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076B1 -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076B1
KR100367076B1 KR10-2000-0017173A KR20000017173A KR100367076B1 KR 100367076 B1 KR100367076 B1 KR 100367076B1 KR 20000017173 A KR20000017173 A KR 20000017173A KR 100367076 B1 KR100367076 B1 KR 10036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yer
quotation
seller
company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878A (ko
Inventor
강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포스
Priority to KR10-2000-001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0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9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량·다품목으로 거래되는 과학기자재의 구매를 다품목 동시 입찰에 의해 역경매가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구매자가 빠르고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가 가능한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일이상의 구매자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다수의 판매자 단말기와, 상기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한 다품종의 물품을 동시에 견적의뢰함에 따라 다수의 판매자가 각각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견적서를 제출할 때 구매자의 낙찰결과를 해당 판매자에게 구매자의 정보와 함께 통지하여 계약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Electronic Commerce System of Reverse-Auction Type for Scientific Articles and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량·다품목으로 거래되는 과학기자재의 구매를 다품목 동시 입찰에 의해 역경매가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구매자가 빠르고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가 가능한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는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용역을 광고 또는 판매하는 네트웍 기반의 사이버 상거래를 의미하며 최근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그 이용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같은 전자 상거래는 백화점이나 할인점 등 적은 비용으로 상품을 효과적으로 광고하고 판매하기를 원하는 유통업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기를 원하는 제조업체나 제품 또는 상품을 해외에 광고하여 수출하기를 원하는 무역업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과학기자재, 즉 각종 실험도구, 실험용 진단시약과 화공약품, 측정장비 등은 소량이면서 다품종이고, 때에 따라서는 부정기적으로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물품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들은 전국 각지에 산재되어 있는 대학교, 연구소 및 회사의 석·박사 과정의 학생, 교수 및 연구원들로서 일반적으로 재정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 처한 구매자들은 대량 구매를 할 수 없는 입장이므로저렴한 가격에 물품을 구매하기가 어렵고, 비싼 비용을 주더라도 적기에 다품종의 물품을 공급받을 수 있는 업체에 구매를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고, 고가의 실험 및 측정장비들은 업체의 과대한 영업비용까지 포함된 물품가격으로 구매하고 있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 상거래 방법은 크게 나누어 통상적인 사이버 쇼핑몰 방법, 인터넷 몰-오브-몰스(mall of malls), 경매(auction)에 의한 상거래방법, 역경매에 의한 상거래방법으로 분류된다.
먼저, 인터넷 사이버 쇼핑몰을 개인 또는 회사가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작비와 운영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홍보에도 한계를 갖고 있고, 인터넷 사이버 쇼핑몰(또는 인터넷 몰-오브-몰스)은 판매점에서 정한 정찰가격(고정된 가격)으로만 거래가 가능하고 가격에 대한 협상이 불가능하다.
인터넷 경매방법은 구매자가 판매자를 알 수 없으며, 오히려 판매자는 그룹으로서 최종가격을 결정하는 다수의 구매자를 끌어들이기 때문에 구매자는 해당 상품을 필히 구매하여야 하는 경우 의도한 구매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구매를 해야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사이버 쇼핑몰 방법, 인터넷 몰-오브-몰스(mall of malls), 경매(auction)에 의한 상거래방법은 판매자가 주체가 되어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판매자-구동 시스템(seller-driven system)으로서 구매자 입장에서는 가능한한 저렴한 가격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역경매에 의한 상거래 방법은 상품의 구매자가 사이버 공간에 견적을 의뢰하면 사이버 운영사에 회원사로 가입되어 있는 판매점들이 서로 싼값으로 입찰을 하여 구매자에게 가장 유리한 판매조건을 제시하는 판매점과 구매자가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역경매와 경매의 차이점은 입찰의 주체가 바뀐다는 점이다.
