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792B1 -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72792B1 KR100372792B1 KR10-1999-0027369A KR19990027369A KR100372792B1 KR 100372792 B1 KR100372792 B1 KR 100372792B1 KR 19990027369 A KR19990027369 A KR 19990027369A KR 100372792 B1 KR100372792 B1 KR 100372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reinforcing
- reinforcement
- connection
- fill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 철골조의 역할을 제공 할 뿐 아니라 시공시 조립판넬의 연결을 쉽게 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성 향상 및 시공시간을 단축 하도록 하기 위하여 경량의 단열재 성분을 포함하는 단열재층으로 구성된 조립판넬에 있어서, 시공시 다른 판넬과의 연결 및 각도조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다른 판넬과 접촉하는 최소한 하나의 면에 위치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피봇 연결부를 구비하고 단열재층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 중의 최소한 한 곳에 설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보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판넬 및 이것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측벽 또는 지붕 등의 내장층을 구성하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 철골조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시공시 조립 판넬의 연결 및 각도조정을 쉽게 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성 향상 및 시공시간을 단축 하도록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거푸집 설치 작업과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필요로 하는 기존의 거푸집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은 건축비용을 줄이고 공기를 단축하기 위하여 스치로폼 등과 같은 경량 단열재와 얇은 알루미늄 또는 양철 외판으로 구성된 판넬 또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콘크리트 판넬을 현장에서 오목 또는 볼록홈을 갖는 연결부를 사용하여 직선형으로 조립하는 직선형 판넬을 이용한 시공방법으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선형 판넬 시공방법은 작업성 향상을 통해 공기를 단축하고 건축비용을 줄이는데는 획기적이었으나, 오목 및 볼록홈 등을 이용하여 직선 형태로 연결하는 판넬의 구조적인 특성상, 현대 건축물이 요구하는 곡선미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곡면 벽 또는 곡면 지붕을 건축하기에는 부적당 하였다.
곡면 벽 또는 곡면지붕을 갖는 건축물을 직선형 판넬 시공방법과 같이 적은 비용으로 건축하기 위하여, 현재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립판넬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조립판넬(10)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격자 형태의 상부 및 하부 와이어망(11, 13)과, 상부 및 하부 와이어망 (11, 13) 사이에 배치된 스치로폼층(12)과, 스치로폼 층(13)을 가로 질러 지그재그식으로 상부 및 하부 와이어망에 연결된 상하부 와이어망 연결부(14)로 구성된다.
다수의 조립판넬(10)들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와이어(16)로 연결되어 건물의 벽 또는 지붕의 곡선 또는 직선 벽의 내장층을 이루며, 상부 및 하부 와이어망(11, 13)에 콘크리트가 입혀져 건물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조립판넬 시공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계된 곡면 형태의 기본 철근골조(15)를 구성하고, 그 위에 조립판넬(10)을 올려 놓고 와이어(16) 등을 사용하여 기본 철근골조(15)와 조립판넬(10), 및 판넬(10)과 판넬(10)사이를 수작업으로 연결한다.
판넬(10)들이 와이어(16)에 의해 기본 철근골조(15)에 연결된 후, 조립판넬(10)들의 상부 및 하부 와이어망(11, 13) 및 기본 철근골조(15)는 고압 콤프레셔에 의해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레미탈 기계에 의해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입혀진다.
판넬(10)과 기본 철근골조(15)에 입혀진 모르타르가 양생된 후, 향토흙과 백시멘트의 혼합재료, 수성 또는 유성 페인트 등을 칠하거나, 나무, 판지 등과 같은 내장재로 마감하면 건물은 완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판넬 시공방법은, 판넬(10)들을 설치하기 전에 필수적으로 기본 철근골조(15)를 구성 하여야 하고, 판넬(10)을 설치하기 위해 판넬(10)과 판넬(10) 및 판넬(10)과 기본 철근골조(15)를 와이어(16)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 등 다량의 시간과 인력을 요구하는 작업공정이 필요 하였다.
