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248B1 - Electronic safety devices for passenger cars - Google Patents

Electronic safety devices for passenger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248B1
KR100371248B1 KR1019970701912A KR19970701912A KR100371248B1 KR 100371248 B1 KR100371248 B1 KR 100371248B1 KR 1019970701912 A KR1019970701912 A KR 1019970701912A KR 19970701912 A KR19970701912 A KR 19970701912A KR 100371248 B1 KR100371248 B1 KR 10037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lements
safety device
ignition
electronic safety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706144A (en
Inventor
버나드 마테
베너 니츠체크
아르무트 슈마체
클라우스 오스왈드
노르베르트 크리스핀
버너 베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70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1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60R21/0173Diagnostic or record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07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9Testing of circuits in sensor or actuator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200)와, 제어장치(201)와, 복수의 관성 방지 장치 (31/1, . . . 31/6)와, 상기 관성 방지 장치에 배속된 출력단(30/1, . . . 30/6)을 가지는 차량승객(1)용 전자안전장치로서, 안전장치의 확실한 작동이 다음과 같이하여 보증된다. 즉 특징적인 에러상태를 상기 에러상태를 보상하는 제어 방법과 동시에 기억하고, 에러인 경우에는 각각 배속된 제어 방법을 관성 방지 장치의 작동을 위해 적용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leration sensor (200), a control device (201), a plurality of inertia prevention devices (31/1, 31/6), and output stages (30/1,.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1) of a passenger (1) having a safety device (30/6), wherein the secur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is ensured as follows. That is, a characteristic error state is stored at the same time as the control method for compensating the error state, and in case of error, each control method applied for the operation of the inertia prevention device.

Description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Electronic safety devices for passenger cars

EP0284728에서, 승객용 안전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안전장치는 승객에 대한 복수의 안전수단, 예를 들어, 에어백, 시트벨트 텐쇼너 등과, 이 들의 안전수단을 각각 트리거하기 위해서 복수의 점화필을 가진다. 이들 점화필을 흐르는 전류는 제한적인 에너지 리저브(reserve)로부터 이용된다. 점화필의 각각을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서, 콘덴서는 각 점화필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콘덴서는, 에너지 리저브의 전압레벨에 충전될 때까지만 점화필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In EP0284728, passenger safety devices are known. The safety device has a plurality of ignition fills for triggering a plurality of safety means for passengers, e.g., an airbag, a seat belt tensioner, etc., and their safety means, respectively. The current through these ignition peaks is used from a limited energy reserve. In order to limi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of the ignition fills, the condenser is connected in series to each ignition coil. This capacitor allows current to flow through the ignition coil only until it is charged to the voltage level of the energy reserve.

본 원의 기초가 되는 US-PS51464104로부터 또한, 승객용 전자안전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마찬가지로 점화필에 직렬로 접속된 콘덴서를 가진다. 그러나 이 콘덴서는 작은 용량치를 가지고 있고, 최대전압에서의 이 콘덴서의 충전량으로서는 점화필을 점화시키는데 충분하지가 않다. 점화필을 점화시키기 위해서는 또한 높은 전류를 필요로 하고, 이 전류는 점화필에 직렬로 접속된 콘덴서가 점화필을 통하여 복수회의 충방전되는 것에 의해 처음에 구동된다. 후자의 형식의 안전장치는 특히 원하지 않는 오류트리거에 대하여 완강하다. 왜냐하면 콘덴서에 존재하는 충전량에 의한 1 회만의 전류통과로서는 점화필의 점화에는 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비교적 경미한 사고위험으로 인해 에어백을 트리거하여야 할 것이 아닌 것이 판명된 경우에는, 이미 개시한 점화필의 점화과정을 중지할 수 있다.A passenger electronic safety device is also known from US-PS 51464104, which is the basi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is device likewise has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ignition coil. However, this capacitor has a small capacitance and is not sufficient to ignite the ignition charge as the charge of this capacitor at the maximum voltage. In order to ignite the ignition coil, a high current is also required. This current is firstly driven by a capacitor charged and connected in series to the ignition coil through the ignition coil. The latter type of safeguard is particularly robust against unwanted error triggers. This is because the ignition of the ignition coil does not reach the one-time current passage due to the amount of the charge existing in the capacitor. Also,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bag should not be triggered due to a relatively minor risk of an accident, the ignition process of the ignition charge already initiated can be discontinued.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의한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에 관한 것 이다.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는 예를 들어, 간행물 1141 Ingenieur de l'Automobile (1982) No. 6, 69-77 페이지에서 공지이다. 이러한 형태의 안전장치는 중대사고인 경우에 승객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항상, 작동준비상태이어야 한다. 이 항상 작동준비상태는 적절한 검사 절차들에 의해 항상 감시되어야 한다. 이 검사 절차들은 안전장치의 구성부재를 될 수 있는 한 다수 포함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superordinate concept of claim 1. Electronic safety devices for vehicle passenger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publication 1141 Ingenieur de l'Automobile (1982) no. 6, pp. 69-77. This type of safety device should always be ready for oper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life of passengers in the event of a serious accident. This always ready for operation should always be monitored by appropriate inspection procedures. These inspection procedures shall include as many structural elements as possible of the safet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나타나 있고,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회로의 블럭회로도.1 is a block circuit diagram of a safety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에러상태 및 에러에 의존하는 제어지시의 표.Figure 2 is a table of control indications that depend on error conditions and errors;

도 3 내지 도 7은 소정의 에러상태 및 거기에서 생기는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Figs. 3 to 7 are timing diagrams for explaining a predetermined error state and a control process occurring therefrom. Fig.

도 8은 에러식별 및 에러식별로부터 얻어지는 에어백 트리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 is a flow chart for describing an airbag trigger obtained from error identification and error identification;

도 9는 다수의 관성 방지 장치와 이것에 배속된 출력단을 가지는 안전장치의 블럭회로도.9 is a block circuit diagram of a safet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ertia prevention devices and an output stage attached thereto.

도 10은 집적기술로 구성된 출력단으로, 점화필이 전체 브릿지 회로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an ignition charge is arranged in an entire bridge circuit at an output stage constituted by an integration technique;

도 11은 집적기술로 구성된 출력단으로, 점화필이 3/4 브릿지로 배치되어 있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1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an ignition fill is arranged in a 3/4 bridge with an output stage configured by an integration technique;

도 12는 집적기술로 구성된 출력단으로, 하프 브릿지에 점화필이 배치되어 있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an ignition coil is arranged in a half bridge as an output stage configured by integrated technology;

도 13은 도 10 에 나타낸 출력단에 대응하는 타이밍도.13 is a timing char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tage shown in Fig.

도 14 내지 도 16은 기준로를 포함하는 별도의 출력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s. 14 to 16 show an embodiment of a separate output stage including a reference path. Fig.

청구항 1의 특징부분에 기재된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의해서, 안전장치의 특히 유효한 감시가 가능하고 이에 의해서 높은 동작준비성이 확보된다. 특히 고속의 진단능력과 에러식별능력, 또한 에어백 및/또는 시트벨트 텐쇼너와 같은 안전수단의 작동이 다음과 같이 하여 달성된다. 즉 에러의 특징을 제어지시와 동시에 표에 저장하고, 상기의 제어지시에 의해 소정의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에어백의 확실한 트리거가 보증되도록 하는 것이다.By means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haracterizing part of claim 1, particularly effective monitoring of the safety device is possible and thereby high operational readiness is ensured. Particularly, the operation of safety means such as an airbag and / or a seat belt tensioner is achieved as follows. T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error is stored in the table at the same time as the control instruction, and even if a predetermined error occurs by the control instruction, the reliable trigger of the airbag is guaranteed.

