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576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오티에이에스피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오티에이에스피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576B1
KR100362576B1 KR1020010007717A KR20010007717A KR100362576B1 KR 100362576 B1 KR100362576 B1 KR 100362576B1 KR 1020010007717 A KR1020010007717 A KR 1020010007717A KR 20010007717 A KR20010007717 A KR 20010007717A KR 100362576 B1 KR100362576 B1 KR 100362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witching
service
switching center
otasp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243A (ko
Inventor
유환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57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OTASP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활성 MIN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단말기에 의하여 고객 서비스 센터로 OTASP 서비스가 요구되면 고객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OTA 서버가 단말기에 대하여 활성 MIN을 할당하고 해당하는 이동 교환국과 접속하는 단계와, 이동 교환국에서 활성 MIN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OTASP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호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와, OTA 서버와 이동 교환국에서 활성 MIN과 호 엔트리를 이용하여 OTASP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OTASP 서비스가 종료되면 고객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OTA 서버가 할당된 MIN을 해제한 후 이동 교환국으로 자원 해제를 요구하는 단계와, 이동 교환국에서 자원 해제 요구에 응답하여 호 엔트리를 해제하고 활성 MIN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동 교환국에서 활성 MIN과 단말기의 ESN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OTASP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호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와, OTA 서버와 이동 교환국에서 활성 MIN과 ESN과 호 엔트리를 이용하여 OTASP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오티에이에스피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OTASP SERVICE I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OTASP(Over The Air Service Provisioning)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활성 단말기 번호(Activatio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ACTMIN)를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체 서비스영역을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영역들로 분할하여 다수의 셀들을 구성하고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으로 다수의 기지국들을 집중 제어함으로써 셀간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가 지속되도록 한다. 이동 교환국은 홈 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얻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상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가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하고 서비스 신규 등록을 수행하거나,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또는 가입자 번호의 변경을 수행하려면 항상 대리점 등의 제3자를 경유하여야만 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대리점을 관리하는 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가입자의 정보가 누출될 위험도 커지게 되고 가입자의 측면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3자를 통해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제3자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의 문제점이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OTASP 서비스이다.
OTASP 서비스는 가입자가 대리점을 방문하여 가입 등록을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편의점이나 기타 유통점을 통해 구입한 신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입자가 직접 가입등록을 수행하고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발전된 OTASP 서비스는 무선상에서 가입자에 의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변경, 즉 가입자 번호 변경, 신규기능 추가로 인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사업자 간의 로밍 협약에 따른 로밍 리스트 다운로드 등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서비스 사업자와 가입자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다. OTASP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입자들 각각의 정보는 이동 교환국내 데이터베이스의 호 엔트리(call entry)에 저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호 엔트리는 특정 단말기가 OTASP 서비스를 수행하는 도중에 해당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공간으로 정의된다.
도 1은 통상적인 OTASP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교환국(30)은 홈 위치등록기(40)로부터 이미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구하여 기지국(20)을 통하여 단말기(10)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이동 교환국(30)은 OTASP 서버(50)의 제어하에 논리적인 저장공간인 호 엔트리를 생성하여 OTASP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고객 서비스 센터(60)에게 보고한다.
도 2는 OTASP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엔트리의 생성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10)에서 가입자는 새로 구입한 신규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이동 교환국(30)으로 호를 연결하고 OTASP 서비스를 요구한다.(OTASP request 메시지) 예를 들어 가입자 A가 OTASP 서비스를 위하여 미리 정해진 OTASP 서비스 기능코드(예를 들어 *22800, *22801 등)를 입력하여 이동 교환국(30)으로 전화를 걸면 이동 교환국(30)은 고객 서비스 센터(60)와 통화로를 연결하고 OTASP 서비스를 요구한다. 이때 이동 교환국(30)은 호 엔트리를 생성하기 전까지 해당 호를 구별하기 위한 임시참조번호(Temporary Reference Number: TRN)를 할당하고 고객 서비스 센터에게 OTASP 서비스를 요구할 때 상기 할당된 TRN을 전달한다. 통상적으로 TRN은 10디지트로 구성되며 앞의 7디지트는 이동 교환국의 고유번호인 TLDN(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이고 뒤의 3디지트는 이동 교환국에 의하여 임의로 할당되는 TRN 버퍼 ID의 값이다.
