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460B1 - 전기 제품 내의 제어 박스의 장착 - Google Patents

전기 제품 내의 제어 박스의 장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460B1
KR100365460B1 KR1020007005269A KR20007005269A KR100365460B1 KR 100365460 B1 KR100365460 B1 KR 100365460B1 KR 1020007005269 A KR1020007005269 A KR 1020007005269A KR 20007005269 A KR20007005269 A KR 20007005269A KR 100365460 B1 KR100365460 B1 KR 10036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mounting
wall
support wall
electrical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4627A (ko
Inventor
다루즈모라에스루치아노
라모스파울로어거스토리스보아
Original Assignee
캐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캐리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2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제품과 전기 제품 내에 장착되는 제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제품은 제1 및 제2 장착 선로를 포함하고 이들을 지지하는 편평 지지벽을 구비한다. 각각의 장착 선로는 지지벽에 부착된 제1 다리부와 지지벽과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제1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다리부를 구비한 L자형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장착 선로의 자유 모서리들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서로 대면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다. 제어 박스에는 제1 장착 선로의 제2 다리부와 편평한 지지벽 사이의 공간 내에 활주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소정 형상을 갖는 제1 선로 결합 구조물이 상부에 형성된 편평 장착벽이 제공된다. 편평 장착벽은 제2 장착 선로의 제2 다리부와 지지벽 사이의 공간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정 형상을 갖는 제2 선로 결합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제품 내의 제어 박스의 장착{MOUNTING OF A CONTROL BOX IN AN ELECTRICAL APPLIANCE}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전기 제품용 제어 박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이러한 전기 제품 내에 제어 박스를 장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대부분의 전기 제품들에는 자체에 내장되는 전기 제어 박스(electrical control box)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 박스들은 전형적으로 on/off 스위치, 기능 스위치, 자동 온도 조절 장치 등의 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 제품용 전원 코드는 통상 제어 박스 내부를 통과하고, 제어 박스에서는 각종 제어 부품들에 적절한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고, 전기 제품의 전력 사용 부품들에 제어 신호 및 전력을 분배하는 전기 배선이 제어 박스로부터 통과한다. 성형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판금 부품으로 제작된 제어 박스가 공지되어 있다. 구조의 종류와 상관없이, 제어 박스는 제어 박스가 사용되는 전기 제품의 적절한 구성 부품에 적당하게 부착되고 지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지 및 부착 설비는 대부분 매우 복잡하고 전기 제품에 대한 재료 비용과 노동 비용 모두를 추가시킨다. 따라서 전기 제품에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되는 전기 제어 박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발명의 설명
제어 박스는 전기 제품 내에 장착된다. 전기 제품은 제1 및 제2 장착 선로(rail)를 포함하고 이들을 지지하는 편평 지지벽을 구비한다. 각각의 장착 선로는 벽에 부착되는 제1 다리부 및 벽과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제1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다리부를 구비한 L자형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장착 선로의 자유 모서리들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서로 대면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다. 제어 박스에는 편평한 장착벽이 제공되고, 장착벽은 제1 장착 선로의 제2 다리부와 편평한 지지벽 사이의 공간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 제1 선로 결합 구조물이 상부에 형성된다. 편평한 장착벽은 제2 장착 선로의 제2 다리부와 지지벽 사이의 공간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정 형상을 갖는 제2 선로 결합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은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을 명확히 알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박스가 설치될 수 있는 공조 유닛의 우측 전방 측면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어 박스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하기 위해 외부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도1의 공조 유닛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박스 설치의 확대도이다.
도4는 제어 박스가 설치되기 직전 위치 상태인, 도3과 유사한 확대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공조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6은 설치된 제어 박스를 도시하도록 전방 그릴과 외부 덮개가 제거된 상태인, 도1의 공조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7은 전방 우측 측면으로부터의 제어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8은 하부 우측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제어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9는 상부 우측 측면으로부터의 제어 박스의 주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10은 우측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제어 박스의 주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11은 좌측 전방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제어 박스의 주 본체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제어 박스의 저면도이다.
