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421B1 - 렌치 - Google Patents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421B1
KR100373421B1 KR10-2000-0034756A KR20000034756A KR100373421B1 KR 100373421 B1 KR100373421 B1 KR 100373421B1 KR 20000034756 A KR20000034756 A KR 20000034756A KR 100373421 B1 KR100373421 B1 KR 10037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wrench
groove
bolt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314A (ko
Inventor
하태환
Original Assignee
하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환 filed Critical 하태환
Priority to KR10-2000-003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4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2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 B25B13/463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 direction radial to the tool operating axis a pawl engaging an externally toothed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4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of the ratch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인너레이스(22)와 아웃레이스(24) 사이에는 원통머리를 갖는 볼트/너트(30)류의 머리부(32)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는 일방향 클러치(60)가 설치되고, 상기 아웃레이스(24)에는 각종 공구에 결합되도록 결합수단이 형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방향 클러치(60)를 이루는 다수개의 로울러(26)가 경사면(24C)에 안내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원통형 머리부(32)에 밀착되거나 이격됨으로써, 협소한 장소에서 최소한의 작동거리로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고,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로울러(26)가 볼트의 머리부(32) 외주면에 일정하게 밀착되어 힘을 전달함으로써, 핸들로부터 과도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볼트나 너트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렌치{A WRENCH}
본 발명은 렌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너레이스와 아웃레이스 사이에는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 원통머리 볼트/너트를 최소한의 작동거리로 풀거나 조일 수 있고, 베어링과 볼트의 외주면이 밀착됨으로 조이거나 푸는 힘이 최대한 전달될 수 있는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나 너트는 상호 체결되어 자재를 결합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볼트나 너트는 조임공구 즉, 렌치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공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칫핸들(1)은 내경이 다각으로 형성된 소켓렌치(2)와 결합되어 볼트(3)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래칫핸들(1)은 상기 소켓렌치(2)를 볼트(3)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연속하여 볼트(3)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래치수단(4)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핸들(1)을 이용하여 볼트(3)를 조일 경우에는 래치(4-2)가 반드시 톱니(4-1)의 간격(t)을 벗어나야만 연속조임이 가능하게 되었던 것이다. 즉, 좁은 공간에서 상기 래칫핸들(1)을 이용하여 볼트(3)를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조일 경우에, 상기 래치(4-2)가 톱니(4-1)의 간격(t) 이상으로 움직여야만 다음 조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렌치(2)를 이용하여 다각의 볼트(3)를 조이거나 풀 경우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볼트(3)의 모서리부(3-1)가 손상되어 볼트(3)의 조임이나 풀림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상기 소켓렌치(2)가 볼트(3)에 결합되고, 상기 소켓렌치(2)와 래칫핸들(1)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3)를 조이기 위하여 상기 래칫핸들(1)에 과도한 힘을 작용시키게 되면, 상기 볼트(3)의 모서리부(3-1)가 손상되어 상기 소켓렌치(2)가 헛도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소켓렌치(2)의 걸림부(2-1)에 볼트(3)의 모서리부(3-1) 일부만 접촉되고 있었고, 래칫핸들(1)에 의해 발생된 힘이 일부접촉부에 집중됨으로써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협소한 장소에서 최소한의 작동거리로 볼트나 너트를 연속적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고, 핸들로부터 발생된 힘이 볼트나 너트의 외주면 전체에 일정하게 작용하게 됨으로 볼트나 너트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조임력이나 풀림력이 향상될 수 있는 렌치를 제공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한 렌치와 타 공구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2a는 렌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고, 2b는 소켓렌치와 볼트의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렌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렌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렌치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인너레이스 24 : 아웃레이스
28C : 접촉면 30 : 머리부
40 : 렌치 42 : 걸림홈
44 : 걸림돌기 50 : 래칫핸들51 : 손잡이부 52 : 스패너53 : 연결부재 54 : 돌출부60 : 일방향 클러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너레이스와 아웃레이스 사이에는 원통형의 머리부를 갖는 볼트/너트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는 일방향 클러치가 설치되고, 상기 아웃레이스에는 타 공구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20"은 렌치이고, "40"은 소켓렌치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렌치(20)는 인너레이스(22)와 아웃레이스(24) 사이에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는 일방향 클러치(60)가 설치되고, 아웃레이스(24)의 외주면에는 소켓렌치(40)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치(20)는 아웃레이스(24)와 인너레이스(22)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는 일방향 클러치(60)가 설치된다.