단계(S120)에서 고객 서비스 센터(60)에서는 이에 응답하여 OTA 서버(50)와 세션(session)을 연결하고 OTA 서버(50)에게 OTASP 서비스를 위한 호를 연결할 것을 요구한다.(Data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이때 상기 Data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는 이동 교환국(30)에 의하여 할당한 TRN을 포함한다.
단계(S130)에서 OTA 서버(50)는 해당 호, 즉 해당 OTASP 요구 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지는 활성 MIN의 범위(range) 내에서 하나의 활성 MIN, 예를 들어 100000000을 할당하고 고객 서비스 센터(60)로부터 수신된 TRN의 앞의 7디지트를 루팅정보로 하여 이동 교환국(30)에게 OTASP 서비스 요구를 위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MS message) 상기 SMS 메시지는 해당 단문 메시지가 OTASP 서비스를 위한 것임을 나타내기 한 서비스 지시자(Service Indicator: SRVIND)와, 이동 교환국에 의하여 할당된 TRN과 OTA 서버에 의하여 할당된 활성 MIN과, 서비스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능코드(Action Code)(이 경우에는 기능코드는 "Attach MSC to OTA server"로 설정됨)를 포함한다.
단계(S140)에서 이동 교환국(30)의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처리부(36)는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을 호 엔트리관리부(34)로 전달한다.(OTA_CallEntryCreateRQ 메시지)
상기 OTA_CallEntryCreateRQ 메시지는 호 엔트리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가 된다.
단계(S150)에서 호 엔트리 관리부(34)는 상기 OTA_CallEntryCreateRQ 메시지를 통해 활성 MIN과 TRN을 수신하여, 수신된 TRN이 호 엔트리 관리부(34)에서 관리하는 TRN 버퍼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만일 존재하면 하나의 호 엔트리를 생성하여 생성된 호 엔트리에 상기 수신된 TRN, 활성 MIN 및 해당 TRN 버퍼의 정보(ESN, MIN, 인증정보 등)를 모두 저장한 다음 MIN, ESN,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OTA_CallEntryCreateRP 메시지를 SMS 처리부(36)로 전송한다.
단계(S160)에서 SMS 처리부(36)는 호 엔트리의 생성결과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OTA 서버(50)로 전송하며, 단계(S170)에서 OTA 서버(50)는 Data Connection response 메시지를 고객 서비스 센터(60)로 전송하여 호 엔트리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음을 알린다.