또한, 판넬(10)을 기본 철근골조(15)에 설치한 후에도 모든 판넬(10)의 상부 및 하부 와이어망(11, 13)에 콘크리트 입히기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시간 만큼 공사기간이 지체 되고, 이에따라 건축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 철골조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시공시 조립 판넬의 연결 및 각도조정을 쉽게 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성 향상 및 시공시간을 단축 하도록 하는 보강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을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시 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콘크리트 입히기 작업부위를 대폭 축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콘크리트 양생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공기 및 건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량의 단열재 성분을 포함하는 단열재층으로 구성된 조립판넬에 있어서, 시공시 다른 판넬과의 연결 및 각도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다른 판넬과 접촉하는 최소한 하나의 면에 위치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피봇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재층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 중의 최소한 한 곳에 설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보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판넬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립판넬은 단열재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졌을 때 외부 충진재와 단열재층과의 접합을 유지하고 외부 충진재에 대한 보조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상부 및 하부 보강부와, 단열재층을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보강부를 연결하는 보강부 연결부를 포함한다.
조립판넬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는 와이어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수의 돌출 경사판을 일체 형성한 판, 또는 위가 잘린 역원추형 단면형태의 오목홈을 갖는 판으로도 구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재층은 스치로폼,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직물조각, 철사조각, 대나무 조각, 솜, 내화성 물질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혼합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의 피봇연결부는 원형 고리부와, 이 원형 고리부와 다른 판넬의 피봇 연결부의 원형 고리부를 서로 체결하는 보울트 및 너트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는 판넬과 판넬 사이에 추가 보강부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스페이스부와, 판넬과 판넬 사이의 연결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하기 위한 보조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의 단열재 성분을 포함하는 단열재층과, 단열재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외부 충진재와 단열재층과의 접합을 유지하고 외부 충진재에 대한 보조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상부 및 하부 보강부와, 단열재층을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보강부를 연결하는 보강부 연결부와, 시공시 다른 판넬과의 연결 및 각도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다른 판넬과 접촉하는 최소한 하나의 면에 위치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피봇 연결부를 구비하는 외부 충진재가 입혀졌을 때 외부 충진재에 대한 주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보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판넬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설치할 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피봇 연결부에 대응하는 바닥 위치에 상응 피봇 연결부를 설치하는 기초공사 단계와, 벽체, 지붕 등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에 설치된 피봇 연결부와 설치할 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피봇 연결부 및 설치할 판넬과 설치된 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피봇 연결부를 서로 결합하는 단계와, 피봇 연결부가 서로 결합된 바닥과 판넬 및 판넬과 판넬 사이의 공간을 외부 충진재로 충진하는 단계와, 외부 충진재가 양생된 후 조립판넬면과 양생된 외부 충진재면을 페인트칠 또는 내외장재로 마감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건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발명의 방법은 바닥과 판넬 및 설치할 판넬과 설치된 판넬 사이에 추가 보강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조립판넬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에 외부 충진재를 사전에 충진 및 양생해 놓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외부 충진재를 사전에 충진 및 양생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조립판넬의 피봇 연결부들을 서로 결합하는 상기 단계전에 외부 충진재의 충진 및 양생을 완료하고 외부 충진재를 사전에 충진 및 양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바닥과 판넬 및 패널과 판넬 사이의 공간을 외부 충진재로 충진하는 상기 단계와 병행하여 조립판넬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에 외부 충진재를 충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도는 건물의 내장층을 구성하는 종래의 조립판넬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조립판넬을 사용하여 시공한 하우스의 부분 절개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조립판넬을 기본 철골조에 부착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의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본 발명의 조립판넬을 보강 연결부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제6도는 제4도 및 제5도의 본 발명의 조립판넬의 보강 연결부를 구성하는 고정 스페이스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고정 스페이스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제4도 및 제5도의 본 발명의 조립판넬의 보강 연결부를 구성하는 각도 조정용 보조 연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조립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각도조정용 보조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조립판넬의 각도조정용 보조 연결부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를 갖는 본 발명의 조립판넬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를 갖는 본 발명의 조립판넬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조립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30, 50, 60, 70: 조립판넬
11, 13, 31, 33, 51, 53, 61, 63: 보강부
14, 34, 54, 64: 보강부 연결부
32, 52, 62: 단열재층
35: 보강 연결부
38: 피봇 연결부
40, 40': 고정 스페이스부
45, 45': 보조 연결부
이와 같이 다수개가 결합하여 건물의 측벽, 지붕, 계단 등과 같은 벽체의 내장층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조립판넬(30)을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 및 제5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조립판넬(30)은 경량의 단열재 성분을 포함하는 단열재층(32)과, 단열재층(32)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보조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상부 및 하부 보강부(31, 33)와, 단열재층(32)을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보강부(31, 33)를 연결하는 보강부 연결부(34)와, 시공시 다른 판넬과의 연결을 쉽게 하고 주 보강골조의 기능을 제공하는 보강 연결부(35)로 구성된다.
