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464B1 -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464B1
KR100360464B1 KR1020000065657A KR20000065657A KR100360464B1 KR 100360464 B1 KR100360464 B1 KR 100360464B1 KR 1020000065657 A KR1020000065657 A KR 1020000065657A KR 20000065657 A KR20000065657 A KR 20000065657A KR 100360464 B1 KR100360464 B1 KR 10036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ubscriber
circuit
driv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394A (ko
Inventor
이주석
Original Assignee
노바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노바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102000006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4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망에 적합하도록 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는 선로점검장치로부터 측정할 선로정보등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논리 제어회로와; 국측의 선로 및 가입자 측의 선로와 접속되어 인/아웃 모드에서 국측의 선로 및 가입자측의 선로를 선로점검장치와 접속하고, 감시 모드에서 국측 및 가입자측의 링크를 유지하면서 가입자측의 선로를 선로점검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들을 다수 가지는 매트릭스 회로와; 논리 제어회로로부터 구동정보를 입력받아 제 1 스위치들의 구동정보를 매트릭스 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와; 구동부와 매트릭스 회로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정보에 의해 스위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매트릭스 구동회로와; 구동부로부터 구동정보를 입력받아 구동정보에 해당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온 시키기위한 상태 제어회로와; 매트릭스 회로 및 선로점검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인 모드에서 국측의 선로와 선로점검장치를 접속시키고, 아웃 모드 및 감시 모드에서 가입자측의 선로와 선로점검장치를 접속시키는 다수의 제 2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시험선로 전환회로와; 선로점검장치 및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Connection Apparatus for Line Maintenance and Repair}
본 발명은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고속 통신망에적합하도록 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정보의 검색, 전자우편 및 정보의 공유 등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및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은 사용의 편리함과 효율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사용자들은 저렴하면서도 빠른 통신수단을 원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xDSL(Digital Subscriber Line)서비스가 상용화되었다. xDSL은 기존 전화선을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로 HDSL(High bit rate DSL), ADSL(Asymmetric DSL), SDSL(Symmetric DSL), RADSL(Rate Adapter DSL), CDSL(Consumer DSL), ISDL(ISDN DSL), VDSL(Very high bit rate DSL)등으로 나뉘어진다.
도 1은 종래의 xDSL 서비스의 장치 장치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xDSL 서비스 장치는 국측과 가입자측으로 분류되며, 국측과 가입자측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24)을 통해 연결된다. 국측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4),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6), 분배기(10), PSTN 교환기(12), 제 1 MDF(Main Distribution Frame)(8), SLMOS(Subscriber Line Management Operation System)(14)로 구성된다. ATM 교환기(4)는 가입자측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터넷 망(2)으로 전송하거나 인터넷 망(2)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가입자측으로 전송한다. DSLAM(6)은 다수의 라인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합쳐서 ATM 교환기(4)로 전송함과 아울러 ATM 교환기(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다수의 라인으로 분배한다. 분배기(10)는 PSTN 망(24)을 통해 서로 중첩되어 전송되는 음성과 데이터를 분리한다. 이를 위해 분배기(10)는 도 2와 같이 고역 통과 필터(26)와 저역 통과 필터(28)로 구성된다. 고역 통과 필터(26)는 PSTN 망(24)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DSLAM(6)으로 전송하고, 저역 통과 필터(28)는 PSTN 망(24)으로부터 음성을 추출하여 PSTN 교환기(12)로 전송한다. 즉, 종래의 xDSL 서비스 장치는 분배기(10)에 의해 데이터 및 음성을 분리할 수 있어 기존의 PSTN 망(24)을 이용하여 전화통화 및 인터넷 접속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PSTN 교환기(12)는 가입자측으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회선을 가입자측으로 접속시킨다. SLMOS(14)는 가입자측과 PSTN 교환기(12)간의 회선에 대해 유지보수를 지원하는 장치이다. SLMOS(14)는 가입자와 PSTN 교환기(12) 간의 선로에 문제가 생겼을 때 여러 가지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문제의 측정 및 분석을 통하여 적절한 조치를 하게된다. 한편, SLMOS(14)에는 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용량등을 측정하기 위한 ALT(Automatic Line Tester)가 추가로 설치된다. 제 1 MDF(8)는 다수의 PSTN 망(24) 선로를 가입자별로 PSTN 교환기(12)에 일 대 일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입자측은 제 2 MDF(16), ATU-R(xDSL Transmission Unit-Remote)(18), 단말기(22) 및 전화기(20)로 구성된다. 