상기한 인터넷 역경매 방법은 구매자가 구매의향서에 희망가격, 조건 및 지불계좌번호 등을 제시하여 등록하면 이를 회원사 홈페이지에 구매정보를 띄우고, 판매를 원하는 회원사(판매자)는 자신의 ID를 입력한후 견적서(입찰서)를 등록한다. 견적서가 등록된 경우 역경매 주관회사는 견적서 등록사실을 구매자에게 E-메일로 알려주고, 구매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등록된 다수의 견적서 중에서 가장 좋은 조건과 가격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구매자-구동(buyer-driven) 거래방식이다.
따라서, 구매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역경매 방법에 의한 상거래가 이론적으로는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나, 상기한 일반적인 역경매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상황의 구매자를 적절하게 배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구매자가 지방에 위치해 있는 대학교의 교수 또는 대학생이거나 연구소의 연구원인 경우,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은 실험 또는 연구에 필요한 소량·다품종의 각종 소모품, 약품이나, 실험장비 및 측정장비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구매물품의 가격이 크지 않으면 서울이나 대도시에 위치해 있는 공급자(판매자)가 이를 공급하고자 할 때 만족할 만한 수준의 가격과 기간을 맞추지 못하여, 비싼 가격으로 물품을 구입할 수밖에 없었다.
일부 판매자는 쇼핑몰 홈페이지를 개설한 경우도 있으나, 필요한 품목을 원하는 시기에 값싸게 구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각 분야의 구매자(즉, 회원)가 필요로 하는 모든 물품을 쉽게 하나의 사이트에서 해결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구매자에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종래의 역경매방식 전자 상거래에서는 제품의 품질과 제조회사가 널리 알려져 있고, 고가의 물품에 대하여 일회에 단일 품목만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저가격, 소량·다품종의 물품을 역경매 방식으로 구매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구매가 불가능한 품목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구매자 그룹은 비교적 상거래에 익숙하지 못하며 영업사원들의 잦은 방문과 전화연락으로 연구업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자신의 신분 노출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량 다품목으로 거래되는 과학기자재의 구매를 다품목 동시 역경매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구매자가 빠르고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가 가능한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매자의 정보보호를 위하여 낙찰 전에는 구매상품에 대한 정보 이외에는 구매자에 대한 어떤 정보도 제공되지 않으며, 회원의 로그인(Log-in)시에 구매자와 판매자로서 자격을 분리하여 구매자는 견적의뢰만 판매자는 견적서 작성만이 가능하게 제한함에 의해 구매자 회원이 학교 또는 연구소의 물건을 판매할 수 없게 설정한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대한 개략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회원과 업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방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제공되는 메인 홈페이지 화면예,
도 6은 회원 가입시에 제공되는 회원의 이용약관의 화면예,
도 7은 구매자의 회원등록 양식을 보여주는 화면예,
도 8은 판매자의 업체등록 양식을 보여주는 화면예,
도 9는 로그인 화면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원의 견적의뢰서 양식을 보여주는 화면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예,
도 12는 자신의 견적의뢰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회원의 마이 파일을 보여주는 화면예,
도 13은 업체의 견적서 작성 예를 보여주는 화면예,
도 14는 견적서 작성에 따라 출력되는 견적서의 예,
도 15는 업체의 견적 사항과 낙찰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업체의 마이 파일을 보여주는 화면예,
도 16은 회원의 견적의뢰한 사항에 대해 접수된 견적서의 내용을 확일할 수 있는 회원의 마이 파일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구매자 단말기 3a-3n ; 판매자 단말기
5 ; 시스템 서버 5a ; 웹서버
5b ; 데이터 베이스 서버 7 ; 인터넷망
9 ; 웹브라우저 30 ; 메인 화면
50 ; 이용약관 60 ; 회원등록화면
80 ; 업체등록화면 101 ; 로그인 화면
110 ; 역경매 리스트 화면 121 ; 견적의뢰 화면
133 ; 견적서 작성 화면 147 ; 견적서
