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206B1 -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206B1
KR100362206B1 KR1020000083379A KR20000083379A KR100362206B1 KR 100362206 B1 KR100362206 B1 KR 100362206B1 KR 1020000083379 A KR1020000083379 A KR 1020000083379A KR 20000083379 A KR20000083379 A KR 20000083379A KR 100362206 B1 KR100362206 B1 KR 10036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onnection
forwarding table
routing
at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251A (ko
Inventor
김성혜
류걸우
이규호
이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83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2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4Distribut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0Route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더넷 접속 기능부에 IP(Internet Protocol) 전달 테이블을 적재하여 라우터 기능을 분산시켜 기존의 연동 지원시스템에 구비된 라우터의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 성능 향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제1 IP(Internet Protocol) 전달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우팅 기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더넷 접속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와, 비동기전달모드(ATM) 접속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기능부를 구비하여,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공지의 시스템에서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연동 지원 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기능부의 기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제2 IP 전달테이블을 구비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구비된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를 일치시키는 제 2 단계; 상기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기능부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할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기능부를 거치지 않고 착신측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더넷 접속기능부를 구비한 동종 또는 이종 연동 지원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improving efficiency of system that supports multi-network link in using routing dispersion method}
본 발명은 동종 또는 이종의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우터가 해야 할 기능의 일부를 이더넷 접속 기능부로 이관하여 라우터의 작업량을 분산시킴으로써, 연동 지원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근거리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되어 망의 속도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근거리 통신망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에는 망 장비로 데이터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 단위(셀 : cell)로 나누어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비동기 전송 방식의 장비를 많이 사용한다.
또한, 근거리통신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는 목적지의 주소를 해석하고 맞는 경로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라우터(Router)가 일반적으로 망의 성능을 크게 좌우한다.
종래의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의 일예로서, 비동기전송방식(ATM-LAN) 장비에서 라우팅 기능부에 IP(Internet Protocol) 전달 테이블을 적용하는 구조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라우팅 기능이 포함된 종래의 비동기전송방식(ATM-LAN) 장비에 대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팅 기능부(101)는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는 이더넷 데이터를 위해 정확한 경로를 찾아주기 위해 IP 전달 테이블(102)을 참조한다. 즉, ATM-LAN 장비의 내부 구성은 모두 ATM 스위치(103)로 연결되어 있다. ATM 스위치(103)는 다양한 접속 기능간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ATM-LAN 장비는 다양한 접속 서비스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더넷 접속기능부(104,105)와 ATM 접속기능부(108,109)만 있는 것이아님은 자명하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더넷 접속기능부(104,105)와 ATM 접속기능부(108,109) 이 두 접속기능부만 표시하였다.
상기 이더넷 접속기능부(104,105)는 LAN(106,107)에 연결되어 LAN(106,107)으로부터 이더넷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한다. ATM 접속기능부(108,109)는 ATM망(110,111)에 연결되어 ATM망(110,111)으로부터 ATM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한다. 그리고 모든 이더넷 접속기능부 및 ATM 접속기능부(104,105,108,109)와 라우팅 기능부(101)는 ATM 스위치(103)와 연결되어 있다(112).
도 2 는 종래의 비동기전송방식 망에서 근거리통신망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만일, ATM망(210)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동일한 영역(Segment)에 있는 LAN(207)으로 전달하고자 한다면 데이터는 라우팅 기능부(201)를 거치지 않고 이더넷 접속기능부 및 ATM 접속기능부(208,205)간에 직접 전달된다(21→22→25→26).
그러나, 대부분의 데이터는 서로 다른 영역의 복수 망간에 전달되는 것이 통예이다. 특히, 라우팅 기능부(101)가 구비된 장비에서 수신되는 데이터가 그렇다. 그래서 대부분의 데이터는 이더넷 접속기능부(205)로 직접 전달되기 보다는 ATM-LAN 장비내에 1차 목적지인 라우팅 기능부(201)를 거친다.
