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721B1 -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 Google Patents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721B1
KR100360721B1 KR1020000013072A KR20000013072A KR100360721B1 KR 100360721 B1 KR100360721 B1 KR 100360721B1 KR 1020000013072 A KR1020000013072 A KR 1020000013072A KR 20000013072 A KR20000013072 A KR 20000013072A KR 100360721 B1 KR100360721 B1 KR 10036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gital
stamp
band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403A (ko
Inventor
권오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트리얼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트리얼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트리얼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0001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721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05Materials having antiseptic or antimicrobial properties, e.g. silver compounds, rubber with sterilis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마치 화가가 자신이 그린 그림에 낙관을 찍어 놓는 것과 같이, 디지털화된 영상을 최초 저작자가 제작하였을 때, 저작자가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고유의 디지털 직인(또는 디지털 도장(인장), 디지털 인감, 디지털 사인, 디지털 낙관, 워터마크(watermark) 등으로 불림)을 제작된 영상에 삽입함으로써 영구적으로 타인의 불법 사용 및 변형에 대처하여 제작된 영상의 저작자를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디지털 직인으로는 저작자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영상을 사용하며 삽입 시에는 인간의 눈으로는 제작된 영상에 디지털 직인을 삽입하기 전과 후의 영상의 차이를 느낄 수 없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직인을 대칭성을 지닌 형태로 반복하여 확장하며 이때 확장되는 디지털 직인 영상은 삽입할 영상과 같은 크기로 조절되며 각각의 영상이 대역 분할(Subband Decomposition)되어 합쳐짐으로써 디지털 직인이 제작된 영상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 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A Method of Embedding Hidden Digital Watermarks into Subband Decomposed Images for the Identification of Copyrighter}
본 발명은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 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영상을 최초 저작자가 제작하였을 때,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 또는 소유를 증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디지털 직인을 제작된 영상에 삽입하여 합체함으로써 영구적으로 타인의 불법 사용 및 변형에 대처하여 제작된 영상의 저작자를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 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영상이라 함은 엄밀한 의미에서 정지영상을 의미하며 2차원적 데이터 구조를 갖는 영상을 지칭하고, 3차원적 데이터 구조를 갖는 동영상 즉, 비디오는 제외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최근 인터넷을 위시한 여러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트 사용량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영상의 위변조 행위도 같은 속도로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응하여 영상물 저작자의 저작자를 증명할 수 있는 보다 강화된 컨텐츠(Contents) 보안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디지털 영상 표현기술은 기본적으로 공개된 형식의 규격을 사용하여 표현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모든 사용자가 그 내용을 자유롭게 복제, 부분발췌 및 변조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개된 형식의 규격을 사용하면서 위변조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의 디지털 영상의 위변조 방지 기술은 근본적으로 암호를 풀 수 있는 사용자에게만 그 내용이 공개되도록 되어 있어 대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그 사용자층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영상을 사용할 때마다 매번 암호를 입력 및 해독(복호화)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한번 암호가 해독(복호화)된 후에는 아무런 제약없이 위변조, 재사용 및 재전송이 가능하므로 그 효용성에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반면, 디지털 직인 기술은 화가가 자신의 그림에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방식 또는 더 바람직한 방식으로써,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힘든 낙관을 찍는 것과 같이 항상 컨텐츠의 내용에 영구적으로 저작권자의 표식을 내포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넷과 같이 대중적으로 전송 유통되는 영상물의 불법적인 사용의 방지와 위변조에 대한 저작권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방편으로써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최근 새로운 기술 분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직인 기술이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기능의 요건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격자의 어떠한 시도에 의해서도 지워지지 않는 직인
2. 삽입시 시각적으로 원본의 영상을 훼손시키지 않는 직인
3. 직인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직인을 삽입하려는 시도에 대하여 심각한 원본 훼손이 발생하도록 대응 가능한 직인
4. 일반적인 영상처리(필터링 및 변환, 재샘플링, 재양자화, 재압축, 화질 개선, 색상의 조도 및 밝기 수정 등)에 대해서 면역성이 있는 직인
5. 로테이션(Rotation), 트랜스레이션(Translation), 크라핑(Cropping), 스케일링(Scaling), 주밍(Zooming) 등과 같은 지오메트릭 디스토션(Geometric Distortion)에 대하여 면역성이 있는 직인
6. 같은 직인을 정지영상, 동영상, 심지어 오디오에 동시에 사용 가능한 직인
7. 직인을 영상으로부터 추출시 반드시 1인의 저작권자를 논란의 여지없이 증명 가능한 직인
8. 직인의 삽입 및 추출 속도가 실시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고속 알고리즘화 가능한 직인
지금까지 국내외적으로 디지털 직인 기술은 1990년대 후반기부터 일부 선구적인 연구 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할 정도로 새로운 기술 분야이다. 상기한 성능 중 겨우 1-2개 정도의 성능을 만족시키는 기술들이 미국과 대만, 한국 등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발표되고 있으며, 1996년부터 미국, 대만 및 한국에서 소수의 기술들이 특허 출원중이거나 등록되기 시작하였다.
