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756B1 - 이중 발정형 보조기 - Google Patents

이중 발정형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756B1
KR100367756B1 KR10-1999-0046245A KR19990046245A KR100367756B1 KR 100367756 B1 KR100367756 B1 KR 100367756B1 KR 19990046245 A KR19990046245 A KR 19990046245A KR 100367756 B1 KR100367756 B1 KR 10036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heel
arch
double
me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553A (ko
Inventor
한영진
Original Assignee
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진 filed Critical 한영진
Publication of KR2000004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발 정형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바닥 전체를 지지하지 않고 발의 내측족궁과 외측족궁만을 지지하여 하이힐로 인한 발, 다리 허리에 악영향을 막을 수 있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 뒤꿈치에서 시작되어 첫번째 중족골두 후방지점까지 연장되는 내측족궁 보조부를 형성하고, 발뒤꿈치에서 시작되어 5번째 종족골간 중앙부분까지 연장되는 외측족궁 보조부를 형성하되, 상기 내측족궁 보조부와 상기 외측족궁 보조부는 발뒤꿈치 부분에서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내측족궁의 보조부는 발목관절의 내향을 감소시키고 상기 외측족궁의 보조부는 발목관절의 외향을 감소시 킬 수 있는 하이힐 신발을 위한 이중 발 정형보조기를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여성들이 하이힐을 신을 경우에 발생하는 정형학적 기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기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하이힐을 신었을 경우에도 발이 하이힐에 압착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또한, 보조기의 외부에 발반사점이 형성된 커버를 씌우므로서 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발 정형보조기{Double arch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이중 발 정형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이힐을 신었을 때 발의 족궁(Pedar Arch), 즉 내측족궁(Medial Arch)과 외측족궁(Latar Arch)을 보조해주어 발, 다리 및 허리에 미치는 인체공학적 악영향을 줄일 수 있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발 구조를 보면 체중 부하를 효과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족궁(arch)이 있다. 인간은 두발로 걷는 동물로써 평지를 걸을 때가 많으며, 평지를 걸을 때 족궁의 역활은 체중부하와 이로 인한 하지나 허리관절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족궁의 역활이 비효과적일 경우, 예를 들어 여자들이 하이힐을 신고 걷는 경우에 체중의 비정상 충격이 발, 다리 및 허리에 작용한다.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퇴행성 관절염이 더 흔한 이유는 여자들이 하이힐을 착용하기 때문이다.
한편, 하이힐이 여자들에게 발, 다리 및 허리관절에 미치는 악영향은 지금까지 의학 논문과 정형학 교과서에 수없이 거론되었다. 하이힐을 신고 활동할 때는 발다리 허리관절이 변형된 상태에서 몸을 움직이게 되고, 이렇게 변형된 자세가 오래 지속되면 결국 여러가지 정형학적 질병들을 초래하게 된다. 이런 사실은 누구보다도 하이힐을 즐겨 신는 여성들이 더 잘 알고 있다. 이로 인하여 여자들은 기회가 있으면 하이힐을 벗어 던진다.
사무실에서 일하는 여성들을 보면 책상 뒤에 앉아 마자 하이힐을 벗어 버린다. 왜냐하면 하이힐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하이힐이 불편한줄 알면서도 여성들은 하이힐을 고집하고 있다. 발을 전문으로 하는 발정형 전문의로서 본인은 여자 환자들에게 하이힐이 몸에 미치는 악영향을 설명해 주고 하이힐을 신지 말도록 권장한다. 그러나 미관을 중요시하는 우리 인간의 심리를 고려해 본다면 의사로서의 권장은 헛된 일일 수밖에 없다.
도 7은 하이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의 후면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발의 외향상태(supination), (b)는 발의 수직상태, (c)는 발의 내향상태(pronation)를 나타내고 있다. 도 8과 도 9는 발목관절의 내향(pronation)과 외향(supination)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여성신체의 잘못된 자세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은 발의 과도한 내향과 외향에 의한 신체의 측면과 상하면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하이힐은 16세기에 유럽에서 착용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하이힐을 신고 걷는 여자의 발목을 자세히 보면 불안정하다. 발목의 불안정한 움직임은 골반의 움직임을 요란스럽게 하고, 이러한 하체의 불안정성을 보충하기 위해 상체도 같이 흔들어 주게 된다.
