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913B1 -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913B1
KR100363913B1 KR1020000066487A KR20000066487A KR100363913B1 KR 100363913 B1 KR100363913 B1 KR 100363913B1 KR 1020000066487 A KR1020000066487 A KR 1020000066487A KR 20000066487 A KR20000066487 A KR 20000066487A KR 100363913 B1 KR100363913 B1 KR 10036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late
yoke
voice coil
vib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1022A (ko
Inventor
이석순
Original Assignee
이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순 filed Critical 이석순
Priority to KR102000006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9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electromagnetic driv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단말기라든지 PCS를 포함하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에 채용되어 고음질의 오디오신호 및 호출경보음을 재생하는 스피커기능부와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리시버기능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는 원통형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프레임유니트에 결합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경방향 연장면상에서 그 요크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재치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 이격배치되어 그 상부플랜지가 상기 마그네트상에 위치되고 그 중앙이 요부형태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요크와 상기 마그네트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는 제 1보이스코일을 갖춘 제 1진동판 및,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플레이트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는 제 2보이스코일을 갖춘 제 2진동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보이스코일과 제 1진동판은 오디오/호출경보음출력기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보이스코일과 상기 제 2진동판은 음성출력기능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MULTI-PURPOSE BUZZER WITH SPEAKER AND RECEIVER}
본 발명은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휴대폰을 포함하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에 적절하게 채용되어 고음질의 오디오신호 및 호출경보음을 재생하는 스피커기능부와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리시버기능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단말기라든지 PCS단말기를 포함하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에는 호출측으로부터의 호출상태를 경보하기 위한 버저가 채용되는 바, 그 버저는 호출경보를 진동으로 행하기 위한 진동기능과, 호출경보를 음향으로 행하기 위한 음향발생기능(즉, 스피커기능)이 설계된다.
종래에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출경보를 행하기 위한 진동기능과 음향발생기능은 별개로 설계되었지만, 근래에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 설계에 적합하도록 진동기능과 음향발생기능도 단일의 버저에 혼재하는 구조로 변형설계가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그에 대해, 최근에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확장됨에 따라 특정한 오디오신호 또는 멜로디를 호출경보음으로 사용하면서 고질의 오디오신호(예컨대 MP3 등)의 수신이 가능하게 되고, 그러한 이유에서 오디오신호의 고음질 재생을 위해 마이크로 스피커의 사용이 확장되는 상황이다.
그런데, 진동기능과 음향발생기능이 단일의 버저에 혼재하는 형태로 구성된 버저가 제안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고음질의 오디오신호(예컨대 MP3 등)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에는 호출경보를 위한 진동/음향발생기능에 추가적으로 고음질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기능이 부가되어야만 될 뿐만 아니라 음성의 출력이 가능한 리시버기능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신호와 호출경보음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기능과 음성의 출력을 위한 리시버기능이 별개로 구성되면 개인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 설계에 장애요인으로 되는 상황이고, 그 스피커기능과 리시버기능이 별개로 추가됨에 따라 단가의 상승 및 작업성의 향상에 제약을 받게 된다.
더구나, 그러한 스피커기능과 리시버기능이 단일의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상정이 가능하지만, 그러한 설계에는 호출경보음을 수신하려는 경우에 부주의하게 리시버기능이 작동되는 경우의 발생이 초래되고, 그 경우에는 급격한 고음의 출력에 의해 청각적인 악영향도 초래될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인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오디오신호와 호출경보음의 재생을 위한 스피커기능과 음성출력을 위한 리시버기능이 내부적으로는 분리되고 외부적으로 일체화된 다기능 버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오디오신호의 재생기능과 호출경보기능을 갖는 개인이동통신기에 적용되는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프레임유니트에 결합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경방향 연장면상에서 그 요크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재치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 이격배치되어 그 상부플랜지가 상기 마그네트상에 위치되고 그 중앙이 요부형태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요크와 상기 마그네트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는 제 1보이스코일을 갖춘 제 1진동판 및,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플레이트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는 제 2보이스코일을 갖춘 제 2진동판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보이스코일과 제 1진동판은 스피커기능부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 2보이스코일과 상기 제 2진동판은 리시버기능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유니트에는 상기 제 1진동판의 진동압을 조절하기 위한 방음구가 관통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의하면, 원통형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는 프레임유니트와 요크,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의 상측에 제 1보이스코일과 제 1진동판에 의한 스피커기능부가 형성되어 호출경보음 및 고음질의 오디오신호에 대한 재생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프레임유니트와 요크,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제 2보이스코일과 제 2진동판에 의한 리시버기능부가 형성되어 음성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원통형 하우징, 12: 프레임유니트,
14: 요크, 16: 마그네트,
18: 플레이트, 20: 제 1진동판,
22: 제 1보이스코일, 24: 제 2진동판,
26: 제 2보이스코일.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버저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통형의 하우징(10)의 내측에는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임유니트(12)가 수용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2)의 내측에는 상부개방형태의 요크부재(14)가 제공되는 바, 상기 프레임부재(12)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상 요부(12a)에 상기 요쿠부재(14)의 외벽에 형성된 환형상 결합돌기(14a)가 수납되어 상호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요크부재(14)에서 내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면(14b)상에는 그 측벽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16a)을 유지한 상태로 마그네트(16)가 설치된다.
또, 상기 마그네트(16)의 내측에는 중앙부분이 요입된 상태의 플레이트부재
(18)가 제공되는 바, 상기 마그네트(16)의 상면에 상기 플레이트부재(18)의 상부플랜지가 면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16)와 상기 플레이트부재(18)의 측면의 사이에도 일정한 간격(18a)이 설정되도록 설계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한 구조의 상측에는 제 1진동판(20)이 제공되는 바, 그 제 1진동판(20)의 양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상측 내단에 접합되고, 그 제 1진동판(20)의 저면 소정위치에는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가 접속되는 제 1보이스코일(22)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진동판(20)과 상기 제 1보이스코일(22)은 고음질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기능부를 구성하게 된다.
또, 상기한 구조의 하측에는 제 2진동판(24)이 제공되는 바, 그 제 2진동판(24)의 양단은 상기 요크(14)에 접합되고, 그 제 2진동판(24)의 저면 소정위치에는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호출음경보신호가 접속되는 제 2보이스코일(2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진동판(24)과 상기 제 2보이스코일(26)은 고음질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리시버기능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서 상기 제 1진동판(20)에 설치된 제 1보이스코일(22)은 상기 요크(14)와 상기 마그네트(16)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는 반면, 상기 제 2진동판(24)에 설치된 제 2보이스코일(26)은 상기 마그네트(14)와 상기 플레이트(18)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18a)에 개재된다.
또, 상기 제 1보이스코일(22)이 형성된 제 1진동판(20)은 스피커용 진동판을 적용함에 따라 그 진폭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고음질의 오디오신호에 대한 재생능이 양호하게 되고, 상기 제 2보이스코일(26)이 형성된 제 2진동판(24)은 리시버용 진동판을 사용함에 따라 호출경보음의 재생에 적합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제 1진동판(20)에 형성된 제 1보이스코일(22)에 대해 해당하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의 오디오신호출력부로부터 교류성분의 오디오신호(또는 호출경보음)가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트(16)와 상기 제 1보이스코일(22)의 사이에는 상기 교류성분의 오디오신호에 대응하는 자계가 형성되어 그 제 1보이스코일(22)의 진동이 발생되고, 그 진동에 의해 상기 제 1진동판(20)이 진동하면서 오디오신호 또는 호출경보음에 대한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경우, 상기 제 1진동판(20)의 진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압은 상기 프레임유니트(12)에 형성된 방음구(28a; damper hole)를 통해 조절되어 상기 제 1진동판(20)의 진동이 정도 높게 이루어지게 된다.그에 대해, 제 2보이스코일에 전기적인 음성신호가 인가되면 제 2진동판(24)이 작동하여 음성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의하면, 고음질의 오디오신호와 호출경보음을 재생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기능부와 음성출력을위한 리시버기능부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개인이동통신단말기의 다기능화에 의한 고음질의 오디오신호와 호출경보음 및 음성의 재생기능에 충실하게 부응할 수 있으면서, 그 개인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 설계에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 단일의 마그네트와 요크 및 플레이트를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그 양측에 스피커용 진동판 및 보이스코일과 호출경보용 진동판 및 보이스코일을 배치하는 구조임에 따라 전체적인 치수와 두께의 축소가 가능하게 되면서 제조원가에서도 상당히 유리하게 된다.