이상적인 디지털 직인이 보유해야 하는 상기 열거한 성능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기술은 전세계적으로도 아직 발표된 바가 없다. 특히, 인터넷과 같은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알고리즘은 현 수준의 기술보다 상당한 기술적 진척이 진행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며 최소 1-2년 이상의 연구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지금까지 개발된 디지털 직인들이 상기한 이상적인 디지털 직인이 추구하는 8개항의 요건 중에서 일부 기능만을 충족시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거나, 기능별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영상의 종류 등에서 제한된 환경 하에서만 사용 가능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상기 3항을 제외한 대부분의 요건에서 기존의 발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능이 우수한 디지털 직인의 독특한 삽입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직인을 대칭성을 지닌 형태로 반복하여 확장하며 이때 확장되는 디지털 직인 영상은 삽입할 영상과 같은 크기로 조절되며 각각의 영상이 대역 분할(Subband Decomposition)되어 합쳐짐으로써 디지털 직인이 제작된 영상에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공격자의 어떠한 시도에 의해서도 디지털 직인이 지워지지 않으며, 디지털 직인 삽입시 시각적으로 원본의 영상을 훼손시키지 않으며, 디지털 직인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직인을 삽입하려는 시도에 대하여 심각한 원본 훼손이 발생하도록 대응 가능하고, 일반적인 영상처리(필터링 및 변환, 재샘플링, 재양자화, 재압축, 화질 개선, 색상의 조도 및 밝기 수정 등)에 대해서 면역성이 있으며, 로테이션, 트랜스레이션, 크라핑, 스케일링, 주밍 등과 같은 지오메트릭 디스토션에 대하여 면역성이 있고, 같은 직인을 정지영상, 동영상, 심지어 오디오에 동시에 사용 가능하고, 직인을 영상으로부터 추출시 반드시 1인의 저작권자를 논란의 여지없이 증명 가능하고, 직인의 삽입 및 추출 속도가 실시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고속 알고리즘화 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디지털 직인을 대칭성을 지닌 형태로 반복하여 확장하고 삽입할 영상과 같은 크기로 조절되는 단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2개의 대역으로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을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입력 영상이 4 × 4대역으로 분할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2개의 대역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털 직인 2 : 제작 영상
3 : 디지털 직인 영상 4 : 합성 영상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의 전체 구성도이다. 디지털 직인(1)으로는 저작자만이 가지고 있는 칼라 또는 흑백 영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삽입 시에는 인간의 눈으로는 제작된 영상에 디지털 직인(1)을 삽입하기 전과 후의 영상의 차이를 느낄 수 없도록 한다.
디지털 직인(1)을 제작된 영상(2)에 삽입하는 단계는, 1) 디지털 직인(1)을 대칭성을 지닌 형태로 반복하여 확장하고 이때 확장되는 디지털 직인 영상(3)은 삽입할 영상(2)과 같은 크기로 조절되는 단계, 2) 디지털 직인 영상(3)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2)이 대역 분할되는 단계, 3) 대역 분할된 디지털 직인 영상의 화소값들이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의 화소값들과 합해지는 단계, 4) 대역 합성에 의하여 디지털 직인이 삽입된 영상(4)을 최종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로 나누어진다.