도13은 제어 박스의 덮개의 내부의 배면측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행하는 최상의 태양 및 산업상 이용 가능성
도1은 대체로 실내 부분(13)과 실외 부분(15)을 포함하는 룸 공조기 유닛(room air conditioner unit, 11)을 도시한다. 룸 공조기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하우징(17) 내에 수용되고, 종래와 같이 실내 부분(13)이 룸을 향한 상태로 냉각이 요구되는 룸의 외부 또는 창문 내의 사각형 개구 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실내 부분(13)은 인입 루버(louver, 21)와 한 쌍의 공기 배출 조립체(23)를 포함하는 실내 그릴 부분(19)을 포함한다.
도2,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내 부분(13)과 실외 부분(15) 모두의 부품들은 사각형 기부팬(basepan, 25) 내에 지지되어 있다. 실내 부분과 및 실외 부분은수직으로 연장하는 금속 격벽(27)에 의해 분리되고, 도2에는 격벽의 하부 포트가 기부팬에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격벽(27)은 수개의 상호 연결된 편평한 부분들로 구성되고, 기부팬의 우측 측면벽(31)에 평행하게 기부팬(25)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하는 우측벽 부분(29)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벽의 상기 수직벽 부분(29)은 본 발명의 제어 박스(10)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역할한다.
본 발명이 사용되는 환경의 이해를 위해, 사용되는 공조 유닛의 다른 필수적인 부품들이 간단하게 설명될 것이다. 유닛의 실내 부분(13)은 기본적으로 증발기 코일(33), 증발기의 뒤편에 위치된 증발기 팬(fan. 35), 및 공기 유도 스크롤(37)을 포함한다. 실외 부분(15)은 응축기 코일(39), 응축기 팬(41) 및 압축기(43)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45)는 증발기 팬과 응축기 팬에 상호 연결되어 2개의 팬이 모터에 의해 동일하게 구동되도록 하는 전방 및 후방 구동 샤프트를 구비한다. 증발기 코일(33), 응축기 코일(39) 및 압축기(43)는 종래와 같이 유닛이 설치되는 룸에 대한 냉각을 제공하도록 증발기와 응축기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종래의 냉각 회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어 박스(10)는 공조 유닛(11)의 실내 부분 내에서 금속 격벽(27)의 벽 부분(29)에 구조적으로 부착 설치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다.
도7 내지 도13은 주 본체 부분(12)과 덮개(14)를 포함하는 전기 제어 박스(10)를 도시한다. 본체와 덮개 모두는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적절한 구조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성형된 단일편 부품이다. 제어 박스(10)는 도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벽(16)과 좌측 측면벽(18)을 한정하는 덮개 부분(14)을 갖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인 구조이다. 좌측과 우측, 정면과 배면, 및 상부와 저부라는 용어는 도7에 도시된 제어 박스와 관련하여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주 본체(12)는 우측 측면벽(20), 상부(22), 저부(24) 및 배면벽(26)을 한정한다. 주 본체(12)와 덮개(14)는 좌측 후방 모서리(28)에서 힌지 연결에 의해 서로 부착되고, 우측 전방 모서리(30)에서 해제 가능하게 래칭 연결된다. 힌지 연결부(28)는 덮개(14)의 좌측벽(18)의 배면에 형성된 2개의 고리형 외향 연장 힌지(32)와, 주 본체(12)의 배면벽(26)의 좌측 측면 상에 형성된 힌지 요소(32)를 수용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힌지 핀(34)을 포함한다. 래칭 상호 연결부(30)는 덮개(14)의 정면벽(16)의 우측 측면 상에 형성된 내향 연장 립(lip, 36)과, 주 본체(12)의 우측 측면벽(20)의 전방 모서리(40)에 형성된 2개의 가요성 래치(38)를 포함한다. 도9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38)들은 각각 대략 중간 지점에서 전방 모서리(40)에 고정된 사각형 가요성 부분(42)을 포함한다. 가요성 부분은 덮개(14) 상에서 립(36)과 결합 상태로 이동하고 가요성 부분(42)의 자유 직립 우측 단부(46)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립과의 결합 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후방으로의 가요성을 갖도록 된 삼각형 래치 헤드(44)를 좌측 단부에서 지지한다.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어 박스 장착벽(29)은 판금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도3 및 도4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장착 선로(48)와 하부 장착 선로(50)가내부에 형성된다. 하부 장착 선로(5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9)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벽의 좌측까지 연장하는 수평 다리부(52)를 갖는 길이가 긴 L자형 구조물이다. L자형 부분의 다른 다리부는 수직 상향으로 연장하는 벽 부분(54)을 포함한다. 상부 장착 선로(48)는 하부 장착 선로와 유사한 수평 부분(56)과 수직 하향으로 연장하는 벽 부분(58)을 갖는 역전된 L자형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수직 벽 부분(54, 58)들은 측벽(29)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공통 평면 내부로 연장한다.
