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802B1 -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802B1
KR100365802B1 KR1019990041546A KR19990041546A KR100365802B1 KR 100365802 B1 KR100365802 B1 KR 100365802B1 KR 1019990041546 A KR1019990041546 A KR 1019990041546A KR 19990041546 A KR19990041546 A KR 19990041546A KR 100365802 B1 KR100365802 B1 KR 10036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ge
cell
switching
demulti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984A (ko
Inventor
김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8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04Selecting arrangements using crossbar selectors in the switch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6Fault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미러 형식으로 구성되어 대체 경로를 제공하는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디멀티플렉서가 입력 셀을 스위치 또는 멀티플렉서로 공급하며, 스위치 또는 디멀티플렉서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셀을 멀티플렉서가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을 구현하였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SWITCHING APPARATUS AND ROUTING METHOD IN EXCHANG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구비된 교환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러 형식으로 구성되어 대체 경로를 제공하는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시스템은 사용자 셀에 대하여 입력 모듈에서부터 해당 출력 모듈까지 경로가 선택되는 교환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교환망을 구성하기 위한 형태들은 공간 분할형(space division), 공유 메모리형(shared memory), 공유 매체형(shared medium), 완전한 상호 연결형(fully interconnected)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교환망의 형태가 모든 교환망의 형태를 나열하였다고는 할 수없으나 사실상 대부분의 현행 스위치들은 상기한 기본 방식들의 변형이나 조합에 기초를 두고 설계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교환망을 설계함에 있어 중요시되는 파라미터로는 수율(throughput), 이용도(utilization), 셀 손실률(cell loss rate), 셀 지연, 버퍼링 양 및 구현의 복잡성이 있다. 즉, 교환망은 수율을 최대화하고, 셀 지연과 셀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물론 교환망에서 처리하여야 하는 전체 버퍼링 양이 최소화되어야 하고, 구현은 단순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교환망의 형태 중 공간 분할형 교환망은 그 분리된 경로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크로스-바 스위치(cross-bar switch), N2교차점 경로 스위치(N2disjoint path switch) 그리고 반얀 기본 스위치(banyan based switch) 등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바 스위치(cross-bar switch)와 N2교차점 경로 스위치(N2disjoint switch)는 경로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N2개의 교환소자(Switching Element, SE)를 요구하기 때문에 현재의 최대규모 집적회로(VLSI: Very Large-Scale Integration circuit) 기술로 구현할 수 있는 교환기의 크기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에 반하여, 반얀망을 기반으로 한 교환망 구조는 더 적은 수의 하드웨어(hardware)로도 구현이 가능하고, 교환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교환소자에서 자기 경로 선택(self routing)을 사용하여 구현 가능한 교환기의 크기나 속도면에서 제약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점을 가지는 통상적인 반얀망은 하나의 근원지, 목적지 쌍에 고유한 하나의 경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망에서 특정 포트에 통화량이 집중될 경우 망의 처리율이나 지연시간이 나빠지게 되며, 특정 스위칭 소자에 장애(fault)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스위칭 소자를 경유하여야 하는 통신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통신량의 집중화 현상을 방지하고, 스위칭 소자의 장애에도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근원지, 목적지 쌍이 여러 개의 경로를 가지는 망이 제안되어 왔다.
그 중의 하나로 제안된 구성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망을 미러(mirror) 형태로 구성한 교환망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교환망 구조에서는 셀이 근원지와 목적지 쌍을 가지고 전송된다.
예를 들어, 입력 "d"를 근원지로하고, 출력 "j"를 목적지로 하는 셀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입력 셀의 전송 경로는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위치 #5→스위치 #4→스위치 #2"로 이루어지는 경로와, "스위치 #5→스위치 #3→스위치 #2"로 이루어지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되는 셀에 따른 통신량의 분배가 가능함에 따라 중간 스테이지(STAGE 2)를 구성하는 스위치 #3 또는 스위치 #4에 장애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대체 경로를 이용하여 셀의 전송이 가능하다.