도 1의 블록 회로도에 나타낸 안전장치의 구성에 따라 에어백장치의 사용성은, 곤란한 에러상태가 다수 있는 경우라도 현격히 향상한다. 이에 의해 매우 불리한 동작조건하에서도 항상 에어백의 확실한 트리거가 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체 어스 내지 전압공급원의 정단자로의 단락도 점화필의 정확한 점화를 방해할수 없다. 이 회로구성에 의해서 스위치 소자(T1, T2 및 T3, T4 내지 T5, T6)가 푸시풀 동작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사용 가능한 공급전압이 비교적으로 낮은 경우라도 충분히 높은 전압편이(電壓偏移)를 점화회로 콘덴서(CF, CBF)에서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백 안전수단의 확실한 작동이, 배터리전압이 비교적 낮은 경우라도 9V 내지 16V에서 문제없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장치는, 비용의 이유에서 필요하면 부가적인 에너지 리저브 및 부가적인 전압변환기 없이 구성할 수 있다. 공급진압(EV)을 예를 들어, 점화과정의 개시 전에 검출하여, 또한 경우에 따라 별도의 유리한 시간 간격(예를 들어, 각각 1ms의 간격)으로 점화과정의 경과중에 검출하여, 특히 유리하게 스위치 소자의 제어를 각각 존재하는 순간의 조건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즉 이렇게 하여 점화필에 거의 일정한 점화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류트리거에 대한 안전성이 현격히 상승한다. 동작클럭(T)당 점화필을 흐르는 평균점화전류를 약 2A의 유리한 평균값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점화필이 잘못하여 20 클럭주기까지 제어되더라도 원하지 않게 트리거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제안된 안전장치에 의해, 점화에너지를 극단적으로 낭비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이것은 소정의 에러상태에 있어서, 점화필의 제어 및 에어백의 확실한 트리거를 강제적으로 행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은 특히 점화필이 단락한 경우에, 약 0.5Ω 내지 1Ω의 정도의 바이패스로를, 점화필에 충분한 점화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정상으로 유지하려고 시도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에러인 경우에는, 제안된 회로구성은 상응하는 적절한 동작형식에 의해서, 점화를 야기하기 위해서 전류 통과율을 매우 크게 할 수 있다. 또다른 특별한 경우는 점화회로차단인 경우이고, 이 차단은약 10Ω의 저항이 된다. 상기의 경우는 조기에 적절한 동작에 의해서 충분히 큰 전압편이가 점화회로의 콘덴서(CF, CBF)에 생기도록 하여 확실한 점화를 얻는 것이 유리하다. 안전장치의 순간의 에러상태를 점화시점에서도 검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제어 방법(control strategy)의 선택에 의해, 존재하는 상황에 상응하는 유리한 트리거 작용을 달성하기 위해서 유리한 동작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유리하게는, 이미 선택된 제어 방법을 필요한 경우에는 다시 검사하고, 다른 제어 방법이 보다 유리하다고 나타난 경우에는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어 방법의 선택후 약 1㎲의 간격으로, 검출된 애러상황에 대해 선택된 제어 방법이 적합한지 그렇지 않은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동작클럭의 경과 전에 따라 적합하게 하는 제어 방법의 경우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점화에너지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차량배터리가 이미 소모하고 있어 매우 제한된 에너지 리저브밖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큰 이점이 얻어지는 것은, 점화회로영역에서의 이른바 더블 에러인 경우이다, 상기의 경우는, 트리거 과정의 소정의 지속시간에서는 제 1 에러의 보상에 대하여 최적의 제어 방법를, 트리거 과정의 별도의 지속시간에서는 제 2 에러의 보상에 대한 최적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약 1 ms의 지속시간을 제 1 방법에 대하여 제 1 에러상태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하며, 별도의 1 ms의 지속시간을 제 2 방법에 대하여 제 2 에러상태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The usability of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device shown in the block circuit diagram of Fig. 1 is remarkably improved even when there are many difficult error conditions. Whereby a reliable trigger of the airbag is always achieved even under very unfavorable operating conditions. Thus, for example, short circuiting of the vehicle body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voltage source also can not prevent precise ignition of the ignition fill. With this circuit configuration, the switch elements T1, T2 and T3, T4 to T5 and T6 are operated in a push-pull manner. Thus, even when the usable supply voltage is relatively low, a sufficiently high voltage devi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ignition circuit capacitors CF and CBF. This ensures reliable operation of the airbag safety means at 9V to 16V even when the battery voltage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safety devices can be configured without additional energy reserve and additional voltage converters if necessary for cost reasons. The supply pressure EV may be detected, for example, prior to the start of the ignition process, and optionally detected during the course of the ignition process at another advantageous time interval (e. G., An interval of 1 ms each) It is possible to make the control of the device suitable for each instantaneous condi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apply a substantially constant ignition current to the ignition coil in this way. As a result, the safety against the error trigg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average ignitio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gnition coil per operating clock (T) can be maintained at a favorable average value of about 2A, it is not undesirable to be triggered even if the ignition coil is controlled to 20 clock cycles erroneously. In addition, the proposed safety device can handle ignition energy extremely wastefully. This is for the purpose of forcibly controlling the ignition fill and reliably triggering the airbag in a predetermined error state.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hen the ignition fill is short-circuited and the bypass circuit of about 0.5? To 1? Is attempted to keep it normal to supply sufficient ignition energy to the ignition fill. In the case of such an error, the proposed circuit configuration can greatly increase the current passing rate in order to cause ignition, in a corresponding and appropriate manner of operation. Another special case is the case of ignition circuit breakdown, and this breakdown becomes a resistance of about 10?. In such a case, it is advantageous to obtain a sufficiently large ignition by causing a sufficiently large voltage deviation to occur in the capacitors CF and CBF of the ignition circuit by appropriate early operation. In order to detect the instantaneous error condition of the safety device even at the ignition time, it is possible to select an advantageous operation form in order to achieve an advantageous trigger action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situation, by selecting an appropriate control strategy. It is also particularly advantageous to re-examine the already selected control method if necessary, and to change it again if another control method appears to be more advantageou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control method selected for the detected irritation condition is appropriate or not, at intervals of about 1 mu s after the selection of the predetermined control method. If it is not suitable, it can be conver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method which is adapted according to the elapse of the next operation clock. Therefore,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use the ignition energy. This is very important if the vehicle battery is already consuming and you can only use very limited energy reserves. A great advantage is also obtained in the case of a so-called double error in the ignition circuit area. In this case, in the predetermined duration of the triggering process, Time is to use an optimal method for compensating for the second error. For example, a duration of about 1 ms may be used to eliminate the first error state for the first method, and a separate 1 ms duration may be used to eliminate the second error state for the second method. have.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성으로서는, 안전장치를 규칙적으로 검사함에 의하여 식별된 에러상태를 마이크로컨트롤러의 메모리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시간적으로 나중에, 사고상황과 관련하여 안전수단의 트리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 기억된 에러상태를 호출하고, 점화필을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제어 방법을 선택할 때에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트리거과정의 사이에 에러가 갑자기 발생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악 4ms의 시간 기간에 대해, 갑자기 발생한 에러상태를 보상하는 제 1 제어 방법을 선택하고, 후속의 시간에서는 이전에 저장된 에러상태도 고려한 다른 제어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As a particularly advantageou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rror condition identified by regularly checking the safety devic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area of the microcontroller. If it is necessary to trigger the safety means in relation to the accident situation later in time, this stored error state can be called and considered when selecting an appropriat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fill. Therefore, for example, when an error occurs suddenly during the triggering process, a first control method for compensating for an abruptly occurring error condition is selected for a time period of, for example, 4 msec, It is possible to select another control method considering the error condition stored in the mem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안전장치의 블록회로도를 나타낸다. 이 안전 장치는 차량, 유리하게는 자가용차 또는 화물차와 같은 육상차량에 배치되고, 중대사고시 에어백 및/또는 시트벨트 텐쇼너 등의 안전수단을 작동함으로써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안전장치는 자동차의 배터리(10)와 접속되고, 이것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배터리(10)에 병렬로 저항(R1, R2)을 포함하는 분압기가 접속된다. 분압기(R1, R2)의 탭은 선로(UBM)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입력단자(아날로그/디지털 입력측)에 접속된다. 이 선로(UBM)를 통해 분압기(R1, R2)로부터 차량배터리(10)의 전압을 감시하기 위해서 전압값을 인출할 수 있다. 통상, 차량배터리(10)의 마이너스단자는 차량의 어스단자와 접속된다. 차량배터리(10)의 플러스단자에는 직류전압 변환기(11)의 입력단자가 접속된다. 이 변환기의 출력측 단자는 에너지 리저버(12)의 플러스단자와 접속되고, 에너지 리저버의 마이너스 단자는 마찬가지로 어스단자와 접속된다. 에너지 리저버로서는 비교적 대용량, 예를 들어, 수천 μF의 콘덴서가 적합하다. 이 에너지 리저버(12)는, 사고시 차량배터리(10)에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라도 또한 적어도 제한된 시간의 사이는 전자안전장치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에너지 리저버(12)는 직류전압 변환기(11)에 의해서, 차량배터리(10) 전압의 수배의 전압으로 충전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탑재전원이 직류로 약 12V에 대하여 구성되어 있으면, 에너지 리저버(12)는 예를 들어, 45V 내지 50V로 충전된다. 차량배터리(10)의 플러스단자는 에너지 리저버(12)의 플러스단자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통(導通)방향으로 배치된 13, 14를 통해제 2 분압기(R3, R4)의 기점과 접속되고, 이 분압기의 기점은 마찬가지로 어스된다. 분압기(R3, R4)의 탭은 선로(EVM)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제 2 입력측 단자(아날로그/디지털 변환)와 접속된다. 이 선로(EVM)를 통해, 분압기(R3, R4)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시하기 위해서 부분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다이오드(13,14)의 접속점에는, 스위치 소자(T1, T2)의 각각 한쪽의 제 1 스위치단자가 접속되고, 이들 스위치 소자의 각각 제 2 스위치단자는 각각 2개의 다이오드(15, 16 내지 17, 18)의 서로 접속된 애노드 단자로 인도된다. 다이오드(15,17)의 캐소드 단자의 사이에는 서로 직렬로 제 1 점화필(ZPF: 예를 들어, 운전자 에어백용)과 제 1 콘덴서(CF)가 접속된다. 다이오드(16,18)의 캐소드 단자의 사이에는 제 2 점화필(ZPBF: 예를 들어, 조수석용)과 제 2 콘덴서(CBF)가 직렬로 접속된다. 다이오드(15)의 캐소드 단자와 점화필(ZPF)의 사이의 접속점에는 별도의 스위치 소자(T3)의 제 1 스위치단자가 접속되고, 이 스위치 소자(T3)의 제 2 스위치단자는 어스된다. 다이오드(16)의 캐소드 단자와 점화필(ZBPF)의 사이의 접속점에는 스위치 소자(T4)의 제 1 스위치단자가 접속되고, 이 스위치 소자의 제 2 스위치단자는 어스된다. 또한 다이오드(18)의 캐소드 단자와 콘덴서(CBF)의 사이의 접속단자에는 스위치 소자(T6)의 제 1 스위치단자가 접속되고, 이것의 제 2 스위치단자는 어스된다. 모든 스위치소자(T1, T2, T3, T4, T5, T6)의 제어단자는 접속선로(PushR1, PushR2, Pull1F, Pull1BF, Pull2F, Pull2BF)를 통해 드라이버회로(21)의 상응하는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이 드라이버회로는 상응하는 버스선로(19)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출력단자와 접속되고, 이것에 의해 제어된다. 점화필(ZPF, ZPBF)은, 승객에 대하여 안전수단으로서 설치된 에어백(22,23)의,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은 화약과 열적작용결합하고 있다. 열적작용결합은, 전류통과에 의해서 가열 가능한 점화필(ZPF, ZPBF)이 발열상태에서 에어백(22,23)을 팽창시키는 화약을 작동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1 shows a block circuit diagram of a passeng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safeguard is deployed in vehicles, advantageously on land vehicles such as private cars or lorries, and is used to protect passengers by operating safety means such as a critical warning airbag and / or seat belt tensioner. The safety device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0 of the vehicle, from which current is supplied. A voltage divider including resistors R1 and R2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0 in parallel. The tabs of the voltage dividers R1 and R2 ar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analog / digital input side) of the microcomputer 20 through a line UBM. The voltage value can be taken out to monitor the voltage of the vehicle battery 10 from the voltage dividers R1 and R2 through the line UBM. Normally, the minus terminal of the vehicle battery 10 is connected to the earth terminal of the vehicle. An input terminal of the DC voltage converter 11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vehicle battery 10. The output side terminal of the converter is connected to the plus terminal of the energy reservoir 12, and the minus terminal of the energy reservoir is similarly connected to the earth terminal. As an energy reservoir, a relatively large capacity, for example, a capacitor of several thousand μF is suitable. The energy reservoir 12 is provided so that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even if the connection to the vehicle battery 10 is los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for at least a limited time. Advantageously, the energy reservoir 12 is charged by the DC voltage converter 11 to a voltage several times the voltage of the vehicle battery 10. For example, if the on-board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configured for about 12V by direct current, the energy reservoir 12 is charged to, for example, 45V to 50V. The plus terminal of the vehicle battery 10 is connected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voltage dividers R3 and R4 via the electrodes 13 and 14 arranged in the conduction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plus terminal of the energy reservoir 12, The origin is likewise grounded. The tabs of the voltage dividers R3 and R4 are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analog / digital conversion) of the microcomputer 20 through the line EVM. Through this line EVM, the partial voltage can be taken out to monitor the voltage applied to the voltage dividers R3 and R4. The first switch terminal of each of the switch elements T1 and T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iodes 13 and 14. The second switch terminal of each of these switch elements is connected to two diodes 15, 18 connected to each other. A first ignition coil (ZPF: for driver's airbag, for example) and a first condenser CF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cathode terminals of the diodes 15 and 17. A second ignition coil (for ZPBF, for example, for a passenger seat) and a second condenser CBF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cathode terminals of the diodes 16 and 18. A first switch terminal of another switch element T3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athode terminal of the diode 15 and the ignition coil ZPF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of the switch element T3 is grounded. A first switch terminal of the switch element T4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athode terminal of the diode 16 and the ignition electrode ZBPF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of the switch element is grounded. The first switch terminal of the switch element T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between the cathode terminal of the diode 18 and the capacitor CBF,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of the switch element T6 is grounded. The control terminals of all the switching elements T1, T2, T3, T4, T5 and T6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output terminals of the driver circuit 21 via the connection lines PushR1, PushR2, Pull1F, Pull1BF, Pull2F and Pull2BF . This driver circu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20 via the corresponding bus line 19 and is controlled thereby. The ignition pillars ZPF and ZPBF are thermally coupled to the airbags 22 and 23 installed as safety means against passengers, in detail, not shown. The thermal action bonding means that the ignition pill (ZPF, ZPBF) which can be heated by current passage can operate the gunpowder which inflates the airbags (22, 23) in the heating state.