제 2 MDF(16)는 아파트단지와 같이 많은 가입자가 있는 경우 자신을 경유하여 각 가정과 일 대 일로 PSTN 망(24)을 접속시킨다. ATU-R(18)은 선로로부터 데이터 및 음성을 분리한다. ATU-R(18)로부터 분리된 데이터는 단말기(22)로 전송되고, 음성은 전화기(2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서비스 장치는 PSTN 망(24)을 통해 음성만을 전송할때는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용량 등을 측정하여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 1과 같이 PSTN 망(24)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분배기(10)가 추가로 설치되게 되고, 이 분배기의 필터들(26,28)에 의해 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용량의 값이 틀려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xDSL 서비스 장치는 분배기의 추가 설치로 인하여 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용량의 값이 틀려지기 때문에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속 통신망에 적합하도록 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xDSL 서비스의 장치 장치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배기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xDSL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매트릭스 회로의 1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인/아웃 모드 동작시에 매트릭스 회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인/아웃 모드 동작시에 도 4에 도시된 시험선로 전환회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감시 모드 동작시에 매트릭스 회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매트릭스 회로와 시험선로 전환회로 사이에 설치되는 변환기의 접속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0 : 인터넷 망 4,32 : ATM 교환기
6,34 : DSLAM 8,16,44 : MDF
10,36 : 분배기 12,38 : PSTN 교환기
14,40 : SLMOS 18,46 : ATU-R
20,48 : 전화기 22,50 : 단말기
24,52 : PSTN 26 : 고역 통과 필터
28 : 저역 통과 필터 42 :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54 : 통신부 56 : 중앙 처리 장치
58 : 논리 제어 회로 60 : 구동부
62 : 매트릭스 구동회로 64 : 상태 제어 회로
66 : 매트릭스 회로 68 : 시험선로 전환회로
70,72,74,84,86 : 릴레이 82 : 변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는 선로점검장치로부터 측정할 선로정보등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논리 제어회로와; 국측의 선로 및 가입자 측의 선로와 접속되어 인/아웃 모드에서 국측의 선로 및 가입자측의 선로를 선로점검장치와 접속하고, 감시 모드에서 국측 및 가입자측의 링크를 유지하면서 가입자측의 선로를 선로점검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들을 다수 가지는 매트릭스 회로와; 논리 제어회로로부터 구동정보를 입력받아 제 1 스위치들의 구동정보를 매트릭스 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와;구동부와 매트릭스 회로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정보에 의해 스위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매트릭스 구동회로와; 구동부로부터 구동정보를 입력받아 구동정보에 해당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온 시키기위한 상태 제어회로와; 매트릭스 회로 및 선로점검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인 모드에서 국측의 선로와 선로점검장치를 접속시키고, 아웃 모드 및 감시 모드에서 가입자측의 선로와 선로점검장치를 접속시키는 다수의 제 2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시험선로 전환회로와; 선로점검장치 및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xDSL 서비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xDSL 서비스 장치는 국측과 가입자측으로 분류되며, 국측과 가입자측은 PSTN 망(52)을 통해 연결된다. 국측은 ATM 교환기(32), DSLAM(34), 분배기(36), PSTN 교환기(38),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 및 SLMOS (40)로 구성된다. ATM 교환기(32)는 가입자측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인터넷 망(30)으로 전송하거나 인터넷 망(3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가입자측으로 전송한다. DSLAM(34)은 다수의 라인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합쳐서 ATM 교환기(32)로 전송함과 아울러 ATM 교환기(3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다수의 라인으로 분배한다. 분배기(36)는 PSTN 망(52)을 통해 서로 중첩되어 전송되는 음성과 데이터를 분리한다. PSTN 교환기(38)는 가입자측으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회선을 가입자측으로 접속시킨다. SLMOS(40)는 가입자측과 PSTN 교환기(38)간의 회선에 대해 유지보수를 지원하는 장치이다. SLMOS(40)는 가입자와 PSTN 교환기(38) 간의 선로에 문제가 생겼을 때 여러 가지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문제의 측정 및 분석을 통하여 적절한 조치를 하게된다. 한편, SLMOS(40) 내에는 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용량등을 측정하기 위한 ALT가 포함된다.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는 SLMOS(40)에서 선로를 측정할 때 가입자측 및 국측의 선로를 SLMOS(40)와 접속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를 이용하여 분배기(36)를 거치지 않고 가입자 및 국측의 선로를 SLMOS(40)와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용량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는 다수의 PSTN 망(52) 선로를 가입자별로 PSTN 교환기(38)에 일 대 일로 접속하기 위한 MDF의 기능을 포함한다.