따라서, ATM 망(210)에서 발생된 데이터가 ATM 접속기능부(208)로 전달되면(21), ATM 접속기능부(208)는 전달된 데이터를 ATM 스위치(203)로 전달한다(22). 데이터를 전달받은 ATM 스위치(203)는 착신지가 라우터 기능부(201)임을알고 데이터를 라우터 기능부(201)로 전달한다(23).
ATM 스위치(203)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은 라우팅 기능부(201)에서는 ATM 데이터를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한다. 왜냐하면 LAN(205), 즉 IP 망에서 운용중인 라우팅 기능부(201)에서는 ATM 데이터를 분석할 수 없어 반드시 이더넷 데이터를 받아야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IP 데이터는 이더넷 데이터 속에 포함된다.
한편, 라우팅 기능부(201)에서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IP 전달 테이블(202)을 참조하여 다음 목적지까지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이더넷 데이터를 변환시킨다. 즉, 이더넷 데이터의 발신주소와 착신주소를 변경한다. 변경할 주소는 IP 전달 테이블(202)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라우팅 기능부(201)는 해당 접속기능으로 정보가 전달되도록(24), 이더넷 데이터를 ATM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ATM 스위치(203)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의 목적지를 보고 해당 목적지인 이더넷 접속기능부(205)로 데이터를 전달한다(25). 이더넷 접속기능부(205) 역시 LAN(207)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라우터 기능부(201)와 마찬가지로 LAN(207)에서는 ATM 데이터를 해석할 수 없다. 그래서 ATM 데이터를 이데넷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더넷 접속기능부(205)에서 LAN(207)으로 이더넷 데이터를 전달한다(26)(210→208→203→201→203→205→207 순서임).
즉, 동일한 영역에서의 복수 망간 데이터 전달의 경우 이더넷 접속기능부 및 ATM 접속기능부(105,108)간에 데이터를 직접 전달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영역간에서 이더넷 데이터를 전달할 경우에는 이더넷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하여 IP 전달 테이블(202)의 내용을 참조해야 하고, 또한 데이터를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데이터는 라우팅 기능부(201)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도 3 의 경우도 상기 도 2와 마찬가지로, ATM 망(31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가 동일한 영역의 다른 ATM 망(310)으로 전달될 경우 라우팅 기능부(301)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달하는 과정(31→32→35→36)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ATM 망(31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가 다른 영역의 ATM 망(311)으로 전달되려면 비록 ATM 접속기능부(308,309)가 ATM 스위치(303)로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더라도 라우팅 기능부(301)로 전달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도 2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라우팅 기능부(301)로 전달될 때 ATM 데이터를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더넷 데이터의 주소를 변환하며, 역으로 이더넷 데이터를 ATM 데이터로 다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서 목적지 ATM 접속기능부(409)까지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31→32→33→34→35→36).
도 4와 도 5는 LAN(406,506)에서 발생된 이더넷 데이터가 이더넷 접속기능부(404,504)로 전달되면(41,51), 이더넷 접속기능부(404,504)는 해당 착신지를 찾는데, 만약 전달되는 목적지가 동일한 영역이면 데이터는 라우팅 기능부(404,501)를 거치지 않고 이더넷 접속기능부 및 ATM 접속기능부(405,409,505,509)로 직접 전달된다(41→42→45→46 또는 51→52→55→56).