도 1에 블럭회로도로서 나타낸 안전장치의 기능을 이하 별도의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우선 표의 형태로 안전장치가 가능한 에러상태와 에러에 의존하는 제어지시를 나타낸다. 이 제어지시에 의해서 에러상태이어도 에어백(22, 23)의 확실한 트리거가 달성된다. 에러상태와 에러에 의존하는 제어지시는 유리하게는 메모리 장치(202)에 저장된다. 이 메모리 장치는 마이크로 컴퓨터(20)의 구성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러 가지의 에러상태가 표의 제 1 열에 기입된다. 상세하게는 이하의 여러 에러상태가 취급된다.The function of the safety device shown as a block circuit diagram in Fig. 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nother drawing. Fig. 2 shows a control instruction depending on error conditions and errors which can be safeguarded in the form of a priority table. By this control instruction, a reliable trigger of the airbags 22, 23 is achieved even in an error state. The error conditions and error-dependent control indications are advantageously stored in the memory device 202. The memory device may be a constituent member of the microcomputer 20. Various error conditions are written in the first column of the table. In detail, the following various error conditions are handled.

- 차량배터리(10)의 플러스단자 또는 에너지 리저브(12)의 회로점(FP 또는 BFP)에서의 단락(KS).- Short circuit (KS) at the plus terminal of the vehicle battery (10) or at the circuit point (FP or BFP) of the energy reserve (12).

- 차량배터리(10)의 플러스단자 또는 에너지 리저브(12)의 회로점(FM 또는BFM)에서의 단락.- Short circuit at the plus terminal of the vehicle battery (10) or the circuit point (FM or BFM) of the energy reserve (12).

- 회로점(FP 또는 BFP)에서 어스로 단락.- Circuit point (FP or BFP) to ground.

- 회로점(FM 또는 BFM)에서 어스로 단락.- Circuit point (FM or BFM) to ground.

- 콘덴서(CF 내지 CBF)의 단락.- short of capacitor (CF to CBF).

- 점화필(ZBF 내지 ZPBF)의 단락.- Short circuit of ignition fill (ZBF to ZPBF).

- ZKF 또는 ZKBF의 단선.- Disconnection of ZKF or ZKBF.

- 현재 에러없음.- Currently no error.

아래의 3 열에는 각 에러상태에 배속된 제어지시가 기입된다. 이것들의 제어지시는 또한 순간에 사용되는 공급전압에 의존한다, 즉, 공급전압이 9V 내지 24V의 사이, 24V 내지 30V의 사이, 30V 내지 45V의 사이에 있는지에 의존한다. 실제로는 입력 파라미터로서 에러상태와 공급전압의 높이에 의존하는 특성맵이 취급된다. 이 특성맵에 의해, 매우 고속인 에러진단과, 에러상태 및 공급전압의 높이에 의존하는 매우 효과적인 점화필(ZPF, ZPBF)의 제어, 나아가서는 에어백(22, 23)의 작동이 가능하다. 설명을 위해 예로서 도 2의 2개의 매트릭스 필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차량배터리(10)의 플러스극 또는 에너지 리저브(12)에 회로점(FP 또는 BFP)에서 단락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다고 가정한다(표의 제 1 단계, 제 1 행의 에러상태 참조). 순식간에 존재하는 공급전압(EV)의 높이에 따라 다른 제어 방법이 취해진다. 이것은 에러상태가 식별되더라도 점화필(ZPF, ZPBF)에 점화전류가 충분히 인가되고, 에어백(22,23)을 확실하게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공급전압(EV)이 9V 내지 24V의 전압영역에 있으면, 제어 방법(MOD 3.1)가 취해진다(도 2의 표의 제 1 단계,제 4 행 참조). 이것에 관하여는 나중에 도 5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급전압이 24V 내지 30V의 사이에 있고, 상기 서술한 에러상태인 경우에는, 제어 방법(MOD 1.1)가 취해진다(도 2의 표, 제 1 단계 제 3 행 참조). 이것에 관하여는 나중에 도 4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공급전압이 30V 내지 45V의 사이에 있고, 앞에 서술한 에러상태인 경우에는, MOD 1의 제어 방법이 취해진다(도 2의 표, 제 1 단계 제 2 행). 이것에 관하여는 나중에 도 3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응하는 것이 나중에 또한 설명하는 도 2에 나타낸 표의 다른 위치에 대하여도 적합하다.In the third column below, control instructions assigned to each error state are written. These control instructions also depend on the supply voltage used at the moment, i.e. whether the supply voltage is between 9V and 24V, between 24V and 30V, between 30V and 45V. In practice, a characteristic map that depends on the error state and the height of the supply voltage is handled as an input parameter. By this characteristic map, it is possible to perform very high-speed error diagnosis and control of very effective ignition charges (ZPF, ZPBF) depending on the error state and the height of the supply voltage, and furthermore, to operate the airbags 22 and 23. For illustrative purposes, the two matrix fields of FIG. 2 are used as examples.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short circuit is detected at the circuit point (FP or BFP) in the positive pole of the vehicle battery 10 or the energy reserve 12 (see the first stage of the table, the error state of the first row). A different control method is taken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upply voltage EV that exists instantaneously. This is for sufficiently applying the ignition current to the ignition pillars ZPF and ZPBF even when the error state is identified, and to reliably trigger the airbags 22 and 23. [ If the supply voltage EV is in the voltage range of 9V to 24V, the control method (MOD 3.1) is taken (see the first step in the table of Fig. 2, row 4).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The control method (MOD 1.1) is taken when the supply voltage is between 24V and 30V, and in the case of the error state described above (see the table of FIG. 2, the first row, third row).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Also, when the supply voltage is between 30 V and 45 V and the error state is described previously, a control method of MOD 1 is taken (table in Fig. 2, first row, second row).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Corresponding is also appropriate for other positions in the table shown in Fig. 2 which will also be described later.

도 3을 참조하여 우선 제어 방법(MOD 1)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제어 방법은 도 2의 표에서는, 차량배터리(10)의 플러스단자 또는 에너지 리저브(12), 도 1의 블럭회로도의 회로점(FP 또는 BFP)에서 단락하고 있는 것이 식별되고, 동시에 공급전압(EV)의 높이가 30V 내지 45V의 사이의 영역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적용된다(도 2의 표, 제 1 단계 제 2 행 참조). 동일한 제어 방법이 도 2의 표의 별도의 장소에도 나타나고 있고(제 3 단계 제 2 행과 제 5 단계 제 2 행 참조), 어스에의 단락이 회로점(FP 또는 BFP)에서 검출되는 경우와 콘덴서(CF 또는 CBF)의 단락이 검출되는 경우에 적용된다.First, the control method (MOD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is control method is identified in the table of Fig. 2 as being short-circuited at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vehicle battery 10 or the energy reserve 12, the circuit point (FP or BFP) of the block circuit diagram of Fig. 1, EV is detected in a region between 30V and 45V (see the table of FIG. 2, second row of the first step). If the same control method is also shown in a separate place in the table of Fig. 2 (refer to the third row, the second row and the fifth row, second row) and a short circuit to ground is detected at the circuit point (FP or BFP) CF or CBF) is detected.