하지만, 셀의 입력측에 해당하는 첫 번째 스테이지(STAGE 1)와 출력측에 해당하는 마지막 스테이지(STAGE 3)를 구성하는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장애가 발생한 스위치를 경유하여야 하는 셀의 전송은 불가능하게 된다. 즉, 첫 번째 스테이지와 마지막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대체 경로가 존재하지 않아 통신 불능 상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측 스테이지와 출력측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장애에 대응한 대체 경로를 가지는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디멀티플렉서가 입력 셀을 스위치 또는 멀티플렉서로 공급하며, 스위치 또는 디멀티플렉서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셀을 멀티플렉서가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을 구현하였다.
도 1은 교환시스템의 통상적인 교환망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교환망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교환시스템의 교환망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교환망을 구성하는 스위치는 기능에 따라 세 가지 형태의 스테이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근원 스테이지, 경유 스테이지 및 목적 스테이지가 기능에 따른 세 가지 구분 형태이다.
상기 근원 스테이지는 외부로부터 셀이 입력되는 교환망의 첫 번째 스테이지이며, 상기 목적 스테이지는 외부로 셀을 출력하는 교환망의 마지막 스테이지이다. 그리고, 상기 경유 스테이지는 상기 근원 스테이지와 목적 스테이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근원 스테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셀을 상기 목적 스테이지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을 행한다. 따라서, 교환망을 구성하는 스위치는 하나의 스테이지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셀의 흐름에 따라 근원 스테이지가 되거나 목적 스테이지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근원 스테이지, 경유 스테이지 및 목적 스테이지 각각은 통상적으로 내부에 두 개의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스위치는 대칭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개수는 우회 경로의 제공이 가능한 구조라면 두 개의 스위치로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성에 따른 동작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각 스테이지가 두 개의 스위치로 구성되었다는 가정 하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를 전제로 하고, 셀이 제1스테이지(210)에서 제3스테이지(230)로 제공된다는 가정 하에 각 스테이지 구성의 일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제1스테이지(210)는 상기 제공되는 셀에 대해 근원 스테이지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1스테이지(210)는 대칭되는 두 개의 스위치(스위치#5,스위치#6)와, 상기 스위치#5, 스위치#6의 입력포트 각각에 구비된 네 개의 디멀티플렉서(DEMUX#5,DEMUX#6,DEMUX#7,DEMUX#8)와, 상기 스위치#5, 스위치#6의 출력단 각각에 구비된 네 개의 멀티플렉서(MUX#5,MUX#6,MUX#7,MUX#8)로 구성된다.
상기 DEMUX#5는 상기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포트 a,b,c,d를 통해 입력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5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5와 상기 MUX#5로 선택 출력한다. DEMUX#6은 상기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포트 e,f,g,h를 통해 입력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5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5와 상기 MUX#6으로 선택 출력한다. DEMUX#7은 상기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포트 i,j,k,l을 통해 입력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6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6과 상기 MUX#7로 선택 출력한다. DEMUX#8은 상기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포트 m,n,o,p를 통해 입력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6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6과 상기 MUX#8로 선택 출력한다. 즉, 상기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단에 구비되는 DEMUX들은 대상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해당 입력을 대상 스위치 또는 MUX로 선택 출력함으로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입력 셀을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5는 상기 DEMUX#5와 DEMUX#6으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스위칭하여 MUX#5 또는 MUX#6으로 제공하며, 상기 스위치#6은 상기 DEMUX#7와 DEMUX#8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스위칭하여 MUX#7 또는 MUX#8로 제공한다.
상기 MUX#5는 상기 스위치#5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5 또는 상기 DEMUX#5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선택 출력하며, 상기 MUX#6은 상기 스위치#5의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5 또는 상기 DEMUX#6으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선택 출력한다. 또한, 상기 MUX#7은 상기 스위치#6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6 또는 상기 DEMUX#7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선택 출력하며, 상기 MUX#8은 상기 스위치#6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6 또는 상기 DEMUX#8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선택 출력한다.