따라서, 도 4는 목적지가 이더넷 접속기능부(405)의 경우를 표현하고 있고, 도 5는 목적지가 ATM 접속기능부(509)인 경우를 표현하고 있다. 이더넷접속기능부(404,504)는 이더넷 데이터를 받기 때문에 ATM 스위치(403,503)를 통하여 목적지로 전달해야 할 경우 이더넷 데이터를 ATM 데이터로 변환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데이터는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두 접속기능이 ATM 스위치(403,503)를 통하여 물리적으로 직접적인 연결이 가능하더라도 이더넷 데이터의 주소가 변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라우팅 기능부(401,501)로 전달된 데이터의 처리과정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처리된다(즉, 도 4의 처리과정은 41→42→43→44→45→46이 되고 도 5의 처리과정은 51→52→53→54→55→56이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근거리통신망 서비스를 ATM상에서 제공하는 ATM-LAN 장비 등에 이더넷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기능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모든 데이터를 정확한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를 무조건 라우팅 기능부로 보내어 그 데이터를 라우터가 처리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데이터가 모두 라우터에서 처리되도록 집중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복수망간의 연동 지원시스템 성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더넷 접속 기능부에 IP(Internet Protocol) 전달 테이블을 적재하여 라우터 기능을 분산시켜 기존의 연동 지원시스템에 구비된 라우터의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성능 향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라우팅 기능이 포함된 종래의 비동기전송방식(ATM-LAN) 장비에 대한 구성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비동기전송방식 망에서 근거리통신망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3 은 도 2와 같이 비동기전송방식 망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동일 영역의 다른 비동기전송방식 망으로 전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종래의 근거리통신망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동일 영역의 다른 근거리통신망으로 전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5 는 도 4와 같이 근거리통신망에서 비동기전송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통신망의 이더넷 접속기능부에 IP 전달 테이블을 적재하여 라우팅 기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에서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ATM-LAN 장비에서 이더넷 접속기능부 및 라우팅 기능부의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도.
도 9a 내지 도 9c 는 도 8의 이더넷 접속기능에서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 기능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c 는 도 8의 라우팅 기능에서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 기능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1 : 라우팅 기능부 602 : IP 전달 테이블
603 : ATM 스위치 604,605 : 이더넷 접속 기능부
606,607 : 근거리통신망(LAN) 608,609 : ATM 접속 기능부
610,611 : ATM 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우팅 기능부를 구비하며, 이더넷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와, 비동기전달모드(ATM) 접속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기능부를 구비하며,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공지의 시스템에서 연동 지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기능부에 구비되어 있고, 연결되는 복수망 전체의 연결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제1 IP(Internet Protocol) 전달 테이블의 변경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분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IP 전달 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일치시키기 위해 전달하는 제1 전달 테이블 관리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전달테이블 관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의 변경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IP 전달 테이블의 연결 정보를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달 데이터블 관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접속기능부에 구비된 제2 IP 전달 테이블의 연결 정보에 따라, 전달한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기능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착신측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전달 테이블 관리수단간에 이루어지는 변경 정보 갱신 동작은, 부분적으로 변경정보가 발생되었을 때마다 비정기적으로 부분적인 갱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전달테이블관리수단 간에 이루어지는 변경정보 갱신 동작은, 상기 제1 IP 전달 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연결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2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를 전체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IP(Internet Protocol) 전달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우팅 기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더넷 접속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와, 비동기전달모드(ATM) 접속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기능부를 구비하여,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공지의 시스템에서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연동 지원 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기능부의 기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제2 IP 전달테이블을 구비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구비된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를 일치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기능부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할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기능부를 거치지 않고 착신측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과 상기 제2 IP 전달테이블을 일치시키는 동작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에서 연결정보의 변경이 발생될 때마다, 상기 제 2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IP(Internet Protocol) 전달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우팅기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더넷 접속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와, 비동기전달모드(ATM) 접속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기능부를 구비하여,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공지의 시스템에서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연동 지원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기능부의 기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제2 IP 전달테이블을 구비시키는 제 1 기능;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구비된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를 일치시키는 제 2 기능; 상기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기능부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할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기능부를 거치지 않고 착신측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 2 기능에서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과 상기 제2 IP 전달테이블을 일치시키는 동작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에서 연결정보의 변경이 발생될 때마다, 상기 제 2 기능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4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통신망의 이더넷 접속기능부에 IP 전달 테이블을 적재하여 라우팅 기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에서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라 하더라도, 그 각각의 데이터를 라우팅 기능부(601,701)로 전달하였다가 되받는 종래의 복잡한 라우팅 과정을 배제시키기 위해, IP 전달 테이블(61,62,71,72)을 각 이더넷 접속기능부(604,605,704,705)에 적재함으로써, IP 전달 테이블(602,702)의 내용을 참조하기 위해 굳이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기능부(601,701)까지 보낼 필요가 없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IP 전달 테이블(61,62,71,72)을 각 접속기능부(604,605,704,705)에 적재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IP 전달 테이블을 관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IP 전달 테이블(61,62,71,72)을 모든 접속기능부에 적재하면 좋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ATM 접속기능부(608,609,708,709)의 경우 ATM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여 처리하면 ATM 접속기능부(608,609,708,709)는 지나가는 모든 데이터를 변환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기능만 복잡해지고 처리 기능상 큰 이익이 없으므로 ATM 접속기능부(608,609,708,709)에는 IP 전달 테이블(61,62,71,72)을 적재하지 않고 기존의 방식을 이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IP 전달 테이블(61,62,71,72)을 이더넷접속기능부(604,605,704,705)에 적재하여 LAN(606,706)에서 전달받은 이더넷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일한 영역으로 향하는 데이터이면 기존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고, 다른 영역으로 전달해야 할 데이터이면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IP 전달 테이블(61,71)을 참조하여 해당 착신지로 데이터를 직접 전달하면 된다.