조립판넬(30)의 단열재층(32)은 상부 및 하부 사각형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ㄴ 자형 홈 형상을 갖는 외부 충진재, 즉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절개부(36, 36')와, 다른 조립판넬의 단열재층과 결합하여 모르타르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평면 또는 톱니홈과 같은 적당한 형태를 갖는 접촉면(37)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절개부(36, 36')는 예시를 위해 ㄴ 자형 홈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 하였지만, 톱니형태 또는 요홈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모르타르가 충진되어 양호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변경 할 수 있다. 단열재층(32)은 일반 스치로폼 또는 내화 스치로폼과 같이 단열성이 우수한 경량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완성된 건물의 벽체의 강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스치로폼과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단열재층이나, 스치로폼과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외에 강도를 강화할 수 있는 직물조각, 철사조각, 대나무조각, 솜, 내화성 물질 등을 첨가한 단열재층으로 구성 할 수 있다.
조립판넬(30)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31, 33)는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입혀 졌을 때 모르타르를 제위치에 유지하고 모르타르에 대해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도록 격자형태로 배열된 와이어망으로 구성되며, 단열재층(32)을 지그재그식으로 관통하는 보강부 연결부(34)에 의해 단열재층(32)의 상 하부쪽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격 유지된다.
상부 및 하부 보강부(31, 33)는 공사환경에 따라 공사현장에서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 할 수 도 있지만, 건축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가장자리 부분만을 제외한 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 미리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을 완료 한 후 공사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판넬(30)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31, 33)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돌출 경사판(55)을 소정간격으로 융기하여 형성한 양철 또는 프라스틱재의 상부 및 하부 판(51, 53)을, 단열재층(52)을 지그재그식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와이어로 구성된 보강부 연결부(54)로 연결하여 구성하거나,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가 잘린 역원추형 단면형태의 세로 오목홈(65)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열한 양철 또는 프라스틱재의 상부 및 하부판(61, 63)을, 단열재층(62)을 지그재그식으로 관통하는 와이어와 같은 다수의 연결부로 구성된 보강부 연결부(64)로 연결하여 구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판넬(30)의 보강 연결부(35)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철근으로 구성되며 井자 형상을 가지고 하부 보강부(33) 아래에 용접, 또는 와이어연결 등과 같은 적당한 방법에 의해 부착된 몸체(39)와, 몸체(39)의 끝단에 배치되고 판넬과 판넬의 연결각도를 조정하면서 판넬과 판넬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피봇 연결부(38)와, 판넬과 판넬 사이에 철근, 철봉 또는 와이어를 꼰 와이어선과 같은 추가 보강부(41)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스페이스부(40)와, 판넬과 판넬 사이의 연결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한 보조 연결부(45)를 포함한다.
보강 연결부(35)의 피봇 연결부(38)는 몸체(39)의 끝단에 배치된 원형고리부와, 이 원형고리부와 다른 판넬의 피봇연결부의 원형고리부를 서로 체결하는 보울트 및 너트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목 할 것은 몸체(39)가 井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 하였으나, 다수의 격자를 갖는 형태와 같이 부가 보강부를 갖는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구성 재료도 철근 외에 H형 빔, 또는 다수의 와이어를 꼰 와이어선으로 구성 할 수 있다.
또, 피봇 연결부(38)가 몸체(39)의 끝단 모두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으나, 판넬과 판넬 사이의 연결을 지지할 정도, 즉 판넬과 판넬 사이의 접촉면 당 1 개소에만 배치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피봇 연결부(38)가 몸체(39)와 일체 형성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 하였으나, 몸체와 별도로 상부 및 하부 보강부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충진 및 성형시 함께 고정 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이해 할 수 있다.
또한, 피봇 연결부의 형태도 원형 고리부와 보울트 및 너트 체결방법 외에, 내외면에 평행한 암수치차를 갖는 기어부를 사용하여 기어부를 서로 결합하면 필요한 굴곡 각도로 판넬과 판넬이 서로 고정 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사슬 또는 경첩부를 사용하여 판넬과 판넬이 서로 유동성을 가지고 고정 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판넬과 판넬 사이의 각도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형태로 구성 할 수 있을 것이다.
