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951B1 - 리셉터클콘택트및이를이용한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콘택트및이를이용한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951B1
KR100366951B1 KR1019950013749A KR19950013749A KR100366951B1 KR 100366951 B1 KR100366951 B1 KR 100366951B1 KR 1019950013749 A KR1019950013749 A KR 1019950013749A KR 19950013749 A KR19950013749 A KR 19950013749A KR 100366951 B1 KR100366951 B1 KR 100366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ance
housing
receptac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921A (ko
Inventor
요시무라요지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5003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하우징에 부착하여도 탄성을 잃지 않는 소형, 저 삽입력의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를 사용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리셉터클 콘택트(100)는 한쌍의 접촉편(112) 및 이 접촉편(112)의 대략중앙부에 대략

Description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커넥터{Receptacle Contact and Connector Using Same}
본 발명은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하여, 특히 밧데리 팩용으로 적당한 리셉터클 콘택트 및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컴퓨터는 노트북형 PC등 소형화 경향이 현저하다. 이에 따라 실장(實裝)되는 부품, 예를 들면 커넥터 등도 소형이 요구되고 있다. 커넥터에 사용되는 리셉터클 콘택트는 종래 본원 출원인의 일본출원 특공소62-27513호 공보에 개시된 형식의 것이 있다. 이 리셉터클 콘택트는 판상의 본체의 한쪽끝에서 돌출하는 암 및 암을 지지하는 판상의 본체로 구성되고 리셉터클부와 본체에 설치된 하우징걸림용 랜스를 지니고 있다. 암과 랜스와는 암의 장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며 그에 따라 그 리셉터클 콘택트는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장팔 방향의 치수를 단축하고 소형화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본원 발명 출원인의 일본 출원 특공평 3-45873호 공보에 개시된 리셉터클 콘택트가 알려져 있다. 제10도에 표시한 리셉터클 콘택트(200)는 사각형 기부(201)의 측면 끝에서 한쪽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한 접촉편(202)과 기부(201)의 단연(端緣)에서 다른쪽으로 대략 직각방향으로 연장한 도체접속부(204)를 지닌다. 접촉편(202)에는 랜스(206)가 절취되어 형성되어 있다. 랜스(206)의 자유단(203)은 접촉편(202)의 고정단(205) 측에 있다. 랜스(206)는 리셉터클 콘택트(200)가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편(202)로부터 삽입되면 하우징 내벽에 들어가도록 하우징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접촉편(202) 자체가 벽면에 고정되므로 접촉편(202)의 탄성을 얻을 수 없고 상대 콘택트(도시하지 않음)에 탄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또 랜스(206)부분에는 그다지 탄성이 없으므로 리셉터클 콘택트의 삽입력이 크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소형, 저삽입력, 접촉편에 충분한 탄성을 지니는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를 지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콘택트는 사각형의 판상기부와 해당기부의 제1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기부의 일면측으로 돌출하고 상대 콘택트와 접촉하는 한쌍의 접촉편을 지니고 상기 기부의 제2 방향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에서 도체접속부를 연장한 리셉터클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편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접촉편의 고정단에서 자유단 쪽으로 대략자형 상태로 형성한 슬롯에 의해 화성되는 한쪽지지 비임형 랜스를 설치하고, 상기 랜스는 상기 접촉편과 같은 쪽에 고정단을 지님과 동시에 상기 접촉편에서 외방으로 확대개방되고 결합부를 상기 랜스의 선단부 근방에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콘택트를 사용한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사각형 콘택트 수용개구를 지니는 하우징과, 사각형 판상 기부의 제1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기부의 