Claims (4)

  1. 오디오신호의 재생기능과 호출경보기능을 갖는 개인이동통신기에 적용되는 전기음향 변환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경방향 연장면상에서 그 요크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재치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 이격배치되어 그 상부플랜지가 상기 마그네트상에 위치되고 그 중앙이 요부형태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요크와 상기 마그네트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는 제 1보이스코일을 갖춘 제 1진동판 및,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플레이트사이의 공간에 개재되는 제 2보이스코일을 갖춘 제 2진동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보이스코일과 제 1진동판은 오디오기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보이스코일과 상기 제 2진동판은 리시버기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니트에는 상기 제 1진동판의 진동압을 조절하기 위한 방음구가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KR1020000066487A 2000-11-09 2000-11-09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KR10036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487A KR100363913B1 (ko) 2000-11-09 2000-11-09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487A KR100363913B1 (ko) 2000-11-09 2000-11-09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022A KR20020031022A (ko) 2002-04-26
KR100363913B1 true KR100363913B1 (ko) 2002-12-11

Family

ID=1969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487A KR100363913B1 (ko) 2000-11-09 2000-11-09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9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022A (ko) 200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4895B2 (en) Loudspeaker
US8774447B2 (en) Crossover double speaker
US20110311093A1 (en) Micro-speaker
JP2930070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100413374B1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JPH11252683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0363913B1 (ko) 다기능 전기음향 변환장치
KR100506949B1 (ko) 양면 스피커
KR200221515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 구조
US6568502B2 (en) Sounder, speaker and sound head using the sounder
JPH02170795A (ja) パネル型スピーカ
JP2001340811A (ja) 振動発生器
JPH10257594A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れを使用した携帯端末装置
KR100455100B1 (ko) 통화음, 호출음 및 진동기가 통합된 3-모드 일체형 마이크로 스피커
JP2006197454A (ja) スピーカシステムならびに該スピーカシステムを備えた携帯端末および電子機器
JP2006217518A (ja) 電気音響変換装置
JP2002219412A (ja) 加振器付きスピーカ
KR100630440B1 (ko) 양방향 전자음향변환장치
KR200310535Y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200326984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271674Y1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JPH10164691A (ja) スピーカ
KR200145349Y1 (ko) 헤드폰의 일체형 바이브레이션 유니트
KR200207890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받침 스프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