여성들은 하이힐을 신음으로서 엉덩이를 좌우상하로 움직이고 출렁거리는 가슴을 한층 더 과시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남성들의 시선을 한층 더 끌 수 있다는여자들의 심리가 5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하이힐을 벗어버릴 수 없는 이유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하이힐은 여성들의 필수품이 되어 버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성들에게 하이힐을 신지 말라고 권장하여도 실효를 거두기는 힘들다. 결국 차선책으로 하이힐을 신을 경우에 생기는 문제점을 최소화 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우선 하이힐로 생기는 문제점을 인체공학적으로 접근하여 보고자 한다.
하이힐로 인해 발생되는 인체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초적 인체 하지공학(biomechanics of lower extremity)을 우선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발의 내측족궁과 외측족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간의 발 골격은 평지를 걷는데 가장 효과적으로 창조되었는데, 인간의 발은 33개의 관절과, 28개의뼈, 그리고 44개의 크고 작은 근육과 힘줄로 형성되어 걸음을 걸을때 이 모든 구조들이 제각기 특이한 활동을 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하이힐을 신고 발 뒤꿈치를 쳐들고 걷게 되면 발 다리 관절들은 하이힐에 적응하기 위해 변형이 되어야 하고, 이런 상태에서는 근육과 힘줄의 활동은 비효율적이 된다.
한편, 발에는 2개의 족궁(pedal arches)이 있다. 발 안쪽에 내측 족궁(medial plantar arch)과 발 바깥쪽에 외측 족궁(lateral plantar arch)가 있다.
내측족궁을 이루는 뼈들은 거골(talus), 종골(calcaneus), 주상골(navicualr), 설상골(cuneiform) 및 첫번째 중족골(first metarsal bone)이다. 외측족궁을 이루는 뼈들은 종골(calcaneus), 입방골(cuboid) 및 다섯번째 중족골(fifth metartarsal)이다.
내측족궁(medial plantar arch)의 작용은 체중부하로 인한 충격을 감소하게 하고, 보행중 발다닥이 땅에 완전히 닿았을 때, 즉 체중이 한쪽 발다리에 몰릴때 다리뼈(경골, tibia)는 내향을 함과 동시에 거골은 발목 관절안에서 내향을 하여 내측족궁을 가라앉게 한다(pronation). 예를 들면 내측족궁은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한다. 그런데, 내측족궁이 필요이상 너무 주저 앉으면(hyper-pronation) 여러가지 정형학적 하지질병이 생긴다. 그러나 내측족궁이 필요한 만큼 가라앉아주지 않아도 하지질병이 생긴다. 두개의 족궁중에 내측족궁이 주족궁이며 이 족궁을 이루고 있는 관절들의 유연성에 의해 체중부하로 인한 하지관절에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외측족궁은 관절들의 유연성이 없다. 그 대신 관절들이 안정성을 지니고 있어 발의 충격감소 대신 몸무게를 지탱하는 역활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외측족궁의 관절들의 안정성이 없게 되면 체중부하에 문제가 생기고 하지 관절에 질병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두개의 족궁의 역활은 발 뒤꿈치를 쳐든 상태에서는 효력을 잃게 된다.
도 6은 발의 수직종궁의 상승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윈드래스 메카니즘(Windlass mechanism)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하이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의 내측종궁과 외측족궁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에는 내측족궁(101)과 외측족궁(102)이 각각 형성된다.
1955년 Hicks라는 의학자가 발표한 논문에(journal of anatomy)보면 족궁의 윈드래스 메카니즘이라는 학설을 발표한 적이 있다. 이 학설에 의하면 하이힐을 신었을 때처럼 발 뒤꿈치를 쳐들게 되면 족궁의 높이(height of the arches)가 높아지게 된다.
특히, 외측족궁은 체중부하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내측족궁의 높이도 또한 높아지게 되며 거골의 내향 움직임이 많아지게 되며, 거골의 내향 움직임이 많아지게 되며(hyperpronation) 다리뼈(경골, tibia)의 내회전 또한 증가하게 된다. 증가된 다리뼈의 내회전은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게 되고, 골반의 움직임도 필요이상 더해져서 허리관절의 손상을 가속시킨다. 이는 도 11에 비교적 상세히 나타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이힐을 신었을 때 높아진 2개의 족궁높이를 보조해 주어야 거골의 필요이상 내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hyperpronation), 외측족궁의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다(hypersupination). 도 9에 발목관절의 외향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평발환자의 발을 보면 내측족궁이 너무 주저앉아 있고, 체중 부하로 인한 충격을 감소해 줄 수 없다. 이로 인해 발다리에 기형적인 변형이 생기고, 나이가 들어 관절염과 허리병이 잦아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힐을 신은 사람들의 발을 보면 평발과는 반대현상이 일어난다.
