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372B1 -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372B1
KR100368372B1 KR10-2000-0053599A KR20000053599A KR100368372B1 KR 100368372 B1 KR100368372 B1 KR 100368372B1 KR 20000053599 A KR20000053599 A KR 20000053599A KR 100368372 B1 KR100368372 B1 KR 10036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all
message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447A (ko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0-005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3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2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 H04M2207/203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composed of PSTN and data network, e.g.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기는 제1 단말기가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를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중일 때, 제2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측에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가 있는 경우에 제2 단말기의 호출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제공하여 문자 메시지화하고, 문자 메시지화한 호출 메시지를 제1 단말기측에 제공한다.
그 결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중인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측에서는 자신에게 걸려온 전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응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all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중일 때 착신호를 처리하기위한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비즈니스 환경에서 언제 어디서나 정보에 접근하는 기술이 핵심 요소로 대두되고 있고, 인터넷이 온라인 서비스, 메시지, 전자우편 및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려는 필요성이 사무실 환경뿐만 아니라 이동 환경에서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종래의 아날로그/디지털 무선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고 이를 확장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기술적 표준을 갖춘 여러 무선 통신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이크로 브라우저를 탑재한 폰의 보급이 크게 신장하고 있어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 통신 위주에서 데이터 통신을 병행하여 수용하는 구조로 변모해가고 있다.
이러한 음성 통신에 데이터 통신을 병행한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는 데이터 통신중 다른 측으로부터 통화 호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음성 메시지 센터(VMS)로 연결하여 음성 메시지를 남기도록 하거나, 미리 입력해준 다른 번호로 연결하여 해당 음성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들려주어 대응케 한다. 그러나 이때 데이터 통신 상태에서 착신자는 자신에게 걸려온 통화가 있었는지를 모르고 있어 급한 전화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통신중 호설정을 요청하는 착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착신자에게 걸려온 전화의 인식을 위한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착신호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단말기 200 : 이동통신망
210 : 기지국 220 : 기지국 제어기
230 : 교환기 240 : 단문 메시지 센터
300 : 타 이동통신망 400 : ISDN
500 : PST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단문 메시지 센터; 및
제1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를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중일 때,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에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단말기의 호출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제공하여 문자 메시지화하고, 문자 메시지화한 호출 메시지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방법은,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제1 단말기측에 제2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통화호 설정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통화호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단말기의 호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호출 메시지를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상기 제1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 통신을 수행중인 이동통신단말기에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측에서는 자신에게 걸려온 전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응답할 수 있다.
그러면,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0), 이동통신망(200), 타 이동통신망(300), ISDN(400) 및 PSTN(500)을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브라우저를 내장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통신 환경을 탈피하여 데이터 통신 환경까지 확장한 개념의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이때 사용자는 소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백본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핑 등을 수행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망(200)은 기지국(210), 기지국 제어기(220), 교환기(230) 및 단문 메시지 센터(SMC; Short Message Center)(240)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화호 설정 요청이나 데이터 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데이터 통신중일 때 착신되는 통화호 설정 요청을 문자 메시지화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는, 교환기(2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중일 때, 자기 이동통신망이나 타 이동통신망(300), PSTN(500)을 경유하여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가 있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서비스 옵션을 체크하여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호출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240)에 제공하여 문자 메시지화하고, 문자 메시지화한 호출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때 호출 메시지는 통화 호 설정을 요청하는 측의 전화번호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엔.아이.피.투(CNIP2) 옵션에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호출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측에서는 현재 데이터 통신중이라 할지라도 데이터 통신중인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일정 면에 통화로를 요청하는 측의 전화 번호를 단문 메시지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측에서는 자신에게 걸려온 급한 전화를 놓치는 위험을 제거하여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중일 때 자기 이동통신망이나 다른 이동통신망(300), 공중전화망(PSTN)(500)을 경유하여 다른 단말기로부터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0). 여기서 데이터 통신이라 함은 마이크로 브라우저를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백본망에 억세스하여 수행하게 되는 웹 서핑을 포함한다.
단계 S110에서 통화호 설정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중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서비스 옵션을 체크한다(단계 S120). 이때 서비스 옵션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옵션으로 이동통신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중일 때 다른 착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착신호를 사용자측에 통보할 것인지 또는 통보하지 않을 것인지 등을 포함한다.
이어 서비스 옵션에 데이터 통신중 착신호 수신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30), 데이터 통신중 착신호 수신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다른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 센터(240)에 제공하여 호출 메세지를 생성한다(단계 S140). 이때 생성될 수 있는 호출 메시지는 통화호 설정을 요청한 측의 전화 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통화호 설정을 요청한 측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 통화호 설정 요청자의 이름을 단문 메시지로 변환한 정보이다. 여기서 통화호 설정 요청자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는 자국의 이동통신망에 등록된 사용자 이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요청자의 이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 생성된 호출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측에 전송한다(단계 S150).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자신에게 걸려온 전화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잠시 대기시킨 후 걸려온 전화를 받든지 아니면 걸려온 전화를 무시하고 데이터 통신을 계속 수행하든지 등의 선택권을 데이터 통신중인 사용자측에 이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수행중 전화가 걸려오면 교환기는 통화중으로 간주하고 착신호를 처리하므로 발신자는 목적하는 통신을 즉시 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기는 착신자의 서비스 옵션을 확인하여 데이터 통신중이면 발신자의 번호를 호출 메시지로 바꿔 단문 메시지로 단말기에서 착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중이라 할지라도 착신자에게 걸려온 전화를 인식할 수 있다.