일면측으로 돌출한 한쌍의 접촉편을 지니며 상기 콘택트 수용개구에 지지되는 리셉터클 콘택트를 갖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는 상기 접촉편의 고정단으로부터 자유단방향으로 대략자 상태로 형성한 슬롯에 의해 화성되고 상기 자유단 측의 선단부에 제1 결합부를 지니며 상기 접촉편으로부터 확대개방된 한쪽지지 비임형 랜스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콘택트 수용개구의 대향 내면에 콘택트 삽입측에서 뻗어 삽입되는 상기 랜스를 배치하는 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해당 홈내에 상기 제1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를 사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이하 간단히 커넥터라 함)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커넥터(1)는 노트북형 컴퓨터의 밧데리 팩 쪽에 부착되고 대략 직방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2)에는 리셉터클 콘택트(이하 간단히 콘택트라 함)(100)를 수용하는 콘택트 수용개구(3)(제8도 참조)에 대응하여 하우징(2)의 윗면(4)에 슬롯(6,8,10)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8,10)내에는 부착된 콘택트(100)의접점부(102)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그러나 슬롯(6)에는 콘택트(100)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슬롯(6)에는 상대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리브가 삽입된다. 소위 키-잉(keying)을 위한 것이다. 각 슬롯(6,8,10)은 하우징(2)의 저면(18)(제2도 참조)측에도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슬롯(10)은 슬롯(8)보다 길고 이곳에는 접지용 콘택트(100)가 배치된다. 짧은 슬롯(8)에는 신호용의 콘택트(100)가 배치된다. 상대방의 리브단자(도시하지 않음)는 접지용이 신호용보다 길기 때문에 수용하는 슬롯(10)은 슬롯(8)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들이 결합할때는 접지용 콘택트들이 최초로 접촉하게 된다. 제4도중에 부호 104로 나타낸 부분은 콘택트(100)의 도체접속부이며 이 부분은 하우징(2)의 후면(1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부호 14로 표시한 부분은 하우징(2)를 보강하기 위하여 후면(12)에 하우징(2)과 일체로 설치된, 하우징(2)의 장방향으로 뻗는 리브이다. 하우징(2)은 유리 섬유함유 나일론, PBT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한 커넥터(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커넥터(1)의 전면(16)에는 하우징(2)의 윗면(4) 및 저면(18)에 설치한 슬롯(6,8,10)과 연통하는 슬롯(6',8',10')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8',10')의 대략 중앙에는 하우징(2)의 장방향으로 뻗는 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100)를 하우징(2)으로부터 해체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상기 홈(40)에 침(針)형태의 공구를 삽입하여 콘택트(100)와 하우징(2)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제2도로부터 이해할수 있듯이, 하우징(2)은 윗면(4), 전면(16), 저면(18)에 슬롯(6,6',8,8',10,10')을 지니므로 상대 커넥터는 하우징(2)에 대하여 상방, 전방, 하방의 세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중부호 22로 표시한 포스트는 커넥터(1)를 밧데리 팩에 장착할 때의 위치결정용이다. 즉 커넥터(1)를 윗면(4), 저면(18)측에서 체결부착하는 체결부착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요철결합하여 하우징(2)이 고정됨과 동시에 그 위치의 이탈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콘택트(1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에 사용된 콘택트(100)의 스트립(101)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스트립(101)은 예를 들면 인청동판(燐靑銅板)과 같은 금속판을 타발굴곡하여 형성된다. 스트립(101)은 절단부(110)에서 전단(剪斷)되어 개별단자로 분리되고 잔여부분이 폐기된다. 도체접속부(104)는 전단에 선행하여 굴곡되지만 전단시에 동시굴곡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면중 부호 112 및 114는 콘택트(100)의 사각형 기구(113)의 양측에서 지면(紙面)의 반대측으로 굴곡된 접촉편 및 랜스를 각각 표시한다. 접촉편(112) 및 랜스(114)는 기부(113)근방에서 슬롯(125)(제4도 참조)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각각 독립된 탄성특성을 지닌다. 도체접속부(104)는 호형의 절결부(116)에서 접촉편(112)과 반대측 즉 지면의 앞에 도면중의 (104')로 표시한대로 굴곡된다.
