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740B1 - 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 - Google Patents

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740B1
KR100374740B1 KR10-2001-0029682A KR20010029682A KR100374740B1 KR 100374740 B1 KR100374740 B1 KR 100374740B1 KR 20010029682 A KR20010029682 A KR 20010029682A KR 100374740 B1 KR100374740 B1 KR 10037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earphone
housing
molded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70653A (en
Inventor
성병하
Original Assignee
성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병하 filed Critical 성병하
Priority to KR10-2001-002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740B1/en
Publication of KR2001007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6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7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특정인의 외이에 맞게 제작되어 착용감이 우수하여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의 소음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성형 이어폰 및 그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발명은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대일로 제작된 몰딩 하우징, 몰딩 하우징 내에 장착된 스피커, 스피커의 일측에 장착된 접속단자, 몰딩 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 및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접속코드를 구비한다. 특정인은 자신의 외이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성형 이어폰을 사용함으로써,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피로함이 느껴지지 않고 외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ed earphon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made to fit a specific person's outer ear and can effectively block external no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lding housing manufactur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a shape of a specific person's outer ear, a speaker mounted in the molding housing,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one side of the speaker, a housing cov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molding housing, and a connec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With cord. By using molded earphones that correspond one-to-one to one's outer ear, a specific person can effectively block external noise without feeling tired even after long use.

Description

성형 이어폰 및 그 제작방법{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Molded earpho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

본 발명은 성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특정인의 외이 형상에 대응하는 이어폰을 성형하여 제공함으로써 착용감이 우수하고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피로함이 느껴지지 않으며 외부의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좋은 음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ed earphone,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nd providing earphones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a specific person, excellent wearing comfort, fatigue does not feel even after long use, effectively blocks outside noise and good sound quality It relates to an earphone that can provide.

휴대용 음향장치로서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어폰은 헤드폰과 비교하여 경량이고 부피가 작아서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여 이어폰은 휴대용 음향장치로서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및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기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용도로는 마이크를 장착하여 휴대폰에 연결되는 이어마이크폰으로도 사용되고 있다.Headphones or earphones are mainly used as a portable sound device, and in particular, the earphones are lightweight and small in volume compared to the headphones, so they are easy to wear and carry.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earphones are used as portable sound devices for audio devices such as radios, cassette tape players, and compact disc players, and for other purposes, they are also used as ear microphones that are connected to a mobile phone with a microphone.

하지만,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마다 각각 다른 귀 형상을 갖기 때문에 표준화되어 대량 생산되는 이어폰은 작아서 헐겁게 착용될 수 있으며, 반대로 외이에 비해 너무 커서 착용자에게 통증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최초 착용은 편안하다고 해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착용자에게 피로함을 주게 된다.However, since each user using the earphone has a different ear shape, earphones that are standardized and mass-produced are small and can be worn loosely. On the contrary, they are too large compared to the outer ear, which may cause pain to the wearer. In addition, even if the first wearing is comfortable, the wearer is tired as the time of continuous use elapses.

또한, 외이에 맞지 않는 이어폰은 사용자로 하여금 과도하게 큰 음량의 사용을 유도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의 사용은 난청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음악 청취 또는 어학 연습에서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들에게 이러한 이어폰 사용의 문제점은 사회 전체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In addition, long-term use may cause hearing loss because earphones that do not fit the outer ear induce a user to use excessively large volume.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using the earphone is a social issue for adolescents who use the earphone a lot in music listening or language practice.

이러한 이어폰을 편안하게 이용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특허출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The contents of several conventional patent applications for comfortably using such earphones are as follows.

등록특허공보에 기재된 특허발명 이어폰 (등록번호 제0137252호)은 1998년 2월 5일에 등록된 발명으로서, 외이가 커서 이어폰이 쉽게 벗겨지는 경우 또는 외이가 작아서 귀의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를 해소하기 위해 최적의 장착성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발명 제0137252호는 전기음향변환소자를 내장한 하우징의 앞면바깥둘레를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의 거의 원형상으로 형성해서 이개오목부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한 이어폰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되어 내장한 전기음향변환소자의 접속코드의 코드돌출부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고 또한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앞면바깥둘레부보다 더 바깥둘레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형상부로한 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거의 원형상의 하우징의 앞면바깥둘레부에는 당해 앞면 바깥둘레부보다 더 바깥둘레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형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동체의 돌출형상부는 상기 하우징의 앞면바깥둘레부의 돌출형상부와 공동으로 이개오목부에 걸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Patented invention earphone (Registration No. 0139252) described in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is a invention registered on February 5, 1998, to solve the case that the ear is large and the earphone is easily peeled off or the ear is small and causes ear pain. The objective is to obtain optimum mounting performance. Patent No. 0137252 is an earphone formed by form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a housing having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lement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other parts so as to be able to be hooked to a tooth concave portion. And a movable body having a protruding portion that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rd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cord of the electroacoustic transducer element and protrudes in a direction more outward than the outer edge of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The front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forms a protruding shape that protrudes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 than the front outer circumference, and the protruding shape of the movable body is jointly with the protruding shape of the front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enabling the locking.

특허발명 제0137252호는 돌출형상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가동체를 회동함으로써 이어폰인 이개오목부에 최적으로 착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일단 사용자는 가동체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외이를 가질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돌출형상부의 조정만으로는 이어폰을 사용자의 외이에 고정시킬 수는 있어도 사용자에게 만족할만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Patent Invention No. 0137252 is intended to optimally be worn on the ear canal concave portion as earphones by rotating the movable body formed by protruding protrusions, but once the user has an outer ear that can accommodate the movable body. Although the earphone can be fixed to the user's outer ear only by adjusting the protrusion, there is a limit in providing a satisfactory fit to the user.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특허출원 이탈방지형 핸즈프리 이어마이크 및 이어폰 (출원번호 제10-2000-035823호)은 2000년 12월 26일에 공개된 특허출원이다. 특허출원 제10-2000-035823호는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용 핸즈프리 이어마이크 및 휴대용 음향기기용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불편함과 문제점을 방지하는데 소기의 목적이 있고, 더불어 최근 운전 중 휴대폰 사용에 따른 교통사고를 예방함에 주목적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00-035823호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귓구멍 사이즈를 모두 충족시키도록 튜브의 지름을 몇 단계 치수로 순차적으로 작게 처리된 구조의달팽이형 튜브로 구성되며, 튜브의 재질은 탄력 있고 부드러운 촉감의 고무재질로 하고, 튜브의 표면은 돌기 구조로 하여 사용 중 귓구멍에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방지하는 등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형 핸즈프리 이어마이크 및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atent application anti-release hands-free ear microphone and earphone described in the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 No. 10-2000-035823) is a patent application published on December 26, 2000.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35823 relates to a hands-free ear microphone for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earphone for a portable audio device, which has a purpose to prevent inconvenience and problems of the user, as well as traffic due to the use of a mobile phone during recent driving. The main purpose is to prevent accidents.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35823 consists of a snail-type tub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tube is sequentially reduced in several steps to satisfy all the various ear hole sizes of users, and the material of the tube is elastic and soft to the touch. I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surface of the tube has a protrusion structure to prevent slipping out of the ear hole during use, and the like.