이러한 렌치(20)는 원통형상의 머리부(32)를 갖는 볼트/너트(30)에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머리부(32)의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6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레이스(24)의 내주면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4C)를 구비한 설치홈(24A)이 조를 이루어 수직(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설치홈(24A)에는 로울러(26)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되, 각 로울러(26)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경사면(24C)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로울러(26)의 양단에는 걸림돌부(26A)가 돌설된다. 이러한 걸림돌부(26A)는 상기 로울러(26)가 설치홈(24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로울러(26)가 인너레이스(22)와 아웃레이스(24)에 설치되면, 상기 각 로울러(26)는 인너레이스(22)에 의해 렌치(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인너레이스(22)는 상기 각 로울러(26)를 여로 조로 나누어 구분하며, 각 로울러(26)를 구속하여 상기 아웃레이스(24)의 설치홈(24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설치홈(24A)의 확개부(B)에는 상기 각 로울러(26)를 협소부(A)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6B)가 설치되어 평상시에 상기 각 로울러(26)가 협소부(A) 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아웃레이스(24)의 외주면에는 결합수단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결합수단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기(28A)로 구성된다. 즉, 상기 삽입돌기(28A)는 소켓렌치(40)와 같이 폐쇄된 각종 렌치(40)의 내경에 형성된 걸림홈(4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의한 렌치(20)와 다각형상의 렌치(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이한 제 1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들면 래칫핸들(50)에 내부가 다각형상인 소켓렌치(40)를 결합시키고, 상기 소켓렌치(40) 내부에 본 발명에 의한 렌치(20)를 결합시키되, 상기 렌치(20)의 아웃레이스(24)에 형성된 각 삽입돌기(28A)가 상기 렌치(40)의 걸림홈(42)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렌치(20)를 원통형 머리를 갖는 볼트/너트(30)의 머리부(32)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머리부(32)가 렌치(20)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렌치(20)에 머리부(32)가 삽입되면, 상기 래칫핸들(50)을 도 4의 화살표(7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래칫핸들(50)을 화살표(71)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각 로울러(26)는 상기 설치홈(24A)의 경사면(24C)에 안내되어 협소부(A)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머리부(32)의 외경과 협소부(A) 측의 경사면(24C)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조임방향(화살표(72) 방향)으로는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어 상기 머리부(32)는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협소부(A) 측의 경사면(24C)과 머리부(32)의 간격(t1)은 확개부(B) 측의 경사면(24C)과 머리부(32)의 간격(t2)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로울러(26)은 협소부(A) 측으로 이동할 수록 상기 머리부(32)와 경사면(24A) 사이에 끼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각 로울러(26)의 외주면이 상기 머리부(3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볼트의 조임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렌치(20)에 방사형으로 다수개 설치된 각 로울러(26)는 상기 머리부(32)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핸들(51)로부터 발생된 힘은 상기 머리부(32)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래칫핸들(50)을 화살표(73) 방향으로 리턴시키게 되면, 상기 협소부(A) 측의 경사면(24C)과 머리부(32) 외경 사이에 위치한 로울러(26)는 상기 경사면(24C)에 안내되어 화살표(74)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확개부(B)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32)는 회전되지 않게 되나 상기 래칫핸들(50)은 용이하게 리턴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협소부(A) 측의 경사면(24C)으로 이동되어 상기 머리부(32)를 가압하고 있던 각 로울러(26)가 확개부(B)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머리부(32)는 정지된 상태이나 상기 래칫핸들(50)은 화살표(73)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래칫핸들(50)을 화살표(71)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각 로울러(26)는 다시 상기 협소부(A) 측의 경사면(24C) 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같이 상기 각 로울러(26)가 확개부(B) 측에서 협소부(A)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머리부(32)는 다시 조여질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상기 볼트/너트(30)는 연속하여 조여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래칫핸들(50)의 작동거리(L1)가 최소화되더라도 상기 머리부(32)는 조여질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경사면(24C)의 길이(L2)가 상기 로울러(26)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로울러(26)가 조금만 회전되어도 상기 머리부(32)에 밀착되거나 이격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경사면(24C)이 급경사를 이루면서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울러(26)가 1/3 회전만 하더라도 상기 로울러(26)는 머리부(32)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래칫핸들(50)의 작동거리(L1)는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볼트/너트(30)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로울러(26)의 크기나 경사면(24C)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작동거리(L1)는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머리부(32)가 화살표(71) 방향으로 조여진 상태에서 이를 화살표(74) 방향으로 풀기 위해서는 상기 렌치(20)를 머리부(32)로부터 분리시킨 후, 뒤집어서 다시 결합시킨다. 즉, 최초 소켓렌치(40)의 내부로 삽입되었던 부분이 상기 머리부(32) 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결합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칫핸들(50)을 작동시켜 볼트/너트(30)를 풀어낸다.