150 ; 회원의 마이 파일 160 ; 업체의 마이 파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다품종의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견적을 하나의 견적의뢰서로 의뢰할 때, 시스템 서버는 상기한 견적의뢰 사항에 기초하여 역경매 리스트와 견적의뢰 파일를 제공하는 단계와, 다수의 판매자는 각각 자신의 판매자 단말기에서 견적의뢰된 다수의 물품 중 적어도 일 이상의 물품에 대한 견적서를 작성하여 시스템 서버로 올리는 단계와, 그후 구매자는 자신의 견적의뢰 파일을 확인하여 입찰들어온 다수의 견적서의 조건을 조사하고 일 또는 몇개의 견적서 조합을 선택하여 접수 마감일 전까지 시스템 서버에 낙찰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낙찰통보에 따라 시스템 서버는 낙찰자 단말기로 낙찰사실과 구매자의 연락정보를 통보하여 낙찰받은 판매자가 구매자와 납품계약을 체결하여 납기내에 물품을 납품하도록 안내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는 회원/업체 등록시에 각각 분리된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등록시에 설정한 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자는 개인자격으로 회원등록이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자는 기업체 자격으로 업체등록이 이루어지며, 구매자로 등록한 경우는 견적의뢰만이 가능하고 판매자로 등록한 경우는 견적서 입찰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는 구매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매자가 낙찰통보를 행하기 전까지 구매자의 정보는 판매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일이상의 구매자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다수의 판매자 단말기와, 상기 구매자가 인터넷을 통한 다품종의 물품을 동시에 견적의뢰함에 따라 다수의 판매자가 각각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견적서를 제출할 때 구매자의 낙찰결과를 해당 판매자에게 구매자의 정보와 함께 통지하여 계약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가 소량 다품목의 과학기자재의 구매를 하나의 양식에서 동시에 견적의뢰하면 다수의 판매자들은 다품목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역경매에 따른 견적서를 작성하여 입찰함에 의해 구매자는 빠르고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가 가능하고 대학교 또는 정부 출연 연구소의 특성에 따라 낙찰없이 제품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여 예산 편성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물품 중계 사이트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대한 개략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의 개략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인터넷망(7)에 접속되어 역경매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 상거래에 대한 전체적인 역경매절차를 중계/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시스템 서버(5)와, 다수의 구매자 회원 및 물품 공급업체 판매자가 시스템 서버(5)에 인터넷망(7)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다수의 구매자 단말기(PC)(1) 및 판매자 단말기(3a-3n)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시스템 서버(1)와 다수의 구매자/판매자 단말기(1,3a-3n) 사이의 접속은 모뎀과 PSTN을 통한 인터넷 접속, 또는 전용선, ISDN을 이용한 유선방식과, 셀룰러, PCS, 마이크로웨이브나 위성통신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단말기(1,3a-3n)는 상기한 방식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단말기(1,3a-3n)는 예를들어, 펜티엄급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버와, 통신용 모뎀 등을 갖춘 개인용 컴퓨터(PC)에 인터넷 접속을 지원해주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9)가 탑재된 것이라면 어떤 기종의 PC 또는 단말기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 서버(5)는 다수의 구매자 단말기(1)와 다수의 판매자 단말기(3a-3n)가 웹 브라우저(9)를 사용하여 시스템 서버(5)에 접속할 때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역경매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절차를 처리하기 위하여 시스템 내부에 상호 LAN으로 연결된 다수의 웹서버(5a)와, 구매자/판매자 및 관리자들이 입력하는 데이터를 보관하고 구매자/판매자 질의에 따라 추출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DB Server)(5b)와, 시스템내의 다수의 웹서버와 DB 서버를 모니터링하고 장애시 시스템 관리자가 이를 복구하기 위하여 시스템 관리자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기 위한 시스템 관리용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DB 서버(5b)는 주지된 구조로서 데이터 저장장치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매자인 회원의 각종 정보와, 회원이 지정한 장학금 지급 학교/학부에 관한 사항이 기억되어 있는 회원 DB(11), 구매자 회원의 물품 구매에 따라 사이트 운영회사로부터 제공되어 적립된 사이버 머니를 장학금으로 지급할 장학금 지정학교에 대한 사항이 기억되어 있는 장학금 지정학교 DB(12), 회원이 견적의뢰한 것, 견적서 작성시 의문사항 등의 각종 질문과 답변을 저장하는 게시판 DB(13), 적립된 사이버 머니를 장학금으로 지급할 장학금 지정학교/학과와 적립금에 대한 사항이 기억되어 있는 학교/학과 적립금 DB(14), 대학교별 정보를 기억해 놓은 대학교 정보 DB(15), 학과별 정보를 기억해 놓은 학과 정보 DB(16), 판매자인 업체의 상세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업체 DB(17), 회원과 업체의 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업체 주소 DB(18), 회원의 견적의뢰 사항을 관리하여 회원의 마이 파일로 연동되는 견적의뢰서 DB(19), 회원의 견적의뢰 사항을 관리하여 역경매 리스트에서 업체가 볼 수 있는 견적의뢰서 DB(20), 업체의 견적서 정보를 관리하여 업체가 업체 마이 파일에서 볼 수 있는 견적서 DB(21) 및 업체의 견적서 정보를 관리하며 회원이 회원 마이 파일에서 볼 수 있는 견적서 DB(22)를 포함하고 있다.