특허출원 제10-2000-035823호는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고무재질을 사용하고 미끄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튜브의 표면에 작은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최초 착용감은 우수할 수 있으나, 장시간 사용하면 부드러운 고무재질이라 하더라도 복원력이 있을 것이며, 튜브의 표면에 형성된 작은 돌기도 이질감을 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계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튜브 및 작은 돌기에 이물질이 낄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사용은 사용자에게 비위생적이다.Patent application No. 10-2000-035823 uses a soft rubber material to improve the fit and to form a small projection on the surface of the tube to prevent slipping. In this case, the first fit may be excellent, but if used for a long time there will be a resilience even in a soft rubber material, the small projec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ube may give a sense of heterogeneity, the user may feel tired. In addition, long-term use is unsanitary to the user as foreign matter can get into the tube and small projections by continuous u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감이 우수한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장시간을 사용하여도 귀에 통증 및 피로함을 주지않고 오랜 기간동안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having excellent fit, and to provide an earphone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for a long time without causing pain and fatigue to the ear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종래의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한 이어폰은 사용자에게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만족스러운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만족스러운 이어폰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기술은 최소한 탄성력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형상의 일부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Earphones for improving the conventional comfort is aimed at providing a satisfactory earphone to anyone regardless of the user. However, in order to provide a satisfactory earphone to anyone, the prior art uses a device using at least elastic material or adjusting part of the shape.

탄성력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도 이어폰의 장시간 사용은 소재의 복원력으로 인해 이어폰이 착용된 외이에 피로함을 주게 된다. 또한, 이어폰 형상의 일부를조절한다고 해도 만족스런 착용감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이어폰을 외이상에 고정시키는 역할만 하게 된다.Even using elastic materials, long-term use of the earphones causes fatigue in the outer ear where the earphones are wor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s. In addition, adjusting part of the shape of the earphone does not provide a satisfactory fit, but merely serves to fix the earphone to the outside.

그러므로 착용감이 우수하고 장시간 사용해도 탄성 소재의 복원력 및 미비한 구조적 조절로 인한 피로함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각각의 외이 형상에 대응하는 이어폰을 일대일로 맞춤으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fatigue caused by the resilience of the elastic material and inadequate structural adjustment even when using for a long time, there may be proposed a method for customizing and providing one-to-one earphones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each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외이와 이어폰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외부의 소음이 상기 공간을 통하여 들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이어폰에서 들리는 소리가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space between the user's outer ear and earphone to prevent the outside noise is heard through the space as much as possible, to provide an earphone that can prevent the sound from the earphone leak out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이 사용자의 외이에 안정적으로 착용되어 사용도중에 빠질 염려가 없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이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이어폰을 착용하고도 모자, 헬멧 등의 착용이 가능한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that is worn on the user's outer ear stably without fear of falling out during use.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earphone that can be worn, such as a hat, helmet even while wearing the earphone by minimizing the portion protruding outwar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이에 착탈이 빈번한 이어폰의 사용에 있어서, 오랜 기간동안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어폰의 하우징 소재를 굳고 매끄러운 가공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for a long time in the use of earphones detachable to the outer ear. Therefore, a material capable of firmly and smoothly processing the housing material of the earphone can be used, and additionally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can use the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형 이어폰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장착하여 휴대폰에 사용되는 이어폰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서 음향기기 및 휴대폰 등에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고하는 것이다.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상의 선택이 자유롭고 장식이 용이한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used for a mobile phone by mounting a microphone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lded earphone, or to improve the earphone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n acoustic device and a mobile phone through a user's operation. Another object of the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which is free to choose colors and which is easy to decor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외이 형상에 대응하는 이어폰을 맞춤의 형식으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produced by molding the earpho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 이어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성형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lded earphon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성형 이어폰에 문자 또는 비문자의 표시 부재를 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ember of letters or inscriptions is included in the molded earphone shown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가 장착된 성형 이어폰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earphone equipped with a microphone that can be used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 이어폰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및 음향기기에 겸용으로 사용되는 성형 이어폰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earphone used in both mobile phones and soun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성형 이어폰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회로도.FIG. 7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ircuit of the molded earphone illustrated in FIG. 6.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형 이어폰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8 to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lde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200,300,400 : 성형 이어폰 110,210,310,410 : 몰딩 하우징100,200,300,400: Molded earphones 110,210,310,410: Molding housing

120,220,320,420 : 삽입부 130,230,330,430 : 고정부120,220,320,420: Insertion part 130,230,330,430: Fixed part

140,240,340,440 : 스피커 150,250,350,450 : 하우징 커버140,240,340,440: Speaker 150,250,350,450: Housing cover

115,215,315,415 : 홀 160,260,360,460 : 접속코드115,215,315,415: Hole 160,260,360,460: Connection cord

270 : 마이크 부재 280,380 : 플러그270: microphone member 280,380: plug

470 :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부재 472 : 제1 스위치 부재470: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mber 472: the first switch member

474 : 제2 스위치 부재 476 : 제3 스위치 부재474: second switch member 476: third switch member

480 : 마이크 490 : 연결 부재480: microphone 490: connection member

510 : 외이 520 : 임프레션 물질510: outer ear 520: impression material

525 : 주사기 530 : 외이 모형525: Syringe 530: Outer Model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대일로 제작된 몰딩 하우징, 몰딩 하우징 내에 장착된 스피커, 스피커의 일측에 장착된 접속단자 및 몰딩 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ing housing manufactur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shape of the outer ear of a specific person, a speaker mounted in the molding housing, mounted on one side of the speaker A housing cover is provided to cover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opening of the molding housing.

착용감을 우수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여러 가지 제시되었으며, 종래의 장치는 각각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고 있지 못한다. 예를 들면,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한 탄성소재의 사용은 장시간 사용 시 탄성소재의 복원력으로 인해 외이에 피로함을 줄 수 있어 완전한 해결이 되지 않는다.Various devices have been proposed for excellent fit, and each conventional device does not completely solve the problem. For example, the use of the elastic material to improve the fit can give fatigue to the outer ear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when used for a long time is not a complete solu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누구에게나 만족스러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보편적인 형상 및 구조를 제시하는 것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몰딩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인 각각의 외이에 대응하는 몰딩 하우징을 성형하고, 상기 몰딩 하우징을 이어폰의 하우징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presenting a universal shape and structure that can provide a satisfactory fit to anyone, and uses a molding method to mold a molding housing corresponding to each particular outer ear, and to molding the molding.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housing as the housing of the earphone.

몰딩 하우징을 몰딩으로 제작하기 위해서, 외이의 형상을 몰딩하는 제1 몰딩 과정, 제1 몰딩 과정에서 생성된 외이 형상의 몰딩으로 몰딩 마스터를 제작하는제2 몰딩 과정 및 몰딩 마스터를 이용하여 몰딩 하우징을 성형하는 제3 몰딩 과정을 거쳐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몰딩 하우징을 성형 제작할 수 있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molding housing as a molding, the molding housing is formed using a first molding process for molding the shape of the outer ear, a second mold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olding master with the outer shape molding generated in the first molding process, and a molding master. Anyone who is not an expert through the third molding process of molding can easily manufacture a molding housing.

성형 제작된 몰딩 하우징에 스피커를 장착하고, 스피커에 장착된 접속단자에 접속 코드를 연결한 후 하우징 커버롤 이어폰을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몰딩 하우징은 특정인의 좌측 및 우측 외이에 각각 몰딩으로 성형된다.The speaker is mounted on the molded molding housing, the connection cor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speaker, and then the housing cover roll earphone is manufactured. And, the molding housing is molded in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outer ear of the specific person.