상기 각 단계별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디지털 직인을 대칭성을 지닌 형태로 반복하여 확장하고 이때 확장되는 디지털 직인 영상은 삽입할 영상과 같은 크기로 조절되는 단계
디지털 직인을 대칭성을 지닌 형태로 반복하여 확장하는 단계는 오른쪽 방향으로의 확장과, 아래쪽 방향으로의 확장을 반복적으로 이용 또는 그 반대로 이용한다. 오른쪽 방향으로의 확장은 디지털 직인의 맨 오른쪽 변을 대칭축으로 좌우의 영상이 대칭이 되도록 확장하고, 아래쪽 방향으로의 확장은 디지털 직인의 맨 아래쪽 변을 대칭축으로 상하의 영상이 대칭이 되도록 확장하며, 대각선 방향으로의 확장은 오른쪽 방향으로의 확장과 아래쪽 방향으로의 확장을 순서에 관계없이 각각 1회 반복 사용하여 확장한다. 오른쪽 방향으로의 확장과 아래쪽 방향으로의 확장을 각각 1회씩 사용하여 얻게 되는 좌우 상하 각 2배 크기의 영상, 즉 영상의 2차원 평면에서의 크기(면적)가 4배로 확장된 영상은 다시 같은 방식으로 확장되어 더 큰 크기의 확장된 디지털 직인 영상을 얻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확장되는 디지털 직인 영상은 좌우 상하 크기가 각각 직인을 삽입할 영상보다 큰 영상까지 확장되고 삽입할 영상의 크기보다 큰 부분은 잘라냄으로써 같은 크기로 조절된다.
도 2는 좌우 상하의 크기가 서로 다른 디지털 직인 영상을 오른쪽 방향으로 4배, 아래쪽 방향으로 5배 확장한 후 삽입할 영상과 같은 크기로 조절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2.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대역 분할되는 단계
본 발명에서,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을 대역 분할하는 방식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먼저 각각 2개의 대역으로 영상을 분할하고, 각기 분할된 영상을 다시 계속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대역 분할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2의 승수에 해당하는 수평 방향의 대역 분할과 또 다른 어떤 2의 승수에 해당하는 수직 방향의 대역 분할이 가능하다.
도 3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2개의 대역으로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입력 영상을 2차원적으로 2 × 2 대역으로 영상을 분할하고 있으며 2 × 2 대역으로 분할된 각각의 영상에 다시 도 3의 구조를 적용시키면 4 × 4 대역으로 분할된 영상을 얻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2 n × 2 m (n, m은 자연수) 대역 분할이 이루어 진다.
도 4는 이러한 방식으로 입력 영상이 4 × 4 대역으로 분할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H(z1)와 H(z2)는 각각 수평과 수직 방향의 1차원적 신호의 저대역 필터(Lowpass Filter)이고, H(-z1)와 H(-z2)는 각각 수평과 수직 방향의 1차원적 신호의 고대역 필터(Highpass Filter)이며, (2,1)↓과 (1,2)↓는 각각 수평과 수직 방향의 2:1 축소 샘플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1차원적 신호의 저대역 필터, H(z1)와 H(z2)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우선 1차원적 저대역 필터에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한 줄의 영상을(n)으로 표시하고(n)이N개의 화소점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때n0에서(N-1)까지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2)(n)은 아래 식에 의하여 길이가(2N-2) e(n)으로 확장된다.
3) e(n)을 아래 식을 이용한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Transform)을 수행하여 e(k)를 얻는다.
4)k에 대하여 Xe(k)=0으로 대체한다.
5) 아래 식에 의한 이산 푸리에 역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하고0 ≤n ≤N-1범위의 값만 취한다.
본 발명에서 1차원적 신호의 고대역 필터, H(-z1)와 H(-z2)를 구현하는 방법은 상기한 저대역 필터를 구현하는 방법에서 4)항 "k에 대하여 Xe(k)=0으로 대체한다."를 "이거나인 모든k에 대하여 Xe(k)=0으로 대체한다."로 바꿈으로써 구현된다.
3. 대역 분할된 디지털 직인 영상의 화소값들이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의 화소값들과 합해지는 단계
대역 분할된 디지털 직인 영상과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의 화소값들을 합하는 단계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 모델(Human Visual System Model)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구현되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인간의 시각은 영상의 윤곽 지역(Edge Region), 평이한 배경 지역(Homogeneous Region), 복잡한 무늬 지역(Texture Region)에서 각기 다른 민감도를 가지고 반응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3개의 다른 지역에서 서로 다른 배율로서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을 합한다.