호 엔트리가 생성되면 OTA 서버(50)는 고객 서비스 센터(60)의 제어하에 활성 MIN과 호 엔트리를 이용하여 OTASP 서비스를 수행한다. OTASP 서비스를 수행 도중 필요한 경우 이동 교환국은 단말기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데 이러한 요구 및 수신은 해당하는 호 엔트리를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단말기들에 대하여 동시에 호 엔트리를 생성하고 OTASP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기들 각각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인자는 활성 MIN이다. 활성 MIN은 가입자 A의 실제 MIN과는 무관하게 OTASP 서비스를 수행중인 단말기 및해당하는 호 엔트리를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 경우 OTASP 서비스를 수행중인 단말기마다 새로운 활성 MIN을 할당하게 되면 매우 많은 MIN 자원이 낭비되고 실제 사용중인 MIN을 할당하는 등의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OTA 서버(50)에서는 OTASP 서비스가 종료되면 해당하는 OTASP 서비스에서 사용되었던 활성 MIN을 재사용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OTA 서버의 활성 MIN 해제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10)에서 OTASP 서비스가 종료되면 고객 서비스 센터(60)는 OTA 서버(50)에게 Session Clos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S220)에서 OTA 서버(50)는 이에 응답하여 활성 MIN을 해제하고 Session Close Response 메시지로 고객 서비스 센터(60)에게 응답한다. 이 상태에서 다른 가입자 B가 OTASP 서비스를 시도하여 고객 서비스 센터(60)의 운용자에게 전화를 걸면 OTA 서버(60)는 고객 서비스 센터(60)의 요구에 응답하여 이미 해제된 활성 MIN을 상기 다른 가입자 B에게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고객 서비스 센터(60)는 OTA 서버(50)와는 별도로 이동 교환국(30)과 통화로를 연결하고 있는데 이동 교환국(30)은 단말기 또는 고객 서비스 센터(60) 운용자(operator)의 해제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이동 교환국(30) 내에서 사용중인 활성 MIN을 해제한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 교환국의 호 엔트리 해제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10)에서 단말기(10)가 이동 교환국(30)의 호 처리부(32)로 OTASP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연결된 호의 해제(Release)를 요구하면단계(S320)에서 호 처리부(32)는 호 엔트리 관리부(34)에게 OTA_CallEntryReleaseRQ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 엔트리와 그에 해당하는 활성 MIN을 해제하도록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OTASP 서비스에서는 OTASP 서비스가 종료된 후 OTA 서버(50)가 이동 교환국(30)으로 세션 종료 요구를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OTA 서버(50)에서 활성 MIN가 해제되더라도 해당 가입자 A가 고객 서비스 센터(60)의 운용자와 서비스 이용에 관해 통화중이라면 이동 교환국(30)에서 활성 MIN과 호 엔트리가 해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 OTA 서버(50)가 다른 가입자 B의 OTASP 서비스 요구를 위한 메시지를 이동 교환국(30)으로 전송하면 이동 교환국(30)에서는 동일한 활성 MIN을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 A에게 OTA를 위한 메시지를 보내고 그에 대하여 수신된 응답을 OTA 서버(50)로 회신한다. 따라서 OTA 서버(50)에서는 가입자 B에 대한 OTASP 서비스의 응답으로 가입자 A의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OTASP 서비스 데이터 관리의 불일치 및 데이터 중복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OTASP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활성 MIN를 해제하고 재사용하도록 함으로써 OTASP 서비스 데이터 불일치 및 중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TASP 서비스가 종료된 후 OTA 서버가 이동 교환국으로 호 엔트리 해제를 요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OTASP 서비스를 수행할 때 OTA 서버 및 이동 교환국에서 단말기의 활성 MIN뿐만이 아니라 전자일련번호(ESN)를 이용하여 호 엔트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이동 교환국과 통화로를 연결할 수 있는 고객 서비스 센터와,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제어하에 상기 이동 교환국에 접속하고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OTASP 서비스를 제공하는 OTA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OTAS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의하여 고객 서비스 센터로 OTASP 서비스가 요구되면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OTA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활성 MIN을 할당하고 해당하는 이동 교환국과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활성 MIN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OTASP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호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OTA 서버와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활성 MIN과 상기 호 엔트리를 이용하여 OTASP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OTASP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OTA 서버가 상기 할당된 MIN을 해제한 후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 자원 해제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자원 해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호 엔트리를 해제하고 상기 할당된 MIN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이동 교환국과 통화로를 연결할 수 있는 고객 서비스 센터와,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제어하에 상기 이동 교환국에 접속하고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OTASP 