몰딩 하우징은 특정인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이개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외이의 형상을 기초로 하여 몰딩 성형되었기 때문에 삽입부 및 고정부의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특정인의 외이를 따라 근접하여 성형된다.The molding housing has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a specific person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ear, and since the molding housing is molded based on the shape of the outer ear, all or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and the fixing part is used to Accordingly are molded in close proxim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몰딩 과정에서 자외선 물질(U.V material)을 몰딩 마스터에 주입하고 상기 자외선 물질에 자외선 램프를 비추어 자외선 물질을 경화시킨다. 여기서 자외선 물질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the third molding process, an ultraviolet material (U.V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ing master and the ultraviolet material is illuminated on the ultraviolet material to cure the ultraviolet material. The ultraviolet material has a property of curing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몰딩 하우징 또는 하우징 커버의 색상 및 투명도는 자외선 물질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몰딩 하우징을 성형하는 제3 몰딩 과정에서 문자 또는 비문자가 인쇄된 표시 부재를 같이 몰딩함으로써 몰딩 하우징 또는 하우징 커버에 정보전달 또는 장식적인 디자인과 같은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부재로서 문자 또는 비문자가 인쇄된 비닐필름을 자외선 물질과 함께 몰딩 마스터에 같이 주입함으로써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다.The color and transparency of the molding housing or housing cover can be determined variously depending on the choice of ultraviolet material. In the third molding process of molding the molding housing, by molding the display member printed with letters or inscriptions together, a predetermined display such as information transmission or decorative design may be made on the molding housing or the housing cover. Preferably, a predetermined display can be made by injecting a vinyl film printed with letters or inscriptions together with the ultraviolet material into the molding master as the display member.

상기 소정의 표시는 이어폰 사용자의 성명을 비롯하여 문자열, 캐릭터와 같은 이어폰에 수용될 수 있는 표현 수단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한다.The predetermined display means a representation mean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an earphone such as a character string, a character, or a combination thereof, including the name of the earphone user.

상기 표시 부재는 몰딩 하우징 또는 하우징 커버에 내재하여 이어폰의 하우징 외부에서 보일 수 있는 것이다.The display member is inherent in the molding housing or the housing cover and can be seen from outside the housing of the earphone.

성형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 성형 이어폰이 사용자의 외이에 밀착하여 사용되는 경우 성형 이어폰의 외부 및 내부의 압력차로 인한 답답함을 감소하기 위하여 몰딩 하우징 일측과 하우징 커버의 일측을 연결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olded earphone is worn, when the molded earphone is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outer ear, a hole connecting one side of the molding housing and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is formed in order to reduce stuffiness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molded earphone. desirable.

성형 이어폰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성형 이어폰, 성형 이어폰과 연결된 접속코드 및 접속코드의 일단에 장착된 플러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using a molded earphone, the at least one molded earphone, a connection cord connected to the molded earphone and a plug mounted on one end of the connection cord.

성형 이어폰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 이어폰, 성형 이어폰과 연결된 접속코드, 접속코드에 장착된 마이크 부재 및 접속코드의 일단에 장착된 플러그를 구비하며, 마이크 부재에 구비된 제어부재를 조작하여 휴대폰의 이어폰 및 마이크로 사용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using a molded earphone, the molded earphone, a connection cord connected to the molded earphone, a microphone member mounted on the connection cord and a plug mounted on one end of the connection cord, the control member provided on the microphone member Your phone's earphones and microphone are used.

상기 성형 이어폰은 임프레션 물질이 제공되는 단계, 임프레션 물질이 주입 부재에 의해 특정인의 외이에 주입되는 단계, 임프레션 물질이 굳어 외이 모형이 성형되는 단계, 외이 모형 주위에 투명 수지를 몰딩하여 몰딩 마스터를 제작하는 단계, 몰딩 마스터를 이용하여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는 몰딩 하우징이 제작되는 단계 및 몰딩 하우징에 스피커를 장착하고 몰딩 하우징의 개구부를 하우징 커버로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olded earphone is provided with an impression material, the injection material is injected into a specific person's outer ear by the injection member, the impression material is hardened, and the outer ear model is molded, and a transparent resin is molded around the outer ear model to manufacture a molding master. And forming a molding housing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specific person's outer ear using the molding master, and mounting a speaker to the molding housing and covering an opening of the molding housing with a housing cover.

상기 임프레션 물질은 수지 및 수지에 대응하는 경화제가 혼합되어 제공되는것으로서, 혼합된 직후에는 연질로서 성형되기 용이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되어 외이 모형이 된다. 임프레션 물질의 소재가 되는 수지의 일 예로 프레실을 사용하며, 프레실과 경화제를 일대일로 혼합하여 임프레션 물질을 구성하게 된다.The impression material is provided by mixing a resin and a curing agent corresponding to the resin, and immediately after mixing, the impression material is easily formed as a soft material, and cures as time passes to form an outer ear model. Presyl is used as an example of the resin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impression material is formed by mixing the presyl and the hardener one-to-one.

준비된 임프레션 물질은 주입 부재 내에 충전되고, 성형 이어폰이 사용되는 특정인의 외이에 물질이 주사되어 경화된다. 주입 부재로 주사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사기가 외이 깊은 곳에서부터 물질을 주사하는 것이 아니라 외이의 중간에서 이어폰 제작에 필요한 정도로 물질이 주사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외이 모형이 성형될 수 있다.The prepared impression material is filled into the injection member, and the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outer ear of the specific person in which the molded earphone is used and cured. It is preferable that a syringe be used as the injection member, and the outer ear model can be safely formed because the syringe is not injected with the material from the depth of the outer ear, but the material is injected to the extent necessary for making the earphone in the middle of the outer ear.

임프레션 물질로부터 성형 제작된 외이 모형을 왁스에 담가 상기 외이 모형의 외면에 상기 왁스가 입혀지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Immersion of the outer ear model molded from the impression material in wax may include coating the wax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ear model.

왁스에 외이 모형을 반복적으로 담그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외이 모형의 두께가 조절된다. 왁스에 외이 모형을 담그는 이유는 외이 모형의 거친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외이 모형의 두께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제작되는 몰딩 하우징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outer ear model is controlled by repeatedly dipping the outer ear model in wax. The reason for immersing the outer ear model in wax is to smooth the rough surface of the outer ear model and to finely control the size of the resulting molded housing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ear model.

왁스은 일반적으로 60℃ 정도의 온도로 유지하지만, 왁스의 온도를 낮추어 조절되는 증가되는 두께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왁스의 온도를 높여서 증가되는 두께의 간격을 작게 할 수도 있다.The wax is generally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 C., but the temperature of the wax may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x, and the thickness of the wax may be decreas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x.

몰딩 마스터의 소재가 되는 투명 수지로서 아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가를 사용하여 몰딩 하우징이 몰딩되는 몰딩 마스터를 제작한 후, 몰딩 마스터에 몰딩 하우징의 소재를 주입 및 경화하여 몰딩 하우징을 성형 제작하게 된다.It is common to use agar as transparent resin used as a raw material of a molding master. After the molding master is molded using the aga, the molding housing is molded, and then the molding housing is molded and molded by injecting and curing the material of the molding housing into the molding master.

바람직하게는 몰딩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는 자외선 물질이 몰딩 마스터 안으로 주입되는 단계 및 자외선 물질이 자외선 램프에 의해 경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manufacturing the molding housing comprises injecting an ultraviolet material into the molding master and curing the ultraviolet material by means of an ultraviolet lamp.

몰딩 하우징의 외부는 가공 및 코팅을 통하여 매끄럽게 가공된다. 가공된 몰딩 하우징에 스피커를 장착하고, 접속코드를 스피커 상에 장착된 접속단자에 연결하고, 하우징 커버로 몰딩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는 과정을 거치면서 이어폰이 제작된다.The exterior of the molding housing is machined smoothly through processing and coating. The earphone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the speaker to the molded molding housing, connecting the connection cord to the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speaker, an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molding housing with the housing cov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 이어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성형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lded earphon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성형 이어폰(100)은 특정인의 외이 형상을 대응하여 몰딩에 의해 제작된 몰딩 하우징(110), 몰딩 하우징(110) 내에 장착된 스피커(140), 스피커(140)의 일측에 장착된 접속단자(145) 및 몰딩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150)를 구비한다. 성형 이어폰(100)을 외부와 연결하기 위해서 접속코드(160)는 하우징 커버(150)에 형성된 홀(152)을 통하여 접속단자(145)에 연결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olded earphone 100 may correspond to a shape of an external shape of a specific person, and may include a molding housing 110 manufactured by molding, a speaker 140 mounted in the molding housing 110, and a speaker 140.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terminal 145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150 to cover the opening of the molding housing 110. In order to connect the molded earphone 100 to the outside, the connection cord 16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45 through a hole 152 formed in the housing cover 150.