가입자측은 MDF(44), ATU-R(46), 단말기(50) 및 전화기(48)로 구성된다. MDF(44)는 아파트단지와 같이 많은 가입자가 있는 경유 자신을 경유하여 각 가정과 일 대 일로 PSTN 망(52)을 접속시킨다. ATU-R(46)은 선로로부터 데이터 및 음성을 분리한다. ATU-R(46)로부터 분리된 데이터는 단말기(50)로 전송되고, 음성은 전화기(48)로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는 SLMOS(54)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54)와,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장치(56)와, 중앙 처리장치(56)의 제어에 의해 측정할 선로를 선택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논리제어회로(58)와, 국측과 가입자측의 선로 중 어느 하나를 SLMOS(40)와 연결하기 위한 시험선로 전환회로(68)와, 논리제어회로(58)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측정할 선로의 어드레스 및 상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부(60)와, 구동부로부터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받아 매트릭스 회로(66)를 구동하기 위한 매트릭스 구동회로(62)와, 매트릭스 구동회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제어회로(64)와, 릴레이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매트릭스 구동회로(62)의 구동에 의해 제어되는 매트릭스 회로(66)로 구성된다. 통신부(54)는 SLMOS(40)로부터 측정할 선로등이 포함된 정보를 입력받아 중앙 처리 장치(56)로 전송한다. 중앙 처리장치(56)는 SLMOS(40)로부터 측정할 선로등이 포함된 정보를 입력받아 논리 제어회로(58) 및 시험선로 전환회로(68)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중앙 처리장치(56)는 통신부(54)를 경유하여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의 상태 정보등을 SLMOS(40)로 전송한다. 통신부(54)는 RS-232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SLMOS(40)와 중앙 처리장치(56)간의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논리 제어회로(58)는 중앙 처리장치(56)로부터 전송된 제어정보로부터 측정할 선로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토대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구동부(60)는 논리 제어회로(58)로부터 선로의 정보를 입력받아 매트릭스 회로(66)에 포함되는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정보를 매트릭스 구동회로(62)로 전송함과 아울러 동작상태의 정보를 상태 제어회로(64)로 전송한다. 상태 제어회로(64)는 현재 매트릭스 회로(66)의 상태정보를 구동부(60)로 전송하고, 매트릭스 회로(66)로부터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동작상태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태 제어회로(64)는 동작 상태정보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매트릭스 구동회로(62)는 매트릭스 회로(66)로부터 구동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구동정보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구동시킨다. 매트릭스 회로(66)는 128 개의 채널과 접속될 수 있도록 512개의 릴레이(즉, 한 채널당 4개의 릴레이)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는 128개의 채널과 접속되어 128개의 채널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는 국측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선로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매트릭스 회로(66)는 여러개의 회로(예를 들면 128개의 릴레이를 포함하는 4개의 회로)를 합쳐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매트릭스 회로의 1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트릭스 회로(66)의 1채널은 국측과 접속되는 제 1 릴레이들(70)과, 가입자측과 접속되는 제 2 릴레이들(7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매트릭스 회로(66)는 인 모드, 아웃 모드 및 감시 모드로 구분되어 구동된다. 인 모드는 DSLAM(34)부터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까지의 선로를 시험하기 위한 모드로써 도 6과 같이 제 1 릴레이들(70)이 제 1 선로와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릴레이들(72)이 제 2 선로와 접속되게 된다. 즉, 국측 및 가입자측의 선로가 제 1 및 제 2 선로와 접속되게 된다. 