즉, 도 6의 경우 착신지가 ATM-LAN 장비내에 있는 이더넷 접속기능부(605)가 되고, 도 7의 경우 착신지가 ATM 접속기능부(709)가 된다. 도 6에서는 데이터가 이더넷 접속기능부(604)에서 이더넷 접속기능부(605)로 전달될 때 라우팅 기능부(601)를 거치지 않고 ATM 스위치를 통해 곧바로 전달한다(63→64→65→66). 즉, 상기 이더넷 접속기능부(604)를 거치게 될 때 상기 이더넷 접속기능부(604)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IP 전달 테이블을 참조한다.
또한, 도 7에서도 데이터가 이더넷 접속기능부(704)에서 ATM 접속기능부(709)로 전달될 때 라우팅 기능부(701)를 거치지 않고, ATM 스위치(703)를 통해 곧바로 전달된다(73→74→75→76).
또한, 상기 이더넷 접속기능부(704)를 거치게 될 때 상기 이더넷 접속기능부(704)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IP 전달 테이블(71)을 참조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ATM-LAN 장비에서 이더넷 접속기능부 및 라우팅 기능부의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더넷 접속 기능부(81)는 이더넷 접속부(811), IP 전달 테이블(812),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 IP/ATM(814) 및 ATM 스위치 접속부(8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더넷 접속부(811)는 LAN으로부터 데이터를 인지하여 데이터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하고, 상위계층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LAN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IP 전달 테이블(812)은 IP 전달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라우팅 기능부(82)에 있는 IP 전달 테이블(823)과 동일한 내용을 갖고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더넷측 및 라우터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13,824)에서 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이더넷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14)는 IP 전달 테이블(812)을 관리하고 다른 영역으로 전달될 때 이더넷 데이터의 착발신 주소의 변환기능을 수행한다.또한, 데이터를 전달할 착신지의 ATM망 주소도 알아내어 착신지와 ATM망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또한, IP/ATM(814)은 IP망과 ATM망이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ATM 스위치 접속부(815)는 ATM 스위치(도 7의 703)와 접속하도록 한다.
한편, 라우팅 기능부(82)는 라우터(821), IP 기능부(822), IP 전달 테이블(823),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24), IP/ATM(825), ATM 스위치 접속부(8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라우터(821), IP 기능부(822) 및 IP 전달 테이블(823)은 기존의 공지의 라우터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24)는 IP 전달 테이블(823)의 내용과 기타 다른 영역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필요한 정보를 이더넷 접속기능부(81)로 전달하여 이더넷 접속 기능부(81)에서 IP 전달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에서 요구한 착신지의 ATM 주소 해석 요구를 해결해준다.
IP/ATM(825)은 이더넷 접속 기능부(81)의 IP/ATM(825)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ATM 스위치 접속부(826)도 ATM 스위치(도 7의 703)와 접속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도 9c 는 상기 도 8의 이더넷 접속기능부(81)의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는 시스템 관리기능부(도 8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초기화 정보를 전달받아(901)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을 초기화시킨다(902). 초기화가 완료되면 라우터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24)와 시스템내의 연결관리 기능부(도 8에 도시되지 않음) ATM 연결 설정을 요구한다(903).