제4도에, 제3도의 스트립(10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콘택트(100)의 접촉편(112)은 기구(113)으로부터 수직하강된 사각형 형상을 지니고 있다. 접촉편(112)의 선단부(120)는 접촉편(112)로부터 아주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112)의 중앙부에는 고정단(122)로부터 선단부(자유단)(120)측에 대략자형의 슬롯(125)이 형성되며 랜스(114)가 화성된다. 랜스(114)는 접촉편(112)의 선단부(120)와 같은 쪽에 선단부(124)를 지닌다. 랜스(114)의 선단부(124)근방에는고정단(122)측을 향하여 절취된 돌기(제1결합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5도에, 제4도의 콘택트(100)를 A 에서 본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접촉편(112) 및 랜스(114)의 위치관계가 용이하게 이해가능할 것이다. 접촉편(112)은 기부(113)의 제1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일면측으로 연장하고, 도체접속부(104)는 제2방향의 단부로부터 접촉편(112)과 반대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한쌍의 접촉편(112)은 선단부(120)가 고정단(122)보다 폭이 좁게 되도록 내향연장되어 있다. 한편 랜스(114)는 고정단(122)측의 폭 W가 접촉편(112)의 폭 W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랜스(114)는 그 선단부(124)까지 폭 W를 갖도록 연장하고 있다. 선단부(124)의 외측에는 면(128)이 형성되어 있다. 랜스돌기(126)는 선단부(124)측으로부터 고정단(122)측으로 경사하여 외측방으로 솟아 있고 고정단(122)측으로 신장하여 결합면(130)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112)의 선단부(120)는 상대 콘택트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호형의 안내면(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면(132)의 상호 가장 근접한 부분이 접점부(102)가 된다. 도면중 부호 134로 표시하는 원형구멍은 도체접속부(104)에 전선(도시하지 않음)의 도체를 삽입하여 납땜하기 위한 것이다. 구멍(134)에 전선도체를 납땜할때 그 열이 전도되어 콘택트(100)의 랜스(114)에 전달되고 하우징(2)에 전해진다. 그러나 랜스(114)의 돌기(126)는 랜스(114)의 선단부(124)와 만나는 열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열의 영향을 감소시킬수 있다. 따라서 결합하고 있는 하우징(2)부분이 연화하여 결합을 벋어날 우려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제6도에, 제4도에서 표시한 콘택트(100)를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도시한다. 이에 의해 돌기(126)를 절취하여 세운 상태 및 접촉편(112)의 선단부(120)의 형상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선단부(120)의 안내면(132)은 전술한 3방향의 어느쪽방향에서 태브등의 상대 콘택트가 삽입되어도 원활하게 삽입가능하도록 3방향 즉 하우징(2)의 상면(4), 전면(16), 저면(18) 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7도에, 제2도의 커넥터(1)를 Ⅶ-Ⅶ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 콘택트(100)는 제외하고 하우징(2)만을 도시한다. 도면중 부호 30은 콘택트 수용개구(3)를 화성하는 격벽(隔壁)이다. 격벽(30)의 내측(31)(제8도 참조)에는 랜스(114)를 수용하는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32)은 랜스(114)와 대략유사한 사각형이 되고 홈(32)의 폭W' 및 안쪽을 향하는 D는 랜스(114)보다 아주 큰 치수가 되어있다. 따라서 수용된 랜스(114)는 하우징(2)의 전면(16)측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랜스(114)의 선단부(124)가 홈(32)의 단면(34)과 맞닿아 콘택트(100)의 전방으로의 탈락이 저지된다. 또 랜스(114)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홈(32)의 상벽(36) 및 하벽(38)에 각각 맞닿아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홈32에는 별도의 홈(40)이 콘택트(100)의 삽입측으로부터 전면(16)측으로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다. 홈(40)에는 콘택트(100)가 콘택트수용개구(3)내에 배치됐을때 랜스(114)의 돌기(126)에 대응하는 위치로 철부(凸)(제2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철부(42)의 돌출높이는 홈(40)의 깊이 즉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홈(32)과 홈(40)의 단차와 같으므로 철부(42)의 상면은 홈(32)과 한면이 된다. 이 때문에 콘택트(100)를 하우징(2)에 삽입할 때 랜스(114)의 선단부(124)는 철부(42)에 충돌하는 일이 없으므로 철부(42)가 선단부(124)에 의해 깍기는 일이 없다. 철부(42)의 후면(12)측에는 경사면(44)이 형성되고 전면(16)측에는 홈(40)과 직교하는 결합면(46)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100)가 삽입되면 랜스(114)의 돌기(126)가 경사면(44)를 타고 넘고, 상면(48)을 통과하면 랜스(114)가 탄발적으로 복귀하여 돌기(126)의 결합면(130)과 철부(42)의 결합면(46)이 결합하여 콘택트(100)는 후방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제8도는, 제2도의 커넥터(1)를 Ⅷ-Ⅷ 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파단한 부분단면도이다. 단 콘택트(100)는 제외되어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홈(32), 홈(40) 및 철부(48)의 관계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중 부호 50은 콘택트(100)의 선단부(120)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2)과 일체한 보호벽이다.
