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687B1 -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 Google Patents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687B1
KR100363687B1 KR1020000021048A KR20000021048A KR100363687B1 KR 100363687 B1 KR100363687 B1 KR 100363687B1 KR 1020000021048 A KR1020000021048 A KR 1020000021048A KR 20000021048 A KR20000021048 A KR 20000021048A KR 100363687 B1 KR100363687 B1 KR 10036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emperature
humidity
humidity sen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191A (ko
Inventor
박세광
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 네오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네오멤스 filed Critical (주) 네오멤스
Priority to KR102000002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6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8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pressure sensors, e.g.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막의 유전율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정확하게 습도를 측정하고,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온도를 측정하는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체화된 온습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체화된 온습도센서의 구조는 빗살형 구조의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의 중간부분에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를 가지는 제3도전체(3)를 형성하고,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와 제3도전체와 반도체 기판 상에 감지막(4)을 형성하고 사진식각하여 온도와 습도센서를 일체화시켜 제조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일체화된 온습도센서{Sensor of fabrication of onebodied temperature/humidity sensor}
본 발명은 온습도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막의 유전율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정확하게 습도를 측정하고,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온도를 측정하는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체화된 온습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는 각각의 별도의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판매되어 왔다. 각종 생활환경의 조절용 기기에 온도와 습도센서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각각의 센서는 별개의 구성품으로 취급되어 진다.
이때 온도센서는 반도체소자의 온도의존성을 이용하는 방법과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를 가지는 측온저항체와 그 외 이종금속접점의 열기전력을 이용한 열전대 등이 이용되고 있다. 습도센서는 전지저항식과 정전용량식이 대부분이며, 정밀한 습도측정분야에는 정전용량식이 많이 쓰이고 있다.
종래에는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만 형성하는 기술이 사용되었고, 또한 감지막 형성기술도 감지용액에 디핑한 후 건조시켜 형성하는 기술이 이용된다. 이러한 기술은 특허 출원번호 제91-6206호에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함에 따라 원가가 상승되고, 특히 습도센서의 경우 감지막을 디핑하므로 일정한 감도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수성이 우수한 친수성 고분자 감습제를 이용하여 상대습도 전역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신뢰성이 우수한 습도센서와 온도 측정에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감온 측온저항체 온도센서를 일체화시킴으로서 가습기, 제습기, 에어컨, 공기조화장치 등 온도와 습도조절이 필요한 분야에 사용가능한 일체화된 온습도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일체화된 온습도센서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와 제3도전체 패턴의 구조도와 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품의 습도센서가 상대습도가 변화하는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의 용량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품의 온도센서가 온도가 변화하는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의 저항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제1도전체 2 : 제2도전체
3 : 제3도전체 4 : 감지막
5 : 기판 6 : 패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은 기판(5) 상에서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 중간에 제3도전체(3)를 삽입한 구조에 습도감지막 패턴을 형성하여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와 제3도전체(3)로 습도를 감지하고, 제3도전체(3)의 양쪽 끝이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로 나타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도전체(1), 제2도전체(2) 및 제3도전체(3)의 두께는 2~3㎛이고, 넓이는 10~20㎛이고, 간격은 10~20㎛이고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내수성이 우수한 친수성 고분자 감습제를 이용하여 상대습도 전역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신뢰성이 우수한 습도센서와 온도 측정에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감온 측온저항체 온도센서를 일체화시킴으로서 가습기, 제습기, 에어컨, 공기조화장치 등 온도와 습도조절의 제어가 필요한 분야에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와 제3도전체를 형성하고 사진식각하여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와 제3도전체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공정기술과 상기 패턴과 반도체 기판상에 습도감지막을 형성하고 사진식각하여 열처리하는 감지막 형성기술이다. 이때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 중간부분에 제 3도전체가 삽입된 구조가 본 발명의 요지에 해당된다.
도 1은 본 발명품의 전체적인 모양을 도시한 것으로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 사이에 제3도전체(3)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과 반도체 기판(5)위에 감지막(4)을 형성한 구조이고, 각 도전체의 양쪽 끝에는 리드선 부착을 위한 패드(6)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도전체(1)(2)(3)는 장방형의 영역내에서 서로 지그재그의 빗살형 모양으로 배치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대습도가 변화면 감지막의 유전율의 변화가 유발되면서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를 연결한 하나의 전극과 제3도전체(3) 양끝을 연결한 하나의 전극 사이에 용량변화가 감지된다. 또한 온도가 변하면 제3도전체(3)의 양쪽 끝 사이의 저항이 변화하므로 저항변화를 감지함으로서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제1도전체(1)·제2도전체(2)·제3도전체(3)의 두께는 2~3㎛로 하고, 넓이(선폭)는 10~20㎛로 하고, 간격은 10~20㎛로 모두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치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인 측정범위를 초과하는특수 용도의 경우 달라질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것처럼 반도체 기판(5)위에 형성된 도전체의 단면을 보면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 사이에 제3도전체(3)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으며, 각 도전체의 두께, 넓이 및 간격은 일정하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온습도센서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사용한다.