몰딩 하우징(110)은 외이에 임프레션 물질을 주입하여 외이 형상이 몰딩되는제1 몰딩 과정, 제1 몰딩 과정에서 생성된 외이 형상의 몰딩 상에 투명 수지인 아가가 덮여 몰딩 마스터가 제작되는 제2 몰딩 과정, 몰딩 마스터에 UV액을 주입한 후 UV램프를 비추어 UV액을 경화 시켜 몰딩 하우징(110)의 외관을 성형하는 제3 몰딩 과정 및 몰딩 하우징(110)의 외관을 가공하여 몰딩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확보, 퍼니싱 및 코팅 되는 마무리 과정을 통하여 몰딩 하우징(110)이 성형 제작된다. 이렇게 몰딩 하우징(110)을 성형 제작하는 방법은 필요한 장치 및 재료가 준비되어 있다면 제1 몰딩 과정, 제2 몰딩 과정, 제3 몰딩 과정 및 마무리 과정을 통하여 용이하게 반복 수행될 수 있다.The molding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molding process in which an outer shape is molded by injecting an impression material into the outer ear, and a second molding in which a molding master is manufactured by covering the agar, which is a transparent resin, on the outer shape molding generated in the first molding process. Process, after the injection of the UV solution to the molding master, the UV lamp is illuminated to cure the UV solution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molding housing 110 by molding the third molding process and the molding housing 110 by processing the molding housing 110 The molding housing 110 is molded and manufactured through the finishing process of securing the inner space, furnishing and coating. The mo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lding housing 110 may be easily repeated through the first molding process, the second molding process, the third molding process, and the finishing process, if the necessary devices and materials are prepared.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작된 몰딩 하우징(110)은 특정인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120) 및 이개에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구비하며, 몰딩 하우징(110)을 구비한 성형 이어폰(100)은 삽입부(120) 및 고정부(130)의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특정인의 외이에 근접하게 착용되어 우수한 착용감을 사용자에게 준다.The molding housing 110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ncludes an insert 120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a specific person and a fixing part 130 fixed to the ear, and the molded earphone 100 having the molding housing 110. The insert portion 120 and all o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30 is worn in close proximity to the outside of the particular person gives the user an excellent fit.

몰딩 하우징(110)은 딱딱한 재질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외이 형상에 대응하여 제작되었다. 따라서, 성형 이어폰(100) 사용자의 외이에 알맞게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이를 압박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하고 장시간 착용하여도 외이에 피로함을 주지 않는다.The molding housing 1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ard material, and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ear of the user. Therefore, since the molded earphone 100 is appropriately mounted on the user's outer ear and does not press the outer ear of the user, the wearing earphone 100 has excellent fit and does not give fatigue to the outer ear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또한, 몰딩 하우징(110)이 사용자의 외이에 거의 밀착하여 착용되기 때문에 외부의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외부의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는 음량을 필요 이상 증가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적절한 음량의 사용은 사용자의 귀를 자극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성형 이어폰(100)의 사용은 종래 이어폰의 사용으로 발생 우려가 있던 난청에 대한 예방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lding housing 110 is worn close to the outer ear of the user, it effectively blocks external noise. By blocking external noise, the user does not need to increase the volume more than necessary, and the proper use of the volume does not irritate the user's ear. Therefore, the use of the molded earphone 100 can be prevented against the hearing loss that was caused by the use of conventional earphones.

또한, 성형 이어폰(100)의 외부면은 매끄러운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면서 청소가 간단하고 이물질이 끼어 들지 않아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몰딩을 통하여 제작된 이어폰이므로 한 사용자에게만 대응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ed earphone 100 is made of a smooth material, it is easy to clean while using it and does not get in foreign matters, so that it can be used hygienically. In addition, since the earphone is manufactured through molding, it is used hygienically because it is used to correspond to only one user.

또한, 성형 이어폰(100)의 사용자의 외이에 착용되어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성형 이어폰(100)을 착용한 후 헬멧 등을 착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rtion of the molded earphone 100 is worn on the user's outer ear and protrudes outward, the helmet may be worn after wearing the molded earphone 100.

사용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몰딩 하우징(110)의 일측과 하우징 커버(150)를 연결하는 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성형 이어폰(100)을 착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속과 외부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완전한 차단은 양 공간의 압력차를 발생하고 귀가 멍멍해지거나 답답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몰딩 하우징(110)의 일측과 하우징 커버(150)를 연결하는 홀(115)을 형성하여 쾌적한 사용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홀(115)는 몰딩 하우징(110)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다.A hole 115 may be formed to connect one side of the molding housing 110 and the housing cover 150 to provide an excellent fit to the user. By wearing the molded earphone 100, the user's ear and the outside can be completely blocked, and complete blocking can caus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aces and make the ears feel dull or stuffy. Therefore, a comfortable use condition may be formed by forming a hole 115 connecting the one side of the molding housing 110 and the housing cover 150 to such an extent that the pressure can be maintained the same. The hole 115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ing housing 110.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성형 이어폰에 문자 또는 비문자의 표시 부재를 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member of letters or inscriptions is included in the molded earphone illustrated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필름에 문자를 새긴 표시 부재(135)를 제3 몰딩 과정 시 몰딩 하우징(110)의 외관을 성형하면서 넣어 몰딩 하우징(110)에 표시 부재(135)를 포함시킨다.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member 135 engraved on the transparent film is inserted into the molding housing 110 while molding the appearance of the molding housing 110 during the third molding process to include the display member 135 in the molding housing 110.

표시 부재에는 투명 필름에 문자 외에도 비문자 또는 문자와 비문자의 결합을 새겨 제공될 수 있으며, 투명 필름이 아니라도 클로버, 반짝이 기타 작은 소품을 넣어 같이 몰딩 하우징을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부재는 몰딩 하우지 뿐만 아니라 하우징 커버에도 포함되어 성형 이어폰의 외부를 장식할 수 있다.The display member may be provided with inscriptions or combinations of letters and inscription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s on the transparent film, and the molding housing may be molded together by inserting clover, glitter and other small items even if the transparent film is not. In addition, the display member may be included in not only the molding housing but also in the housing cover to decorate the exterior of the molded earphone.

표시 부재는 몰딩 하우징 또는 하우징 커버에 포함되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몰딩 하우징을 투명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으며, 기타 소재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몰딩 하우징을 제작할 수 있다.The indicator member may be included in the molding housing or the housing cover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the molding housing may be mold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molding housings of various colors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other material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가 장착된 성형 이어폰의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earphone equipped with a microphone that can be used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성형 이어폰(200)은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작된 몰딩 하우징(210), 몰딩 하우징(210) 내에 장착된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스피커에 장착된 접속단자(도시되지 않음), 몰딩 하우징(210)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250), 몰딩 하우징(210) 일측과 하우징 커버(250)의 일측을 연결하는 홀(215),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접속코드(260), 접속 코드(260)의 일측에 장착되는 마이크 부재(270) 및 접속단자에 대응하여 접속코드(260)의 반대 단부에 장착된 플러그(28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olded earphone 200 may include a molding housing 210, a speaker (not shown) mounted in the molding housing 210, and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speaker. (Not shown), a housing cover 250 covering the opening of the molding housing 210, a hole 215 connecting one side of the molding housing 210 and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250, and a connection cor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60, a microphone member 270 mount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cord 260, and a plug 280 mounted at an opposite end of the connection cord 26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몰딩 하우징(210)은 특정인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220) 및 이개에 고정되는 고정부(230)를 구비하며,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을 기초로 몰딩 작업을 통해 제작된다. 따라서, 삽입부(220) 및 고정부(230)의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특정인, 즉 사용자의 외이에 근접하게 착용된다.The molding housing 210 has an insertion portion 220 and a fixing portion 230 fixed to the ear canal to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a specific person, and is manufactured through a molding operation based on the shape of the specific person's outer ear. Thus, all o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220 and the fixing portion 230 is worn in a specific, ie close to the outer ear of the user.