피봇 연결부들이 체결되는 판넬과 판넬 사이의 공간 반대쪽에 철봉, 철근 또는 와이어를 꼰 와이어선으로 구성된 추가 보강부(41)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스페이스부(40)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 연결부(38)의 원형고리부와 함께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 고리부(42)와, 추가 보강부(41)를 수용지지 하는 중간 고리부(43)와, 고정 스페이스부(40)를 상부 보강부(31)에 묶어서 고정지지 하는 단부(44, 44')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 스페이스부(40)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을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 또는 고정 스페이스부(40)의 단부를 상부 보강부(31)에 묶는 작업을 줄이기 위해 상부 보강부(31)에 묶는 단부(44")가 하나인 고정 스페이스부(40')로 대체 될 수도 있다.
또, 고정 스페이스부(4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층건물 시공시와 같이 추가 보강을 위해 피봇 연결부들이 연결되는 패널과 패널사이의 공간쪽에 추가 보강재를 설치 할 경우에 대비하여 피봇 연결부와 함께 보울트 체결되는 하부 고리부(42) 근처에 추가 보강재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보조 고리부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보강부(41)를 수용지지 하는 중간 고리부(43)는 원형 고리형태 외에 H형 빔과 같은 다른 형태의 추가 보강부를 사용 할 경우에 대비하여 이를 수용하기에 적당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판넬과 판넬 사이의 연결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보조 연결부(45)는 굴곡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판넬과 판넬을 소정각도 이상으로 굽혀서 연결할 경우 단열재층(32)의 접촉면(37)이 서로 간섭되어 굽혀지지 않거나, 또는 서로 벌어져서 한쪽에서 타설한 모르타르가 다른쪽으로 흘러내릴 가능성이 있는 경우 접촉면이 적당한 접촉을 유지하면서 각 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원형 고리부가 서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 연결부(38)의 원형 고리부와 보울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상하부 고리부(46, 48)와, 굴곡시키고자 하는 벽체의 각도에 따라 설정되는 길이를 갖는 연결부(47)로 구성된다.
연결부(47)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도가 커질수록 길이가 길어지고, 굴곡곡도가 작을수록 길이가 작아지며, 시공 전에 굴곡각도를 감안하여 필요한 길이의 연결부(47)를 갖는 보조 연결부(45)가 준비된다.
굴곡각도에 따라 필요한 보조 연결부(45)를 준비하는 것이 번거로울 경우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각도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연결부(45')로 대체 할 수 있다.
보조 연결부(45')는 서로 이격된 각각의 원형 고리부를 보조 연결부(45')의 적당한 구멍부에 맞춘 다음 보울트와 너트로 조움으로서 간단히 판넬과 판넬을 소정각도로 연결 및 고정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조립판넬의 작용효과를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 방법을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시공할 건물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돔형 건물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건물을 신축 할 대지의 바닥에 설계도에 따라 벽을 구성할 패널(30)의 보강 연결부(35)의 피봇 연결부(38)에 대응하는 바닥위치에 고리모양의 상응하는 피봇 연결부를 갖는 골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 한다.
기초 콘크리트가 양생 된 후, 벽체를 형성할 위치에, 크레인 등과 같은 적당한 기구를 사용하여 하부 보강부(33)가 실내측이 되도록 상부 및 하부 보강부(31, 33)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한 제1 조립 판넬(30)을 세우고, 제1 판넬(30)의 보강 연결부(35)의 피봇 연결부(38), 대응하는 기초 골조의 피봇 연결부,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정 스페이스부(40')의 하부 고리부(42')를 보울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고정 스페이스부(40')의 단부(44")는 제1 판넬(30)의 상부 보강부(31)의 가장자리 와이어에 감겨져 고정된다.
제1 판넬(30)이 설치된 후, 제2 판넬이 제1 판넬(30)과 인접하게 벽체를 설치할 바닥위치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다.
제1 판넬(30)과 제2 판넬 사이의 연결은 제1 및 2 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피봇 연결부 들과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정 스페이스부(40)를 보울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진다. 이때, 고정 스페이스부(40)의 단부(44, 44')는 각각 제1 판넬(30)과 제2 판넬의 상부 보강부의 가장자리 와이어에 감겨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판넬들을 벽체를 형성 할 바닥을 따라 설치한후, 철근등으로 구성된 추가 보강부(41)를 설치된 고정 스페이스부(40')의 상부 고리부(43')를 통해 끼워 넣고 적당한 간격으로 와이어를 사용하여 고정 스페이스부와 함께 묶어서 고정하면, 조립판넬과 바닥과의 1차열의 판넬 연결작업은 완료된다.