MOD 1에 의한 제어 방법(도 3참조)는, 회로점(FP, BFP)의 사이에서 전압 공급원의 플러스단자에 단락한 경우에 유리하다. 상기의 경우는, 회로점(FP 또는 BFP)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의 회로점에서 공급전압의 플러스극에의 단락이 발생하는 에러상황이 커버된다. 이들의 경우에서는 점화회로에 있는 콘덴서(CF, CBF)의 전압편이가 차량배터리(10)의 전압의 높이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점화필(ZPF, ZPBF)의 전류통과의 지속시간이 전압 공급부의 플러스단자에의 에러단락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공급전압의 플러스극에 단락한 것에 의해 점화필(ZPF, ZPBF)을 통하는 전류 통과율이 변화하더라도, 점화회로에 에러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에어백(22,23)의 트리거 지연시간이 변화하는 일이 없다. 도 3은 제어 방법(MOD 1)에 대한 중요한 신호 패턴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점화회로의 최소 인덕턴스는 점화하는 2μH이라고 가정된다. 우선 도통제어된 스위치 소자(T2: 제어선로(PushR2))에 의해, 점화회로에 배치된 콘덴서(CF, CBF)가 경우에 따라 회로점(FP 또는 BFP)에 존재하는 전압 공급부의 플러스단자에의 단락에 대항하여 충전된다. 상기의 경우 부가적으로 스위치 소자(T3, T4)를 도통 제어할 수 있다(제어선로(Pull1F, Pull1BF)). 이것은 플러스 전압단자에의 단락에 대항하여, 단락이 생기고 있지 않은 회로점(FP 또는 BFP)을 소정과 같이 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에 의해서 다이오드를 통해 입력 결합되는 단락상황도 제어할 수 있다 도 3b에서 스위치 소자(T2)의 제어는 클럭에서 행하여지고, 예를 들어, 시간축(t)의 시점(t1)에서 개시하는 것을 알았다. 스위치 소자(T2)는 다음에 약 7㎲의 시간 주기에서 도통 제어된다. 이것에 계속하여 스위치 소자(T2)는, 도 3b에서 아는 것같이 7㎲의 시간 주기에서 다시 블록되어, 다음에 또한 새롭게 점화하는 7㎲의 시간 주기에서 도통 제어된다. 각각 도통 제어되는 시간 위상은 시간 간격(T)에서 행해진다. 이미 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c에 의하면 또한 부가적으로 스위치 소자(T3, T4)가 각각 스위치 소자(T2)의 도통 위상의 사이에서 도통제어된다. 그 후, 스위치 소자(T2)는(경우에 따라 T3, T4도), 소속의 제어선로 (PushR2, Pull1F, Pull1BF)에서의 상응하는 제어에 의해서 블록되고, 스위치 소자 (T5, T6: 도 3d 참조)가 도통 제어된다. 스위치 소자(T5, T6)의 도통 위상은 시점(t2)에서 시작하고, 마찬가지로 약 7㎲ 동안 지속한다. 이 제어에 따라서, 점화회로에 배치된 콘덴서(CF, CBF)는 반대방향으로 충전된다, 도 3e는 전류펄스 (IZKF, IZBF)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다. 이들의 전류펄스는 상기 설명한 점화회로의 제어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고, 점화필(ZPF 내지 ZPBF)에 인가된다. 어느 만큼의 에너지량이 점화필의 확실한 작동에 필요한가는 충분히 이미 알고 있으므로, 점화필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이 종류의 전류펄스가 몇 개 필요한지는 간단히 구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MOD 1 (see Fig. 3) is advantageous when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voltage supply source is short-circuited between the circuit points FP and BFP. In this case, an error situation in which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circuit point (FP or BFP) or a short-circuit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upply voltage at the circuit point is covered. In these cases, the voltage deviation of the capacitors CF and CBF in the ignition circuit does not depend on the height of the voltage of the vehicle battery 10. Therefore, the duration of current passing through the ignition pill (ZPF, ZPBF) is not affected by an error short circuit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voltage supply unit. Therefore, even if the current passing rate through the ignition pillars ZPF and ZPBF changes due to a short circuit to the positive polarity of the supply voltage, the trigger delay time of the airbags 22 and 23 There is no change. Figure 3 shows an important signal pattern for the control method (MOD 1). In this figure, it is assumed that the minimum inductance of the ignition circuit is 2 [mu] H to ignite. The capacitors CF and CBF arranged in the ignition circuit are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voltage supply part existing in the circuit point FP or BFP depending on the case by the conduction controlled switch element T2 (control line PushR2) It is charged against short circuit. In this case, the switching elements T3 and T4 can be additionally controlled to be turned on (control line (Pull1F, Pull1BF)). This is to connect a circuit point (FP or BFP), which is not short-circuited, to a ground in a predetermined manner against a short circuit to a positive voltage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short-circuit situation in which the input is coupled through the diode by this. In Fig. 3B, it is found that the control of the switch element T2 is performed at the clock, for example, at the time point t1 of the time axis t . The switch element T2 is then subjected to conduction control in a time period of about 7 mu s. Subsequently, the switching element T2 is blocked again in the time period of 7 占 퐏, as is seen in Fig. 3b, and is then subjected to conduction control in a time period of 7 占 퐏, which is newly ignited. The time phase in which each conduction is controlled is performed at the time interval T. [ 3C, the switch elements T3 and T4 are additionally controlled to conduct between the conduction phases of the switch element T2, respectively. Thereafter, the switch element T2 is blocked (corresponding to T3 and T4 as occasion demands) by the corresponding control on the control line (PushR2, Pull1F, Pull1BF) belonging thereto and the switch elements T5 and T6 Is controlled to be conductive. The conduction phases of the switching elements T5 and T6 start at a time point t2 and continue for about 7 mu sec similarly. According to this control, the capacitors CF and CBF arranged in the ignition circuit are char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ig. 3E shows the current pulses IZKF and IZBF as a function of time. These current pulses are generated by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ircuit described above and are applied to the ignition charges ZPF to ZPBF. It is easy to know how many current pulses of this kind are required to operate the ignition coil because the amount of energy necessary for reliable operation of the ignition coil is already known.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모드(MOD 1.1)를 설명한다. 이 모드는 도 2의 표에서는, 예를 들어, 공급전압의 플러스단자에의 단락이 회로점(FP 또는 BFP)에 존재하거나(표의 제 1 열, 제 3 행), 또는 어스에의 단락이 회로점(FP 또는 BFP)에 존재한(표의 제 3 열, 제 3 행) 경우에 적용된다. MOD 1.1에 의한 동작에서는, 공급전압이 24V 내지 30V의 사이에 있는 값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것들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점화필의 제어를 다음과 같이 조정할 수 있다. 즉, 점화필의 전류 통과율이 정확히 소정의 영역에 유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백 장치의 점화필에 있어서의 전류 통파율의 제어를 위해 펄스폭변조의 1개의 형식이 제안된다. 그 때 또한 사고가 발생된 동안 및 점화필의 점화과정중에 공급전압의 순간값이 고려된다. 도 4에 나타낸 신호선도에 다시 집어넣을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이 선도는 제어시간이 약간 다른 것을 제외하고, 이미 조작에서 설명한 도 3의 신호경과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기 때문이다. 스위치 소자(T1 내지 T6)는 MOD 1.1 뿐만 아니라 MOD 1.1에서도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즉 전압특성이 허용하면 최대로 약 5A의 전류(IZKF, IZKBF)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된다. MOD 1과 MOD 1.1의 동작형식은, 마찬가지로 회로점(FP 또는 BFP)이 어스로 단락하였지만, 출력손출(出力損出)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제어에 알맞다. 또한 상기의 동작형식은, 콘덴서 (CF, CBF)는 단락됐지만, 중대한 출력손실은 없는 경우에 대하여도 알맞다. 왜냐하면 그것에서의 작동에 필요한 약 2,5A의 점화전류를 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control mode (MOD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mode is used in the table of Fig. 2, for example, if a short circuit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supply voltage is present at the circuit point (FP or BFP) (first row, third row of the table) This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re is a point (FP or BFP) (third column in the table, third row). In operation according to MOD 1.1, it is considered that the supply voltage is reduced to a value between 24V and 30V. With these parameters, the ignition control can be adjusted as follows. That is, the current passing rate of the ignition coil can be adjusted so as to be accurately maintained in the predetermined region. Here, one type of pulse width modulation is proposed for controlling the current conduction rate in ignition of the airbag apparatus. The instantaneous value of the supply voltage is then also taken into account during an accident and during the ignition process of the ignition coil. It is not necessary to put it back into the signal line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line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signal lapse in Fig. 3 already described in the operation, except that the control time is slightly different. Switch elements T1 to T6 are controlled in MOD 1.1 as well as MOD 1.1 as follows. That is, if the voltage characteristic allows, a current of about 5A (IZKF, IZKBF) flows at maximum. The operation modes of MOD 1 and MOD 1.1 are suitable for control when the circuit point (FP or BFP) is short circuited to ground but output loss (output loss) is not occurring. The above operation mode is also suitable for the case where the capacitors CF and CBF are short-circuited but there is no significant output loss. Because it can provide about 2,5 A of ignition current required for its operation.

다음으로 도 5에 근거하여 제어 방법(MOD 3.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 형식은, 공급전압이 약 9V 내지 24V의 전압영역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이 상태는 예를 들어, 에너지 리저브(12)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차량배터리(10)의 파괴와 후에 계속되는 중대사고 경과까지 과도하게 긴 시간이 있는 경우이다. 또한 에너지 리저브 또는 직류전압변환기 없이 변통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안전장치에 발생하는 일도 있다. 공급전압의 플러스단자에 단락하고 있는 불리한 경우에는, 각각의 점화회로의 콘덴서(CF, CBF)에 약 6V의 작은 전압편이가 남아 있기 때문에, 점화회로의 약 2μH의 인덕턴스를 고려하면, 또한 평균으로 약 2A의 정도의 점화회로 전류가 얻어진다. 이것은, 점화회로의 공진영역에서의 최적제어와, 여기에 제안된 푸시풀 동작하는 스위치 소자(T1, T2 내지 T3, T4 및 T5, T6)의 제어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따라 최악인 경우라도, 약 12V의 전압편이를 점화회로의 콘덴서(CF, CBF)에서 준비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method (MOD 3.1)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This mode of operation takes into account that the supply voltage is decreasing to a voltage range of about 9V to 24V. This state is,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excessively long time until a failure occurs in the energy reserve 12, or a serious accident continues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vehicle battery 10. There are also situations where safety devices must be able to run without energy reserve or DC voltage converters. In the unfavorable case of shorting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supply voltage, a small voltage deviation of about 6 V remains in the capacitors CF and CBF of the respective ignition circuits. Therefore, considering the inductance of about 2 μH of the ignition circuit, An ignition circuit current of about 2A is obtained. This is made possible by control of the optimum control in the resonance region of the ignition circuit and the switch elements T1, T2 to T3, T4 and T5, T6 that are operated by the push-pull operation proposed here. Thus, even in the worst case, a voltage deviation of about 12 V can be prepared in the capacitors CF and CBF of the ignition circuit.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이 방법(MOD 2 및 MOD 2.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동작형식은, 운전자용 에어백의 회로점(FM) 및/또는 조수석용 에어백의 회로점(BFM)이 공급전압의 플러스단자에서 단락한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상기의 경우도 콘덴서(CF, CBF)에서의 전압편이는 마찬가지로 차량배터리의 배터리전압 (UBat, 약 9V 내지 16V)의 높이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것에 따라, 점화필(ZPF, ZPBF)의 전류통과시간은 공급전압의 플러스극으로의 에러단락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동작형식은, 도 1에 나타낸 안전장치가 2개의 별개의 제어 가능한 스위치 소자(T1, T2)를 점화출력단에 가지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곡선경과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은 생략한다. 왜냐하면, 동작형식(MOD 1 과 MOD 1.1)에 대하여 이미 상세히 행한 설명을 거의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작형식(MOD 2 과 MOD 2.1)도 마찬가지로, 회로점(FM 내지 BFM)에서 어스에잘못하여 단락하고 있지만, 출력손실은 보이지 않는 경우의 제어에 알맞다. 마찬가지로, 에러가 없는 경우의 점화회로의 제어에 대하여도 적합하다.Hereinafter, the second method (MOD 2 and MOD 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This type of operation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the circuit point FM of the driver's airbag and / or the circuit point BFM of the passenger's seat airbag is short-circuited at the plus terminal of the supply voltage. In this case also, the voltage deviation in the capacitors CF and CBF does not depend on the height of the battery voltage UBat (about 9V to 16V) of the vehicle battery likewise. Accordingly, the current passage time of the ignition charges (ZPF, ZPBF) is not affected by the error shorting of the supply voltage to the positive polarity. This type of operation is possible by the safety device shown in Fig. 1 having two separate controllable switch elements T1 and T2 at the ignition output. The discussion of the curve progressions shown in Figs. 6 and 7 is omitted.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pply almost exact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types (MOD 1 and MOD 1.1). The operation modes (MOD 2 and MOD 2.1) are likewise suitable for control when the circuit points FM to BFM are erroneously short-circuited to earth, but no output loss is seen. Similarly, it is also suitable for the control of the ignition circuit when there is no error.