물론, 상기한 데이터 베이스(DB)(11-22)는 필요에 따라 좀더 세분화하여 구성될 수 도 있고 통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방식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구매자인 회원이 자신의 단말기(1)에서 시스템 서버(5)로 구매 물품에 대한 견적을 의뢰할 때(S1), 물품 판매자인 업체는 판매자 단말기(3a-3n)에서 각각 자신의 견적서를 작성하여 시스템 서버(5)로 올린다(S2).
이 경우 구매자는 대학교의 학과 또는 실험실/연구실에서 필요한 다수의 품목을 하나의 견적의뢰서에 포함시켜 견적을 의뢰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견적의뢰된 모든 물품에 대한 견적서를 제출하거나 자신이 취급하고 있는 품목만 선택적으로 견적서를 제출할 수 도 있다.
그후 구매자는 자신의 마이 파일을 확인하여 입찰들어온 다수의 견적서의 가격과 조건을 조사하고 그 중에서 자신이 의뢰한 모든 품목을 포함하면서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하나의 견적서 또는 몇개의 견적서 조합을 선택하여 접수 마감일 전후로 시스템 서버(5)에 낙찰을 통보한다(S3).
이에 따라 시스템 서버(5)는 낙찰자 단말기로 낙찰사실을 E-메일로 통보함과 동시에 구매자의 연락정보를 알려준다(S4). 그후 낙찰받은 판매자는 구매자와 납품계약을 체결하고 납기내에 물품을 납품한다(S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가 소량 다품종의 물품을 하나의 견적의뢰에 의해 동시에 원하는 물품을 모두 구매할 수 있고, 낙찰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구매자의 신분을 노출시키지 않고 보호할 수 있어 구매자가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구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역경매방식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를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의 신분과 거래대상 물품의 속성을 고려하여 구매자인 회원은 개인자격으로서 등록이 가능하고, 판매자는 물품공급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기업체로서 등록이 가능하다.
먼저, 회원 및 업체가 본 발명 사이트에 회원으로 등록하기 위하여 시스템 서버(5)에 접속하면(S10), 도 5에 도시된 시스템 서버(5)의 메인화면(30)이 구매자/판매자 단말기(1,3a-3n)로 다운로드된다.