ATM 연결이 설정되면 라우터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24)로 자신의 초기화 정보를 전달한다(904). 그 다음 라우터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24)를 통해 자신과의 연결을 설정하고(905), 다른 영역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전달받은 후(906)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한다(907). 또한, 라우터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24)로부터 IP 전달 테이블 정보를 전달받아(908) IP 전달테이블을 새로이 구성한다(909). 그 이후 다른 현상이 일어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910).
대기상태(910)에서 이더넷 접속부(811)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으면(912) 이더넷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13)는 데이터를 분석하여(913)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914).
판단결과(914) 동일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이면 데이터를 착신측 IP/ATM로 데이터를 전달한 후(918) 대기상태에 들어간다(910). 이때, 착신측 IP/ATM은 상기 도 8의 IP/ATM(814)일 수도 있고, ATM 접속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비의 IP/ATM이 될 수도 있다. 즉, ATM 연결이 종단되는 착신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과정(914)에서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착신측과 연결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915).
확인결과(915) 착신측과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측과 ATM 연결을 설정하는데(916)(이 과정은 도 9c에서 상세히 설명됨) 착신측과 연결이 설정될 때까지 데이터를 라우팅 기능부(82)의 IP/ATM(825)에게 전달하고(917) 대기상태로 들어간다(910).
반면에 상기 확인과정(915)에서 착신측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를 착신측 IP/ATM으로 전달하는데(918), 여기서 착신측 IP/ATM은 상기 도 8의 IP/ATM (814)일 수도 있고, 또는 ATM 접속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비의 IP/ATM이 될 수 있다. 즉, ATM 연결이 종단되는 착신지를 의미한다.
또한, 대기상태(910)에서 다른 영역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정보가 변경되면 라우터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24)로부터 이를 통보받는데(920), 이런 정보를 전달받으면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전달 정보중 변경된 사항을 수정한 후(921) 대기상태로 들어간다(910).
또한, 대기상태(910)에서 라우터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24)로부터 IP 전달테이블(823)이 변경되었거나 IP 전달 테이블(823)의 내용을 일치시키기 위해 주기적으로 전체 IP 테이블의 내용을 전달받아(922) 전달된 내용을 분석하여(923) 전달된 내용이 전체 테이블에 대한 변경인지를 확인한다(924).
확인결과(924), 전체 테이블에 대한 변경이면 IP 전달 테이블(823)을 새로이 구성한 후(927) 대기상태로 들어가고(910), 부분 테이블에 대한 변경이면 IP 전달 테이블(823)에 맞게 정보를 구성하여(925) IP 전달 테이블(823)의 정보를 변경한 후(926) 대기상태에 들어간다(910).
이제 도 9c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측과 ATM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916)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착신측과의 연결 설정을 위해,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4)에서 착신측 ATM 주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929).
확인결과(929), 착신측 ATM 주소가 존재하면 연결관리 기능부로 착신측 IP/ATM과 연결 설정을 요구하여(933) 연결이 설정되었으면 연결 정보를 저장한 후(934) 리턴된다.
그리고, 착신측 ATM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929)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24)로 착신측 ATM 주소 해석을 요구한 후(930), 대기하면서 주기적으로 상기 라우터를 전달 테이블 관리부로부터 착신측 ATM 주소 해석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931).
그리하여, 상기 라우터측 전달테이블 관리부(824)로부터 착신측 ATM 주소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931) 주소해석 정보를 저장하고(932) 착신측IP/ATM과 연결설정을 요구하여(933) 연결이 설정되었으면 연결 정보를 저장한 후(934) 리턴된다.
참고로, 앞에서 언급된 대기상태는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에서 외부의 반응을 기다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10a 내지 도 10c 는 도 8의 라우팅 기능부(82)에서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24)는 시스템 관리기능부(도 8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초기화 정보를 전달받아(1001)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을 초기화시킨다(1002). 이후,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로 IP 전달 테이블(823)을 주기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고(1003) 대기상태로 들어간다(1005).