동작형식(MOD 2.2)은, 안전장치가 점화회로의 점화필(ZPF, ZPBF)의 단락을 식별한 경우의 제어 방법로서 특히 적합하다. 이 단락이 0Ω과는 다른 값을 가지며, 이것이 예를 들어, 0Ω 내지 1Ω의 사이의 영역에 있으면, 상응하는 클럭제어(펄스폭변조)에 의해 점화필(ZPF, ZPBF)을 적어도 소정시간의 사이에, 최대 가능한 전류 통과율로 인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점화회로의 인덕턴스가 2μH라고 가정하면, 약 6㎲의 제어지속시간에 의해 공진점이 조정된다. 단락 저항값이 약 0.5Ω인 경우는, 약 1A의 전류가 점화필에 흐른다. 24V 내지 30V의 정도의 작은 공급전압이점화필의 단락이라는 에러상태(잔류저항이 약 0Ω 내지 1Ω)에 대하여 점화필에 흐르는 높은 전류통과재가 요구될 때에 사용된다. 푸시풀 동작하는 2개의 스위치 소자(T1, T2)에 의해, 점화회로의 콘덴서(CF, CBF)에서의 전압편이가 2배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제한된 최대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 동작형식의 사용을 비교적 낮은 공급전압으로 제한함으로써 불필요한 높은 블록 전압이 스위치 소자에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매우 염가인 이산적 반도체소자 또는 집적반도체소자를 스위치 소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동작형식(MOD 3)은 마찬가지로, 점화회로에 단선이 있는 에러인 경우에 대하여 특히 적합하다. 이 에러상태는, 예를 들어, 점화회로의 저항이 약 10Ω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정된다. 이러한 높은 점화회로 저항의 경우에는, 점화회로의 요소(점화필, 콘덴서)에 있어서의 충분한 전압편이를 적시에 고려하고, 이것에 의해 약 2A의 최소 필요치로 점화전류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것은, 스위치 소자(T1, T2 내지 T3, T4 및 T5, T6)의 푸시풀동작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mode of operation (MOD 2.2) is particularly suitable as a control method when the safety device identifies a short of the ignition fill (ZPF, ZPBF) of the ignition circuit. If this short-circuit has a value different from 0 OMEGA and, for example, it is in the range between 0 OMEGA and 1 OMEGA, the ignition peaks ZPF and ZPBF are controlled by the corresponding clock control (pulse width modulation) It is advantageous to apply the maximum possible current passing rate. Assuming that the inductance of the ignition circuit is 2 mu H, the resonance point is adjusted by the control duration of about 6 mu s. When the short circuit resistance value is about 0.5 OMEGA, a current of about 1A flows in the ignition coil. A small supply voltage on the order of 24 V to 30 V is used when a high current passing material is required to flow through the ignition coil for an error condition (residual resistance of about 0 Ω to 1 Ω) The voltage shift in the capacitors CF and CBF of the ignition circuit is doubled by the two switch elements T1 and T2 operating in the push-pull operation. This allows a limited maximum current to flow. By limiting the use of this mode of operation to a relatively low supply voltage, unnecessary high block voltages do not occur in the switch elements.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discrete semiconductor elements or integrated semiconductor elements which are very inexpensive as a switch element. The operation type (MOD 3) is likewis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case where there is an open circuit in the ignition circuit. This error condition is assumed, for example, when the resistance of the ignition circuit exceeds a value of about 10 [Omega]. In the case of such a high ignition circuit resistance, sufficient voltage deviation in the elements of the ignition circuit (ignition charges, capacitors) is taken into account in time so that the ignition current is maintained at a minimum required value of about 2A. This is achieved by the push-pull operation of the switch elements T1, T2 to T3, T4 and T5, T6.

도 8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동작경과를 또 한번 설명한다. 전자안전장치의 장착 구비된 차량이 동작상태에 있게되고, 도로교통에 관여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단계 8.0), 프로세스 단계 8. 1에서 신호평가가 행하여진다. 즉, 가속도 센서(220)에 의해 기록된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 의해 평가된다. 여기에서는, 신호가 에어백(22, 23)의 트리거를 필요로 하는(8.2)것과 같은 중대한 사고상황을 지시하는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이것이 검출되지 않으면(8,3) 신호평가가 계속된다(8.1). 사고상황이 식별되면(8.4), 순식간에 점화회로. 더블에러가 존재하는지(8.6) 아닌지가 검사된다(8. 5).The operation progress of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Assuming that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is in an operating state and is involved in road traffic (step 8.0), signal evaluation is performed in process step 8.1. That is, the signal record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220 is evaluated by the microprocessor 20. Here,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the signal indicates a serious accident situation such as (8.2) requiring the triggering of the airbags 22, 23 or not. If this is not detected (8,3) the signal evaluation is continued (8.1). If an accident situation is identified (8.4), the ignition circuit in an instant. It is checked whether a double error exists (8.6) or not (8.5).

순식간의 점화회로 더블에러가 식별된 경우에는(8.6), 최적의 에러에 적합한 제어 방법이 도 2의 표로부터 선택된다(8.7). 다음에 소정의 제어시간(최초에 식별된 에러타입에 적합하게 조정되어 있다(8.8)), 예를 들어, 약 1ms의 사이,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것에 계속하여(8.9), 제어 방법이 변경된다(도 2의 표로부터 선택). 이것은 약 1ms의 별도의 시간의 사이에 제 2 식별된 에러에 대하여 알맞게 조정하기 위해서이다. 검사의 때에 순간의 점화회로 더블에러가 식별되지 않으면, 단계 8.10에 따라서, 순간의 점화회로상태에 상응하는 최적제어 방법이 도 2의 표로부터 선택된다. 계속해서(8.11), 점화필의 제어가 최적의 제어 방법에 따라서 행하여진다. 단계 8.12에서는, 약 100㎲의 측정간격으로 각각 순간의 점화회로 상태가 검사되고(예를 들어, 단락식별), 사용 가능한 공급전압이 측정된다, 단계 8.13에서는 다시 순간의 점화회로 더블에러가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검사된다. 택일적으로 루프(8.13, 8.15, 8.16, 8.17, 8.18) 또는 루프(8.13, 8.19, 8.20)를 반복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8.21에서는 부가적으로, 경우에 따라 기억된 에러상태가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그와 같은 것이 없으면(8.22), 전체의 트리거 지속시간이 소정의 한계지속시간(TG, 약 8ms) 보다 작은지 아닌지가 검사된다(8. 23). 작은 경우에는(8. 24), 분기점(C)에서 8. 4로 되돌아간다. 그 이외인 경우(8. 25)는, 8. 26으로 트리거 과정이 종료한다. 기억된 에러가 있으면(8. 27) 8. 28에서 재차, 점화회로 더블에러가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질문된다. 선택적으로, 8. 29, 8. 30, 8. 31, 8. 32에의 분기가 최종적으로 8. 33에서 메인 루트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행하여진다. 이 메인루트에서는 8.40에서 트리거가 종료한다. 점화회로 더블에러가 식별되지 않으면(8.34), (8.35) 도 2의 표로부터 재차 최적의 제어모드가 선택된다. 상응하는 트리거는 8.36에서 행하여진다.If an instantaneous ignition circuit double error is identified (8.6), a control method suitable for the optimal error is selected from the table of FIG. 2 (8.7). Next, a predetermined control time (adjusted to the error type initially identified (8.8)) is performed, for example, for about 1 ms. Following this, (8.9), the control method is changed (selected from the table of FIG. 2). This is to adjust for the second identified error in a separate time of about 1 ms. If no instantaneous ignition circuit double error is identified at the time of the test, according to step 8.10, the optimum control method corresponding to the momentary ignition circuit condition is selected from the table of FIG. Subsequently, (8.11), the control of the ignition fill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optimum control method. In step 8.12, the instantaneous ignition circuit conditions are checked (e.g., short-circuit identification) at a measurement interval of about 100 μs, and the available supply voltage is measured. In step 8.13, Is checked. Alternatively, loops 8.13, 8.15, 8.16, 8.17 and 8.18 or loops 8.13, 8.19 and 8.20 may be repeatedly processed. In step 8.21, it is additionally detected whether or not there is an occasionally stored error condition, otherwise (8.22), the overall trigger dur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imit duration (TG, about 8 ms) Is checked (8. 23). In a small case (8. 24), return to 8.4 in the branch point (C). Otherwise (8.2.25), the triggering process ends at 8.26. If there are any memorized errors (8. 27), it is again asked whether there is an ignition circuit double error or not. Alternatively, branches to 8. 29, 8. 30, 8. 31, and 8. 32 are ultimately done to return to the main route at 8.33. In this main route, the trigger ends at 8.40. If the ignition circuit double error is not identified (8.34), (8.35) again the optimal control mode is selected from the table of FIG. The corresponding trigger is done in 8.36.