족궁의 높이가 높아져서(평발=족궁의 높이가 낮다)그 만큼 족궁의 유연성이 없어지게 된다. 족궁이 너무 높아도 체중부하로 인한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소해 주지 못하게 되어 그 충격을 발, 무릎 및 허리까지 미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족궁과 외측족궁을 동시에 보조할 수 있게 하여 하일힐을 신었을 때 신체에 인체공학적 변형에 따른 몸 자세의 변화와 이로 인한 발, 다리 및 허리관절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하기 위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 뒤꿈치에서 시작되어 첫번째 중족골두 후방지점까지 연장 형성되며 단면이 가장자리에서 발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내측족궁 보조부와, 내측족궁 보조부와 발뒤꿈치에서 연결되어 나란히 5번째 종족골간 중앙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며 단면이 가장자리에서 발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외측족궁 보조부로 이루어져, 내측족궁 보조부는 발목 관절의 내향을 감소시키고, 외측족궁 보조부는 발목관절의 외향을 감소시키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를 제공한다.
도 1은 평탄면에서 발의 X-레이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하이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의 X-레이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하이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의 내측족궁과 외측족궁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발의 내측족궁(A)과 외측족궁(B)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하이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의 뒤꿈치가 상승됐을 때 상향된 내측족궁을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하이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의 뒤꿈치가 상승됐을 때 상향된 외측족궁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발의 수직족궁의 상승을 나타내는 윈드래스(WINDLASS)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하이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의 후면의 움직임으로, (a)는 외향(Supination), (b)는 수직(Perpendicular), (c)는 내향(Pronation)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발목관절의 내향(pronation)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발목관절의 외향(supination)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여성신체의 잘못된 자세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발의 과도한 내향과 외향에 의한 신체의 측면과 상하면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종래기술에 의한 발정형보조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의 (a), (b) 및(c)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중 발정형 보조기가 발의 관절부위를 저면과 측면에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의 (a), (b), (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의 단면도.
돈 1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가 발의 외측족궁을 지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가 발의 내측족궁을 지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보행중에 발바닥에 체중변화가 전달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생리 반사학에서 발바닥에 나타나는 인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생리 반사학(Reflexology) 논리를 응용한 카바를 이중보조 카바로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품은 상술한 하지 인체공학의 원칙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하이힐을 신었을 때 내측족궁 과 외측족궁 모두를 보조해 주어 하지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해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족궁보조의 각도를 조금만 변형시키면 하이힐 뿐만 아니라, 군화, 운동화, 일반 남자구두에 까지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통적인 정형학적 발 보조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현재 미국에서 발, 다리 및 허리에 생기는 정형학적 질병에 발보조기를 많이 처방한다. 그런데 현재 처방되는 발 보조기는 부피가 너무 커서 일반 남자 구두, 특히 하이힐에는 사용할 수 없다. 환자의 발에 맞추어 의사 처방에 의해 제작된 발 정형 보조기들은 그래파이트(graphite)나 폴리프로필렌(polyprorylene)이라는 가볍고 얇은 플라스틱 종류로서 1mm ∼ 3mm 두께로 제작되어 부피를 줄여 볼려고 노력하지만 운동화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특히 하이힐이나, 남자 일반구두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3의 (a), (b) 및 (c)는 내측족궁과 외측족궁 부분만 지지해 주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 정형보조기에서 내측족궁과 외측족궁 만을 보조해주고 그 외 부분은 제거해 버렸기 때문에 부피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품의 디자인 개념은 하이힐을 신었을 때 발의 족궁(padar arch) 즉 내측족궁(medial arch)과 외측족궁(latar arch)을 보조해 주어 하이힐로 인해 발생되는 발, 다리 및 허리에 미치는 인체공학적 악영향(biomechanical pathologics)을 줄이고자 하는 의도에서 개발되었다.