이후, 대기상태(1005)에서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를 통해 ATM 연결이 설정되어(1006) 초기화 정보를 전달받으면(1007)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와 연결 설정을 요구하게 되는데(1008), 이때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24)의 상태가 변경되었거나 전달 테이블의 내용이 변경되었을 때 한번에 모든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4)로 변경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점대다중점 연결을 설정한다. 여기서, 점대다중점 연결은 발신측은 한 개이고 착신측은 여러 개일 때 사용하는 연결이고, 발신측에서 정보를 보내면 동시에 모든 착신측이 정보를 받는 형태의 연결이다. 따라서,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24)에 점대다중점 연결을 설정하여 정보를 보내면 모든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에서 동시에 정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이런 연결을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과 연결을 설정하고(1008) 초기화 정보를 보낸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에게 다른 영역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1009). 그러면, IP 전달 테이블(812)에서 모든 정보를 전달받아(1010) IP 전달 테이블 정보를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로 전송한 후(1011), 대기상태로 들어간다(1005).
또한, 대기상태(1005)에서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로부터 착신측 ATM 주소 해석에 대한 요구를 받으면(1013) IP/ATM(825)에게 착신측 ATM 주소를 묻는다(1014). 여기서, IP/ATM(825)은 IP 망과 ATM 망을 접목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소를 알고 있다. 그러나, 이더넷측의 IP/ATM(814)은 이더넷 접속 기능부(81)가 속한 영역에 대한 IP와 ATM주소만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영역에 속한 IP에 대한 ATM 주소는 알 수 없다.
반면에, 라우팅 기능부(82)는 라우터가 관리하고 있는 모든 영역에 대한 IP/ATM(825)을 갖고 있기 때문에,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24)에서는 다른 영역에 속한 착신측 ATM 주소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착신측 ATM 주소를 알아내면 착신측의 ATM 주소를 요구한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로 ATM 주소를 전달한 후(1015), 대기상태로 들어간다(1005).
또한, 대기상태(1016→1005)에서 IP 전달 테이블(823)의 내용이 변경되면(1017) 변경된 내용을 통보할 활동중인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1018).
확인결과(1018), 변경된 내용을 전달할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가 존재하지 않으면, 곧바로 대기상태로 들어가고(1021→1005), 변경된 내용을 통보할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가 존재하면 변경된 내용을 메시지 형태로 구성하여(1019) 모든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관리부(813)에게 동시에 구성한 메시지를 전송하고(1020) 대기상태로 들어간다(1021→1005).
또한 대기상태(1016→1005)에서, IP 전달 테이블(823)의 주기적인 통보를 위해 설정된 시간(1003 참조)이 완료될 때까지 IP 전달 테이블의 정보 변경이 발생되지 않으면(1022), 타이머를 리셋하여 주기적 통보 시간을 재설정하고(1023), 변경 내용을 통보할 활동중인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1018)으로 진행한다.
또한, 대기상태(1016→1005)에서 라우터(821) 또는 IP/ATM(825)으로부터 데이터 전달 정보 및 IP 전달 정보의 변경이 인지되면(1024) 변경내용을 통보할 활동중인 이더넷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13)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1018)으로 진행한다.
참고로, 도 10a 내지 도 10c의 대기상태 또한 모두 같은 상태로서, 라우터측 전달 테이블 관리부(824)에서 외부의 반응을 기다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더넷 접속기능부에서 다른 영역으로 향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았을 때 특별히 문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데이터를 무조건 라우터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IP 전달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착신지로 직접 보내도록 함으로써,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처리량을 현저하게 감소켜 라우터의 성능 및 그를 채용하여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라우팅 기능부를 구비하며, 이더넷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와, 비동기전달모드(ATM) 접속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기능부를 구비하며,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공지의 시스템에서 연동 지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기능부에 구비되어 있고, 연결되는 복수망 전체의 연결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제1 IP(Internet Protocol) 전달 테이블의 변경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분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IP 전달 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일치시키기 위해 전달하는 제1 전달 테이블 관리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전달테이블 관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의 변경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IP 전달 테이블의 연결 정보를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달 데이터블 관리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접속기능부에 구비된 제2 IP 전달 테이블의 연결 정보에 따라, 전달한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기능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착신측 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의 성능 향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달 테이블 관리수단간에 이루어지는 변경 정보 갱신 동작은, 부분적으로 변경정보가 발생되었을 때마다 비정기적으로 부분적인 갱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의 성능 향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달테이블 관리수단 간에 이루어지는 변경정보 갱신 동작은, 상기 제1 IP 전달 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연결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2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를 전체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의 성능 향상 장치.