도 9는 안전장치(1)의 별도의 실시예의 블럭회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안전장치(1)에, 센서(200),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제어장치(201), 및 다수의 관성 방지 장치(31/1, 31/2 . . . 31/6)와 이것에 배속된 출력단(30/1, 30/2, . . . 30/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종류의 다수의 출력단과 관성 방지 장치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안전장치가 장착 구비되어 있는 현대의 자동차에서는 미리 상정되어 있다. 운전자용 시트벨트 텐쇼너, 조수석용 시트벨트 텐쇼너, 운전자용 에어백, 조수석용 에어백, 운전자용 사이드 에어백, 조수석용 사이드 에어백. 현재에는 이미 다음과 같은 경향이 보인다. 즉, 도 9에 예로서 나타낸 6 개의 관성 방지 장치 내지 배속된 6 개의 출력단의 수를 초과하는 경향이 보인다. 차량의 후부좌석에 이러한 안전장치를 장착 구비하는 경우에는 장래적으로는 또한 다수의 관성 방지 장치 및 출력단이 사용된다. 출력단(30/1, . . . 30/6)은, 도 10에 예로서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그 자체가 비교적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수의 스위치 소자(T11, T12, T13, T14)가 직렬 및 병렬로 접속된다. 당업자에 있어서는, 도 10의 실시예는 풀브릿지라고 칭해지는 브릿지 회로인 것을 알았다. 또한 간단히 한 변형 실시예, 예를 들어, 이른바 3/4 브릿지, 또는 1/2 브릿지가 생각된다. 이 들은 도 1과 도 12에 예로서 나타나고 있다. 합리화와 신뢰성의 이유로부터 앞에 서술한 출력단, 적어도그 중 주요부분을 집적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전에 서술한 스위치 소자를 반도체 스위치로서 구성하고, 이것을 집적기술로 제조하면 유리하다. 이것은, 현재의 기술수단으로, 스위치 소자를 전력 MOFET 트랜지스터로서 구성하면 문제없이 가능하다. 그러나 집적회로에 대하여 현재 통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로서는 다음과 같은 반도체 스위치 소자만이 제조 가능하다. 즉, 전달 저항이 도통상태로 0.5Ω 내지 약 1.5Ω의 정도에 있는 소자만이 제조 가능하다. 따라서 이 스위치 소자의 온저항은 종래의 점화필의 저항의 정도에 있고, 점화필은 마찬가지로 수 Ω의 정도의 저항값(예를 들어, 1 내지 30)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 특성에서는, 이산적전력 MOSFET에 의한 통상의 점화회로 검사방법을 잘 적용할 수 없다. 즉 반도체소자의 상기의 저항값은 특히 강하게 온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실시예에서 방전 저항(RM)을 약 10Ω으로 선택하면, 점화필의 저항의 변화는 100mΩ 이하의 정도이지만(이것은 출력단의 기능을 판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온도에 기인하는 변화로부터 거의 구별할 수 없다. 이 문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즉 도 10의 실시예에서 브릿지 회로를 형성하고, 점화필(ZP1)과 콘덴서(CZK1)를 포함하는 제 1 스위치 소자(T11, T12, T13, T14) 이 외에, 또한 부가적으로 제 2 스위치 소자,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소자(TM1)를 설치하고, 이것이 스위치온 상태에서는 각별히 큰 도통 저항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제 2 스위치 소자(TM1)의 전달 저항을 도통상태로, 제 1 스위치 소자(T11, T12. . . T14)의 전달 저항의 10배 내지 수백배로 한다. 이것은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제조시 집적기술로 다음과 같이 하여 달성된다. 즉, 제 2 스위치 소자(TM1)에 대해 각별히 작은 칩 면적을 할당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 2 스위치 소자의 칩 면적은, 제 1 스위치 소자의 칩 면적의 1/10 내지 1/100만큼 작게 선정한다. 이에 따라, 제 2 스위치 소자에 있어서 각별히 큰 전달 저항이 도통상태로 얻어진다. 도 10의 블록 회로도에는 또한 IQ1로 나타낸 전류원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전류원은 스위치 소자(TM1)에 직렬로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스위치 소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집적기술로 제조되면, 이 전류원(IQ1)도 집적기술로 알맞게 제조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서, 이러한 종류의 전류원은 예를 들어, 분압기로서 실현되고, 이 분압기는 공급전압의 플러스단자와 어스단자의 사이에 접속된다. 이 전류원(IQ1)은 예를 들어, 제 1 전류(19)를 송출한다. 이 전류는 약 10mA 내지 약 100mA의 사이의 정도이다. 제 2 스위치 소자(TM1)를 사용하는 도 10에 나타낸 출력단의 검사를, 도 13에 나타낸 타이밍도를 기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3a는 스위치 소자(TM1) 각각의 도통상태를 나타낸다. 도 13b는 전류원(IQ1)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고, 도 13c의 곡선은 전압경과를 시간의 함수로서 스위치 소자(TM1)의 전달 저항에 대해 나타낸다. 도 13a에서, 스위치 소자(TM1)가 시간 간격 0 내지 t1에서는 블록되고, 이어서 도통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알았다. 전류원(IQ1)도 시간간격 0 내지 t1에서는 차단되고, 시점 t1에서 전류(IQ1)를 송출한다. 전류원(IQ1)의 투입접속과 스위치 소자(TM1)의 제어는 유리하게는 제어장치(201: 도 9참조)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스위치 소자(TM1)의 제어단자(M1)는 이 때문에 제어장치(201)와 접속된다. 도 13c에는 전압강하(UZKP1)가 나타나고 있다. 이 전압강하는 스위치 소자(TM1)의 전달 저항에 있어서 투입접속상태로 전류원(IQ)에서 송출되는 전류(IQ1)에 의해 생긴다, 이 전압강하는, 후자의 전류와 전달 저항의 값과의 곱이다. 이 전압강하(UZKP1)는 유리하게는 마찬가지로.제어장치(201)에 의해서 검출되고, 뒤에서의 계산에 사용된다. 여기에서는 공지와 같이, 아날로그 전압값으로서 인가되는 전압강하가 A/D 변환기에 의해서 디지털치로 변환되고, 이 디지털치가 후속처리에 사용된다. 측정된 전압강하(UZKP1)와 이미 알고 있는 전류원(IQ)의 전류(IQ1)로써, 제어장치(201)는 옴의 법칙을 고려하여, 측정점에 인가되는 스위치 소자(TM1)의 전달 저항을 검출한다. 그러나 전압강하 (UZKP1)와 전류원(IQ)의 전류(IQ1)의 측정과 계속하는 옴의 법칙을 고려하여 계산에 의해서 스위치 소자(TM1)의 전달 저항값이 구해지면, 높은 정밀도로 각각의 스위치 소자(T11, T12, T13, T14)의 전달 저항값도 얻어진다. 왜냐하면 이것들의 저항값은 칩 면적의 면적비에 근거하여 스위치 소자(TM1)의 전달 저항값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스위치 소자(T11, T12, T13, T14)의 전달 저항이 충분히 이미 알고있게 되면, 점화필(ZP1)을 흐르는 검사전류를 사용하여 간단히 점화필 저항의 값을 언제나 높은 정밀도로 구할 수 있고, 따라서 점화필(ZP1)의 기능능력을 추정할 수 있다. 검사전류와 측정척도계수에 대한 불가피한 공차를 고려하고, 또한 제 1 스위치 소자와 제 2 스위치 소자와의 칩 면적비를 고려하면, 점화필(ZP1)의 순간의 저항값을 구할 때의 공차 영역이 도출된다. 이 공차 영역은 수 10mΩ의 정도이다. 점화필(ZP1)의 저항값을 충분히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으면, 이 비교적 작은 편차가 기대된다. 따라서 발생하는 에러를 적시에 또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동등한 이점이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간단한 출력단의 실시예에서도 얻어진다. 도 10, 도 11, 도 12에는 각각 1 개의 점화필(ZP1)을 가지는 1개의 출력단만이 나타나고 있다. 물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종의 출력단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들의 출력단에 각각 1개씩 제 2 스위치 소자(TM1)와 소속의 전류원 (IQ)을 배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든 출력단(30/1, . . . 30/6)이 단지 1 개의 스위치 소자에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론 모든 출력단에 대하여 공통으로 동종의 제 2 스위치 소자(TM1)와 단지 1개의 전류원(IQ)을 얻는 것도 생각된다.Fig. 9 is a block circuit diagram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afety device 1. Fig. In this embodiment, the safety device 1 is provided with a sensor 200, a control device 201 having a memory device, and a plurality of inertia prevention devices 31/1, 31/2, 31/6, (30/1, 30/2, ..., 30/6) that are attached to the input /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and an inertia prevention device of this kind are, for example, previously assumed in a modern automobile equipped with the following safety device. Driver seat belt Tensor, seat belt for passenger seat Tensioner, driver airbag, passenger airbag, driver side airbag, passenger side airbag. At present, the following tendencies are already seen. That is, there is a tendency to exceed the number of six inertia prevention device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9 to six output stages attached. In the event that such a safety device is mounted on the rear seat of a vehicle, a plurality of inertia prevention devices and output stages are also used in the future. The output stage 30/1, 30/6 i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relatively complex in its own right. A plurality of switch elements T11, T12, T13 and T14 are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mbodiment of Fig. 10 is a bridge circuit referred to as a full bridge. It is also possible to think of a simple variant embodiment, for example a so-called 3/4 bridge, or a 1/2 bridge. These are shown as examples in Figs. 1 and 12. Fig. From the reasons of rationalization and reliability, it is conceivable to manufacture the output stage described above, at least a major part thereof, in an integrated form. For example, it is advantageous to construct at least the switch element described above as a semiconductor switch and manufacture it by an integration technique. This is possible without any problem if the switching element is formed as a power MOSFET transistor by the present technical means. However, only the following semiconductor switch elements can be manufactured as a current process for an integrated circuit. That i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only an element in which the transfer resistance is in the conduction state of about 0.5? To about 1.5?. Therefore, the on-resistance of the switch element is on the order of the resistance of the conventional ignition fill, and the ignition fill has a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1 to 30) on the order of several ohms. However, with this resistance characteristic, a normal ignition circuit inspection method using a discrete power MOSFET can not be applied well. That i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particularly strongly dependent on the temperature. For example, if the discharge resistance RM is selected to be about 10? In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change in resistance of the ignition fill is about 100 m? Or less (this is very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function of the output stage) It can hardly be distinguished from the change caused.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achieved as follows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10, a bridge circuit is formed, and in addition to the first switch elements T11, T12, T13 and T14 including the ignition coil ZP1 and the capacitor CZK1, , The switch element TM1 is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FIG. 10, which has a significantly large conduction resistance value in the switched-on state. Advantageously, the transfer resistance of the second switch element TM1 is in a conduction state, Is set to be 10 to several hundred times the transfer resistance of the first switch element (T11, T12, ... T14). This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integration technique in the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switch elements. That is, a very small chip area is allocated to the second switch element TM1. For example, the chip area of the second switch element is selected to be 1/10 to 1/100 of the chip area of the first switch element. As a result, a particularly large transfer resistance can be obtained in the conduction state in the second switch element. The block circuit diagram of Fig. 10 also shows a current source denoted IQ1. This current source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switch element TM1. I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are advantageously fabricated with integrated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this current source IQ1 can also be suitably manufactured by an integration technique. As a simplest example, this kind of current source is realized, for example, as a voltage divider,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supply voltage and the ground terminal. This current source IQ1 sends out, for example, the first current 19. This current is between about 10 mA and about 100 mA. The inspection of the output stage shown in Fig. 10 using the second switch element TM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chart shown in Fig. Here, Fig. 13A shows the conduction state of each switch element TM1. 13B show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source IQ1, and the curve in Fig. 13C shows the voltage transition as a function of time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resistance of the switch element TM1. In Fig. 13A, it has been found that the switch element TM1 is blocked at time intervals 0 to t1, and then is controlled to be in the conduction state. The current source IQ1 is also cut off at the time interval of 0 to t1, and the current IQ1 is transmitted at the time t1. The closing connection of the current source IQ1 and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element TM1 are advantageously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201 (see Fig. 9). The control terminal M1 of the switch element TM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201 for this purpose. 13C shows the voltage drop UZKP1. This voltage drop is caused by the current IQ1 sent out from the current source IQ in the input connec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resistance of the switching element TM1. This voltage drop is a product of the latter current and the value of the transfer resistance . This voltage drop UZKP1 is likewise advantageously detected by the control device 201 and used for subsequent calculations. Here, as is well known, a voltage drop applied as an analog voltage value is converted into a digital value by an A / D converter, and this digital value is used for subsequent processing. With the measured voltage drop UZKP1 and the current IQ1 of the current source IQ already known, the control device 201 detects the transfer resistance of the switching element TM1 applied to the measuring point in consideration of the Ohm's law . However, if the transfer resistance value of the switching element TM1 is obtained by calcul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measurement of the voltage drop (UZKP1) and the current IQ1 of the current source IQ and the continuing Ohm's law, (T11, T12, T13, T14) are also obtained. This is because the resistance value of these is proportional to the transfer resistance value of the switch element TM1 based on the area ratio of the chip area. Next, if the transfer resistances of the switch elements T11, T12, T13 and T14 are sufficiently known, the value of the ignition charge resistance can be always obtained with high accuracy by using the inspectio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gnition charge ZP1, Therefore, the function capability of the ignition fill ZP1 can be estimated. Considering the inevitable tolerances on the inspection current and the measurement scale factor and also considering the chip area ratio between the first switch element and the second switch element, the tolerance area for obtaining the instantaneous resistance value of the ignition fill ZP1 is derived do. This tolerance range is on the order of 10 mΩ. I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gnition coil ZP1 can be detected with sufficiently high accuracy, this relatively small deviation is expected. Therefore, errors that occur can be detected in a timely and reliable manner. An equivalent advantage is also obtained in the embodiment of the simple output stage shown in Figs. 11 and 12. Fig. 10, 11, and 12, only one output terminal having one ignition charge ZP1 is shown. Of course, as shown in FIG. 9,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f the same type,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d the second switch element TM1 and the associated current source IQ to the output terminals thereof, respectively. If all of the output stages 30/1, 30/6 are integrated in only one switching devic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mmonly connect the same second switching device TM1 and only one current source IQ ).