이와 같이, 상기 볼트/너트(30)가 풀어지는 과정은 전술한 작동과정과 동일하고,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볼트/너트(30)의 풀림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렌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렌치(40)에 결합되는 아웃레이스(24)의 외주면에 삽입홈(28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아웃레이스(24)의 삽입홈(28B)에 상기 렌치(40)의 걸림돌기(44)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렌치(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레이스(24)의 외주면이 다각형의 접촉면(28C)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접촉면(28C)은 스패너(52)와 같은 개구된 공구의 내측면(52A)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다각형의 접촉면(28C)이 형성된 렌치(20)는 폐쇄된 렌치(40) 뿐만 아니라, 스패너(52)와 같은 개구된 공구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렌치(20)는 도 7a,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레이스(24)에 손잡이부(51)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렌치(20)에 손잡이부(51)가 형성됨으로써, 렌치(20)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51)를 취부하여 상기 렌치(20)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부(51)에 별개의 핸들을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 5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레이스(24)에 돌출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4)의 단부에 끼움홈(24E)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4E)의 내면에 걸림홈(24D)이 형성되고, 이러한 끼움홈(24E)에는 상기 걸림홈(24D)에 걸림/해제되는 볼스톱퍼(53B)가 설치된 끼움단(53A)을 구비한 연결부재(53)가 결합되는 것이다.즉, 상기 끼움단(53A)이 끼움홈(24E)에 삽입되어 상기 볼스톱퍼(53B)가 걸림홈(24D)에 걸리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53)는 돌출부(54)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아웃레이스(24)에는 끼움홈(24E)이 형성된 돌출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53)에는 볼스톱퍼(53B)를 구비한 끼움단(53A)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단(53A)이 끼움홈(24E)에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상기 렌치(20)의 분리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타 공구와의 연결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렌치는 일방향 클러치를 이루는 다수개의 로울러가 경사면에 안내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원통형 머리부에 밀착되거나 이격됨으로써, 협소한 장소에서 최소한의 작동거리로 볼트나 너트를 연속하여 조이거나 풀 수 있고,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로울러가 볼트의 머리부 외주면에 일정하게 밀착되어 힘을 전달함으로써, 핸들의 조임력 및 풀림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핸들로부터 과도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볼트나 너트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고, 다양한 실시예의 결합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렌치의 사용이 용이하게 되고, 렌치와 타 공구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아웃레이스(24)의 내주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4C)을 구비하여 협소부(A)와 확개부(B)가 형성된 설치홈(24A)이 조를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4A)에는 양단에 걸림돌부(26A)가 돌출 형성된 로울러(26)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로울러(26)를 구분하기 위한 인너레이스(22)가 상기 아웃레이스(24)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설치홈(24A)의 일측에 형성된 확개부(B)에 설치되어 상기 각 로울러(26)를 협소부(A)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26B)가 설치되어 원통형의 머리부(32)를 갖는 볼트/너트(30)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도록 된 일방향 클러치(60); 및
    상기 아웃레이스(24)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소켓렌치(40)의 각 걸림홈(42)에 걸리는 다수개의 삽입돌기(28A)로 이루어진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3. 삭제
  4. 아웃레이스(24)의 내주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4C)을 구비하여 협소부(A)와 확개부(B)가 형성된 설치홈(24A)이 조를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4A)에는 양단에 걸림돌부(26A)가 돌출 형성된 로울러(26)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로울러(26)를 구분하기 위한 인너레이스(22)가 상기 아웃레이스(24)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설치홈(24A)의 일측에 형성된 확개부(B)에 설치되어 상기 각 로울러(26)를 협소부(A)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26B)가 설치되어 원통형의 머리부(32)를 갖는 볼트/너트(30)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도록 된 일방향 클러치(60); 및