발목관절의 내향과 외향상태를 나타내는 도 8과 도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뒤꿈치를 쳐들고 걸을 때 가장 중요한 골격변화는 족궁의 변화이다.도 8에서 화살표는 발목관절의 내향시 주상골의 드롭방향(151)과, 거골의 만곡방향(152)과, 종골의 외전(外轉)방향(153)과, 경골의 내측회전방향(154) 및 주상골 관절의 압박방향(155)을 나타낸 것이다.도 9에서 화살표는 발목관절의 외향시 종골-입방골 관절의 압박방향(161)과, 종골의 내전방향(162)과, 거골의 등만곡방향(163)과 경골의 외측회전방향(164)을 나타낸 것이다.
족궁의 높이(arch height)가 달라지면서 발의 역활과 목적이 판이하게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즉, 족궁을 형성하고 있는 관절들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지고 과도한 발목관절의 내향(pronation)과 외향(supination)이 발생하게 되면 다리뼈(경골)의 내회전과 외회전을 필요이상 증가시켜 무릎관절과 허리관절의 충격을 더해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발 정형보조기는 발 뒤꿈치에서 시작되어 첫번째 중족골두 후방지점까지 연장 형성되며 단면이 가장자리에서 발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내측족궁 보조부와, 내측족궁 보조부와 발뒤꿈치에서 연결되어 나란히 5번째 종족골간 중앙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며 단면이 가장자리에서 발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외측족궁 보조부로 이루어져, 내측족궁 보조부는 발목 관절의 내향을 감소시키고, 외측족궁 보조부는 발목관절의 외향을 감소시키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로 이루어진다.
내측족궁 보조부(7)는 발목 관절의 내향(pronation)을 감소시키고 외측족궁 보조부(11)는 발목관절의 외향(supination)을 감소시킨다. 내측족궁 보조부(7)는 발뒤꿈치에서 시작되어 첫번째 중족골 두 부분 1Cm 후방지점까지 연장되 있으며, 외측족궁 보조부(11)는 발뒤꿈치에서 시작되어 5번째 종족골간 중간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9는 화살표(175)에 의하여 걷는 동안에 신체무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품의 또 하나 특징은 신발속에 삽입되는 어느 정형 보조기보다 부피가 적다는 점이다. 하이힐처럼 신발 자체가 좁더라도 현재 미국 병원에서 처방되는 일반 발 정형 보조기의 사용시보다 발이 압착되는 불편이 방지된다. 본 발명품은 2개의 족궁만은 보조하고, 나머지 부분의 발바닥은 신발의 안창과 직접 접촉되므로 발가락이 위치한 신발의 가장 앞부분도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조기와는 달리 발가락이 압착되는 불편을 제거했다. 보조기의 부피가 현저이 줄었기 때문에 보조기를 신속에 넣고 보행할 때 발 뒤꿈치가 신발로부터 벗겨지는 불편이 없어졌다. 결론적으로, 보조해야 될 발바닥 부분만을 보조해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부피가 있는 이물질을 신속에 넣어 발이 신발로부터 압착된다는 느낌을 받지 않는다. 때문에 본 발명품은 하이힐 뿐 아니라 일반 남자구두, 군화, 운동화 등 사용 범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본 발명품은 현재 미국에서 발 전문 의사들이 처방하는 보조기(도 12)와는많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부피가 훨씬 적어졌다. 둘째, 이 발명품의 생산과정에서 특히 명세되어야 할 자제는 두께 3mm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1mm 두께의 그래파이트(graphite) 이어야 된다. 때문에 여기에 명시된 재료를 써서 이 보조기를 생산하면 무게가 가볍고 두께가 얇기 때문에 부피가 훨씬 적어 진다.
만약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의 두께가 3mm보다 두껍거나 혹은 얇은 경우 보조기 자체의 유연성이 달라지게 되며 평균 발사이즈와 체중의 함수관계를 고려할 때 보조기의 유연성의 차이가 생긴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무릎관절과 허리관절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또 한가지 주의사항으로는 도 17과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을 측면에서 볼때 상향과 하향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이 각도는 인간종골의 평균상승각도와 일치하는데 종골의 상승각도는 발 사이즈마다 조금씩 다르다. 생산과정에서 명시된 각도를 무시한 상태에서 보조기가 사용되면, 사용자의 무릎과 허리관절에 심한 통증을 초래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품이 기성품으로 대량 생산된다면 표시된 각도와 재료를 써야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보조기를 사용해서 덕을 보지 못하고, 하지 관절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이중 발 정형 보조기는 내측족궁 보조부(2)와 외측족궁 보조부(1)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족궁 보조부(2)는 큰 부분을(대 보조기)차지하고 있고, 외측족궁 보조부는(소 보조기)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내측족궁 보조부(2)는 발 뒤꿈치에서 시작되어 첫번째 중족골두에서 1Cm 후방지점(7)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측족궁 보조부(1)는 발뒤꿈치에서 시작되어 5번째 종족골간 중앙부분(11)까지 연장되어 있다. 내측족궁 보조부(2)와 외측족궁 보조부(1)는 발뒤꿈치부분(3)에서 연결되어 있다.