두 번째로, 제2스테이지(220)는 경유 스테이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대칭 구조를 가지는 두 개의 스위치로 구성된다. 상기 제2스테이지(220)를 구성하는 스위치#3은 상기 제1스테이지(210)를 구성하는 MUX#5와 MUX#7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스위칭 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3과 대칭 구조를 가지는 스위치#4는 상기 제1스테이지(210)를 구성하는 MUX#6과 MUX#8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스위칭 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유 스테이지는 상황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증가되는 구성 또한 앞에서 개시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세 번째로, 제3스테이지(230)는 상기 제공되는 셀에 대해 목적 스테이지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3스테이지(230)는 대칭되는 두 개의 스위치(스위치#1,스위치#2)와, 상기 스위치#1, 스위치#2의 입력포트 각각에 구비된 네 개의 디멀티플렉서(DEMUX#1,DEMUX#2,DEMUX#3,DEMUX#4)와, 상기 스위치#1, 스위치#2의 출력단 각각에 구비된 네 개의 멀티플렉서(MUX#1,MUX#2,MUX#3,MUX#4)로 구성된다.
상기 DEMUX#1은 상기 제2스테이지(220)의 스위치#3으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1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1과 상기 MUX#1로 선택 출력한다. DEMUX#2는 상기 제2스테이지(220)의 스위치#4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1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1과 상기 MUX#2로 선택 출력한다. 상기 DEMUX#3은 상기 제2스테이지(220)의 스위치#3으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2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2와 상기 MUX#3으로 선택 출력한다. DEMUX#4는 상기 제2스테이지(220)의 스위치#4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2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2와 상기 MUX#4로 선택 출력한다.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5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5와 상기 MUX#6으로 선택 출력한다. DEMUX#7은 상기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포트 i,j,k,l을 통해 입력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6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6과 상기 MUX#7로 선택 출력한다. DEMUX#8은 상기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포트 m,n,o,p를 통해 입력되는 셀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6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6과 상기 MUX#8로 선택 출력한다. 즉, 상기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단에 구비되는 DEMUX들은 대상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해당 입력을 대상 스위치 또는 MUX로 선택 출력함으로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입력 셀을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1은 상기 DEMUX#1와 DEMUX#2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스위칭하여 MUX#1 또는 MUX#2로 제공하며, 상기 스위치#2는 상기 DEMUX#3와 DEMUX#4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스위칭하여 MUX#3 또는 MUX#4로 제공한다.
상기 MUX#1은 상기 스위치#1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1 또는상기 DEMUX#1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선택하여 제3스테이지(230)의 출력포트 a',b',c',d'로 출력한다. 상기 MUX#2는 상기 스위치#1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1 또는 상기 DEMUX#2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선택하여 상기 제3스테이지(230)의 출력포트 e',f',g',h'로 출력한다. 상기 MUX#3은 상기 스위치#2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2 또는 상기 DEMUX#3으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선택하여 제3스테이지(230)의 출력포트 i',j',k',l'로 출력한다. 상기 MUX#4는 상기 스위치#2의 장애 발생 여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2 또는 상기 DEMUX#4로부터 제공되는 셀을 선택하여 상기 제3스테이지(230)의 출력포트 m',n',o',p'로 출력한다.