상기 메인화면(30)에는 홈페이지로 리턴하기 위한 홈(Home)페이지 리턴메뉴(31), 역경매를 통한 전자상거래를 가능하게 해주는 역경매 메뉴(32), 각 업체에서 재고가 있거나 특판 및 전시회 사용제품 등을 품목별로 등록하여 좋은 제품을 신속하고 저렴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판매업체와 담당자를 연결시켜주는 아울렛 메뉴(33), 각종 논문집, 식품공전, 각종 실험법 등의 설험 및 교육에 도움이 되는 최신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자료실 메뉴(34), 전시회 소개, 과학소식(35a), 생활과학소식(35b), 신제품 소개(35c), 자격증 안내 등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정보광장 메뉴(35), 제품구입에 관한 질문과 답변(QA), 실험에 관한 질문과 답변, 견적의뢰와 견적서 작성시 의문사항 등의 각종 질문과 답변을 저장하는 자유게시판을 이용할 수 있는 게시판 메뉴(36), 본 사이트의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주는 이용안내 메뉴(37), 회원의 로그인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로그인 메뉴(38), 회원가입을 안내하는 회원가입 메뉴(39), 회원의 등록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안내하는 회원정보변경 메뉴(40), 본 사이트(Labi)를 소개하기 위한 사이트 소개(about Labi) 메뉴(41), 본 사이트의 전체 구조를 표시해주는 사이트맵(site map) 메뉴(42)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회원가입 메뉴(39)를 선택하면(S11),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이용약관(50)이 제공되며,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이용약관(50)을 받아들여서 등록을 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인 회원은 회원등록 메뉴(51), 판매자인 업체는 업체등록 메뉴(52)를 선택하여야 하며, 만약 이용약관(50)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는 동의안함 메뉴(53)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동의안함 메뉴(53)를 선택하는 경우, 즉 비회원인 경우는 역경매 메뉴(32) 등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회원과 업체에 따라 별도로 구분하여 등록을 하도록 하여 회원인 경우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같이 견적서 작성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업체인 경우는 견적의뢰를 할 수 없도록 하였다.
즉, 회원인 경우는 일반적으로 대학교에 재직중인 교수 또는 대학원 학생이나 회사의 연구소에 근무하고 있는 연구원이므로 임의로 물건을 판매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고, 업체가 견적의뢰하는 것을 막은 것은 업체가 허위로 견적위뢰하여 다른 경쟁업체의 입찰가격을 알아내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학교의 쓰지 않는 물품을 판매 처분하고자 하는 경우는 아울렛 메뉴(33)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대학교의 교수가 회원으로 등록하기 위하여 회원등록 메뉴(51)를 클릭하는 경우(S13), 도 7에 도시된 구매자의 회원등록화면(60)에서 회원의 ID(61), 비밀번호(62), 비밀번호확인(63), 비밀번호힌트(64), 성명(65), 주민등록번호(66), E-메일(67), 회사(학교)명(68), 우편번호(69), 주소(70), 전화(71), FAX 전호(72), 추천인(73), 장학금 지급 희망학교(74a)/희망학과(74b) 등을 기재하고, 회원등록버튼(75)을 클릭하면 회원등록절차가 완료된다(S14).
도 7에서 * 표시가 없는 항목은 필수입력사항이 아니고, 등록을 원하지 않으면 취소버튼(76)을 클릭하여 취소할 수 있다.
또한, 물품공급 판매자가 업체로 등록하기 위하여 업체등록 메뉴(52)를 클릭하는 경우(S13), 도 8에 도시된 구매자의 업체등록화면(80)에서 업체의 ID(81), 비밀번호(82), 비밀번호확인(83), 비밀번호힌트(84), 회사명(85), 대표자(86), 사업자등록번호(87), E-메일(88), 우편번호(89), 주소(90), 전화(91), FAX 전호(92), 추천인(93), 업체정보(94), 설립년도(95), 업종/업태(96), 대리점 현황(97), 공급가능품목(98) 등을 기재하고, 업체등록버튼(99)을 클릭하면 회원등록절차가 완료된다(S15).
도 8에서 * 표시가 없는 항목은 필수입력사항이 아니고, 등록을 원하지 않으면 취소버튼(100)을 클릭하여 취소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회원의 등록사항은 간략하게 하였고, 업체의 등록사항은 상세하게 요청하여 구매자가 견적서를 검토할 때 업체정보를 조회하여 낙찰자를 결정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판매자의 등록사항중 기본정보에 해당하는 사업자등록번호(87), 대표자(86), 주소(90), 전화번호(91) 및 팩스번호(92)는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하였다.