상부 장착 선로 구조(48)와 활주 가능한 관계로 수용되도록 된 상부 제어 박스 장착 구조물(60)은 제어 박스의 우측 측면벽(20)으로부터 외향 및 상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하부 장착 선로 구조(50)와 활주 가능한 관계로 수용되도록 된 하부 제어 박스 장착 구조물(62)은 제어 박스(10)의 측면벽(20) 및 저부벽(24)으로부터 하향 및 외향으로 연장한다.
상부 제어 박스 장착 구조물(60)은 측벽 내부에 일체형으로 성형된 4개의 지지 요소(66)에 의해 우측 측면벽(20)으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지지되는 길이가 긴 사각형 벽(64)을 포함한다. 길이가 긴 벽(64)과 우측 측면벽(20) 뒤편의 공간(68)은 상부 장착 선로(48)의 수직 연장 벽 부분(54)을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하부 제어 박스 장착 구조물(62)은 상이한 길이를 갖고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장하는 3개의 벽 세그먼트(70)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세그먼트들은 측면벽(20)으로부터 수평 연장부(72)에 의해 추가로 지지되어, 3개의 벽 세그먼트들은 상부 지지 구조물(60)의 사각형 벽(64)과 동일한 평면 내에서 지지된다. 도8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벽(24)은 3개의 벽 세그먼트(7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고 평행하게 이격된 5개의 벽 부분과 일체로 성형된다. 벽 부분(74)들 중 4개는 상부 장착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공간(76)과 동일한 폭의 공간(78)을 형성하는 거리만큼 3개의 벽 세그먼트(70)의 배면측으로부터 이격된 자유 단부(76)를 갖는다. 평행한 제5 벽(80)은 제어 박스가 설치된 때 하부 장착 선로(50)의 수직 부분(54)을 위한 정지부(82)를 형성하도록 3개의 세그먼트(70)의 최전방 단부와 교차한다. 상부 제어 박스 장착 구조물(60)은 또한 길이가 긴 사각형 벽 부분(64)의 전방으로 측벽(20)으로부터 L자형 돌출부(86)에 의해 형성된 정지부(84)를 포함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정지부(82, 84)들은 제어 박스가 설치된 때 제어 박스의 확실한 위치 설정을 보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정렬된다.