핸드폰에 사용되는 종래의 이어마이크폰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며, 성형 이어폰(200)은 사용자의 외이에 대응하는 몰딩 하우징(210)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한다.It includes all of the functions of a conventional ear microphone used in a mobile phone, and the molded earphone 200 provides an excellent fit by having a molding housing 2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ear of a user.

핸드폰에 사용되는 성형 이어폰(200)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특히, 성형 이어폰(200)이 귀에 밀착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분리하지 않는 한 귀에서 분리되지 아니하며, 어느 정도 과격한 동작에서도 안전하게 착용된다. 따라서, 운전 중 이어폰이 귀에서 갑자기 이탈되어 사고가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없어진다.By using the molded earphone 200 used in the mobile phone, the user does not feel fatigu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the molded earphon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ear unless the user arbitrarily separates it, and it is safely worn even in some extreme operations. Therefore, the earphone is suddenly detached from the ear during driving, and the accident is eliminated.

또한, 운전기사, 배달업 종사자, 경찰관과 같이 핸드폰 또는 무전기를 장시간 이용하는 직종의 종사자에게 외이 형상에 대응하는 성형 이어폰(200)의 사용은 많은 유용성을 가진다.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함 및 이질감이 없으며,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여도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하며, 성형 이어폰(200)의 착용 후 다른 장치 및 모자의 착용이 편리하고,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음이 심한 곳이라도 주위 잡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통화내용을 타인이 들을 염려가 없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molded earphone 200 corresponding to the outer ear shape has a lot of usefulness for a worker who uses a mobile phone or a radio for a long time such as a driver, a delivery worker, a police officer, and the like. No fatigue and heterogeneity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hygienic management is easy to use even for a long time, convenient to wear other devices and hat after wearing the molded earphone 200, the quality of the call by blocking the outside noise I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can block the noise effectively even in the noisy places, and don't worry about other people's hearing.

게다가, 여러 가지 색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몰딩 하우징(210) 또는 하우징커버(250)에 문자 또는 비문자를 이용하여 정보 표시 또는 장식적 표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various colors may be selected, and information or decorative express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letters or non-letters on the molding housing 210 or the housing cover 2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 이어폰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성형 이어폰(300)은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작된 2개의 몰딩 하우징(310), 몰딩 하우징(310) 내에 각각 장착된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스피커에 각각 장착된 접속단자(도시되지 않음), 몰딩 하우징(310)의 개구부를 각각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350), 몰딩 하우징(310) 일측과 몰딩 하우징(310)에 대응하는 하우징 커버(350)의 일측을 연결하는 홀(315), 접속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접속코드(360) 및 접속단자에 대응하여 접속코드(360)의 반대 단부에서 접속코드(360) 모두를 수용하며 장착된 플러그(38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olded earphone 300 is mounted on two molding housings 310, speakers (not shown) respectively mounted in the molding housing 310, and speakers that are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specific person's outer ear. Connected terminals (not shown), a housing cover 350 respectively covering the openings of the molding housing 310, one side of the molding housing 310 and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350 corresponding to the molding housing 310. And a plug 380 which accommodates all of the connection cords 360 at opposite ends of the connection cords 36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s 360, the connection cords 36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

몰딩 하우징(310)은 특정인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320) 및 이개에 고정되는 고정부(330)를 구비하며,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을 기초로 몰딩 작업을 통해 제작된다. 따라서, 삽입부(320) 및 고정부(330)의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특정인, 즉 사용자의 외이에 근접하게 착용된다.The molding housing 310 has an inserting portion 320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a specific person and a fixing portion 330 fixed to the ear, and is manufactured through a molding operation based on the shape of the specific person's outer ear. Thus, all o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320 and the fixing portion 330 is worn in a specific, ie close to the user's outer ear.

성형 이어폰(300)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우수한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특히, 성형 이어폰(300)이 귀에 밀착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분리하지 않는 한 귀에서 분리되지 아니하며, 어느 정도 과격한 동작에서도 안전하게 착용된다.By using the molded earphone 300, the user does not feel fatigu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while maintaining an excellent fit. In particular, the molded earphone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ear unless the user arbitrarily separates, and is worn safely even in some extreme operations.

장시간 사용하여도 이질감이 없으며,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여도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하며,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여 소음이 심한 곳이라도 주위 잡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과도한 음량 증가로 인한 난청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외의 타인에게는 들리지 않아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또한, 여러 가지 색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몰딩 하우징(310) 또는 하우징 커버(350)에 문자 또는 비문자를 이용하여 정보 표시 또는 장식적 표현이 가능하여 팬시적인 요소를 가미할 수 있다.No long-term use, no discomfort, long-term use, hygienic management, easy to block external noise, even in the noisy places, can effectively block the ambient noise, the occurrence of hearing loss due to excessive volume increase It can be prevented and not heard by anyone other than the user, so it does not harm other people in public places. In addition, various colors may be selected, and the molding housing 310 or the housing cover 350 may display information or decorative expression using letters or non-letters to add fancy element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및 음향기기에 겸용으로 사용하는 성형 이어폰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성형 이어폰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회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ed earphone used in combination with a mobile phone and an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ircuit of the molded earphone illustrated in FIG. 6.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성형 이어폰(400)은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작된 2개의 몰딩 하우징(410), 몰딩 하우징(410) 내에 각각 장착된 스피커(440L,440R), 스피커에 각각 장착된 접속단자(도시되지 않음), 몰딩 하우징(410)의 개구부를 각각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450), 몰딩 하우징(410) 일측과 몰딩 하우징(410)에 대응하는 하우징 커버(450)의 일측을 연결하는 홀(415), 접속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접속코드(460), 접속단자에 대응하여 접속코드(460)의 반대 단부에서 접속코드(460) 모두를 수용하며 장착된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부재(470),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부재(470)에 장착되는 마이크(480) 및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부재(470)에 일측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부재(490)를 구비한다.6 and 7, the molded earphone 400 includes two molding housings 41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ear of a specific person, speakers 440L and 440R mounted in the molding housing 410, respectively, and a speaker. Connecting terminals (not shown) mounted on the housings, a housing cover 450 respectively covering the openings of the molding housing 410, one side of the molding housing 410, and a housing cover 450 corresponding to the molding housing 410. A speaker and a microphone are mounted to accommodate all of the connection cord 460 at the opposite end of the connection cord 46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the hole 415 for connecting one side, the connection cord 46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he member 470, the microphone 480 mounted on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control member 470, and at least one input / output member 49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control member 470 are provided.