도 14의 (a), (b), (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보조기의 측면도와 후방에서 보았을 때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고,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발정형 보조기가 발의 외측족궁을 지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과 발의 내측족궁을 지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측족궁 보조부(2)는 발뒤꿈치로부터 거골과 주상골 관절(talo navivular joint ;5)까지 15도 내지 40도의 각도로(발사이즈에 따라 각도가 변함) 상승부(4)가 형성되고, 첫번째 중족골두에서 1Cm 후방지점(7)까지 하방부(6)를 이룬다. 여기서 15도 내지 40도 사이의 수치는 하이힐을 신은 상태에서 발 내측에서 보았을 때 상승각도를 말하고, 발의 사이즈 및 남녀에 따라 종골의 상승각도가 평균 15도 에서 40도까지 변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3은 연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외측족공 보조부(2)는 발뒤꿈치부로부터 5도 내지 15도의 각도로 상승부(8)가 형성되고, 5번째 중족골간 중앙지점(11)까지 중앙부(9)를 거쳐 하향부(10)가 형성된다.
보통 남자 일반구두에 사용할 수 있는 이중발 정형 보조기의 형태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다름없으나, 하이힐을 신었을 때와는 달리 족궁의 높이가,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보조기의 각도가 달라진다. 즉, 남자 일반 구두에 사용되는 발정형 보조기는 발 뒤꿈치에서 내측 상향 각도가 15도∼40도 대신 10도∼30도로 제작해야 되며 외측의 상향각도는 5도∼15도 대신 2도∼8도로 조정된다.
도 15은 이중 발 정형보조기의 전두 단면도(frontal plane)를 보여주고 있는데, 내측족궁 보조부(2)의 가장자리(12)에서 안쪽, 즉 발중심부를 향해 경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족궁 보조부(1)의 가장자리(14)에서 안쪽, 즉 발중심부를 향해 또 다른 경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를 보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사용자가 이 보조기를 신발속에 삽입하여 보행을 할 때 발바닥에 체중부하가 전달되는 방향(175)을 도시한다. 발바닥이 정상적으로 체중이 부하되는 부분은 보조기의 역활이 필요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신발의 안창과 직접 접촉하게 했다. 그결과 전형적인 발 정형 보조기의 부피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됐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1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이 보조기에 커버를 입혀줄 수 있는데, 커버의 가강 접합한 재료로는 얇은 가죽이나 소프트하고 쿠숀이 있는 물질을 사용한다.
도 20은 생리 반사학에서 발바닥에 나타나는 인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0에서 보듯이 커버 자체에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서 Reflexology를 응용할 수 있다. 생리 반사학(Reflexology)이란 침술과 비슷한 논리로서 발다닥에는 몸의 각 기관을 대표하는 발반사점들이 있다고 한다.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적인 발반사점으로는 왼발췌장지점(240), 왼발심장지점(250), 왼발오장지점(260), 오른발췌장지점(340), 오른발심장지점(350), 오른발오장지점(360) 등이다.
도 20에서 보듯이 발바닥의 몸기관을 대표하는 발반사점을 자극한다면 그 몸 기관의 병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이다. 간을 보호하기 위해 침을 맞는다는 것과 같은 논리로 생리 반사학(Reflexology)은 발바닥을 자극시켜 몸 깊숙히 차지한 몸기간의 건강을 돕는다는 것이다. 병이 없는 사람들도 발바닥에 형성된 발반사점을 자극시켜 건강유지에 도움을 준다는 논리이다. 이 생리 반사학(Reflexology) 논리를 응용한 커버를 이중보조 커버로 (도21) 사용하면 현대 정형의학과 생리 반사학(Reflexology)이 라는 유럽의 마사지 방법이나 한의학의 논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이중 발 정형 보조기는 신발 제작과정에서 신발자체에 포함시켜 사용자가 신발을 바꿔 신을 때마나 보조기를 신속에 삽입하는 불편을 덜 수 도 있다. 미국에선 정형의사나 발전문의사의 처방에 의해 환자의 발기형에 맞게 생산하는 발 정형보조기에도 이중 발 정형보조기의 형태를 응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여성들이 하이힐을 신을 경우에 발생하는 정형학적 기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기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하이힐을 신었을 경우에도 발이 하이힐에 압착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또한, 보조기의 외부에 발반사점이 형성된 커버를 씌우므로서 발 마사지 효과를 볼수 있다.