직인 영상과 삽입할 영상간의 화소값들을 합하는 과정을 식으로 표시하면, 대역 분할된 디지털 직인 영상의 화소값을w(m,n)으로 표시하고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의 화소값을 (m,n)으로 표시하면 합하는 과정은α (m,n)+(1- )w(m,n)으로 표시되며, 이때는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각기 윤곽 지역, 평이한 배경 지역, 복잡한 무늬 지역에 대하여 다른 값을 갖게 된다(3개 지역에 대하여 서로 같은값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식의 일부로 간주하며 우연히 3개 지역별값이 일치하게 되는 경우로 본다).
영상을 윤곽 지역, 평이한 배경 지역, 복잡한 무늬 지역으로 나누는 과정은 상용화된 여러 기술중 한가지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다만 3개 지역에 대하여 각기 다른값을 사용하도록 조절하는 기술사상은 본 발명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4. 대역 합성에 의하여 디지털 직인이 삽입된 영상을 최종적으로 발생시키는단계
대역 합성에 의하여 디지털 직인이 삽입된 영상을 최종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는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대역 분할되는 단계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대역 분할 과정에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먼저 각각 2개의 대역으로 영상을 분할하고, 각기 분할된 영상을 다시 계속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대역 분할하는 것에 대응하여 대역 합성 과정에서는 각각의 분할 과정이 이루어지는 순서의 역순으로 합성 과정이 이루어진다.
대역 분할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2개의 대역으로 영상을 분할하는, 기본적 구조(도 3의 구조)에 대응하는 합성 과정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H(z1)와 H(z2)는 대역 분할 과정(도 3)에서 사용된 필터와 같이 각각 수평과 수직 방향의 1차원적 신호의 저대역 필터이고, H(-z1)와 H(-z2) 또한 각각 수평과 수직 방향의 1차원적 신호의 고대역 필터이며, (2,1)↑과 (1,2)↑는 각각 수평과 수직 방향의 1:2 확대 샘플링을 의미한다.
5.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의 칼라 형식에 따른 직인의 삽입 방법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의 칼라 형식에 따른 직인의 삽입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디지털 직인 영상이 흑백이고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흑백인 경우: 상기한방법을 그대로 사용한다.
2) 디지털 직인 영상이 흑백이고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칼라인 경우: 직인을 삽입할 영상을 YUV 형식으로 변형하고, Y 요소(Component)에 디지털 직인을 삽입한다.
3) 디지털 직인 영상이 칼라이고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흑백인 경우: 디지털 직인을 YUV 형식으로 변형하고, Y 요소를 직인을 삽입할 영상에 삽입한다.
3) 디지털 직인 영상이 칼라이고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칼라인 경우: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을 각각 RGB 형식으로 변형하고, 각 R, G, B 요소(Component)별로 직인을 삽입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직인을 사용하면 저작자가 제작한 영상물에 대하여 타인이 무단으로 복제 및 변형하여 사용할 때 그 영상물의 원 저작자를 증명할 수 있게 하여 저작자를 증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직인은 삽입시에 원본 영상과 직인이 삽입된 영상의 차이를 인간의 눈으로는 구별할 수 없으며, 타인이 임의로 직인을 제거할 수 없고, 타인이 무단으로 일반적인 영상처리(필터링 및 변환, 재샘플링, 재양자화, 재압축, 화질 개선, 색상의 조도 및 밝기 수정, 등)를 하여도 지워지지 않으며, 타인이 무단으로 로테이션, 트랜스레이션, 크라핑, 스케일링, 주밍 등과 같은 지오메트릭 디스토션을 가하여도 직인이 없어지지 않으며, 이 모든 경우에 반드시 1인의 저작권자를 논란의 여지없이 증명 가능하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디지털 직인을 제작된 영상에 삽입하는 단계에 있어서,
    디지털 직인을 대칭성을 지닌 형태로 반복하여 확장하고 이때 확장되는 디지털 직인 영상은 삽입할 영상과 같은 크기로 조절되는 단계와,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대역 분할되는 단계와,
    대역 분할된 디지털 직인 영상의 화소값들이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의 화소값들과 합해지는 단계와,
    대역 합성에 의하여 디지털 직인이 삽입된 영상을 최종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직인을 대칭성을 지닌 형태로 반복하여 확장하는 단계는 오른쪽 방향으로의 확장과 아래쪽 방향으로의 확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이때 확장되는 디지털 직인 영상은 좌우 상하 크기가 각각 직인을 삽입할 영상보다 큰 영상까지 확장되고 삽입할 영상의 크기보다 큰 부분은 잘라냄으로써 같은 크기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대역 분할되는 단계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먼저 각각 2개의 대역으로 영상을 분할하고 각기 분할된 영상을 다시 계속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대역 분할함으로써 2의 승수에 해당하는 수평 방향의 대역 분할과 또 다른 어떤 2의 승수에 해당하는 수직 방향의 대역 분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대역 분할되는 단게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2개의 대역으로 분할된 영상의 1차원적 신호는 저대역 필터(H(z1))와 고대역 필터(H(z2))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분할된 디지털 직인 영상과 대역 분할된 삽입할 영상의 화소값들을 합하는 단계는 영상의 윤곽 지역, 평이한 배경 지역, 복잡한 무늬 지역에서 각기 다른 민감도를 가지고 반응하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 모델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3개의 다른 지역에서 서로 다른 배율로써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을 합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대역 분할되는 단계의 역순으로 대역 합성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직인이 삽입된 영상을 최종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7.