의 주변에는 어류들이 접근을 하지 않고 있는 현실인 것입니다.
이러한 결점을 개량하기 위한 발명인 것입니다.
본발명의 어소를 콘크리트어초의 골조 사이사이에 삽입구성시켜 주기 때문에 어초를 바다에 투입과 동시에 어린치어들의 유동공간이 생길수 있게 되는 발명인 것입니다.
어소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병의 구조와 비슷한데 몸통은 기존의 모양과 비슷하고 틀리는곳은 병의 앞뒤 입구가 형성되어져 있고 입구의 모양이 열십자 형태인 것입니다. 그이유는 어류는 가로로 헤엄치는 종류가 있고 세로로 헤엄치는 종류가 있기 때문인 것입니다.
그렇게하는 이유는 병의 입구보다도 큰물고기는 어소를 드나들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Description

어소
본발명은 바다와 하천에 설치하는 어초의 몸체에 삽입하는 어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초는 단순히 콘크리트등으로 사각형, 원뿔형, 삼각형 등으로 단순한 형태의 모형으로 구성시켜 주었기에 물고기들의 산란장소로 적합하지 않았던것이 현실이다.
콘크리트어초를 바다의 지표면에 임의적으로 적치시켜 주기에 기존의 물고기 서식장소를 망가뜨려 버리기에 어초를 설치하는 당분간은 물고기의 서식장소가 없어지게되는 것이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콘크리트어초의 골조사이에 임의의 형태를 가진 공간을 구성시켜 주어도 되지만 콘크리트의 독성 때문에 물고기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피하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피하지않고 그공간에 집을 형성하고 산다고 해도 콘크리트에서 배어나오는 독성에 의해서 얼마의 시간이 지나지 않이하여 그곳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은 콘크리트의 독에 의해서 자연 폐사하게 될것이다.
또한 콘크리트로 구성된 어초를 바다에 투하한후에 당분간의 시간동안 콘크리트에서 배어나오는 독성으로 인하여 물고기들이 접근하지 않는것이 현실인 것이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본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연상하는 구조는 유리병의 주둥이 부분을 열십자 형태로 구성하였다고 생각하게되면 이해가 쉽게되실 것입니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병의 구조는 입구는 좁고 몸체[2]부분을 넓게 만들어지는 것이 정설이오나 본발명에 있어서는 병의 입구 구조를 병의 몸체부분[2] 보다도 좁게 구성시키는 것은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나 본발명의 구조는 병의 앞뒤입구[1,3]를 구성시키는 방식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열십자[1]형태로 구성시켜주는 것입니다.
또다른 방식으로는 병의 전면부[1]와 뒷면부[3]를 같은 형태로 구성시켜주는 것입니다.
병의 재료와 만드는 방식은 공지의 재료인 수지나 고무 또는 유리병의 제작방식을 이용하면 간단히 제작할수가 있는 것입니다.
어초에 삽입하는 방식을 철근을 구성시킨후에 거푸집을 안팍으로 대어주고 결합시키게 되는데 거푸집을 결합시키기전에 철근의 안쪽에 거푸집을 대어준후 본발명의 어소를 체결시킨 다음 바깥 거푸집을 대고 조립한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주면 되는 것입니다.
이후에 거푸집을 탈형한다음 어소주위를 깨끗이 청소하여준 후 하천에 어초를 투하하여 주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구성시켜 주었을때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다에 사는 어류의 종류는 세로로 헤엄치는 종류와 가로로 헤엄치는 어류가 있는데 치어들이 숨을자리가 부족하다보니 어린치어일때에 큰고기 들에게 쉽게 노출되면서 잡혀먹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에 필요한것이 어린치어들이 숨을 장소인데 본발명의 어소를 어초의 요소요소에 구성시켜 주게되면 어린치어들이 쉽게 숨을수 있기때문에 어족자원 증가에 상당한 기여를 하게 될것입니다.
어소의 입구를 열십자형태로 구성시키는 이유는 입구보다도 더큰 물고기들이 드나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제1도는 본발명의 제품 참고 사시도
제2도는 사용상태의 참고사시도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어소의 전면입구 2. 어소의 몸체 3. 어소의 뒷면입구

Claims (1)

  1. 통상적인 병의 형태로된 어소의 몸통[2]에 입구[1]와 뒷부분[3]을 구성시키는데 있어서 앞뒤[1,3]입구를 열십자 형태의 모양으로 구성시킨 어소
KR1019960001560A 1996-01-23 1996-01-23 어소 KR10037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560A KR100376784B1 (ko) 1996-01-23 1996-01-23 어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560A KR100376784B1 (ko) 1996-01-23 1996-01-23 어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39A KR970058539A (ko) 1997-08-12
KR100376784B1 true KR100376784B1 (ko) 2003-07-10

Family

ID=3741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560A KR100376784B1 (ko) 1996-01-23 1996-01-23 어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7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0109A (zh) * 2012-12-13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节点拼装式渔礁
CN103070103A (zh) * 2012-12-13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便于藻类附着的人工鱼礁
CN103070107A (zh) * 2012-12-13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浅中海聚鱼保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0109A (zh) * 2012-12-13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节点拼装式渔礁
CN103070103A (zh) * 2012-12-13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便于藻类附着的人工鱼礁
CN103070107A (zh) * 2012-12-13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浅中海聚鱼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39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gatkin et al. Predator inspection, shoaling and foraging under predation hazard in the Trinidadian guppy, Poecilia reticulata
Orth et al. Stream habitat management
Ross Territorial behavior and ecology of the anemonefish Amphiprion melanopus on Guam 1
US8950362B2 (en) Complex floating wetland equipment
Hamano et al. Egg laying and egg mass nursing behaviour in the Japanese mantis shrimp
Mather Choice and competition: their effects on occupancy of shell homes by Octopus joubini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2064925B1 (ko) 문어 산란용 어초
KR100376784B1 (ko) 어소
Aronson The ecology of Octopus briareus Robson in a Bahamian saltwater lake.
Pinder et al. Early ontogeny of sunbleak
KR101941538B1 (ko) 다중 육면체 구조를 갖는 인공어초
Pietsch et al. Parental care as an alternative reproductive mode in an antennariid anglerfish
Barshaw et al. The undiscovered lobster: a first look at the social behaviour of the Mediterranean slipper lobster, Scyllarides latus (Decapoda, Scyllaridae)
Espinosa Jr et al. The preference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Lacepede) for selected bait specie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Tsuchiya The history of horseshoe crab research and conservation in Japan
KR100455480B1 (ko) 사각전주어초
Catesby et al. The importance of crevices to the intertidal snail Littoraria articulata (Philippi) in a tropical mangrove forest
KR101686856B1 (ko) 복합형어초 및 그의 제조방법
Alcazar et al. Spawning, larval development and growth of Tridacna maxima (Roding)(Bivalvia: Tridacnidae)
JPH05272118A (ja) 木工沈床
Sanjeevaraj Artificial Reefs for a sustainable coastal ecosystem in India involving fisherfolk participation
KR200358690Y1 (ko) 사각전주어초
Hutton The Life-history of the Salmon
Moginie Going all the way: The implications of life history and phenotype on reproductive success of the common triplefin, Forsterygion lapill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