이하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도, 예를 들어, 집적기술로 제조된 스위치 소자의 전달 저항의 검출 및 고려가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부가적으로 기준로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앞에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특별한 전류원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브릿지 회로로 구성된 2개의 푸시/풀 출력단이 각 점화회로 (C1, R1 내지 C3, R3)의 제어를 위해 설치된다. C1과 C3은 여기에서도 콘덴서이고, 저항(R1, R3)에 의해 나타난 점화필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다. 제 1 출력단의 스위치 소자(S1, S2, S3, S4, S9)와 제 2 출력단의 스위치 소자(S5, S6, S7, S8, S10)는 유리하게는 집적기술로 제조된 스위치 소자이고, 예를 들어, MOS 트랜지스터이다. 출력단의 사이에는, 콘덴서(C2)와 저항(R2)의 직렬회로로 이루어지는 기준로가 접속된다. UB는 배터리전압을 나타낸다. 저항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할 수 있다. 우선 스위치 소자(S4)를 닫고, 스위치 소자(S9)의 닫음에 의해서 점화회로(C1, R1)의 직렬 회로에 배터리전압(UB)을 인가하여, 콘덴서(C1)를 충전한다. 충전곡선으로부터 콘덴서(C1)의 용량치가 검출된다. 스위치 소자(S2와 S4)를 소정시간(t)의 사이, 단시간 닫음에 의하여 콘덴서(C1)는 점화회로의 저항(R1)을 통해 방전된다. 콘덴서(C1)에서 또한 발생하는 전압은 저항(R1)의 값에 대한 척도이다. 여기에서는 앞에 설명한 측정과정에 의존하여 보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의 저항측정으로서는 장해량으로서 스위치 소자(S2 및 S4)의 전달 저항을 받아들였다. 이 전위저항은 샘플링 오차의 영향을 받아, 통상은 강하게 온도에 의존한다. 따라서 앞에 설명한 제 2 측정단계에서는, 저항(R1)의 저항값이 아니고, 저항(R1)의 저항값과 2배의 전달 저항(스위치 소자(S2, S4))의 합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전달 저항을 보정하기 위해 검출할 수 있도록, 콘덴서(C2)와 저항(R2)으로 이루어지는 기준로에서 비교측정이 실행된다. C2와 R2로 이루어지는 기준로는 2개의 푸시/풀 출력단의 사이에 접속된다. 이 2개의 출력단은 각각 1개의 점화회로(C1, R1 내지 C3, R32)를 제어한다. 이 푸시/풀 출력단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브릿지로서, 또는 스위치 소자(S3, S7)의 생략에 의해 3/4 브릿지로서 구성할 수 있다. 기준로(C2, R2)의 이러한 배치구성에 의해서 이 기준로의 기준저항의 측정이 부가적인 별도의 소자 없이 가능하게 된다. 기준로에서의 저항의 측정은 실질적으로는 앞에 설명한 측정과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우선, 스위치 소자(S8, S9)의 닫음에 의해서 기준로의 콘덴서(C2)가 충전된다. 다른 쪽에서는, 스위치 소자(S2, S8)의 닫음에 의해서 콘덴서(C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전된다. 위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방전과정으로부터 기준로의 저항값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결과는 기준저항(R2)과 스위치 소자(S2 및 S8)의 전달 저항의 합이다. 그러나 기준로의 기준저항(R2)의 저항은 이미 알고 있으므로, 닫은 상태에서의 스위치 소자(S2, S8)의 전달 저항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의 이미 알고있는 전달 저항을 사용하여, 앞에 설명한 측정과정에서 구해진 점화회로의 저항(R1 (내지 R3))의 저항값의 보정이 가능하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consider the transfer resistance of a switch element manufactured by an integrated technique. Here, the reference path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unlike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special current source can be omitted. In the embodiment of Fig. 14, two push / pull output stages constituted by a bridge circuit are provided for the control of the respective ignition circuits C1, R1 to C3 and R3. C1 and C3 are also capacitors here and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ignition fill indicated by resistors R1 and R3. The switch elements S1, S2, S3, S4 and S9 of the first output stage and the switch elements S5, S6, S7, S8 and S10 of the second output stage are advantageously switch elements manufactured by integration technology, For, it is a MOS transistor. Between the output terminals, a reference path made up of a series circuit of the capacitor C2 and the resistor R2 is connected. UB represents the battery voltage. The resistanc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as follows. The switch element S4 is first closed and the battery element voltage UB is applied to the series circuit of the ignition circuits C1 and R1 by closing the switch element S9 to charge the capacitor C1.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or C1 is detected from the charge curve. The capacitor C1 is discharged through the resistor R1 of the ignition circuit by closing the switch elements S2 and S4 for a predetermined time t for a short time. The voltage that also occurs in the capacitor C1 is a measure of the value of the resistor R1. In this case, correction must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procedure described above. As the resistance measurement, the transfer resistance of the switch elements S2 and S4 was accepted as an amount of an impediment. This potential resistance is affected by the sampling error and is usually strongly dependent on the temperature. Therefore, in the second measurement step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um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1 and twice the transfer resistance (the switch elements S2 and S4) is measured instead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1. A comparative measurement is performed on a reference route made up of the capacitor C2 and the resistor R2 so as to be detectable for correcting the transfer resistance. C2 and R2 is connected between two push / pull output terminals. These two output terminals control one ignition circuit (C1, R1 to C3, R32), respectively. This push / pull output stage can be constituted as a whole bridge as shown in Fig. 14, or as a 3/4 bridge by omitting the switch elements S3 and S7. With this arrangement of the reference paths (C2, R2), the measurement of the reference resistance to this reference becomes possible without additional additional elements. The measurement of the resistance in the reference path is practically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asure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first, the capacitor C2 as the reference capacitor is charged by closing the switch elements S8 and S9. On the other side, the capacitor C2 is at least partially discharged by closing of the switch elements S2 and S8.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ference line can be detected from this discharging process. However, the measurement result is the sum of the reference resistance R2 and the transfer resistances of the switch elements S2 and S8. However, since the resistance of the reference resistor R2 as a reference is already known, the transfer resistance of the switch elements S2 and S8 in a closed state can be calculated. Next, by using the already known transfer resistances,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s R1 (R3) of the ignition circuit obtained in the above-described measuring process.

스위치 소자(S1, . . . S8)가 집적기술로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들의 스위치 소자의 전달 저항간의 격차는 매우 작다. 왜냐하면, 같은 집적회로에서의 파라미터의 격차는 매우 작고, 또한 모든 스위치 소자는 실질적으로 같은 동작온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기준측정에 의해서 스위치 소자의 전달 저항이 점화회로의 저항값에 미치게 하는 영향을 거의 완전히 보정할 수 있다. 출력단 회로가 2개의 출력단뿐만 아니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다수의, 예를 들어, 4개의 전체 브릿지 회로에 의해서 구동되면, 필요한 보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각 집적회로마다 단지 1개의 기준로가 필요하게 될 뿐이다.In the case where the switch elements S1 and S8 are integrated by an integration technique, the gap between the transfer resistances of these switch elements is very small. This is because the variation of the parameters in the same integrated circuit is very small and all switch elements have substantially the same operating temperature.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transfer resistance of the switch element 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ignition circuit can be almost completely corrected by the reference measurement. When the output stage circuit is driven by not only two output stages but also a plurality of, for example, four, entire bridge circuits, as shown in Fig. 14, in order to perform the necessary correction, only one reference It will only be necessary.

점화회로(C1, R1 내지 C3R3)가 동시에 제어되는 경우라도, 에너지가 기준로 (C2, R2)에서 소실하지 않도록, 스위치 소자(S1)는 스위치 소자(S7)와 동시에, 또한 스위치 소자(S2)는 스위치 소자(S8)와 동시에 클럭 제어된다. 1개의 점화회로, 즉 예를 들어, 점화회로(C1, R1)를 트리거해야할 경우에는, 제 2 점화회로(C3, R3)의 스위치 소자는 닫혀지지 않는다.The switch element S1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switch element S7 and the switch element S2 so that the energy does not disappear in the reference paths C2 and R2 even when the ignition circuits C1 and R1 to C3R3 are simultaneously controlled. Is clock-controlled simultaneously with the switch element S8. The switch elements of the second ignition circuits C3 and R3 are not closed when it is necessary to trigger one ignition circuit, for example, the ignition circuits C1 and R1.

도 15는 도 14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준로의 저항 (R2)의 콘덴서(C2)의 반대측의 단자가, 점화회로의 저항(R3)의 콘덴서(C3)의 반대측의 단자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는, 이미 도 14에 관련하여 설명한 측정단계가 상응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스위치 소자(S8) 대신 점화회로 측정하는 경우에 스위치소자(S6)가 제어되고, 점화동안 스위치 소자(S1)는 스위치 소자(S5)와 동시에, 및 스위치 소자(S2)는 스위치 소자(S6)와 동시에 제어된다.Fig. 15 shows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acitor C2 of the reference-side resistor R2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acitor C3 of the resistor R3 of the ignition circuit. In this configuration, the measurement steps alrea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are applied correspondingly. However, the switching element S6 is controlled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ignition circuit instead of the switching element S8, and the switching element S1 is synchroniz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S5 and the switching element S2 is switched to the switching element S6 during the ignition, Respectively.

회로구성의 또다른 특정 실시예가 도 16에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의 도시는 단지 전체 브릿지 회로에 제한된다. 집적기술로 구성된 출력단의 이 전체 브릿지 회로 중 하나는 부가적으로 별도의 스위치 소자(S5)를 가진다. 이 스위치 소자 (S5)도 마찬가지로 유리하게는 MOS 기술로 구성된 출력단 트랜지스터이고, 실질적으로 스위치 소자(S2 내지 S4)와 같은 구조이다, 측정을 위해 설치된 콘덴서(C2) 및 저항(R2)을 가지는 기준회로가 여기에서는 스위치 소자(S5)와 스위치 소자(S2)의 각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도 16에 나타낸 출력단에 대하여는 3/4 브릿지로서 구성하여야 하며, 스위치 소자(S3)를 생략할 수 있다.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The city here is limited to the entire bridge circuit only. One of these full bridge circuits at the output stage of the integrated technology additionally has a separate switch element S5. This switch element S5 is likewise an output transistor composed of MOS technology and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switch elements S2 to S4. The reference element C2 having the capacitor C2 and the resistor R2 Is connected between each terminal of the switch element S5 and the switch element S2 in this case. The output terminal shown in Fig. 16 should be configured as a 3/4 bridge, and the switch element S3 may be omitted.