한편, 앞에서 도 2를 참조하여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3단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를 가지는 교환망을 일 예로 하고 있음에 따라 3개의 스테이지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경유 스테이지를 추가시키거나 감소시켜 교환망을 구성하는 스위치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동일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근원 스테이지(도 2의 제1스테이지(210))와 목적 스테이지(도 2의 제3스테이지(230))에서 장애가 발생할 시 우회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DEMUX와 MUX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즉, 근원 스테이지와 목적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장애가 발생한 스위치에 대응한 DEMUX가 입력 셀을 디멀티플렉싱 하여 쌍을 이루는 MUX로 제공하며, 상기 셀을 제공받은 MUX는 이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서 장애가 발생한스위치가 속하는 스테이지의 다음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스위치에서 상기 셀을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교환망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 제1스테이지(210)의 입력단 "b"로 셀이 입력되어 제3스테이지(230)의 출력단 "o'"로 셀이 출력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근원 스테이지 장애상태 및 목적 스테이지 장애상태를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다. 한편, 그 외의 특정 입력단을 통해 셀이 입력되어 특정 출력단으로 통해 출력되는 동작은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일 예에 의해 자명함에 따라 별도의 예들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첫 번째로, 근원 스테이지(제1스테이지(21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b"를 통해 입력되는 셀은 DEMUX#5에 의해 MUX#5로 공급된다. 상기 DEMUX#5는 스위치#5의 장애를 감지함으로서 입력되는 셀을 상기 스위치#5로 입력하지 않고, 상기 MUX#5로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MUX#5는 상기 스위치#5의 장애를 감지하여 상기 DEMUX#5의 출력을 선택하게 됨에 따라 상기 DEMUX#5로부터 공급되는 셀을 경유 스테이지, 즉 제2스테이지(220)의 스위치#3으로 공급한다. 상기 스위치#3은 공급받은 셀을 스위칭 하여 셀이 출력되어야 하는 쪽인 제1스테이지(230)의 스위치#2로 공급한다.
상기 제2스테이지(220)로부터 공급되는 셀은 제3스테이지(230)를 구성하는 DEMUX#3으로 공급되며, 상기 DEMUX#3은 대응하는 스위치#2가 정상임에 따라 상기 공급받은 셀을 상기 스위치#2로 공급한다. 상기 셀을 공급받은 상기 스위치#2는 상기 셀에 대해 스위칭 동작을 행하여 셀이 출력되어야할 출력단이 위치한 MUX#4로 공급한다. 상기 셀을 공급받은 MUX#4는 이를 먹싱하여 출력단 "o'"로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첫 번째 경우와 같이 셀이 최초 입력되는 근원 스테이지(210)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DEMUX와 MUX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셀을 다음 스테이지로 바이 패스시키고, 다음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경유 스테이지에서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목적 스테이지(제1스테이지(23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b"를 통해 입력되는 셀은 스위치#5가 정상임에 따라 DEMUX#5에 의해 상기 스위치#5로 공급된다. 상기 스위치#5는 공급받은 셀을 제2스테이지(220)를 구성하는 스위치#4로 공급하기 위해 MUX#6으로 스위칭 한다. 그 이유는 목적 스테이지(230)에 장애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경유 스테이지(220)에서 상기 셀을 스위칭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셀을 공급받은 상기 스위치#4는 상기 셀이 최종 출력단을 가지는 MUX#4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칭을 행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4를 통해 상기 셀은 DEMUX#4로 공급된다. 상기 DEMUX#4는 자신에 연결된 스위치#2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하여 공급받은 셀을 상기 DEMUX#4로 바이 패스시킨다. 상기 바이 패스된 셀은 상기 DEMUX#4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단 "o'"으로 최종 출력된다.