서비스를 제공하는 OTA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OTAS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의하여 고객 서비스 센터로 OTASP 서비스가 요구되면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OTA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활성 MIN을 할당하고 해당하는 이동 교환국과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활성 MIN과 상기 단말기의 ESN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OTASP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호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OTA 서버와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활성 MIN과 상기 ESN과 상기 호 엔트리를 이용하여 OTASP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통상적인 OTASP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OTASP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엔트리의 생성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OTA 서버의 활성 MIN 해제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 교환국의 호 엔트리 해제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성 MIN 해제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성 MIN 해제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OTASP 서비스가 종료된 후 활성 MIN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두 가지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OTASP 서비스가 종료된 후 OTA 서버에서 이동 교환국으로 세션 종료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 교환국에서 해당 호 엔트리와 활성 MIN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종래기술에서와는 달리 OTA 서버에서 이동 교환국으로 세션 종료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교환국이 세션 종료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단말기에 대한 호 엔트리를 삭제하여 사용중인 활성 MIN을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OTASP 서비스의 진행시 활성 MIN 뿐만 아니라 ESN도 함께 사용하여 단말기의 호 엔트리를 관리함으로써 활성 MIN이 중복되더라도 ESN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OTA 서버와 이동 교환국에서 활성 MIN의 해제시기가 동기되지 않아서 이동 교환국에서 현재 사용중인 활성 MIN이 OTA 서버에 의하여 다른 단말기 가입자에게 할당된 경우, 이동 교환국은 활성 MIN뿐만 아니라 ESN을 함께 사용하여 호 엔트리를 인덱스함으로써 정확한 단말기에게 OTASP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활성 MIN 해제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로서 도 5의 동작은 도 2에 이미 개시된 호 엔트리의 생성동작이 수행된 후 OTASP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에 시작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OTASP 서비스가 종료되면 단계(S410)에서 고객 서비스 센터(60)는 OTA 서버(50)에게 Session Clos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S420)에서 OTA 서버(50)는 상기 Session Close Request 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세션에 대한 정보, 특히 활성 MIN을 해제하고 현재 사용중인 호 엔트리의 해제를 위해 Resource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이동 교환국(30)에게 전송한다.
단계(S430)에서 이동 교환국(30)은 상기 Resource Release Request 메시지에 응답하여 해당 단말기의 호 엔트리를 해제함으로써 활성 MIN에 대한 재사용이 가능하게 한 후 OTA 서버(50)에게 Resource Release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S440)에서 OTA 서버(50)는 상기 Resource Release Response 메시지에 응답하여 고객 서비스 센터(60)에게 Session Close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OTA 서버와 이동 교환국에서 사용중인 활성 MIN을 동시에 해제하여 활성 MIN의 재사용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활성 MIN 해제동작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로서 도 6의 동작은 도 2에 이미 개시된 호 엔트리의 생성동작을 대신하여 수행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가입자는 새로 구입한 신규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이동 교환국(30)으로 호를 연결하고 OTASP 서비스를 요구하면 이동 교환국(30)은 고객 서비스 센터(60)와 통화로를 연결하고 OTASP 서비스를 요구한다.(도시되지 않음) 이때 이동 교환국(30)은 고객 서비스 센터에게 TRN을 전달한다.
단계(S510)에서 고객 서비스 센터(60)에서는 이동 교환국(30)의 OTASP 서비스 요구에 응답하여 OTA 서버(50)와 세션을 연결하고 OTA 서버(50)에게 OTASP 서비스를 위한 호를 연결할 것을 요구한다.(Data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이때 고객 서비스 센터(60)는 이동 교환국(30)에 의하여 할당된 TRN을 OTA 서버(50)로 전달한다.
단계(S520)에서 OTA 서버(50)는 해당 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하나의 활성 MIN을 할당하고 고객 서비스 센터(60)로부터 수신된 TRN의 앞의 7디지트를 루팅정보로 이용하여 이동 교환국(30)에게 OTASP 서비스 요구를 위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MS 메시지는 MIN과 TRN과 ACTCODE와 SRVIND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S530)에서 이동 교환국(30)의 SMS 처리부(36)는 상기 SMS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을 OTA_CallEntryCreateRQ 메시지를 이용하여 호 엔트리 관리부(34)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OTA_CallEntryCreateRQ 메시지는 호 엔트리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가 된다.