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의 칼라 형식에 따른 직인을 삽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직인 영상이 흑백이고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흑백인 경우에는 제 1 항의 방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디지털 직인 영상이 흑백이고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칼라인 경우 직인을 삽입할 영상을 YUV 형식으로 변형하고 Y 요소에 디지털 직인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디지털 직인 영상이 칼라이고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흑백인 경우 디지털 직인을 YUV 형식으로 변형하고 Y 요소를 직인을 삽입할 영상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디지털 직인 영상이 칼라이고 직인을 삽입할 영상이 칼라인 경우 디지털 직인 영상과 직인을 삽입할 영상을 각각 RGB 형식으로 변형하고 각 R, G, B 요소별로 직인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KR1020000013072A 2000-03-15 2000-03-15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KR10036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072A KR100360721B1 (ko) 2000-03-15 2000-03-15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072A KR100360721B1 (ko) 2000-03-15 2000-03-15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403A KR20010091403A (ko) 2001-10-23
KR100360721B1 true KR100360721B1 (ko) 2002-11-13

Family

ID=1965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072A KR100360721B1 (ko) 2000-03-15 2000-03-15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24B1 (ko) * 2006-05-02 2008-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이미지 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KR100977712B1 (ko) * 2008-07-24 2010-08-24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구조적 멀티패턴 워터마크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워터마크 삽입 장치 및 방법과 워터마크 검출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403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222B1 (ko) 디지털 워터마크의 삽입 및 검출방법과 이를 이용한워터마크 삽입/검출 장치
US5825892A (en) Protecting images with an image watermark
JP3522056B2 (ja) 電子的すかし挿入方法
KR19990071733A (ko) 디지탈식 모조 방지 소프트웨어 방법 및 그 장치.
Delaigle et al. Psychovisual approach to digital picture watermarking
EP1112636A1 (en) Watermarking of digital images using wavelet and discrete cosine transforms
KR20020079188A (ko) 디지털 워터마크의 삽입 및 검출방법과 이를 이용한워터마크 삽입/검출 장치
Chang et al. A block based digital watermarks for copy protection of images
CN110084737A (zh) 一种基于二维自适应傅里叶分解的水印嵌入及提取方法
KR100360721B1 (ko) 대역 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정지영상의 저작자증명을 위한 비가시성 디지털 직인 삽입 방법
US20020178362A1 (en) Method fo embedding hidden digital watermark into subband-decomposed image for identification of copyrighter
Abd et al. Secured Mechanism Towards Integrity of Digital Images Using DWT, DCT, LSB and Watermarking Integrations
JP4630765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Cho et al. Enhancement of robustness of image watermarks embedding into colored image, based on WT and DCT
Shukla et al. A Review on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Applications and Attacks
Kumari et al. Robust image watermarking algorithm DWT-SVD-AES for telemedicine application
Ghobadi et al. Image color watermarking within past seven years
Coltuc et al. Image authentication by exact histogram specification
Manikandan et al. Watermarking techniques
Pei et al. Tamper proofing and attack identification of corrupted image by using semi-fragile multiple-watermarking algorithm
JP2006301334A (ja) 画像情報セキュリティ方法
KR100751389B1 (ko) 디지털 영상의 워터마킹 방법
Somwansh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dified Butterworth Filter for Watermarking
Baria et al. A Suvery on DWT-DCT Based RST Attacks Invariant Watermarking Approach
Koju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lant transform based gray image watermarking against common geometric att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