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616B1 -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616B1
KR100365616B1 KR10-2001-0001013A KR20010001013A KR100365616B1 KR 100365616 B1 KR100365616 B1 KR 100365616B1 KR 20010001013 A KR20010001013 A KR 20010001013A KR 100365616 B1 KR100365616 B1 KR 100365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status indicator
wireless terminal
mobile wireless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556A (ko
Inventor
황영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6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기능상태표시자를 사용자가 대치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선택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으로부터 상기 기능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능상태표시자의 기능별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기능상태 선택에 대응된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상태 선택에 대응된 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기능상태에 대응되는 사익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를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로 대치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METHOD FOR REPLACING FUNCTION STATE INDICATORS IN MOBI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자를 대치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통신망이 구축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동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이동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 이동무선단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무선단말기의 복합 기능들과 상태들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상태표시자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종래의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 및/또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자(아이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고정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 패턴에 데이터를 전달하여 ON/OFF를 결정하여 표시자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에 사용되는 기능상태표시자는 LCD 개발단계에서 이미 고정된 디자인을 가지며, 디자인 변경시 LCD도 같이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에 따라 기능상태표시자의 위치별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상태표시자의 아이콘을 대치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이는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를 LCD개발단계에서 결정하지 않고 메모리에 기능상태표시자를 내장하거나 외부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대치 가능한, 다양한 모양의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을 제공하여 식별력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선택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으로부터 상기 기능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능상태표시자의 기능별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기능상태 선택에 대응된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상태 선택에 대응된 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기능상태에 대응되는 사익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를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로 대치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 사용을 보이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가 표시되는 표시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의 기능별 위치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상태표시자 선택 방법에 의하여 선택된 기능상태표시자를 표시한 일 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를 대치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의 대치를 위한 이동무선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0)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0)로부터 메인메뉴 선택키,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선택키,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상태 선택키 등 해당되는 선택키를 입력하여 기능상태표시자 대치 시 관련된 기능을 아이콘화 하여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키입력부(20)로부터 원하는 기능상태 표시자를 선택할 시 선택된 기능상태표시자를 저장 및 표시부(3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키입력부(20)는 통화를 위한 각종 기능키 및 숫자 키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메인메뉴 선택키,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선택키,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상태 선택키 등을 구비한다. 표시부(30)는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20)에서 발생되는 키입력 신호 및 제어부(10)로부터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3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CD)와, 야간에도 사용자에게 표시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50)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RS232C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케이블 등을 통해 PC(Personal Computer)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서버 등과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 및 기타 데이터를 교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RF송수신부(60)를 통하여 무선인터넷으로부터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을 다운로드 할 수 도 있다. RF송수신부(60)는 안테나(ANT)와 접속되며,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이동무선단말기가 가지는 공지의 무선신호 처리부이다.
메모리(40)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제어에 필요한 동작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또한 본 발명의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에 대응되는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 사용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가 표시되는 표시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무선단말기에서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지정된 순서와 지정된 형태의 표시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동무선단말기의 LCD화면에 표시된 기능상태표시자의 아이콘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기능상태표시자의 표시영역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화면의 상단에 주로 위치(하단에 위치하기도 함)하며,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 변경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신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능상태표시자의 아이콘 분류는 기능상태표시자의 기능분류 및 기능에 따른 모양분류로 나누어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를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의 기능별 위치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상태표시자 선택 방법에 의하여 선택된 기능상태표시자를 표시한 일 예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에서 기능상태표시자를 대치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3a 내지 도 3c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를 대치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무선단말기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기능상태의 종류가 7가지라고 가정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의 표시영역을 나누어볼 수 있으며, 각 표시영역(0-6) 범위 내에서 해당 기능상태의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는 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사용상태(Inuse), 로밍여부(Roaming), 메시지수신여부(MSG: MeSsaGe),통화밴드(Band), 진동모드(Vib: Vibration), 배터리잔량(Batt: Battery)의 7가지로 분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열한 