단계(S540)에서 호 엔트리 관리부(34)는 활성 MIN과 TRN을 수신하고 수신된TRN이 호 엔트리 관리부(34)에서 관리하는 TRN 버퍼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만일 존재하면 상기 활성 MIN 및 단말기의 발신 요구시 수신된 단말기의 전자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를 인덱스로 사용하여 하나의 호 엔트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호 엔트리에 상기 수신된 TRN, 활성 MIN 및 해당 TRN 버퍼의 정보를 모두 저장한다. 이때 TRN 버퍼의 정보는 ESN과 MIN(활성 MIN 또는 실제 등록된 MIN) 및 인증정보 등을 포함한다. 호 엔트리의 생성 및 정보 저장이 완료되면 호 엔트리 관리부(34)는 MIN과 ESN 및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OTA_CallEntryCreateRP 메시지를 SMS 처리부(36)로 전송한다.
단계(S550)에서 SMS 처리부(36)는 호 엔트리의 생성결과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OTA 서버(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MS 메시지는 MIN과 ESN과 MSCID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단계(S560)에서 OTA 서버(50)는 Data Connection Response 메시지를 고객 서비스 센터(60)로 전송하여 호 엔트리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음을 알린다.
상기와 같은 절차들에 따라 호 엔트리가 생성되면 OTA 서버(50)는 고객 서비스 센터(60)의 제어하에 활성 MIN과 ESN을 이용하여 호 엔트리를 검색하고 OTASP 서비스를 수행한다. OTASP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이동 교환국은 단말기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데 이러한 요구 및 수신은 해당하는 호 엔트리를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호 엔트리를 생성하고 OTASP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 교환국은 활성 MIN와 ESN을 검색 지시자(searching indicator)로 사용하여 호엔트리를 관리한다. OTASP 서비스의 종료 후 OTA 서버가 이동 교환국에게 세션 종료를 요구하지 않으면 이동 교환국에서 사용중인 활성 MIN이 OTA 서버에 의하여 다른 가입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호 엔트리가 동일한 활성 MIN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이동 교환국은 활성 MIN과 ESN을 인덱스로 하여 호 엔트리를 관리하고 정상적인 OTASP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제2 실시예에서 이동 교환국이 사용중인 활성 MIN은 단말기가 호를 종료하였을 경우에 해당하는 호 엔트리가 삭제되면서 해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OTASP 서비스를 수행하는 도중 활성 MIN의 재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OTASP 기능 오류를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비교적 적은 개수의 활성 MIN를 활용하여 많은 개수의 단말기에 대한 OTASP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

  1.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이동 교환국과 통화로를 연결할 수 있는 고객 서비스 센터와,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제어하에 상기 이동 교환국에 접속하고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OTASP 서비스를 제공하는 OTA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OTAS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의하여 고객 서비스 센터로 OTASP 서비스가 요구되면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OTA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활성 MIN을 할당하고 해당하는 이동 교환국과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활성 MIN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OTASP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호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OTA 서버와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활성 MIN과 상기 호 엔트리를 이용하여 OTASP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OTASP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OTA 서버가 상기 활성 MIN을 해제한 후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 자원 해제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자원 해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호 엔트리를 해제하고 상기 활성 MIN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OTASP 서비스 제공방법.