    상기 아웃레이스(2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스패너(52)의 각 내측면(52A)에 접촉되는 다각의 접촉면(28C)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5. 아웃레이스(24)의 내주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4C)을 구비하여 협소부(A)와 확개부(B)가 형성된 설치홈(24A)이 조를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4A)에는 양단에 걸림돌부(26A)가 돌출 형성된 로울러(26)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로울러(26)를 구분하기 위한 인너레이스(22)가 상기 아웃레이스(24)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설치홈(24A)의 일측에 형성된 확개부(B)에 설치되어 상기 각 로울러(26)를 협소부(A)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26B)가 설치되어 원통형의 머리부(32)를 갖는 볼트/너트(30)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도록 된 일방향 클러치(60); 및
    상기 아웃레이스(24)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5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6. 아웃레이스(24)의 내주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4C)을 구비하여 협소부(A)와 확개부(B)가 형성된 설치홈(24A)이 조를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4A)에는 양단에 걸림돌부(26A)가 돌출 형성된 로울러(26)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로울러(26)를 구분하기 위한 인너레이스(22)가 상기 아웃레이스(24)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설치홈(24A)의 일측에 형성된 확개부(B)에 설치되어 상기 각 로울러(26)를 협소부(A)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26B)가 설치되어 원통형의 머리부(32)를 갖는 볼트/너트(30)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도록 된 일방향 클러치(60); 및
    상기 아웃레이스(24)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는 끼움홈(24E)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4E)의 내면에는 걸림홈(24D)이 형성된 돌출부(54);
    상기 끼움홈(24E)에 삽입되는 끼움단(53A)이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단(53A)에는 상기 걸림홈(24D)에 걸림/해제 되는 볼스톱퍼(53B)가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54)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KR10-2000-0034756A 2000-06-23 2000-06-23 렌치 KR10037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756A KR100373421B1 (ko) 2000-06-23 2000-06-23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756A KR100373421B1 (ko) 2000-06-23 2000-06-23 렌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981U Division KR200203409Y1 (ko) 2000-06-23 2000-06-23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314A KR20020000314A (ko) 2002-01-05
KR100373421B1 true KR100373421B1 (ko) 2003-03-04

Family

ID=1967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756A KR100373421B1 (ko) 2000-06-23 2000-06-23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7334B2 (ja) * 2002-07-09 2008-10-01 株式会社日研工作所 スパナ
US8955414B2 (en) 2013-02-14 2015-02-17 ToolTech, LLC Nut removal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314A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6565B2 (en) Structure of an anti-burglar screw bolt
US5186501A (en) Self locking connector
KR910009754B1 (ko) 스크류-형 체결장치
KR930700782A (ko) 록킹 패스너
US6347915B1 (en) Lock washer for threaded fasteners
EP0474773B1 (en) An arrangement for locking a shaft to a machine member
JPH0283105A (ja) 締め付け具
US7197964B2 (en) Wrench
US20090067948A1 (en) Fastening Device
GB2272951A (en)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threaded fasteners
US5687623A (en) Reversible socket wrench
KR100373421B1 (ko) 렌치
KR200203409Y1 (ko) 렌치
WO2012026513A1 (ja) 管継手
CA2234179C (en) Rotary wrenching tool
JPH05202920A (ja) ナット
US20040221688A1 (en) Socket for a wrench
KR200145054Y1 (ko) 볼트/너트 풀림방지장치
KR100404237B1 (ko) 조임공구
WO2019224526A1 (en) A connector
KR200238474Y1 (ko) 철근 이음구
KR100373422B1 (ko) 렌치
KR100422126B1 (ko) 렌치
US20050087043A1 (en) Fastener driving tool
KR0149333B1 (ko) 과조임 방지용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