제어 박스(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박스의 위치를 설정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서로 협동하는 제어 박스와 격벽(29)의 결합 구조 상태로 도3에 도시된 위치로 제어 박스를 간단하게 활주시킴으로써 금속 격벽(29)에 용이하게 설치된다는 것을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것이다. 설치된 때, 제어 박스의 위치 설정은 상부 및 하부 장착 선로(48, 50)와 이들 각각의 정지 요소(82, 84)의 결합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상기 위치에서의 제어 박스의 보유를 보장하도록, 가요성 래치(88)는 상부 장착 구조(60)의 전방으로 제어 박스의 우측 측면벽(20)으로부터 연장한다. 래치는 측면벽(20)으로부터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요성 래치 부분(92) 내에서 종료하는 우측 측면벽으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구조벽(90)과, 가요성 래치 부분(92)의 단부에 형성된 래치 헤드(94)를 포함한다. 도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88)는 래치 헤드(94)가 금속 격벽(29)의 전방 모서리에 형성된 플랜지(96)와 결합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다. 플랜지는 벽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어 박스가 설치됨에 따라 래치 헤드(94)와 결합하여 래치 헤드를 외측으로 편의시키도록 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다. 래치 헤드가 플랜지의 뒤편으로 통과하고 플랜지(96)의 배면측(98)과 확실한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래치 헤드는 편의되지 않은 위치로 복귀된다. 수리, 교환 등을 위해 제어 박스를 제거하는 것은 래치 헤드(94)를 결합 해제하도록 래치의 가요성 부분(92)을 외측으로 편의시키고 나서, 제어 박스를 설치된 위치로부터 활주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요성 래치가 유닛의 사용 수명 중에 파괴되는 경우, 구조 돌출부 또는 벽(99)이 래치(92)의 하부에서 측면벽(20)으로부터 연장한다. 구조벽(99)은 제어 박스가 설치 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96)와 대면하는 관계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벽(99)은 관통 개구(100)를 내부에 구비하는데, 관통 개구는 플랜지(96) 내의 개구(101)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따라서 적절한 나사 형성 체결구는 제어 박스를 플랜지(96)에 부착하도록 이러한 개구들을 통과할 것이다.

Claims (5)

  1. 편평 지지벽을 구비한 전기 제품과 상기 전기 제품 내에 장착된 제어 박스에 있어서,
    상기 편평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벽에 부착되고 지지벽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제1 다리부 및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자유 모서리를 갖고 상기 지지벽과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상기 제1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다리부를 구비한 길이가 긴 L자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제1 장착 선로와,
    상기 편평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벽에 부착되고 지지벽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1 장착 선로의 상기 자유 모서리와 평행하게 대면하는 자유 모서리를 갖고 상기 장착벽과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상기 제1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다리부를 구비한 길이가 긴 L자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제2 장착 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박스는 상기 제1 장착 선로의 상기 제2 다리부와 상기 지지벽 사이의 공간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선로 결합 구조물을 갖는 편평한 장착벽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벽은 상기 제2 장착 선로의 상기 제2 다리부와 상기 지지벽 사이의 상기 공간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제2 선로 결합 구조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지지벽을 구비한 전기 제품과 상기 전기 제품 내에 장착된 제어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 지지벽은 판금 재료로부터 제작되고, 상기 제어 박스는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지지벽을 구비한 전기 제품과 상기 전기 제품 내에 장착된 제어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 장착벽은 장착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래치를 구비하고,
    상기 편평 지지벽에는 래치 수용 구조물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래치는 상기 제어 박스가 상기 제1 및 제2 장착 선로에 대해 설치 위치로 활주된 때 상기 래치 수용 구조물과 결합하도록 하는 소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지지벽을 구비한 전기 제품과 상기 전기 제품 내에 장착된 제어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제품은 룸 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지지벽을 구비한 전기 제품과 상기 전기 제품 내에 장착된 제어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룸 공조기는 실내 및 실외 부분으로 상기 공조기를 분할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편평 지지벽은 상기 격벽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 지지벽을 구비한 전기 제품과 상기 전기 제품 내에 장착된 제어 박스.