먼저 반도체 기판(5)에 알루미늄이나 백금 등의 금속을 도전체로 하여 두께 2~3㎛로 형성하고, 사진식각하여 제1도전체(1), 제2도전체(2) 및 제3도전체(3) 패턴이 각각 선폭과 간격이 10~20㎛가 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반도체 기판(5)과 상기 도전체(1)(2)(3) 위에 감지막(4)을 4~8㎛두께로 형성하고 사진식각하여 150~250℃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여 본 발명품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품을 제조한 후 상대습도가 5%R.H.에서 95%R.H.로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노출시켜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를 하나의 전극으로 하고, 제3도전체(3)의 양쪽끝을 연결하여 하나의 전극을 구성한 후 각 전극의 정전용량 변화를 검지하였다. 먼저 온도측정 신호입력에 0V를, 습도측정 신호입력에 5V를 인가하면 5V가 인가된 입력신호에 연결된 아날로그 스위치가 도통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온습도센서의 제3도전체(3)의 저항양쪽 끝이 아날로그스위치를 통과한 후 서로 연결되어, 습도에 따른 정전용량 출력(+)에 연결되고, 생활환경에 노출된 일체화된 온습도센서의 제1도전체(1)와 제3도전체(3)가 서로 연결되어 습도에 따른 정전용량 출력(-)에 연결되므로, 이 출력단자의 정전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생활환경의 습도를알 수 있다.
이에 따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는 바, 선형적인 출력변화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제3도전체(3)를 온도가 -20 ~ 80℃까지 변화하는 환경에 노출시키고, 제3도전체의 양쪽 끝에서 도전체의 저항을 측정하여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지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온도측정 신호입력에 5V를, 습도측정 신호입력에 0V를 인가하면 5V가 인가된 입력신호에 연결된 아날로그 스위치가 도통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온습도센서의 제3도전체(3)의 저항이 온도에 따른 저항 출력(+)과 온도에 따른 저항 출력(-)에 연결되고 이 출력단자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생활환경의 온도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른 결과를 도 5에 도시하는 바, 선형적인 출력변화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통합한 온습도 일체화 센서를 제조함으로서 감습막의 내수성 및 내환경경성이 우수하여 장기안정성, 고신뢰성이 기대되는 습도센서와 우수한 측온저항체를 이용함으로서 정밀한 온도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의 기능이 복합되어, 각종 가전제품, 제습기, 에어컨, 공기조화장치 등 온도와 습도를 함께 조절할 필요가 있는 기계, 기구의 온습도센서로 유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온습도센서에 있어서,
    기판(5) 상에서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 중간에 제3도전체(3)를 삽입하고, 습도감지막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제1도전체(1)와 제2도전체(2)와 제3도전체(3)로 하여금 습도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3도전체(3)의 양쪽 끝이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로 나타나는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도전체(1), 제2도전체(2) 및 제3도전체(3)의 두께는 2~3㎛이고, 넓이는 10~20㎛이고, 간격은 10~20㎛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2. 삭제
  3. 삭제
KR1020000021048A 2000-04-20 2000-04-20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KR10036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048A KR100363687B1 (ko) 2000-04-20 2000-04-20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048A KR100363687B1 (ko) 2000-04-20 2000-04-20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191A KR20010097191A (ko) 2001-11-08
KR100363687B1 true KR100363687B1 (ko) 2002-12-05

Family

ID=1966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048A KR100363687B1 (ko) 2000-04-20 2000-04-20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61B1 (ko) 2017-11-24 2019-05-10 주식회사 신우전자 수직 적층된 온습도 복합 센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37B1 (ko) * 2015-02-03 2016-10-26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플렉서블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280952B1 (ko) * 2019-10-02 2021-07-23 대덕대학산학협력단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유연한 정전 용량식 센서
KR102280947B1 (ko) * 2019-10-02 2021-07-23 대덕대학산학협력단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578A (ja) * 1991-12-17 1993-06-29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センサの製造方法
JPH0618465A (ja) * 1992-07-02 1994-01-25 Ricoh Co Ltd 複合セ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4578A (ja) * 1991-12-17 1993-06-29 Mitsubishi Heavy Ind Ltd 複合センサの製造方法
JPH0618465A (ja) * 1992-07-02 1994-01-25 Ricoh Co Ltd 複合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61B1 (ko) 2017-11-24 2019-05-10 주식회사 신우전자 수직 적층된 온습도 복합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191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471B1 (ko) 절대습도센서 및 이를 이용한 온/습도 검출 회로
Rittersma Recent achievements in miniaturised humidity sensors—a review of transduction techniques
CN100420021C (zh) 基于聚合物材料的单片集成温度、湿度、压力传感器芯片
US7552635B2 (en) Humidity sensor capable of self-regulating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203738B1 (en) Improved structure for capacitive balancing of integrated relative humidity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Story et al. A study of low-cost sensors for measuring low relative humidity
US7635091B2 (en) Humidity sensor formed on a ceramic substrate in association with heating components
Chen et al. Vertically integrated CMOS-MEMS capacitive humidity sensor and a resistive temperature detector for environment application
US6712987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resistor with at least two connection contact pads on a substrate with at least one recess
KR100363687B1 (ko) 일체화된 온습도센서
KR102035089B1 (ko) 히터 내장형 습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1141795A (zh) 湿度传感器芯片、制作方法、检测系统及使用方法
JP2007278867A (ja) 湿度感知部品の電極構造
KR100585664B1 (ko) 박막형 습도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111007107A (zh) 一种基于碳基柔性湿敏器件的露点测量方法
JPS6118850A (ja) 湿度・結露検出素子
KR20190058004A (ko) 다중측정방식의 고신뢰성 온습도 모듈
KR100486496B1 (ko) 박막형 습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RU214243U1 (ru) Двухпараметрический гибкий датчик влажности и температуры
Suzuki Performance of polyimide-based humidity sensor
dos Santos et al. Reconfigurable sensor based on PCB technology for moisture and temperature measurement
KR100486497B1 (ko) 히터 내장형 감습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H0117103B2 (ko)
Kang et al. A high-speed capacitive humidity sensor
KR20060098107A (ko) 용량형 습도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