Claims (19)

가속도 감지 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관성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로서,An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in a vehicle, compri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t least one inertia prevention device, 상기 가속도 감지 센서에 연결된 제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와,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the control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microcomput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성 방지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으로서, 점화필(squi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 및At least one output end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inertia prevention devic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the at least one output end including ignition fills (squib)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연결된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안전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에러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연관 제어 지시가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성 방지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러 상태가 발생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지시에 따라 작동되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Wherein at least one error condition and at least one associated control indication of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i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nd wherein the at least one inertia prevention device is operable to detect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Is 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at least one control instruction when an error condition of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occurs. 제 1항에 있어서, 공급 전압이 상기 안전장치에 인가되고, 상기 제어 지시는 상기 공급 전압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2.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pply voltage is applied to the safety device and the control indication is determined as a function of the supply volt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end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상기 공급 전압이 30V 내지 45V의 범위에 있고 단락 회로 상태가 상기 점화필과 상기 공급 전압의 양극(positive pole) 사이에 존재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는 클럭-펄스 타이밍 신호의 함수로서 트리거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는 제 1 시간 간격동안 도통 상태에 있고 제 2 시간 간격동안 저지상태에 있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When the supply voltage is in the range of 30V to 45V and a short circuit condition exists between the ignition fill and the positive pole of the supply voltage, the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is a function of the clock- Wherein the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is in a conducting state during a first time interval and is in a blocking state during a second time interv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은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시간 간격동안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은 상기 도통 상태에 있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4. The vehicle passenger electronic safety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stage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second switch elements, and the at least two second switch elements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are in the conductive state,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은 반도체 소자들을 포함하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5.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and the at least two second switch elements comprise semiconductor element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상기 제 2 시간 간격과 동일한 지속시간을 가지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4.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time interval has the same duration as the second time interv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5㎲ 내지 10㎲ 범위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4.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of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time interval has a duration in the range of 5 mu s to 10 mu 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시간은 7㎲인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8.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of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uration is 7 占 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은 적어도 2개의 제 3 스위치 소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 동안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3 스위치 소자들은 상기 도통 상태와 상기 저지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있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stage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third switch elements, wherein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the at least two third switch elements < An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vehicle passenger in one of the stat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와 적어도 2개의 제 2스위치 소자들을 포함하고,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stage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and at least two second switch elements, 상기 공급 전압이 24V 내지 30V의 범위에 있고 단락 회로가 상기 점화필과 상기 공급 전압의 양극 및 그라운드 접속 중 하나 사이에 존재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는 클럭-펄스 타이밍 신호의 함수로서 트리거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는 제 1 시간 간격동안 도통 상태에 있고 제 2 시간 간격동안 저지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가 상기 저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은 상기 도통 상태에 있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When the supply voltage is in the range of 24V to 30V and a short circuit is present between the ignition fill and one of the anode and ground connections of the supply voltage, the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is a function of the clock- Wherein the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is in a conducting state during a first time interval and is in a blocking state during a second time interval, And the two second switch elements are in the conductive sta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3㎲ 내지 10㎲ 범위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11.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have a duration in the range of 3 mu s to 10 mu 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5㎲의 지속시간을 가지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11.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have a duration of 5 占 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은 적어도 2개의 제 1 스위치 소자들과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 및 적어도 2개의 제 3 스위치 소자들을 포함하고,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stage includes at least two first switch elements, at least two second switch elements, and at least two third switch elements, 상기 공급 전압이 9V 내지 24V의 범위에 있고 단락 회로가 상기 점화필과 상기 공급 전압의 양극 사이에 존재할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스위치 소자들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3 스위치 소자들은 클럭-펄스 타이밍 신호의 함수로서 푸쉬-풀(push-pull) 동작으로 선택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스위치 소자들,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3 스위치 소자들의 제 1 서브세트는 제 1시간 간격동안 도통 상태에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스위치 소자들,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3 스위치 소자들의 제 2 서브세트는 상기 제 1 시간 간격동안 저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 1 서브세트는 제 2 시간 간격동안 도통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 2서브세트는 상기 제 2 시간 간격동안 저지 상태에 있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Wherein the supply voltage is in the range of 9V to 24V and a short circuit is present between the ignition fill and the anode of the supply voltage, The two third switch elements can be selectively triggered in a push-pull operation as a function of the clock-pulse timing signal, and the at least two first switch elements, the at least two second switch elements And the first subset of the at least two third switch elements are in a conductive state for a first time interval and the at least two first switch elements, the at least two second switch elements and the at least two The second subset of third switch elements is in a blocking state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the first subset is in a conductive state during a second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subset is in a blocking state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2㎲ 내지 8㎲ 범위의 지속시간을 갖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14.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have durations in the range of 2 [mu] s to 8 [mu] 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 간격들은 3㎲의 지속시간을 갖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14. The electronic safety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have a duration of 3 占 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와,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 및 상기 점화필에 직렬로 접속된 콘덴서를 포함하고,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stage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at least two second switch elements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ignition fill, 상기 공급 전압이 30V 내지 45V의 범위에 있고 단락 회로가 상기 콘덴서의 단자와 상기 공급 전압의 양극 및 그라운드 접속 중 하나 사이에 존재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는 클럭-펄스 타이밍 신호의 함수로서 트리거할 수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위치 소자는 제 1 시간 간격동안 도통 상태에 있고 제 2 시간 간격동안 저지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스위치 소자들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동안 상기 저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 2 시간 간격동안 상기 도통 상태에 있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When the supply voltage is in the range of 30V to 45V and a short circuit is present between the terminal of the capacitor and one of the positive and ground connections of the supply voltage the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is a function of the clock- Wherein the at least one first switch element is in a conducting state during a first time interval and is in a blocking state during a second time interval, And is in the blocking state and in the conduction state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가속도 감지 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관성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용 전자안전장치로서,An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passenger in a vehicle, compri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t least one inertia prevention device, 상기 가속도 감지 센서에 연결된 제어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와,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acceleration sensor, the control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microcomput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성 방지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으로서, 다수의 제 1 스위치 소자들과 다수의 제 2 스위치 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제 1 및 제 2 스위치 소자들은 집적 회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다수의 제 1 및 제 2 스위치 소자들 각각이 온(ON) 상태와 오프(OFF) 상태 중 하나를 취하고, 각각의 상기 다수의 제 2 스위치 소자들의 제 2 전달 저항은 각각의 상기 다수의 제 1 스위치 소자들의 제 1 전달 저항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출력단을 구비하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At least one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sai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said at least one inertia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switch elements and a plurality of second switch elements, said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witch element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witch elements is one of an on state and an off state and is formed using an integrated circuit technique, Wherein the transfer resistor has at least one output end which is greater than the first transfer resist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element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스위치 소자들 중 하나가 상기 온(ON)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의 상기 제 2 전달 저항은 10 내지 100 범위의 인자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 1 스위치 소자들 중 하나의 상기 제 1 전달 저항보다 큰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elements is in the ON state, the second transfer resistance of the second switch element is greater than the second Wherein the first transmission resistance of on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s is greater than the first transmission resistance of on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1 스위치 소자들 중 하나인 상기 제 1 전달 저항과 상기 다수의 제 2 스위치 소자들 중 하나인 상기 제 2 전달 저항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로(reference branch) 회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준로 회로는 저항기에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를 포함하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다수의 제 1 및 제 2 스위치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의 함수로서 충전 또는 방전할 수 있는 차량승객용 전자안전장치.18. The method of claim 17,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reference branch to determine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elements, the first transfer resistor be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witch elements and the second transfer resistor be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witch elements. ) Circuit, wherein the reference circuit comprises a capacitor in series with the resistor, the capacitor being capable of charging or discharging as a function of the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witch elements Electronic safety devices for passenger cars.
KR1019970701912A 1994-09-24 1995-09-15 Electronic safety devices for passenger cars KR1003712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34204.7 1994-09-24
DE4434204 1994-09-24
DE4447174A DE4447174A1 (en) 1994-09-24 1994-12-30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vehicle occupants
DEP4447174.2 1994-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144A KR970706144A (en) 1997-11-03
KR100371248B1 true KR100371248B1 (en) 2003-04-21

Family

ID=652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912A KR100371248B1 (en) 1994-09-24 1995-09-15 Electronic safety devices for passenger car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71248B1 (en)
DE (2) DE444717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145A (en) * 2014-12-16 2017-08-2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Monitoring device for at least one ignition circuit for a personal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nitor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7877A1 (en) * 1996-07-11 1998-01-15 Telefunken Microelectron Process for triggering a passive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US5796177A (en) * 1997-05-19 1998-08-18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Firing circuit for multiple vehicle passenger restraint initiators
DE19823920C1 (en) * 1998-05-28 1999-11-18 Siemens Ag Automobil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operation of passenger restraint system
DE19922710A1 (en) 1999-05-18 2000-11-23 Bosch Gmbh Robert Control circuit for AC ignition circuit that contains at least one capacitance and at least one ignition element that serves for release of hold-back device in vehicle has with defect
DE10251763B3 (en) 2002-11-07 2004-08-05 Daimlerchrysler Ag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 motors
DE102004041425B3 (en) * 2004-08-27 2005-10-0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estrai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DE102005003577B4 (en) * 2005-01-25 2008-06-26 Auto Kabel Managementgesellschaft Mbh Battery pole connection device with short-circuit detector
DE102007012462B4 (en) 2007-03-15 2017-04-27 Robert Bosch Gmbh Device for controll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E102008003080B4 (en) * 2008-01-03 2020-07-30 Robert Bosch Gmbh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protection devices for a vehicle
DE102011006069A1 (en) * 2010-07-20 2012-01-26 Robert Bosch Gmbh Crash structure, vehicle crash stiffness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method for adjusting a vehicle crash structure stiffness
DE102014210815B4 (en) * 2014-06-05 2021-12-16 Robert Bosch Gmbh Control unit for a restraint in a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145A (en) * 2014-12-16 2017-08-2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Monitoring device for at least one ignition circuit for a personal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nitoring device
KR102482783B1 (en) 2014-12-16 2022-12-29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Monitoring device for at least one ignition circuit for a personal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nito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47174A1 (en) 1996-03-28
KR970706144A (en) 1997-11-03
DE59506396D1 (en) 199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8296B2 (en)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vehicle passengers
US5146104A (en) Electronic device for triggering a safety device
KR100371248B1 (en) Electronic safety devices for passenger cars
CN100408386C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t least one energy reserve capacitor in a restraint system
JPH0659813B2 (en) Ignition circuit of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046149A (en) Inflatable restraint firing circuit diagnostics
JPH03135859A (en) Ignition circuit on crew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EP2699453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reservoir capacitor of a vehicle passenger protection system, and vehicle safety system incorporating such device
US6072246A (en) Process for triggering a passive occupant safety protec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US65802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the capacitance of a storage capacitor provided in a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57379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perational failure of a digital accelerometer
JP4638914B2 (en) Electrical circuit for drive control of piezoelectric elements, in particular piezoelectric elements of automobile fuel injection devices
JPH0757590B2 (en) Test method and device for airbag restraint system
JP3683522B2 (en) Backup capacitor capacity diagnosis method
US6495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an electric circuit, in particular an ignition circuit of a mot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6486566B1 (en) Circuit for monitoring the ignition system for a safety device in an automobile
JPH06311733A (en) Malfunction detector in booster circuit
US6279479B1 (en) Method and firing circuit for triggering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3596191B2 (en) Solenoid valve drive
JP271655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6363852B1 (en) Factory testable igniter module for a vehicle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JP2002520219A (en) Monitoring method and circuit device of ignition device for safety device in vehicle
EP0845393B1 (en) A safety device for a motor vechicle
AU755808B2 (en) Control circuit for an alternating-current ignition circuit of a restraining means
JP3859840B2 (en) Crew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