기능별로 표시 가능한 기능상태표시자 기능군을 형성하여 선택가능한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상태 분류 통화밴드(Band) 기능에 속하는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 모양을 BAND 표시자 기능군으로 형성하여, 이동무선단말기의 LCD상에 위치한 기능상태표시자 표시영역 4의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100단계에서 제어부(10)는 키입력부(20)로부터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선택 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여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선택 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1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4단계에서 제어부(10)는 하기 표 1과 같이 기능상태표시자 기능별 위치를 표시부(3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는 기능상태표시자 기능별 위치를 확인 후 통화밴드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을 변경 설정하기 위해 Function_BAND 기능군에 대한 기능상태 선택키를(숫자 키 4) 입력하게 되면, 106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한 기능상태 선택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110단계로 진행한다. 11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기능상태에 대한 기능상태표시자 기능군의 아이콘들을 표시부(30)의 LCD 화면에 표시한다. 참고적으로 도 3b의 BAND 표시자 기능군에 표시된 각각의 아이콘들은 통화밴드 기능상태표시로써 디지털 및 아날로그 통화밴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106단계의 판단에서 제어부(10)는 기능상태 선택키의 입력이 없으면108단계로 진행하여 종료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 후 판단결과에 따라서 종료하거나 106단계로 반환한다. 110단계의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에서 사용자는 변경 설정하고자 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며, 제어부(10)는 11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상태표시자의 선택키 입력을 판단한다. 112단계의 판단으로부터 제어부(10)는 선택키 입력이 있으면 114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기능상태표시자를 저장하고 표시부(30)의 LCD화면의 상부에 위치한 기능상태표시자 표시영역의 기능별 위치에 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AND 표시자 기능군에서 고딕체로 표시된 디지털 통화밴트를 선택한 경우를 도 3c에 도시하였다.
한편, 제어부(10)는 114단계를 수행하고 104단계로 반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에 기능상태표시자를 내장하거나 다운로드하여 이를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표시부에 변경 및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식별력 있게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상태표시자의 디자인 변경에 따른 LCD의 변경이 필요없으며,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상태표시자의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주고 사용상의 지루함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 기능선택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으로부터 상기 기능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능상태표시자의 기능별 위치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능상태 선택에 대응된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기능상태 선택에 대응된 키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기능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기능군의 아이콘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기능군의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를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로 대치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상태표시자의 기능별 위치는 해당 기능상태의 표시자를 표시할 수있는 표시영역으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기능상태의 표시자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상기 기능상태표시자의 기능별 위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변경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무선단말기의 상기 기능상태의 종류는 신호세기, 사용상태, 로밍여부, 메시지수신여부, 통화밴드, 진동모드, 배터리잔량으로 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무선단말기의 상기 기능상태에 대응되는 기능군의 기능상태표시자 아이콘들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다운로드하여 추가 및 저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KR10-2001-0001013A 2001-01-08 2001-01-08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KR100365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13A KR100365616B1 (ko) 2001-01-08 2001-01-08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13A KR100365616B1 (ko) 2001-01-08 2001-01-08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56A KR20020059556A (ko) 2002-07-13
KR100365616B1 true KR100365616B1 (ko) 2003-01-24

Family

ID=2769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013A KR100365616B1 (ko) 2001-01-08 2001-01-08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99B1 (ko) * 2002-11-11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05B1 (ko) * 2002-09-30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시퀀스에 대한 아이콘 표시 방법
KR101495156B1 (ko) * 2007-10-17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화면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99B1 (ko) * 2002-11-11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56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806B1 (ko)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
KR100676905B1 (ko)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506199B1 (ko)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EP1087355B1 (en) Portable radio terminal with remote control
EP0973347B1 (en) Band selection method for dual-band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method
US2004007569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identifying and indicating short message types using indicator icons and method thereof
KR20080025884A (ko) 아날로그 시계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10097418A (ko) 사용횟수/최근사용순서를 기반으로 메뉴를 표시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365616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기능상태표시자 대치방법
US7231230B2 (en) Mobile telephone set capable of altering key layout thereof and mobile telephone system including the same
EP1860854A2 (en) Dialling screen method and layer structure for a mobile terminal
KR100713423B1 (ko)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 방법
GB2321550A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with display
KR100700572B1 (ko)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선택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4511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 구현방법
EP138755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109970B2 (ja) 無線通信装置、運用周波数の変更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2371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컨텐츠별 메뉴 리스트 동적 변경 방법 및시스템
KR100255369B1 (ko) 전화기의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JP4517557B2 (ja) 表示方法
KR19990060314A (ko)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설명을 표시하는 방법
KR20060056678A (ko) 아이콘 변경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아이콘변경방법
KR101276826B1 (ko) 이동 단말기의 동작상태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기
KR200294780Y1 (ko) 수신된 데이터를 대기 모드에서 보여주는 이동 통신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JP469325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