몰딩 하우징(410)은 특정인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420) 및 이개에 고정되는 고정부(430)를 구비하며,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을 기초로 몰딩 작업을 통해 제작된다. 따라서, 삽입부(420) 및 고정부(430)의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특정인, 즉 사용자의 외이에 근접하게 착용된다.The molding housing 410 includes an insertion part 420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a specific person and a fixing part 430 fixed to the ear, and is manufactured through a molding operation based on the shape of the specific person's outer ear. Accordingly, all o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ng portion 420 and the fixing portion 430 is worn in a specific, i.e., close to the outer ear of the user.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부재(470)는 제1 스위치 부재(472)를 구비하며, 제1 스위치 부재(472)의 조작에 의해서 스피커(440L,440R)에 휴대폰의 마이크 신호 및 스피커 신호와 음향기기의 좌우 스피커 신호를 전환된다.The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mber 470 includes a first switch member 472, and the microphone signal and speaker signal of the mobile phone and the left and right of the speaker are mounted on the speakers 440L and 440R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mber 472. The speaker signal is switched.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부재(470)는 제2 스위치 부재(474)를 구비하며, 제1 스위치 부재(472)가 핸드폰을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2 스위치 부재(474)의 조작에 의해서 양 쪽 스피커(440L,440R)에서 통화내용이 들리게 된다.The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mber 470 includes a second switch member 474. When the first switch member 472 connects a cellular phone to a circuit, both speakers ar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member 474. At 440L, 440R you will hear the call.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부재(470)는 제3 스위치 부재(476)를 구비하며, 제1 스위치 부재(472)가 핸드폰을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3 스위치 부재(476)의 조작에 의해서 오른쪽 스피커(440R)에서 통화내용이 들리며, 왼쪽 스피커(440L)에서 음향기기로부터의 음악신호를 들을 수 있다.The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mber 470 includes a third switch member 476. When the first switch member 472 is connected to a cell phone,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control member 470 ar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switch member 476. 440R can hear the call, and the left speaker 440L can hear the music signal from the audio device.

본 성형 이어폰(400)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의 구분은 사시도 및 회로도를 용이하게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성형 이어폰(400)에서 방향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 또는 생산자의 사용 또는 설계 변형에 의해서 용이하게 오른쪽 및 왼쪽을 전환하여 사용 또는 생산할 수 있다.The division of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molded earphone 400 is for easily interpreting a perspective view and a circuit diagram, and does not actually limit the direction in the molded earphone 400, and is easily made by a user or a producer by use or design modification. You can switch between right and left to use or produce.

도 7에서와 같이, 제1 스위치 부재(472)의 SPL은 휴대폰 플러그(497)의 P-MIC단자 또는 음향기기 플러그(496)의 P-L단자와 연결되며, SPR은 휴대폰 플러그(497)의 P-SP단자 또는 음향기기 플러그(496)의 P-R단자와 연결된다. 또한, GR은 공통 레퍼런스를 의미하며, 도 7에서 GR로 표시된 부분은 공통으로 접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SPL of the first switch member 472 is connected to the P-MIC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plug 497 or the PL terminal of the audio device plug 496, and the SPR is connected to the P-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plug 497. It is connected to the PR terminal of the SP terminal or the audio device plug 496. In addition, GR means a common reference, and the part marked GR in FIG. 7 is commonly grounded.

마이크(480)와 연결되는 MIC에는 마이크 제어부재(482)가 장착되어 마이크의 접속을 단속하게 된다.The MIC connected to the microphone 480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control member 482 to control the connection of the microphone.

제1 스위치 부재(472)의 조작을 통해 SPL, SPR이 각각 MIC와 SP에 연결되거나 L과 R에 연결된다. SPL과 SPR이 각각 MIC와 SP에 연결되면 성형 이어폰(400)은휴대폰용 송수신 장치가 되며, SPL과 SPR이 각각 L과 R에 연결되면 성형 이어폰(400)은 음향기기용 이어폰으로 전환된다.Through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mber 472, SPL and SPR are connected to MIC and SP or L and R, respectively. When the SPL and SPR are connected to the MIC and SP, respectively, the molded earphone 400 becomes a transceiver for mobile phones, and when the SPL and SPR are connected to the L and R, respectively, the molded earphone 400 is switched to the earphone for the acoustic device.

제2 스위치 부재(474)는 SP와 R에 연결되며, 제2 스위치 부재(474)의 조작에 의해서 L과의 접속이 단속된다. 따라서, L 및 R 모두 접속되면 양 스피커(440L,440R)에서 모두 통화내용을 들을 수 있다.The second switch member 474 is connected to SP and R, and the connection with L is interrup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member 474. Therefore, when both L and R are connected, the contents of the call can be heard from both speakers 440L and 440R.

제3 스위치 부재(476)는 P-L과 L을 연결을 단속하며, 휴대폰 통화 중에도 왼쪽 스피커(400L)에서 음향기기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3 스위치 부재(476)는 도 7에서 제2 스위치 부재(474)와 분리되어 있지만, 설계자 또는 제작자의 변경에 의해서 하나의 스위치 부재로 기능이 포괄될 수 있다.The third switch member 476 intercep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 and the L, and transmits a sound signal from the acoustic device in the left speaker 400L even during a mobile phone call. Although the third switch member 476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witch member 474 in FIG. 7, the function may be encompassed as a single switch member by a designer or a manufacturer.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입출력 부재(490)는 외부의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485) 및 핸드폰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495)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485)는 플러그 잭(486), 플러그 잭(486)에 대응하는 제1 플러그(487), 연결코드(488) 및 제2 플러그(489)를 구비하며, 제2 연결부(495)는 플러그 잭(496), 플러그 잭(496)에 대응하는 제1 플러그(497), 연결코드(498) 및 제2 플러그(499)를 구비한다. 도 7에서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플러그 잭 및 플러그 잭에 대응하는 제1 플러그의 구체적인 표현을 생략하였다.6 and 7, the input / output member 49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485 connected to an external sound device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495 connected to a mobile phone. The first connector 485 includes a plug jack 486, a first plug 487 corresponding to the plug jack 486, a connection cord 488 and a second plug 489, and a second connector 495. Includes a plug jack 496, a first plug 497 corresponding to the plug jack 496, a connection cord 498, and a second plug 499. In FIG. 7, a detailed representation of a plug jack and a first plug corresponding to the plug jack is omitted in order to schematically represent a circuit.

성형 이어폰(400)은 몰딩 성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일대일로 대응하는 이어폰을 제공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장시간 편안하게 사용된다.Molded earphone 400 is excellent in fit and comfortable to use for a long time by providing a one-to-one corresponding earphone to the user through the molding molding.

또한,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부재(470)와 음향기기 또는 핸드폰과 연결되는 연결부재(490)에 플러그 잭(486,496) 및 제1 플러그(487,497)를 포함함으로써, 입출력 장치로 사용하지 않는 입출력 부재(490)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형 이어폰(400)을 말끔히 정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입출력 장치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플러그, 플러그 잭 및 연결코드를 간단한 교체작업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cluding the plug jacks 486 and 496 and the first plugs 487 and 497 in the connection member 490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mber 470 and the acoustic device or the mobile phone, the input / output member 490 not used as an input / output device. ) Can be removed and used. In addition, the molded earphone 400 can be neatly arranged, and the first and second plugs, plug jacks, and connection cord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put / output devices can be provided through a simple replacement operation.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형 이어폰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8 to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lded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성형 이어폰의 제작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8 to 13,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lded earphone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1) 프로실과 프로실 경화제를 일대일로 섞은 임프레션 물질(520)이 제공된다.프로실 및 프로실 경화제가 섞이면 시간 경과에 따라 임프레션 물질(520)이 점차적으로 경화된다. 프로실과 그 경화제를 일대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화에 필요한 시간 및 조건에 따라 그 혼합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1) An impression material 520 is provided in which a prosyl and a prosyl hardener are mixed in a one-to-one manner. When the prosyl and prosyl hardener are mixed, the impression material 520 gradually cures over time. It is preferable to mix the prosyl and its curing agent in a one-to-one manner, but the mixing ratio may vary depending on the time and conditions required for curing.

2) 임프레션 물질(520)이 충진된 주사기(525)를 통해 특정인의 외이(510)에 주입된다. 상기 주사기(525)는 외이(510)의 안쪽에서 바깥쪽을 이동하면서 임프레션 물질(520)을 주사하며, 임프레션 물질(520)은 외이도 깊은 지점에서 주사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 이어폰이 형성될 정도의 깊이에서 주사되면 족하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고 위험하지도 않다.2) The impression material 520 is injected into the outer ear 510 of a specific person through a filled syringe 525. The syringe 525 scans the impression material 520 while moving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ear 510, and the impression material 520 is not injected at a deep point of the ear canal but at a depth enough to form a molded earphone. If injection is enough. Therefore,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not dangerous.