제9도에, 제8도의 하우징(2)의 부분에 콘택트(100)를 삽입하여 결합된 상태의 부분단면도를 도시한다. 콘택트(100)가 완전히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는 접촉편(112)은 격벽(30)과 이격하고 있다. 또 접촉편(112)의 선단부(120)도 보호벽(50)으로부터 이격하여 있으므로 접촉편(112)은 충분한 탄력성이 확보된다. 또 선단부(120)는 보호벽(50)에 의해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부터의 상대 콘택트 및 다른 삽입물로부터 보호됨으로 변형되는 염려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랜스(114)에는 돌기(126)를 설치하여 결합부로서 되어 있으나 돌기(126) 대신에 개구(開口) 즉 혈(穴)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2)의콘택트수용개구(3)에는 랜스(114)의 개구에 결합하는 철부를 설치하여 상호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 랜스(114)는 그 선단부로 향하는데 따르는 상호 대향간격을 넓히도록 형성하면 콘택트(100)를 하우징(2)에 삽입했을때 랜스(114)는 하우징(2)의 내면(31)(제8도 참조)에 강하게 눌리워져 한층 고정이 확실하게 된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콘택트는 한쌍의 접촉편의 대략 중앙부에 대략자로 형성한 슬롯에 의해 외방으로 확대개방된 랜스를 형성하고 랜스의 선단부에 제1결합부를 형성하고 또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이 리셉터클 콘택트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대향하는 내면에 콘택트 삽입측으로부터 뻗어 랜스를 배치하는 홈을 설치하고, 이 홈내에 콘택트의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설치함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콘택트의 접촉편은 하우징에로의 부착부분과는 독립하여 있으므로 하우징에로의 부착후 탄성을 잃는 일이 없다. 리셉터클 콘택트의 삽입시 랜스가 휘어짐에 따라 낮은 삽입력으로 삽입가능하다. 리셉터클 콘택트는 결합부만 확실하게 하우징내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소형, 저 삽입력의 전기적 접속신뢰성이 높은 리셉터클 콘택트을 얻을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 콘택트의 스트립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제3도의 스트립의 정면도.
제 5 도는 제4도에 도시한 리셉터클 콘택트를 A로 부터 본 측면도.
제 6 도는 제4도에 도시한 리셉터클 콘택트를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7 도는 제2도의 전기 커넥터를 Ⅶ-Ⅶ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 8 도는 제2도의 전기 커넥터를 Ⅷ-Ⅷ 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파단한 부분단면도.
제 9 도는 제8도에 도시한 하우징 부분에 리셉터클 콘택트를 삽입하여 결합한 상태의 부분단면도.
제 10 도는 종래예의 리셉터클 콘택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커넥터 2 : 하우징
3 : 콘택트 수용개구 31 : 내면
32 : 홈 42 : 제2결합부
100 : 리셉터클 콘택트 104 : 도체접속부
112 : 접촉편 113 : 기부
114 : 랜스 120 : 선단부(자유단)
122 : 고정단 125 : 슬롯
126 : 제1 결합부

Claims (5)

  1. 기부(113)와,
    상대 콘택트와 전기 접속을 형성하며,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하고자형의 슬롯을 가지는 한쌍의 접촉편(112)과,
    상기 접촉편의자형의 슬롯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접촉편에 인접하여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한쌍의 랜스(114)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도체접속부(104)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의 선단부(120)는 상기 기부에 고정된 고정단보다 더욱 가깝게 이격되어 있고,
    상기 랜스의 선단부(124)는 상기 기부에 고정된 고정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콘택트.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112)의 선단부(120) 근방을 상호 내방으로 단면이 대략호형으로 굴곡하여 접점부(102)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콘택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114)는 대략평행하고, 그 선단부(124)근방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기(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콘택트.
