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340B1 -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340B1
KR100366340B1 KR1020010016380A KR20010016380A KR100366340B1 KR 100366340 B1 KR100366340 B1 KR 100366340B1 KR 1020010016380 A KR1020010016380 A KR 1020010016380A KR 20010016380 A KR20010016380 A KR 20010016380A KR 100366340 B1 KR100366340 B1 KR 10036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connector
rocker
plug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803A (ko
Inventor
이성대
Original Assignee
(주)기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7075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6634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텍 filed Critical (주)기가텍
Priority to KR102001001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3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통신장비 및 중계기 등의 전자제품에서 각 부품간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커넥터로 연결할 때 커넥터에 잠금기능을 부여하여 자동으로 잠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속부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면서 견고하고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게한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케이블이 접합되는 플러그 몸체에 선단이 확대된 머리부를 구비하되 그 중심부에 단자가 삽입되는 핀홀을 갖춘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외주면에 정해진 구간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딩되게 결합된 로커와, 상기 플러그 몸체에 상응하여 체결되는 잭의 중심부에 상기 접촉부재의 머리부가 물리어 결합되는 이른바 콜릿(collet)을 구비하면서 그 중앙에 단자를 갖춘 결합부재와, 상기 콜릿의 외측에 로커의 선단부가 일정부분 삽입되는 링형상의 간극이 구비되게 형성한 하우징으로 구성됨으로써, 플러그 몸체와 잭을 상호 체결하였을 때 결합부재에 접촉부재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일차적으로 록킹작용을 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으로는 로커의 선단부가 감싸지게 결합되어 재차 록킹작용을 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Rocking apparatus of cable connector for telecommunication machinery}
본 발명은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통신장비 및 중계기 등의 전자제품에서 각 부품간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커넥터로 연결할 때 커넥터에 잠금기능을 부여하여 자동으로 잠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속부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면서 견고하고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게한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교환국장비와 기지국장비 및 중계기 등의 설비와 부품에는 특정 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기 위하여 RF(radio frequency) 케이블이 연결되며, 상기 RF 케이블은 연결 부품의 구조적 특징에 적합하게 제작된 커넥터(connector)를 이용하여 각 부품에 체결하여 연결하게 된 구조이다.
도 1a는 상기 일반적인 RF 케이블에 구비된 커넥터용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1b는 종래의 스크류 타입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각종 장비의 부품(도시하지 않음)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케이블(C)의 적어도 어느 한 쪽 끝에 플러그(flug; 1)가 접합되고, 이 플러그(1)에 상응하는 부품에는 잭(jack; 2)이 장착되어 있다.
즉,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중심부에 핀홀(3)을 구비하되 이의 외측에 공회전되는 소켓(4)을 갖춘 플러그(1)와, 상기 소켓(3)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원통형 슬리브(5)의 중심부에 상기 핀홀(3)에 결합되는 단자(6)를 갖춘 잭(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는 잭(2)에 플러그(1)를 삽입하여 그 핀홀(3)에 단자(6)를 접속되게 한 후 체결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다시 소켓(4)을 나사조임하는 방법으로 연결하게 된 구조이므로, 체결동작에 많은 불편과 번거로움이 발생되었으며, 특히 소켓을 나사조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해 이미 접속되어 있던 핀홀과 단자에 변형을 가하게 됨으로써 접속불량 또는 단자를 취약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스크류 타입으로 된 커넥터와 다른 종류로서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잭을 구조적인 자체 탄성력에 의해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스냅(snap) 타입과 긴밀한 밀착력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slide) 타입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장비의 동작중에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임의로 체결력이 상실되어 커넥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동작으로 신속하고 견고하게 체결함과 아울러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상태의 커넥터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이 접합되는 플러그 몸체에 선단이 확대된 머리부를 구비하되 그 중심부에 단자가 삽입되는 핀홀을 갖춘 접촉부재와,상기 접촉부재의 외주면에 정해진 구간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딩되게 결합된 로커와, 상기 플러그 몸체에 상응하여 체결되는 잭의 중심부에 상기 접촉부재의 머리부가 물리어 결합되는 이른바 콜릿(collet)을 구비하면서 그 중앙에 단자를 갖춘 결합부재와, 상기 콜릿의 외측에 로커의 선단부가 일정부분 삽입되는 링형상의 간극이 구비되게 형성한 하우징으로 구성됨으로써, 플러그 몸체와 잭을 상호 체결하였을 때 결합부재에 접촉부재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일차적으로 록킹작용을 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으로는 로커의 선단부가 감싸지게 결합되어 재차 록킹작용을 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RF 케이블에 구비된 커넥터용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스크류 타입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록킹장치를 갖춘 커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록킹전 상태와 록킹과정 및 록킹완료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러그 몸체 20 : 접촉부재
21 : 머리부 22 : 핀홀
30 : 가이더 31 : 안내홈
40 : 로커 41 : 스프링
50 : 잭 60 : 결합부재
61 : 콜릿 62 : 단자
70 : 하우징 71 : 간극
이하, 본 발명의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록킹장치를 갖춘 커넥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록킹전 상태와 록킹과정 및 록킹완료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로서, 통신용 RF 케이블이 접합되는 플러그 몸체(10)에 선단부위의 외경이 다른 부위 보다 확대된 머리부(21)를 구비하되 그 중심부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삽입되는 핀홀(22)을 갖춘 봉 형상의 접촉부재(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재(20)의 후방부에는 외주면의 일정구간에 안내홈(31)이 형성된 가이더(3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더(30)의 외주면에는 안내홈(31)에 개입설치된 스프링(41)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정해진 구간에서 슬라이딩되는 로커(40)가 결합되어 있다.
통신장비의 부품에 부착되어 상기 플러그 몸체(10)에 상응하여 체결되는 잭(50)의 중심부에 상기 접촉부재(20)의 머리부(21)가 물리어 결합되도록 관체의 선단부위가 여러 개로 절개된 이른바 콜릿(collet; 61))을 구비하면서 그 중앙에 단자(62)가 형성된 결합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콜릿(61)의 외측에 로커(40)의 선단부가 일정부분 삽입되도록 링형상의 간극(71)이 구비된 하우징(7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 통신장비 또는 전자기기의 부품(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된 잭(50)에 RF 케이블(C)이 접합되어 있는 플러그 몸체(10)를 체결하면, 먼저 플러그 몸체(10)에 형성된 접촉부재(20)의 머리부(21)가 상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잭(50)의 결합부재(60)로 삽입되어 이의 중앙에 형성된 단자(62)가 접촉부재(20)의 머리부(21)에 형성된 핀홀(22)에 삽입 연결되어 일차적인 체결이 이루어 진다.
상기 일차적인 체결과정에서 접촉부재(20)의 머리부(21)가 결합부재(60)의 내경보다 확대된 상태이므로 결합부재에 삽입될 때 그 선단부에 형성된 콜릿(61)이 도 3b 에서와 같이 외향으로 확대되었다가 삽입이 완료되면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머리부(21)를 물어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어서 플러그 몸체(10)를 더욱 더 삽입하게 되면, 접촉부재(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로커(40)의 선단부가 이미 일차적인 체결이 이루어진 결합부재(60)와 그 외측의 하우징(70)에 의해 형성된 링형의 간극(71) 사이로 삽입되면서 결합부재(60)의 선단부에 형성된 콜릿(61)의 외주면을 긴밀하게 감싸지도록 구속하여 완전하게 록킹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플러그 몸체(10)에 구비된 접촉부재(20)의 머리부(21)는 일차적으로 결합부재(60)에 의해 일차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결합부재(60)는 다시 반대측의 로커(40)에 의해 재차로 체결되어 상호간에 서로 교차상태의 체결작용을 함으로써, 결국 단자(62)와 핀홀(22) 상호간에 어떠한 진동 및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긴밀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플러그 몸체(10)를 분리코자 할 경우에는 접촉부재(20)의 가이더(30)에서 스프링(41)의 탄성을 받는 로커(40)를 후방으로 후퇴시켜 결합부재(60)의 선단부에 형성된 콜릿(61)의 구속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콜릿(61)으로부터 접촉부재(20)의 머리부(21)를 이탈시킴으로써 잭(5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는 각종 통신장비 및 중계기 등의 전자제품에서 각 부품간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커넥터로 연결할 때 커넥터에 잠금기능을 부여하여 자동으로 잠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잭에 어떤 형태의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임의적인 분리를 완전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체결 또는 분리동작이 간단하여 케이블의 연결작업 및 분리작업을 신속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플러그 몸체(10)에 형성되어 선단부위의 외경이 다른 부위 보다 확대된 머리부(21)를 구비하되 그 중심부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삽입되는 핀홀(22)을 갖춘 봉 형상의 접촉부재(20)와, 상기 접촉부재(2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외주면의 일정구간에 안내홈(31)이 형성된 가이더(30)와, 상기 가이더(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안내홈(31)에 개입설치된 스프링(41)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정해진 구간에서 슬라이딩되는 로커(40)와, 상기 플러그 몸체(10)에 상응하여 체결되는 잭(50)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부재(20)의 머리부(21)가 물리어 결합되도록 관체의 선단부위가 여러 개로 절개된 콜릿(collet; 61))을 구비하면서 그 중앙에 단자(62)가 형성된 결합부재(60)와, 상기 콜릿(61)의 외측에 설치되어 로커(40)의 선단부가 일정부분 삽입되도록 간극(71)이 구비된 하우징(70)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KR1020010016380A 2001-03-29 2001-03-29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KR100366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380A KR100366340B1 (ko) 2001-03-29 2001-03-29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380A KR100366340B1 (ko) 2001-03-29 2001-03-29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698U Division KR200237173Y1 (ko) 2001-03-29 2001-03-29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803A KR20010067803A (ko) 2001-07-13
KR100366340B1 true KR100366340B1 (ko) 2002-12-31