3) 주입된 임프레션 물질(520)이 시간 경과에 따라 굳어 외이 모형(530)이 성형된다. 임프레션 물질(520)이 경화하는데 경과되는 시간은 바람직하게 1~2분이다.3) The injected impression material 520 hardens over time to form the outer ear model 530. The time that elapses for the impression material 520 to cure is preferably 1 to 2 minutes.

4) 외이 모형(530)은 외이(510)에서 분리된 후 칼로 자르고 다듬어서 가공된다. 가공되면서 외이 모형(530)의 거친 면이 다듬어지고 외이 모형(530)은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다.4) The outer ear model 53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ear 510 and then cut and trimmed with a knife and processed. During processing, the rough face of the outer ear model 530 is trimmed and the outer ear model 530 is cut to an appropriate size.

5) 외이 모형(530)을 약 60℃ 의 왁스(535)에 담가 두께 및 표면조도를 조절된다. 왁스(535)에 외이 모형(530)을 반복적으로 담그는 과정을 반복되면서 외이 모형(530)의 두께가 조절된다. 왁스(535)에 외이 모형(530)을 담그는 이유는 외이 모형(530)의 거친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외이 모형(530)의 두께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제작되는 몰딩 하우징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5) The outer ear model 530 is immersed in a wax 535 at about 60 ° C. to adjust thickness and surface roughness. The thickness of the outer ear model 530 is adjusted while repeatedly dipping the outer ear model 530 in the wax 535. The reason why the outer ear model 530 is immersed in the wax 535 is to smooth the rough surface of the outer ear model 530 and to finely adjust the size of the molding housing that is produc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ear model 530. .

외이 모형(530)의 두께를 조절하는 왁스(535)는 일반적으로 60℃ 정도의 온도로 유지하지만, 왁스(535)의 온도를 낮추어 조절되는 증가되는 두께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왁스(535)의 온도를 높여서 증가되는 두께의 간격을 작게 할 수도 있다.The wax 535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ear model 530 is generally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 C., but the wax 535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interval of increased thickness, which is controll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x 535.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interval of increasing thickness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6) 왁스가 입혀진 외이 모형(530)의 주위에 투명 수지인 아가(540)를 몰딩하여 몰딩 마스터(545)가 제작된다. 몰딩 마스터(545)의 소재가 되는 투명 수지로서 아가(540)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가(540)를 사용하는 이유는 투명 수지를 이용해야 자외선 물질을 경화시키는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6) A molding master 545 is manufactured by molding agar 540, which is a transparent resin, around the waxed outer ear model 530. It is common to use agar 540 as a transparent resin that is a material of the molding master 545. The reason for using the agar 540 is that ultraviolet light for curing the ultraviolet material may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resin. .

아가(540)는 18~20℃ 의 온도로 외이 모형(530)의 주위에 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10~15분 경과 후 굳어진다.The agar 540 is preferably poured around the outer ear model 530 at a temperature of 18-20 ° C., and hardens after 10-15 minutes.

7) 몰딩 마스터(545)에서 외이 모형(530)을 분리시킨 후, 몰딩 마스터(545)에 UV액(550)이 주입된다. UV액(550)이 UV램프(555)에 30~50초 동안 노출되면UV액(550)이 경화되며, 이를 통하여 성형 이어폰의 몰딩 하우징(560) 외관이 성형된다.7) After the outer ear model 530 is separated from the molding master 545, the UV liquid 550 is injected into the molding master 545. When the UV liquid 550 is exposed to the UV lamp 555 for 30 to 50 seconds, the UV liquid 550 is cured, thereby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molding housing 560 of the molded earphone.

8) 몰딩 하우징(560) 외관을 몰딩 마스터(545)에서 분리시킨 후 내부를 가공하여 스피커(566)를 장착하고 스피커(566)에 장착된 접속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 코드(562)를 연결하고 하우징 커버(564)를 덮는다.8) After the exterior of the molding housing 560 is separated from the molding master 545, the interior of the molding housing 560 is processed to mount the speaker 566, and the connection cord 562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mounted on the speaker 566. And cover the housing cover 564.

9) 마지막으로 몰딩 하우징(560) 및 하우징 커버(564)의 외관을 퍼니싱 및 코팅하여 성형 이어폰의 제작이 마무리 된다.9) Finally, the appearance of the molding housing 560 and the housing cover 564 is finished and the production of the molded earphone is finished.

상기 8) 단계에서 스피커를 장착하기 전 몰딩 하우징(560)에 홀(568)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을 형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홀이 형성될 위치에 철사와 같은 중심 부재를 위치하고 UV액과 같은 소재로 중심 부재를 덮어 경화시킨 후 중심 부재를 제거하여 홀을 형성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hole 568 in the molding housing 560 before mounting the speaker in step 8). Among various methods of forming the hole, the hole may be formed by placing a center member such as a wire at a position where the hole is to be formed, covering the center member with a material such as UV liquid, curing the cover, and removing the center member.

몰딩 하우징(564)의 삽입부에는 음향이 전달되는 스피커 홀이 있어 귀의 내부가 외부와의 완전한 차단되는 것은 아니지만, 몰딩 하우징(560)과 하우징 커버(564)를 연결하는 홀(568)이 있음으로 해서 이어폰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게 된다.The insertion part of the molding housing 564 has a speaker hole through which sound is transmitted, so that the inside of the ear is not completely blocked from the outside, but there is a hole 568 connecting the molding housing 560 and the housing cover 564. Thus, the earphone user feels comfortable.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이어폰의 사용자는 착용감이 우수하며, 장시간을 사용하여도 귀에 통증 및 피로함을 느끼지 않고,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인 이어폰을 제공받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molded earphone is excellent in wearing comfort, and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feeling pain and fatigue in the ear,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that can be hygienically mana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외이와 이어폰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외부의 소음이 상기 공간을 통하여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이어폰에서 들리는 소리가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space between the user's outer ear and the earphone to prevent outside noise is heard through the space,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ound from the earphone leak ou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이 사용자의 외이에 안정적으로 착용되게 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분리하지 않는 한 이어폰이 사용도중에 이탈되지 않게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is stably worn on the user's outer ear, so that the earphone does not detach during use unless the user arbitrarily separates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이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하고도 모자, 헬멧 등을 착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user can wear a hat, helmet, etc. even if the user wears earphon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이에 착탈이 빈번한 이어폰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오랜 기간동안 이어폰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폰 하우징의 소재를 단단하고 매끄러운 가공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이어폰의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질이 끼어들지 않아 위생적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se of earphones detachable to the outer ear, the user can hygienically use the earphones for a long time. The material of the earphone housing is hard and smooth, so it is easy to clean the earphone and it is hygienic because foreign materials do not get in.