그후 등록절차를 마친 회원/업체가 로그인 메뉴(38)를 클릭하면 도 9에 도시된 로그인 화면(101)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등록한 사용자 ID(61;81)와 비밀번호(Password)(62;82)를 입력하고 로그인버튼(102)을 클릭하면 로그인 절차에 따라 입력된 회원 및 업체의 ID와 비밀번호가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11,17)에 등록된 사항과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16).
판단결과 일치하는 경우는 회원이 등록한 역경매 리스트를 제공하는 역경매 리스트 메뉴(103)와, 회원이 구매물품의 견적을 의뢰하기 위한 견적의뢰 메뉴(104)와, 회원과 업체가 자신의 견적의뢰 사항 또는 견적서 입찰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마이파일 메뉴(105)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때 로그인 절차를 완료하면 우선적으로 진행중인 역경매 리스트 화면(110)을 제시하고 회원의 다음 절차를 대기할 수 있다.
만약 회원이 견적의뢰 메뉴(104)를 선택하면, 도 10에 도시된 견적의뢰 화면(121)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회원이 견적의뢰서에 제목(122), 제품명(123), 모델 및 부품번호(124), 제조회사(125) 및 수량(126)을 기입한다.
또한, 메모(MEMO)(127)를 이용하여 견적의뢰서에 기재한 내용에 첨부하여 요청하고 싶은 사항, 예를들어 "긴급구입" 또는 "가격불문" 등과 같이 구매자의 물품구매와 관련한 특별한 코멘트와 제품에 관한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기재하여 정확한 견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자는 견적서 제출에 대한 접수마감일(128)과 납품이 이루어져야할 지역(129)을 설정해주는 것에 의해 판매자가 보다 정확한 견적을 제출할 수 있게 한다.
그후 회원이 확인 버튼(130)을 클릭하면 견적의뢰 사항은 도 11의 역경매 리스트(110a)의 NO2에 등록됨과 동시에 도 12에 도시된 회원의 마이 파일로 저장된다(S18,S19).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번의 견적의뢰에 의해 다수의 물품을 동시에 견적의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역경매 리스트(110a)에는 접수일(111), NO(112), 제목(113), 마감일(114), 조회수(115), 납품지역(116) 및 낙찰업체(117)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
그후, 접수마감일 이전에 업체가 역경매 리스트(110a)를 제목검색(118) 또는 키워드 입력창(119)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버튼(120)을 클릭하여 키워드 검색을 실시함에 의해 원하는 견적의뢰 물품을 선정한다.
이어서 선정된 물품들의 상세한 사항을 확인하기 위하여 역경매 리스트(110a)의 조회수(115)를 선택하면 도 10에 도시된 견적의뢰 화면(121)이 제공되어 이를 보고 업체는 견적서를 준비하게 된다.
업체에서 견적서를 준비하고자 하는 경우 견적의뢰 건의 제목(113)을 선택하면 도 13에 도시된 견적서 작성 화면(133)이 제공된다. 그후 판매자(업체)가 견적서 작성 화면(133)에서 제목(134), 회원의 이름(135), 견적일자(136), 공급가액(137), 견적서 물품 리스트(139)의 제품명, 모델번호, 제조회사, 수량, 단가 및 금액, 총액(140), 납품예정일(141), 담당자(142), 메모(143)를 기입하고, 첨부화일(144)에는 카탈로그 등의 제품에 대한 정보를 파일로 첨부한 후, 확인버튼(145)을 클릭하면 견적서 작성이 완료되고 업체의 기본정보(146)는 견적서에 자동으로 입력된다(S20).
이 경우 견적서 작성에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문의게시판(138)을 클릭하여 의문사항을 문의할 수 있고, 메모(143)를 이용하여 견적물품에 대한 부연설명이 가능하다.
상기한 견적서 작성이 완료된 경우 도 14에 도시된 견적서(147)가 자동으로 작성되어 업체와 견적을 의뢰한 회원이 확인할 수 있고, 프린트할 수 도 있게 된다.