KR1020007005269A 1998-09-16 1998-09-16 전기 제품 내의 제어 박스의 장착 KR100365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BR1998/000073 WO2000016598A1 (en) 1998-09-16 1998-09-16 Mounting of a control box in an electrical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627A KR20010024627A (ko) 2001-03-26
KR100365460B1 true KR100365460B1 (ko) 2002-12-18

Family

ID=406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269A KR100365460B1 (ko) 1998-09-16 1998-09-16 전기 제품 내의 제어 박스의 장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60371B1 (ko)
KR (1) KR100365460B1 (ko)
CN (1) CN1225954C (ko)
AU (1) AU9246898A (ko)
CA (1) CA2308387C (ko)
WO (1) WO2000016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508B1 (ko) * 2000-11-11 200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DE10141246C1 (de) * 2001-08-23 2003-04-10 Brose Fahrzeugteile Mechanische Schnittstellenvorrichtung
CN100343439C (zh) * 2002-12-25 2007-10-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控制器安装结构
US8640480B2 (en) * 2009-11-24 2014-02-04 Friedrich Air Conditioning Co., Ltd. Room air conditioner and/or heat pump
JP5877359B2 (ja) * 2011-05-17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02721113B (zh) * 2012-06-08 2017-05-31 海尔集团公司 暗藏式空调室内机
CN106152657A (zh) * 2015-04-01 2016-11-2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USD1009019S1 (en) * 2021-04-15 2023-12-26 E.E.P.D. GmbH Electronic-Equipment-Produktion & Distribution GmbH Industrial compu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9570A (en) * 1974-03-04 1977-04-26 Sidney Siegel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US4447030A (en) * 1981-03-30 1984-05-08 Commander Electrical Materials, Inc. Electrical wiring box arrangement
US4399922A (en) * 1981-09-14 1983-08-23 Larry Horsley Outlet box mounting
US5010742A (en) * 1988-02-08 1991-04-30 Carrier Corporation Actuation mechanism for vent and exhaust doors
JPH0758657B2 (ja) * 1990-03-12 1995-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デンサ取付装置
US5532435A (en) * 1994-03-09 1996-07-02 Carrier Corporation Power cord strain relief for room air conditioner
US5755593A (en) 1997-02-27 1998-05-2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outlet having panel mount latches
DE29809098U1 (de) 1998-05-22 1998-08-06 Phoenix Contact Gmbh & Co Einhakvorrichtung für elektrische oder elektronische Geräte
US6009717A (en) * 1998-08-26 2000-01-04 Carrier Corporation Control box for a room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5954C (zh) 2005-11-02
CA2308387C (en) 2003-03-18
KR20010024627A (ko) 2001-03-26
WO2000016598A1 (en) 2000-03-23
US6260371B1 (en) 2001-07-17
CA2308387A1 (en) 2000-03-23
CN1278998A (zh) 2001-01-03
AU9246898A (en) 200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7256A (en) Interlocking and sealing arrangement for modular domestic appliances
US6450880B1 (en) Ceiling embedded-type air conditioner
US5193355A (en)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US4893478A (en) Modular refrigeration appliance which can be assembled at a remote location
US4907419A (en) Modular mechanical refrigeration unit
US4977750A (en) Modular room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11264602A (ja) 空気調和機
KR100365460B1 (ko) 전기 제품 내의 제어 박스의 장착
CN1246601A (zh) 用于房间空调器的控制箱
US5315842A (en) Grille mount for room air conditioner
JPH03230030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US20070296315A1 (en) Cabinet With an Integral Framework for Air Conditioner Installation
US3431748A (en) Door mounting for a room air conditioner discharge opening
KR100323516B1 (ko) 표시창과 콘트롤 박스가 일체로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00017509A (ko) 공기 조화기의 전방 그릴용 제어 박스 도어와 유선형 덮개
MXPA00004703A (en) Mounting of a control box in an electrical appliance
CN220303762U (zh) 取暖设备
KR200159554Y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취부구조
WO1999035448A1 (en) Control box mounting for an air conditioner
KR200186563Y1 (ko) 공조기기
WO1993017283A1 (fr) Climatiseur monobloc
KR200170281Y1 (ko) 공기조화기
KR100341983B1 (ko) 에어컨용 제어 박스의 장착부
JPH0712837Y2 (ja) 空調機を内蔵した壁部空調装置
JPH0744902Y2 (ja) 空調機を内蔵した壁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