  4. 제1 IP(Internet Protocol) 전달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우팅 기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더넷 접속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와, 비동기전달모드(ATM) 접속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기능부를 구비하여,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공지의 시스템에서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연동 지원 성능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기능부의 기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제2 IP 전달테이블을 구비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구비된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를 일치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기능부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할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기능부를 거치지 않고 착신측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과 상기 제2 IP 전달테이블을 일치시키는 동작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에서 연결정보의 변경이 발생될 때마다, 상기 제 2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복수망간 연동 지원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7. 제1 IP(Internet Protocol) 전달테이블을 포함하는 라우팅 기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더넷 접속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와, 비동기전달모드(ATM) 접속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속기능부를 구비하여, 복수망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공지의 시스템에서 라우팅 기능 분산을 통한 연동 지원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시스템에,
    상기 라우팅 기능부의 기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제2 IP 전달테이블을 구비시키는 제 1 기능;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속기능부에 각각 구비된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를 일치시키는 제 2 기능;
    상기 제2 IP 전달테이블의 연결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기능부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할 이더넷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기능부를 거치지 않고 착신측으로 직접 전달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능에서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과 상기 제2 IP 전달테이블을 일치시키는 동작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IP 전달테이블에서 연결정보의 변경이 발생될 때마다, 상기 제 2 기능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4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83379A 2000-12-27 2000-12-27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379A KR100362206B1 (ko) 2000-12-27 2000-12-27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379A KR100362206B1 (ko) 2000-12-27 2000-12-27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51A KR20020054251A (ko) 2002-07-06
KR100362206B1 true KR100362206B1 (ko) 2002-11-23

Family

ID=2768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379A KR100362206B1 (ko) 2000-12-27 2000-12-27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088A (ko) * 2001-09-17 2003-03-26 한빛전자통신 주식회사 기지국 관리자와 에이티엠 망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088A (ko) * 2001-09-17 2003-03-26 한빛전자통신 주식회사 기지국 관리자와 에이티엠 망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51A (ko) 200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552A (en) Multimedia server
US7260599B2 (en) Supporting the exchange of data by distributed applications
US5946311A (en) Method for allowing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in an environment wherein multiple protocols are utilized
US6178453B1 (en) Virtual circuit switching architecture
US75993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selection of a packet data servicing node
KR100268194B1 (ko) 혼성피어-서버통신구조를위한방법및시스템
JPH04258065A (ja) 層通信アーキテクチャにおける層エンティティの論理グループ化
US6724756B2 (en) Method for introducing switched virtual connection call redundancy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s
US7548550B1 (en) Intelligent peripheral concentrator
KR100362206B1 (ko) 라우팅 기능 분산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망간 연동을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66238B1 (ko)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와 복수개의 서버프로세스간 tcp/ip 소켓 통신처리 방법
KR100333679B1 (ko) 멀티캐스트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제어방법
JP2000316014A (ja) Atmスイッチ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スイッチング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249503B1 (ko) 비동기전송모드 망에서의 멀티캐스트 연결 방법
US68164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loading in an NBBS network the local directory database of network nodes with the location of the more frequently requested resources
CN112822080A (zh) 一种基于soa架构的总线系统
KR20010075867A (ko)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의 영구가상연결 제어 방법
EP0853854B1 (en) Method and means for multiconnection call signalling
CN115460291B (zh) 一种基于中心配置的组间调度方法、中心服务器及系统
JP3597776B2 (ja) 通信網の品質制御管理システム
CN113055477B (zh) 中间件软件实现tcp通信互载均衡方法
KR100275506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레이블 스위칭경로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00039966A (ko)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구조의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에서 고객관리 요구 분산 처리 방법
US20030002647A1 (en) Computer telephony (CT) network serving multiple telephone switches
KR100264349B1 (ko) 랜 애뮬레이션에서의 비.유.에스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