도 14와 같이 견적이 이루어진 경우 견적 내용은 도 12의 회원의 마이 파일(150)과 도 15의 업체의 마이 파일(160)에 모두 저장된다(S21). 회원의 마이 파일(150)은 도 12와 같이 견적서 접수일(111), NO(112), 제목(113), 견적 마감일(114), 견적수(152), 낙찰업체(153), 낙찰가격(154), 문의계시판(155), 낙찰완료건 지우기(156) 컬럼으로 구성된 마이파일 리스트(15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이파일 리스트(151)에서 지우기 컬럼(156)의 "DEL"은 낙찰이 이루어진 건에 대하여만 제공되며, 만약 회원이 이를 클릭하는 경우 마이파일 리스트(151)에서 삭제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마감 또는 낙찰이 완료된 날 이후로 3개월이 경과하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삭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마이 파일(150)에는 회원의 물품구매에 따라 사이트 운영업체로부터 제공되는 사이버 머니(157)가 어떤 대학교의 어떤 학과에 얼마만큼 적립되어 있는지를 알려준다. 상기한 사이버 머니(157)는 일정액수가 적립될 때 지정학교 지정학과의 장학금으로 제공된다.
더욱이, 마이파일 리스트(151)의 해당 제목을 클릭하면 업체의 견적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도 16에 도시된 견적서 확인 리스트(158)가 제공되며, 견적서 확인 리스트(158)에는 NO(112), 업체명, 금액, 업체확인(159), 낙찰하기(161) 컬럼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업체확인(159) 컬럼을 클릭하여 견적의뢰한 업체들의 견적서 및 업체정보를 열람하여 확인하고 낙찰대상업체를 선정하여 클릭하면, 낙찰이 이루어져서 시스템의 서버(5)로부터 회원의 단말기(1)로 E-메일에 의해 낙찰통보가 이루어진다(S22).
한편, 도 15의 업체의 마이 파일(160)은 도 12와 유사하게 견적서 접수일(111), NO(112), 제목(113), 견적 마감일(114), 견적수(152), 낙찰업체(153), 낙찰가격(154), 문의계시판(155) 컬럼으로 구성된 마이파일 리스트(156)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업체는 시스템 서버(5)로부터 E-메일에 의해 낙찰결과를 통보 받거나 또한 업체 스스로 업체의 마이 파일(160)을 검색하여 낙찰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S23,S24).
그후 시스템 서버(5)로부터 구매자의 연락정보를 E-메일로 제공받은 업체(판매자)는 구매자인 회원과 계약을 체결하고 물건을 납품한다(S25).
이 경우 구매자의 특성상 당장 계약을 체결하지 못하는 경우 업체는 납품업체로 지정될 수 있고, 구매자는 구매가격정보를 확보하여 정기적인 물품구매시에이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거래대상 물품이 과학기자재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소량·다품종의 물품을 동시에 구매하는 경우에는 어떤 종류의 물품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가 소량 다품목의 과학기자재의 구매를 하나의 양식에서 동시에 견적의뢰하면 다수의 판매자들은 다품목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역경매에 따른 견적서를 작성하여 입찰함에 의해 구매자는 빠르고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가 가능하고 대학교 또는 정부 출연 연구소의 특성에 따라 낙찰없이 제품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여 예산 편성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역경매 방식의 상거래 사이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다품종의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견적을 하나의 견적의뢰서로 의뢰할 때, 시스템 서버는 상기한 견적의뢰 사항에 기초하여 역경매 리스트와 견적의뢰 파일을 제공하는 단계와,
    다수의 판매자는 각각 자신의 판매자 단말기에서 견적의뢰된 다수의 물품 중 적어도 일 이상의 물품에 대한 견적서를 작성하여 시스템 서버로 올리는 단계와,
    그후 구매자는 자신의 견적의뢰 파일을 확인하여 입찰들어온 다수의 견적서의 조건을 조사하고 일 또는 몇개의 견적서 조합을 선택하여 접수 마감일 전까지 시스템 서버에 낙찰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낙찰통보에 따라 시스템 서버는 낙찰자 단말기로 낙찰사실과 구매자의 연락정보를 통보하여 낙찰받은 판매자가 구매자와 납품계약을 체결하여 납기내에 물품을 납품하도록 안내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구매자는 개인자격으로 회원등록이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자는 기업체 자격으로 업체등록이 이루어지며, 구매자로 등록한 경우는 견적의뢰만이 가능하고, 판매자로 등록한 경우는 견적서 입찰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는 회원/업체 등록시에 각각 분리된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등록시에 설정한 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가 낙찰통보를 행하기 전까지 구매자의 정보는 판매자에게 제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방법.