상술한 두 번째 경우와 같이 셀이 최종 출력되는 목적 스테이지(230)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경유 스테이지에서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DEMUX와 MUX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셀을 최종 출력단으로 바이 패스시킴으로서 원하는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근원 스테이지와 목적 스테이지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멀티플렉서와 디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대체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교환시스템의 교환망에 있어서,
    스위치가 정상 상태이면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셀을 멀티플레서로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입력 셀을 스위칭 하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입력 셀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공급된는 상기 입력 셀을 출력하는 상기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근원 스테이지와 목적 스테이지와,
    상기 근원 스테이지와 상기 목적 스테이지간의 셀을 스위칭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유 스테이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2. 목적 스테이지와 근원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테이지를 구비한 교환시스템의 교환망에 있어서,
    입력되는 셀을 상기 스테이지들 상태에 따라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를 거쳐 제공되는 셀을 스위칭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거쳐 제공되는 셀과 상기 디멀티플렉서를 거쳐 제공되는 셀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로 상기 근원지 스테이지와 상기 목적지 스테이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3. 교환망을 구성하는 근원 스테이지와 목적 스테이지에 있어서,
    상기 처음 스테이지와 상기 마지막 스테이지를, 스테이지 상태에 의해 입력 셀을 두 출력단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셀을 스위칭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상태에 의해 상기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4. 교환시스템의 교환망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가 스위치가 정상상태이면 입력 셀을 상기 스위치로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입력 셀을 멀티플렉서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치가 정상상태인 경우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입력 셀을 스위칭하여 상기 멀티플렉서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스위치가 정상상태이면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입력셀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공급되는 상시 입력 셀을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스위칭방법.
KR1019990041546A 1999-09-28 1999-09-28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 KR10036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546A KR100365802B1 (ko) 1999-09-28 1999-09-28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546A KR100365802B1 (ko) 1999-09-28 1999-09-28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984A KR20010028984A (ko) 2001-04-06
KR100365802B1 true KR100365802B1 (ko) 2002-12-26

Family

ID=1961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546A KR100365802B1 (ko) 1999-09-28 1999-09-28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8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303A (ko) * 1996-03-19 1997-10-13 김광호 고장감내 다단 상호연결 네트워크 및 그 경로 제어방법
KR19990040305A (ko) * 1997-11-17 1999-06-05 정선종 다단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고장 스위치 노드의 검출장치 및방법
KR19990047334A (ko) * 1997-12-03 1999-07-05 정선종 차세대 이동통신망 제어국의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303A (ko) * 1996-03-19 1997-10-13 김광호 고장감내 다단 상호연결 네트워크 및 그 경로 제어방법
KR19990040305A (ko) * 1997-11-17 1999-06-05 정선종 다단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고장 스위치 노드의 검출장치 및방법
KR19990047334A (ko) * 1997-12-03 1999-07-05 정선종 차세대 이동통신망 제어국의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98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9542A (en) Scalable 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for performing in-service upgrade thereof
US5229990A (en) N+K sparing in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environment
US8942559B2 (en) Switching in a network device
US6696917B1 (en) Folded Clos architecture switching
US5200746A (en) Switching module for digital cross-connect systems
US81214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non-blocking computer interconnection network using bidirectional optical switch
US6738540B2 (en) Optical cross-connect switch using programmable multiplexers/demultiplexers
US20120320742A1 (en) Flow-control in a switch fabric
US6154583A (en) Optical switch
JPH0583292A (ja) 光スイツチおよびスイツチングモジユール
EP3146657B1 (en) Scalable silicon photonic switching architectures for optical networks
US6154449A (en) Switchless network
US8018927B2 (en) Network element with multistage lower order switching matrix
EP2521326B1 (en) Run-time scalable switching fabric
EP3582417A1 (en) Intelligence- defined optical tunnel network system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65802B1 (ko) 교환시스템의 스위칭장치 및 라우팅 방법
US7035539B2 (en) Interconnecting nodes in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02106A1 (en) Cross-connect switch and network
US6724758B1 (en) Stage specific dilation in multi-stage interconnection networks
US20230108236A1 (en) Network Architecture With Variable Granularity Optical Routing
Hui et al. An augmented chained fault-tolerant ATM switch
Koloko A study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ree-stage Clos networks
US6999412B2 (en) Method of operating a data transmission network
KR20020063639A (ko)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시스템 및 운용 방법
US6972600B2 (en) Base element for a multiplexer structure and corresponding multiplex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