다음으로, 바닥위에 설치된 1차열 판넬들위에 2차열의 제1 판넬이 크레인등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올려진다.
1차열과 2차열의 판넬들이 보조 연결부(45)를 사용하지 않고 판넬의 피봇연결부들을 피봇식으로 연결하여 굴곡각도를 조정하더라도 단열재층(32)의 접촉면(37)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잘 접촉하여 이격되지 않을 정도, 즉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흘러 내리지 않을 정도로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 하면, 1차열과 2차열의 판넬들과 2차열의 판넬들 사이의 피봇 연결부와 고정 스페이스부(40)의 연결 및 추가 보강부의 설치방법은 피봇연결부(38)들을 소정각도를 굴곡시켜 체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1차열과 2차열의 판넬들이 보조 연결부(45)를 사용하지 않고 판넬의 피봇연결부들 만으로 굴곡각도를 조정하여 연결하는 경우 단열재층(32)의 접촉면(37)들이서로 이격되어 모르타르가 흘러 내리거나, 접촉면들이 너무 간섭되어 굽혀지지 않아 연결자체가 불가능 한 것으로 가정 하면, 1차열의 판넬의 피봇연결부(38)와 2차열의 판넬의 피봇연결부의 연결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들의 연결 중심축을 이동시켜 단열재층(32)의 접촉면(37)들이 모르타르를 흘러 내리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보조 연결부(45)를 사용하여 이루어 진다.
즉,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1차열의 판넬위에 2차열의 판넬을 필요한 굴곡각도로 올려 놓은 후, 굴곡 각도에 맞는 연결부(47)의 길이를 갖는 보조 연결부(45)가 선택되고, 보조 연결부(45)의 하부 고리부(46)는 1차열의 판넬의 피봇 연결부(38)에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 고리부(48)는 2차열의 판넬의 피봇연결부에 연결된다.
고정 스페이스부(40)의 하부 고리부(42)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연결부(38)와 보조 연결부(45)와의 연결시 1차열의 판넬의 피봇연결부(38) 또는 2차열의 판넬의 피봇연결부중의 한 곳에 함께 연결되며, 단부(44, 44')들은 각각 1차열 및 2차열의 판넬의 상부 보강부의 가장자리 와이어에 감겨서 묶여진다.
추가 보강부(41)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고정 스페이스부(40)의 상부 고리부(43)를 통해 끼워 넣어지고, 적당한 간격으로 와이어에 의해 고정 스페이스부와 묶여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설계도의 굴곡각도에 따라 판넬과 판넬의 연결을 반복하면 1차 건물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또, 위에서는 벽체를 시공하는 것만 설명 하였지만, 지붕, 층간, 계단 등도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판넬과 판넬의 연결방법으로 완성된다.
또한, 패널들을 위쪽으로 1열, 2열 쌓아가거나, 특별한 외관구조를 구성하다 보면, 벽의 단부와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기본크기의 판넬외에 자투리 판넬부분이 필요할 경우가 생기는데 이경우에는 기본 판넬을 필요에 맞게 잘라서 쓰거나, 미리 기본 판넬의 1/2. 1/3, 1/4 등으로 규격화한 자투리 부분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건물의 골격이 완성되면, 피봇 연결부들이 서로 결합되고 추가 보강부가 설치된 바닥과 판넬 및 판넬과 판넬 사이의 연결공간은 고압 콤프레셔를 사용하여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뿜어내는 레미탈 기계나, 수작업에 의하여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입혀진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위에서는 모르타르를 입히는 작업을 1차 건물의 골격이 완성되는 시점에서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판넬과 다른 판넬이 연결된후, 또는 1열의 판넬들이 연결된 후 등과 같이 수시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위에서는 사전에 상부 및 하부 보강부의 전체부분 또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 모르타르를 충진 및 양생해 놓은 조립 판넬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시공환경에 따라 상부 및 하부 보강부에 모르타르를 충진 및 양생하지 않는 조립판넬을 사용하여 1차 건물의 골격을 완성 한 후, 위의 모르타르를 입히는 작업시 이 부위도 함께 모르타르를 타설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입혀진 모르타르가 양생된 후, 조립판넬면과 양생된 모르타르면을 페인트칠하거나, 황토흙과 백시멘트로 구성된 혼합재료로 덧쒸우거나, 또는 내외장재로 마감함으로서 건물은 완성된다.