또한, 본 발명은 성형 이어폰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를 장착하여 휴대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서 음향기기 및 휴대폰 등에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microphone in order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lded ear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rphone th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sound equipment and mobile phones through the user's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몰딩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의 색상의 선택이 자유롭고, 그 내부에 문자 또는 비문자를 장식적인 요소로 하여 외관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외이에 접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캐릭터를 포함한 다양한 장식물품을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to choose the color of the molding housing and the housing cover, it is possible to give a variety of changes to the appearance by using letters or inscriptions as decorative elements therein. Various decorative items including characters may be attached to parts other than the outer ea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이 형상에 대응하는 성형 이어폰을 누구나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재료 및 장비가 갖춰지면 성형 이어폰을동일 방법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that anyone can easily manufacture a molded earphon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outer ear, and if the material and equipment is provided, the molded earphone can be repeatedly produced by the same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Claims (20)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몰딩으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몰딩 하우징 -상기 몰딩 하우징은 상기 특정인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이개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 및 고정부의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특정인의 상기 외이를 따라 근접하여 성형됨- ;At least one molding housing manufactured by mold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ear of a specific person, wherein the molding housing has an insert inserted into the outer ear of the specific person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ear; All or a portion of is molded in proximity along the outer ear of the particular person; 상기 몰딩 하우징 내에 각각 장착된 스피커;Speakers each mounted in the molding housing; 상기 스피커에 각각 장착된 접속단자;Connection terminals respectively mounted to the speakers; 상기 몰딩 하우징의 개구부를 각각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Housing covers respectively covering the openings of the molding housing; 상기 하우징 커버 일측을 통과하여 상기 접속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접속코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cord passing through the housing cover one side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connec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몰딩 하우징은 자외선 물질을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The molded housing is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ultraviolet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몰딩 하우징 또는 하우징 커버는 문자 또는 비문자를 구비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몰딩 하우징의 외부에서 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The molded housing or the housing cover includes display means having letters or non-letters, the display means being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molding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표시 수단은 문자 또는 비문자가 표현된 비닐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비닐 필름은 상기 몰딩 하우징이 몰딩 제작될 때 포함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The display means comprises a vinyl film in which letters or inscriptions are expressed, wherein the vinyl film is included and manufactured when the molding housing is mold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몰딩 하우징 일측과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측을 연결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은 상기 몰딩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is formed to connect one side of the molding housing and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the hole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ing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 코드의 일단과 연결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 및 접속코드와 연결된 제어부재, 상기 제어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코드 및 상기 연결 코드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플러그를 구비하며,A microphon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cord, a control member connected to the microphone and a connection cord, a connection cord connected to the control member, and a plug connected to and mounted on the connection cord,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마이크 및 접속코드의 접속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The control member is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connection of the microphone and the connection cor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코드의 반대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코드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이어폰.Molded earphon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plug which is mount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connection cord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rd independent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코드의 반대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코드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수단;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ans mounted to opposite ends of the connection cord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s and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rds;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수단에 장착 및 연결되는 마이크; 및A microphone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control means; And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수단에 일측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input and output means connected to one side to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control mean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수단은 제1 스위치 부재를 구비하며,The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ans has a first switch member, 상기 제1 스위치 부재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스피커 중 일부 스피커 및 마이크가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some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is intermittent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수단은 제2 스위치 부재를 구비하며,The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ans has a second switch member, 상기 제2 스위치 부재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일부 스피커가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The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of the speaker is interrup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수단은 제3 스위치 부재를 구비하며,The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ans has a third switch member, 상기 제3 스위치 부재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일부 스피커가 다른 스피커의 음원과 다른 음원으로 접속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The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of the part of the speaker to a different sound source than the sound source of the other speaker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switch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입출력 수단은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 제어수단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잭, 상기 플러그 잭에 대응하는 제1 플러그, 전기적 음향신호가 입출력되는 제2 플러그 및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 사이를 적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코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The input / output means may include at least one plug jack mounted on the speaker and microphone control means, a first plug corresponding to the plug jack, a second plug through which electrical sound signals are input and output, and between the first plug and the second plug.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onnection cord for connecting miraculously.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몰딩으로 제작된 몰딩 하우징을 구비하는 성형 이어폰을 제작하는 제작방법에 있어서,In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lded earphone having a molding housing made by mold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ear of a specific person, 시간 경과에 따라 경화되는 임프레션 물질이 제공되는 단계;Providing an impression material that cures over time; 상기 임프레션 물질이 주입 수단에 의해 상기 특정인의 외이에 주입되는 단계;Injecting the impression material into the outer ear of the particular person by injection means; 상기 임프레션 물질이 굳어 외이 모형이 성형되는 단계;Hardening the impression material to mold an outer model; 상기 외이 모형 주위에 투명 수지를 몰딩하여 몰딩 마스터가 제작되는 단계;Molding a transparent resin around the outer ear model to produce a molding master; 상기 몰딩 마스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인의 외이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몰딩 하우징이 제작되는 단계; 및Manufacturing the molding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ear of the specific person using the molding master; And 상기 몰딩 하우징에 스피커를 장착하고 상기 몰딩 하우징의 개구부를 하우징커버로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의 제작방법.And mounting a speaker on the molding housing an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molding housing with a housing cover.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임프레션 물질은 수지 및 수지에 대응하는 경화제가 혼합되어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의 제작방법.The impression material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resin and a curing agent corresponding to the resin is mixed.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수지로 프레실이 제공되며, 상기 프레실과 상기 경화제가 일대일로 혼합되어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의 제작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is provided with a presil, the presyl and the curing agent is provided in a one-to-one mixtur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주입 수단으로 주사기가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의 제작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syringe as the injection means.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외이 모형을 왁스에 담가 상기 외이 모형의 외면에 상기 왁스가 입혀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의 제작방법.And dipping the outer ear model in wax, wherein the wax is co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ear model.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투명 수지로 아가가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의 제작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ga as the transparent resin.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몰딩 하우징을 제작하는 단계는Producing the molding housing 자외선 물질이 상기 몰딩 마스터 안으로 주입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물질이 자외선 램프에 의해 경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의 제작방법.And injecting an ultraviolet material into the molding master and curing the ultraviolet material by an ultraviolet lamp.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몰딩 하우징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측을 연결하는 홀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이어폰 제작방법.And forming a hole connecting one side of the molding housing to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KR10-2001-0029682A 2001-05-29 2001-05-29 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 KR1003747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682A KR100374740B1 (en) 2001-05-29 2001-05-29 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682A KR100374740B1 (en) 2001-05-29 2001-05-29 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653A KR20010070653A (en) 2001-07-27
KR100374740B1 true KR100374740B1 (en) 2003-03-04

Family

ID=1971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682A KR100374740B1 (en) 2001-05-29 2001-05-29 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7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328B1 (en) * 2006-12-19 2008-06-17 장순석 Extruding method of ear shell for in-the-ear type hearing aids
KR100872680B1 (en) * 2007-03-02 2008-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of sound apparatus
KR101371671B1 (en) * 2012-10-25 2014-03-07 박병현 Custom-made type earphone
CN110380479A (en) * 2019-07-19 2019-10-25 常德沁音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arphone charging box of accurate display electri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653A (en)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018B1 (en) Adjustable earphones for personal audio and communication systems
US6091832A (en) Wearable personal audio loop apparatus
CA2470238C (en) Expandable in-ear device
US4791673A (en) Bone conduction audio listening device and method
CN201035260Y (en) Glasses integrating bone conduction technology
US5142587A (en) Intra-concha type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use with audio devices etc.
US3751608A (en) Sound receiver head set or ear phone
US6035961A (en) Earphone with a soft, compressible housing and adjustable earpiece loop
KR20050037435A (en) Portable telephone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JP2006526295A (en) Audio headset
US8391526B2 (en) Ear device for improved fit and sound
US20030002706A1 (en) Adjustable earphones for personal audio and communication systems
US8989418B2 (en) Ear device for improved fit and sound
CN103152658A (en) Finger Bluetooth loudspeaker box
KR100374740B1 (en) Molded earphone and method for manufaturing the earphone
US73674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ssive noise reduction
GB2355129A (en) Adaptor for coupling an earphone to a moulded ear piece
GB2376832A (en) Radio/telephone earpiece with modular construction
CN201114716Y (en) Earphone with porcelain internal shell cover and its transmitter
KR200228427Y1 (en) Necklace type hands free apparatus of mobile phone
JPS644398B2 (en)
JP2005045671A (en) Earphone device
KR20040003096A (en) Earmicrophone wherein speaker and mik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CN218976805U (en) Earphone
JPH0736634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