Claims (8)

  1. 제1 및 제2 단말기,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단문 메시지 센터 및 교환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마이크로 브라우저를 내장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하는 도중에 문자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일정 영역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교환기는 제1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중일때 제2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기에 대한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2 단말기로부터의 호출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제공하여 문자 메시지화하고, 문자 메시지화한 호출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제1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중일 때,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에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신호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서비스 옵션을 체크하여, 데이터 통신중 착신호 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단말기의 호출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에 제공하여 문자 메시지화하고, 문자 메시지화한 호출 메시지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메시지는,
    통화호 설정을 요청한 제2 단말기의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공중전화망을 경유하는 유선전화, 자국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이동통신단말기, 타국 이동통신망을 경유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0-0053599A 2000-09-08 2000-09-08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599A KR100368372B1 (ko) 2000-09-08 2000-09-08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599A KR100368372B1 (ko) 2000-09-08 2000-09-08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447A KR20020020447A (ko) 2002-03-15
KR100368372B1 true KR100368372B1 (ko) 2003-01-24

Family

ID=1968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599A KR100368372B1 (ko) 2000-09-08 2000-09-08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028B1 (ko) * 2002-03-20 2005-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중의 유입 호 서비스 방법
KR100542548B1 (ko) * 2002-05-04 2006-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망에서의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30091424A (ko) * 2002-05-28 2003-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중 호 대기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04766A (ko) * 2002-07-05 2004-01-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데이터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과 이를 구현한휴대전화기
KR20040076171A (ko) * 2003-02-24 2004-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패킷 통신 이동 망과 음성 통신 이동 망간의 교차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KR100649134B1 (ko) * 2003-12-15 2006-11-24 박용한 기기 사용중 외부 데이터의 수신 보류 기능을 갖는무선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588A (ko) * 1999-02-24 2000-09-15 조정남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단말기 호출음 변경 부가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588A (ko) * 1999-02-24 2000-09-15 조정남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단말기 호출음 변경 부가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447A (ko) 200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852B1 (ko) 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US66872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 subscriber based on a universal resource locator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US20030147514A1 (en) Method for serving character message transmission during telephone call over PSTN
KR100368372B1 (ko) 이동통신망의 착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128003A1 (en) Telecommunication gateway between a private network and mobile network
US20030210767A1 (en) TTY messaging
KR100454957B1 (ko)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에서 부재중수신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KR20040046338A (ko) 이동 전화의 통화 대기 또는 연결 중에서 착신자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신자홈페이지 제공 방법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US6526132B2 (en) Bi-directional CI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6229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KR100980049B1 (ko) 강제형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368595B1 (ko) 메시지 사서함 직접 억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375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신 호 설정과정 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100616607B1 (ko) 숫자와 문자 혼용의 이동국 전화번호에 의한 이동전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연결 방법
KR100972930B1 (ko) 호연결시 문자메시지 즉시 통보 방법
KR100542548B1 (ko) 무선 데이터 망에서의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678582B1 (ko) 씨디엠에이망에서 보이스호 불완료시 데이터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2268B1 (ko) 효과음 전송 방법 및 시스템
JP2002368880A (ja) コールバック装置及びコールバック方法
KR20090027970A (ko) 개인정보 노출 방지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애칭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