제13도는 상부 및 하부 보강부에 각각 고정된 상부 및 하부 보강 연결부 (71, 72)를 갖는 본 발명의 조립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조립판넬(70)과 이것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은 상부 보강 연결부(71)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추가 보강부를 설치할 경우 제4도와 제5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보강 연결부(38)의 고정 스페이스부(40)를 별도로 사용 할 필요 없이 추가 보강부를 상부 보강 연결부(71) 사이로 끼운 다음 와이어로 묶으면 간단히 설치 될 수 있다는 점과, 상 하부 모두에 보강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필요시 제4도와 제5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보강 연결부(38)와는 반대로 상부 보강 연결부(71)가 피봇 연결부의 역할을 갖도록 하고 하부 보강 연결부(72)는 추가 보강부를 수용지지 하도록 하거나, 상부 및 하부 보강 연결부(71, 72) 모두가 피봇 연결부의 역할 또는 추가 보강부를 수용 지지하는 역할만 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4도에 도시한 조립판넬(30)의 구조와 원리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은 보강 연결부가 보강 철골조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시공시 조립판넬의 연결을 쉽게 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성 향상및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조립판넬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에서와 같이 필요시 선택적으로 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콘크리트 입히기 작업부위를 대폭 축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콘크리트 양생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공기 및 건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 연결부를 상부 및/또는 하부 보강부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단열재층 내부에만 설치하거나 단열재층 내부와 상부 및 하부 보강부 모두에 설치하는 것으로 변경 할 수 있으며, 또 고층건물 시공시와 같이 건물하중을 안전하게 지지 할 수 있는 견고한 보강구조가 필요할 경우에는 제4도 및 제13도의 실시예의 조립판넬을, 보강 연결부가 안쪽 또는 바깥쪽에 모이게 배치 하거나 교호로 배치 되도록 2겹 또는 3겹으로 적당히 겹쳐서 사용 할 수 있으며, 또한 제4도에서 도시한 실시예를 변형하여 보강 연결부가 설치된 쪽에 별도의 단열재층을 부착하여 보강 연결부를 형성한 부분이 단열재층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별도의 단열재층이 기촌 단열재층 위에 모르타르층을 두고 덧 붙여 지도록 구성 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 단열재 성분을 포함하는 단열재층을 포함하는 조립판넬에 있어서,시공시 다른 판넬과의 연결 및 각도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다른 판넬과 접촉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면에 위치하는 부분에 고리부와 이 고리부를 다른 판넬의 고리부를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갖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피봇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열재층의 상부, 하부, 및 내부 중의 최소한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보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립판넬은 단열재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외부 충진재를 접합 지지하고 외부 충진재에 대한 보조 보강 골조의 기능을 하는 상부 및 하부 보강부와, 단열재층을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보강부를 연결하는 보강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상부 및 하부 보강부는 각각 와이어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립판넬은 단열재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외부 충진재를 접합 지지하고 외부 충진재에 대한 보조 보강 골조의 기능을 하는 상부 및 하부 보강부와, 단열재층을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보강부를 연결하는 보강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상부 및 하부 보강부는 각각 다수의 돌출 경사판을 일체형성한 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립판넬은 단열재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외부 충진재를 접합 지지하고 외부 충진재에 대한 보조 보강 골조의 기능을 하는 상부 및 하부 보강부와, 단열재층을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보강부를 연결하는 보강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상부 및 하부 보강부는 각각 위가 잘린 역원추형 단면형태의 다수의 오목홈을 갖는 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봇 연결부의 고리부는 원형 고리를 포함하며;상기 피봇 연결부의 체결부는 상기 원형고리와 다른 판넬의 피봇 연결부의 원형 고리를 서로 체결하는 보울트 및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연결부는 판넬과 판넬 사이에 추가 보강부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스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연결부는 판넬과 판넬 사이의 연결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하기 위한 보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 단열재 성분을 포함하는 단열재층과, 단열재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외부 충진재와 단열재층과의 접합을 유지하고 외부 충진재에 대한 보조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상부 및 하부 보강부와, 단열재층을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보강부를 연결하는 보강부 연결부와, 시공시 다른 판넬과의 연결 및 각도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다른 판넬과 접촉하는 최소한 하나의 면에 위치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피봇연결부를 구비하는 외부 충진재가 입혀 졌을 때 외부 충진재에 대한 주 보강골조의 기능을 하는 보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립판넬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에 