Family

ID=1970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380A KR100366340B1 (ko) 2001-03-29 2001-03-29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57B1 (ko) * 2007-11-09 2010-03-26 (주)기가레인 고주파 신호 전송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57B1 (ko) * 2007-11-09 2010-03-26 (주)기가레인 고주파 신호 전송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803A (ko) 200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3483B2 (en) Coaxial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US20070207654A1 (en) Snap-on and self-lock RF coaxial connector
US7210941B2 (en) Coaxial plug-and-socket connector having resilient tolerance compensation
KR100646756B1 (ko)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KR20090046692A (ko)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JP2001035565A (ja) 同軸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5681186A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KR10080887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체
US20200393625A1 (en) Fiber optical adapter
US6139349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actile feedback
CN108551061B (zh) 射频同轴连接器
US3869187A (en) Quick connect/disconnect coax connector
KR100366340B1 (ko)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US6572405B2 (en) RF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0237173Y1 (ko)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록킹장치
KR200297051Y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CN215834758U (zh) 一种板间连接器
CN214849165U (zh) 一种快插低互调连接器
KR101310396B1 (ko) 커넥터
CN113904134A (zh) 同轴电缆连接器
KR200225129Y1 (ko) 동축 커넥터
KR101891973B1 (ko) 캡잭을 이용한 커넥터의 케이블 연결구조
KR200415682Y1 (ko)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콘넥터
KR100368364B1 (ko) 알에프 커넥터에 내장된 종단장치
CN215771700U (zh) 密封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006

Effective date: 201103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419

Effective date: 201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