Claims (12)

  1. 발 뒤꿈치에서 시작되어 첫번째 중족골두 후방지점까지 연장 형성되며 단면이 가장자리에서 발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발 뒤꿈치로부터 거골과 주상골 관절까지 상승부가 형성되고, 첫번째 중족골두 후방지점까지는 하강부를 이루는 대 보조기로서의 내측족궁 보조부와,
    상기 내측족궁 보조부와 발뒤꿈치에서 연결되어 나란히 5번째 종족골간 중앙지점까지 연장 형성되며 단면이 가장자리에서 발중심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발 뒤꿈치로부터 상승부가 중앙부까지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를 거쳐 5번째 중족골간 중앙지점까지 하강부를 형성하는 소 보조기로서의 외측족궁 보조부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족궁 보조부는 발목 관절의 내향을 감소시키고, 상기 외측족궁 보조부는 발목관절의 외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발 정형 보조기는 보조기의 외측에 씌워져 발반사점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커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 보조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발반사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얇은 가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발정형 보조기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폴리플로필렌의 두께는 3mm이고, 그래파이트는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정형 보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족궁 보조부를 발뒤꿈치로부터 거골 주상골관절까지 10∼30도 각도로 상향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족궁 보조부를 발뒤꿈치로부터 15∼40도 각도로 거골 주상골 관절까지 상향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족궁 보조부를 발뒤꿈치에서 주상 골관절까지 10∼30도 각도로 상향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족궁 보조부를 발뒤꿈치에서 종골입방골관절까지 2∼8도 각도로 상향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발 정형보조기.
KR10-1999-0046245A 1998-12-14 1999-10-25 이중 발정형 보조기 KR100367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116098A 1998-12-14 1998-12-14
US09/211,160 1998-12-14
US23691299A 1999-01-26 1999-01-26
US09/236,912 1999-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553A KR20000047553A (ko) 2000-07-25
KR100367756B1 true KR100367756B1 (ko) 2003-01-15

Family

ID=2690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245A KR100367756B1 (ko) 1998-12-14 1999-10-25 이중 발정형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136B1 (ko) * 2001-04-10 2003-06-19 박인식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553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74756B (zh) 具有足部三维运动控制及足压分散的装置
US20040103561A1 (en) Footwear with orthopedic component system
US7849610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and method
US6874258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and method
US20020162250A1 (en) Unitary orthotic insert and orthopedic insole
US20040194352A1 (en) Orthopedic insole for a diabetic shoe
US6938363B1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and method
JPH05508084A (ja) 矯正用靴中敷
KR20150097643A (ko) 인체 하지를 위한 정형외과용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신발 및 의족
WO2009031774A2 (en) Shoes having the function for prevent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of knee joint and reduction of pain
Janisse Prescription insoles and footwear
US20100263233A1 (en) Rocker shoes for prescribed ankle motion
KR100599501B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Edelstein If the shoe fits: footwear considerations for the elderly
KR101999344B1 (ko) 바른발 기능성 양말
KR100367756B1 (ko) 이중 발정형 보조기
CN206603340U (zh) 一种足弓形脚垫
WO2021173898A1 (en) An in-shoe insole to provide comfort and reduce pain in high heeled shoes and boots, constructed from an anatomically shaped last
JPH02261447A (ja) 足裏支持体
Zamosky Shoe modifications in lower-extremity orthotics
KR101799579B1 (ko) 코리고 패턴을 유도하는 아웃솔
CN110122974A (zh) 一种矫形鞋垫
Doxey The semi-flexible foot orthotic: fabrication and guidelines for use
JP6966078B2 (ja) 足用矯正具
JP2012518461A (ja) 退行性膝関節症のための機能性靴底を備えた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