  2.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교환국과, 상기 이동 교환국과 통화로를 연결할 수 있는 고객 서비스 센터와,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제어하에 상기 이동 교환국에 접속하고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OTASP 서비스를 제공하는 OTA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OTAS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의하여 고객 서비스 센터로 OTASP 서비스가 요구되면 상기 고객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OTA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활성 MIN을 할당하고 해당하는 이동 교환국과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활성 MIN과 상기 단말기의 ESN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OTASP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호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OTA 서버와 상기 이동 교환국에서 상기 활성 MIN과 상기 ESN과 상기 호 엔트리를 이용하여 OTASP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OTASP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10007717A 2001-02-16 2001-02-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오티에이에스피 서비스 제공방법 KR100362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717A KR100362576B1 (ko) 2001-02-16 2001-02-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오티에이에스피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717A KR100362576B1 (ko) 2001-02-16 2001-02-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오티에이에스피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243A KR20020067243A (ko) 2002-08-22
KR100362576B1 true KR100362576B1 (ko) 2002-11-29

Family

ID=2769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717A KR100362576B1 (ko) 2001-02-16 2001-02-1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오티에이에스피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5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385A (ja) * 1996-07-15 1998-05-06 At & T Wireless Services Inc 電波による活性化のための自動登録通知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1998041044A2 (en) * 1997-03-14 1998-09-17 Northern Tele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initiated parameter updating
KR19990064182A (ko) * 1995-10-10 1999-07-26 밀러 럿셀 비 Ota 서비스 프로그래밍용 시스템 및 방법
US5943425A (en) * 1996-05-10 1999-08-24 Lucent Technologies, Inc. Re-authentication procedure for over-the-air activation
KR20000015268A (ko) * 1998-08-28 2000-03-15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규 가입자 등록장치 및 그 방법
WO2000018169A1 (en) * 1998-09-24 2000-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a previously activated mobile station to challenge network mobile station knowledge during over the air activation
US6144849A (en) * 1998-02-23 2000-11-07 Adc Newne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the-air service provisioning of a mobile telepho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182A (ko) * 1995-10-10 1999-07-26 밀러 럿셀 비 Ota 서비스 프로그래밍용 시스템 및 방법
US5943425A (en) * 1996-05-10 1999-08-24 Lucent Technologies, Inc. Re-authentication procedure for over-the-air activation
JPH10117385A (ja) * 1996-07-15 1998-05-06 At & T Wireless Services Inc 電波による活性化のための自動登録通知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1998041044A2 (en) * 1997-03-14 1998-09-17 Northern Tele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initiated parameter updating
US6144849A (en) * 1998-02-23 2000-11-07 Adc Newne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the-air service provisioning of a mobile telephone
KR20000015268A (ko) * 1998-08-28 2000-03-15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규 가입자 등록장치 및 그 방법
WO2000018169A1 (en) * 1998-09-24 2000-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a previously activated mobile station to challenge network mobile station knowledge during over the air acti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243A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1775B (fi) Tietoliikennepalvelun tarjoaminen useita verkkoja käsittävässä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7525987B2 (en) Changing a first subscriber identifier to a second identifier
US7610062B2 (en) Identification of SIM based device
CA223964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rtitioned telecommunication services
JP4153488B2 (ja) 加入者データを記憶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60183500A1 (en) Activating an identity module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73698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dividual or common mobile subscriber number in mobile network for handling multiple subscribers having the same calling line identity
JP463628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コアネットワーク、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収容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
US200502546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network
US7215943B2 (en) Mobile terminal identity protection through home location register modification
KR20070087129A (ko) 이동 통신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성의 관리를 개선하는방법
US7330710B1 (en) Private emergency or service-specific call approach in GSM systems
CN1155288C (zh) 选择识别确认信息的方法和设备
CN113329403B (zh) 一种一号多终端鉴权入网方法及系统
US2024000798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re network device re-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
KR20100072112A (ko) 단말에 선호 사업자망의 변경을 자동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장치
KR10036257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오티에이에스피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58577B1 (ko) 와이브로 시스템에서의 호처리방법
KR101087557B1 (ko) 호출 대화형 고속 패킷 데이터 활성화
US20040174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network resources
KR20010030078A (ko) 지원 네트워크 및 그 운용 방법
CN117242823A (zh) 用于无线网络中的核心网设备重新分配的方法、设备和系统
KR20110057241A (ko) 홈 기지국에서 시그널링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방법
RU2282952C2 (ru) Способ запрос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гласия на определение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еть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CN114374967B (zh) 一号多终端配置方法、系统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