있어서,바닥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설치할 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피봇연결부에 대응하는 바닥위치에 상응 피봇연결부를 설치하는 기초공사 단계와,벽체, 지붕 등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에 설치된 피봇 연결부와 설치할 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피봇 연결부 및 설치할 판넬과 설치된 판넬의 보강 연결부의 피봇 연결부를 서로 결합하는 단계와,피봇연결부가 서로 결합된 바닥과 판넬 및 판넬과 판넬 사이의 공간을 외부 충진재로 충진하는 단계와,외부 충진재가 양생된 후 조립판넬면과 양생된 외부 충진재면을 페인트칠, 황토흙과 백시멘트의 혼합재 덧쒸움, 또는 내외장재로 마감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바닥과 판넬 및 설치할 판넬과 설치된 판넬 사이에 추가 보강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조립 판넬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에 외부 충진재를 사전에 충진 및 양생해 놓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외부 충진재를 사전에 충진 및 양생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조립판넬의 피봇 연결부들을 서로 결합하는 상기 단계전에 외부 충진재의 충진 및 양생을 완료하고 외부 충진재를 사전에 충진 및 양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바닥과 판넬 및 판넬과 판넬 사이의 공간을 외부 충진재로 충진하는 상기 단계와 병행하여 조립판넬의 상부 및 하부 보강부에 외부 충진재를 충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을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7369A KR100372792B1 (ko) | 1999-07-07 | 1999-07-07 |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7369A KR100372792B1 (ko) | 1999-07-07 | 1999-07-07 |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9154A KR20010009154A (ko) | 2001-02-05 |
KR100372792B1 true KR100372792B1 (ko) | 2003-02-17 |
Family
ID=1960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7369A KR100372792B1 (ko) | 1999-07-07 | 1999-07-07 |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727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7648B1 (ko) * | 2000-09-07 | 2004-04-30 | 김왕기 | 항아리를 이용한 건축물의 장식벽구조 |
KR100441429B1 (ko) * | 2001-06-27 | 2004-07-23 | 주식회사 케이에스내츄럴 | 볏짚과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축용 내, 외벽 방음패널의제조방법 및 그 방음패널 |
-
1999
- 1999-07-07 KR KR10-1999-0027369A patent/KR1003727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9154A (ko) | 2001-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7203291B2 (en) | Stronger wall system | |
US3363371A (en) | Erection of prefabricated houses | |
RU2121044C1 (ru) |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озданные на этой основе фундамент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фундамент строения, трехмер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ысотное здание и трехмерное строение, а также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деталей архитектурной отделки к поверхности строения | |
US3559355A (en) |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 |
US7073306B1 (en) | Method of building | |
US4488385A (en) | Building construction | |
EP2167751B1 (en) |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 |
US4494349A (en) | Truss structure | |
US4144685A (en) | Building construction | |
EP0048728B1 (en) | Construction system based on thin concrete boards and cassette ele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 |
US8099917B2 (en) | Metal “logs” buildings with rigidifying interior and exterior sheathing | |
KR20030029831A (ko) | 공간금속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패널 건축시스템 | |
EP0061483A1 (en) | Box beam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
KR100372792B1 (ko) | 보강 연결부를 갖는 조립판넬 및 그것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 |
EP2738316A1 (en) | Modular construction system | |
US20030200720A1 (en) | Lightweight building component | |
CN211898894U (zh) | 一种装配式钢管混凝土柱钢框架-束柱墙住宅体系 | |
US3919812A (en) | Joindure of modules in prefabricated buildings | |
RU2107789C1 (ru) | Опалубка для стен | |
JPH09195438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建物の補強構造 | |
CN104652662B (zh) | 预制墙板系统 | |
CA1225234A (en) | Prefabricated plastered panels for housing | |
NZ248942A (en) | Constructing a building; form footing, place panels and then connect a perimeter beam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panel top | |
WO2007012863A1 (en) | Building panels and construction of buildings with such panels | |
KR200345725Y1 (ko)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경사 지붕 건축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