  4. 복수의 콘택트 수용개구(3)를 지니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의 상기 콘택트 수용개구에 삽입되고 도체 접속부(104) 및 상대 콘택트와 접촉하는 한쌍의 접촉편(112)을 지니는 콘택트(100)를 갖는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각 콘택트(100)의 상기 접촉편(112)은 해당 접촉편(112)의 중앙부에 대략자형 슬롯(125)에 의해 형성된 한쪽지지 비임형의 랜스(114)를 지니고,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콘택트 수용개구(3)에는 상기 랜스(114)와 결합하는 결합숄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114)의 선단부(124)근방에, 절취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26)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50013749A 1994-05-31 1995-05-30 리셉터클콘택트및이를이용한전기커넥터 KR100366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099294A JP3259802B2 (ja) 1994-05-31 1994-05-31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JP6-140992 1994-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921A KR950034921A (ko) 1995-12-28
KR100366951B1 true KR100366951B1 (ko) 2003-03-03

Family

ID=1528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749A KR100366951B1 (ko) 1994-05-31 1995-05-30 리셉터클콘택트및이를이용한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55935A (ko)
JP (1) JP3259802B2 (ko)
KR (1) KR100366951B1 (ko)
CN (1) CN1078394C (ko)
MY (1) MY114171A (ko)
SG (1) SG38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4851B1 (en) 2001-07-25 2016-01-06 Sony Corporation Structures of terminals and component-to-be loaded
JP4951306B2 (ja) * 2006-10-13 2012-06-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5501143B2 (ja) * 2010-07-30 2014-05-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WO2013037966A1 (en) * 2011-09-16 2013-03-21 Fci Hingeable connector assembly
JP5920876B2 (ja) * 2012-01-17 2016-05-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組み付け構造
JP6039490B2 (ja) * 2013-04-16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組電池
JP6299918B1 (ja) * 2017-08-17 2018-03-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9371A (en) * 1965-08-27 1968-06-18 Gen Signal Corp Electrical connectors
US4039241A (en) * 1976-11-02 1977-08-02 Northern Telecom Limited Multiple contact connectors
DE3014755A1 (de) * 1980-04-17 1981-10-22 C.A. Weidmüller KG, 4930 Detmold Aus einzelelementen zusammensteckbarer block fuer elektrische steckverbindungen
US4384754A (en) * 1980-11-17 1983-05-24 Amp Incorporated Multi-plane connectors
US4589721A (en) * 1984-06-25 1986-05-20 It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in contact receptacle with releasable retaining means
US5269699A (en) * 1992-06-09 1993-12-14 Molex Incorporated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489223A (en) * 1994-10-17 1996-02-0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lock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472A (zh) 1996-01-03
US5655935A (en) 1997-08-12
CN1078394C (zh) 2002-01-23
JPH07326420A (ja) 1995-12-12
SG38843A1 (en) 1997-04-17
KR950034921A (ko) 1995-12-28
JP3259802B2 (ja) 2002-02-25
MY114171A (en) 200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572B1 (ko) 전기커넥터
US6224420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607633B1 (ko) 소켓 접점 및 소켓 커넥터
US6530785B1 (en) Packing means for small form-factor module
US668236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multiple ground planes
KR10094073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5478253A (en) Electrostatic discharge contacts for blind mating connectors
US6511350B1 (en) Card connector
US4647136A (en) Modular plug and printed circuit connector
US5271740A (en) Connector
EP0362598A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70025948A (ko) 커넥터, 커넥터용 리셉터클 및 커넥터용 플러그
EP1113532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940000093B1 (ko) 전기 접속기
EP1248325B1 (en) Insulator coring and contact configuration to prevent pin stubbing in the throat of tuning fork socket connector contacts
CN110277689B (zh) 可动连接器
KR20070068246A (ko) 유연한 접합부를 갖춘 전기커넥터
JP2024056089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US20010021609A1 (en) Battery connector
KR100621392B1 (ko)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KR100366951B1 (ko) 리셉터클콘택트및이를이용한전기커넥터
EP1077513A1 (en) A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housing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6561816B1 (en) Card connector with resilient grounding contact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CN114389108A (zh) 带有扁平导体的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