  5.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일이상의 구매자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다수의 판매자 단말기와,
    상기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다품종의 구매 물품에 대한 구매 견적을 하나의 견적의뢰서로 의뢰할 때 상기한 견적의뢰 사항에 기초하여 역경매 리스트와 견적의뢰 파일을 제공하고, 다수의 판매자가 각각 자신의 판매자 단말기에서 견적의뢰된 다수의 물품 중 적어도 일 이상의 물품에 대한 견적서를 작성하여 올리는 것에 응답하여 구매자가 자신의 견적의뢰 파일을 확인하여 입찰들어온 다수의 견적서의 조건을 조사하고 일 또는 몇개의 견적서 조합을 선택하여 접수 마감일 전까지 시스템 서버에 낙찰을 통보하는 경우 낙찰자 단말기로 낙찰사실과 구매자의 연락정보를 통보하여 낙찰받은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 납품계약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구매자는 개인자격으로 회원등록이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자는 기업체 자격으로 업체등록이 이루어지며, 구매자로 등록한 경우는 견적의뢰만이 가능하고, 판매자로 등록한 경우는 견적서 입찰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품종 물품은 과학기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2000-0017173A 2000-04-01 2000-04-01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173A KR100367076B1 (ko) 2000-04-01 2000-04-01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173A KR100367076B1 (ko) 2000-04-01 2000-04-01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878A KR20010093878A (ko) 2001-10-31
KR100367076B1 true KR100367076B1 (ko) 2003-01-09

Family

ID=1966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173A KR100367076B1 (ko) 2000-04-01 2000-04-01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873A (ko) * 2001-02-14 2002-08-21 코리온 시스템 주식회사 과학산업 기자재 인터넷 공개 구매방법
KR102273649B1 (ko) * 2019-08-05 2021-07-06 주식회사 오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보안 및 무결성이 보장되는 역경매 방식의 거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896A (en) * 1996-03-29 1998-11-10 Onsa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electronic auction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896A (en) * 1996-03-29 1998-11-10 Onsa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electronic auc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878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0523B1 (en) Automated competitive bidding system and process
US67515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rade specification and match-making optimization
US786540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commerce facility client-based presentation offer management
US85950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e of a product 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site
US20020116281A1 (en) Internet-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reallocating and selling used industrial equipment and machinery
US200200829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liciting bids
US200100496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work flow actvities
US20060100896A1 (en) Web based restaurant management
ZA200600075B (en) Electro-dynamic pricing exchange
KR20000024256A (ko) 포탈사이트의 기능을 포함하는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00037057A (ko) 통일된 연결도메인을 통한 다자대 다자간 인터넷컨텐츠제공 및 전자상거래 통합운용 방법
WO2001031537A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rade specification and match-making optimization
WO2001014994A2 (en) Network-based virtual commodity exchange
KR100367076B1 (ko) 역경매 방식의 과학기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24273A (ko) 포탈사이트의 기능을 포함하는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및 그 방법
US20050177468A1 (en) Request for quote system and method
KR20000063162A (ko) 지식관리시스템 및 지식관리방법
US200501656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and structuring purchase information and conducting purchase transactions
US7707074B1 (en) Online marketplace channel access
KR2000005478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방법
KR200300431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머천다이징 시스템
KR20040080401A (ko) 인터넷에서의 온라인 조립컴퓨터견적서 검색을 이용한조립컴퓨터 구매 및 판매 방법.
KR20060039380A (ko) 메신저 활용 공동구매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1008405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경매방법
KR20020001568A (ko) 인터넷을 통한 전자부품의 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