제 1 선로 및 제 2 선로는 시험선로 전환회로(68)와접속된다. 시험선로 전환회로(68)는 도 7과 같이 제 3 릴레이들(74)로 구성된다. 시험선로 전환회로(68)는 매트릭스 회로(66)가 인 모드 동작을 할 때 중앙 처리장치(56)의 제어에 의해 제 3 릴레이들(74)을 제 1 선로와 접속시킨다. 따라서, 인 모드 동작시에 국측의 선로와 SLMOS(40)가 접속되게 된다. 이후 SLMOS(40)는 국측 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용량등을 체크하여 선로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시험선로 전환회로(68)는 매트릭스 회로(66)가 아웃 모드 동작을 할 때 중앙 처리장치(56)의 제어에 의해 제 3 릴레이들(74)을 도 8과 같이 제 2 선로와 접속시킨다. 따라서, 아웃 모드 동작시에 가입자측의 선로와 SLMOS(40)가 접속되게 된다. 이후 SLMOS(40)는 가입자측 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용량등을 체크하여 선로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즉, 아웃 모드는 선로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로부터 가입자측의 모뎀까지 선로를 시험하기 위한 모드이다. 매트릭스 회로(66)가 인/아웃 모드로 동작시에 국측과 가입자측의 선로는 제 1 및 제 2 선로와 접속되기 때문에 xDSL 링크가 차단된다. 감시 모드는 xDSL 선로에 영향을 주지않고 선로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드로써 도 9와 같이 제 2 릴레이들(72)이 제 2 선로와 접속된다. 시험선로 전환회로(68)는 매트릭스 회로(66)가 감시 모드 동작을 할 때 중앙 처리장치(56)의 제어에 의해 제 3 릴레이들(74)을 도 8과 같이 제 2 선로에 접속시킨다. 이후 SLMOS(40)는 선로의 상태를 감시하게 된다. 한편, 제 1 릴레이들(70)은 가입자측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xDSL 링크는 계속 유지된다. 즉, 감시모드는 xDSL 링크를 유지하면서 선로의 상태를 감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감시 모드에서 xDSL 링크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 2 선로의 특정부분(80)에 변환기(Transducer)가 추가로 설치되게 된다. 매트릭스 회로(66)가 인/아웃 모드로 동작시에 도 10과 같이 제 4 릴레이들(84) 및 제 5 릴레이들(86)이 변환기(82)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시험선로 전환회로(68)와 접속된다. 매트릭스 회로(66)가 감시 모드로 동작시에 제 4 릴레이들(84) 및 제 5 릴레이들(86)은 도 11과 같이 변환기(82)에 접속된다. 따라서, 감시 모드로 동작시에 변환기(82)에 접속되기 때문에 감시 모드가 xDSL 링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는 인 모드, 아웃 모드 및 감시 모드 외에 자체 진단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자체 진단 기능은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의 이상유무를 체크하는 기능으로 중앙처리장치(56)의 제어에 의해 이뤄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고장신고가 접수되었는지를 체크한다.(S100) S100 단계에서 고장신고가 접수되지 않았다면 S100 단계를 반복한다. S100 단계에서 고장신고가 접수되었다면 SLMOS(40)는 고장신고를 접수한다.(S102) S102 단계에서 고장신고를 접수한 SLMOS(40)는 고장신고가 접수된 가입자의 번호로부터 테스트할 채널의 ID(Identification), 보드 번호 등을 추출하게 된다.(S104) S104 단계에서 추출된 정보는 통신부(54)를 통해 다수의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로 전송된다.(S106)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는 채널의 ID 및 보드 번호를 검사하여 자신의 ID인가를 확인한다.(S108) S108 단계에서 채널의 ID 및 보드 번호가 자신의 ID가 아니라면 이에 해당하는 판단 및 조치를 한다.(S122) S108 단계에서 채널의 ID 및 보드 번호가 자신의 ID라면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42)는 보드번호에 해당하는 보드가 삽입되어 있는 지를 체크한다.(S110) S110 단계에서 보드가 삽입되지 않았다면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S122) S110 단계에서 보드가 삽입되었다면 인/아웃 모드 테스트를 수행할지를 체크한다.(S111) S111 단계에서 인/아웃 모드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는다면 감시 모드 테스트를 위하여 해당 릴레이를 온시킨다.(S113) S113 단계에서 릴레이가 온된 후 xDSL 링크를 유지하면서 xDSL 신호를 테스트한다.(S118) 이후 테스트 결과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S120, S122) 한편, S111 단계에서 인/아웃 모드 테스트를 한다면, 먼저 인 모드 테스트를 수행할지를 체크한다.(S112) S112 단계에서 인 모드 테스트를 한다면 인 모드 테스트를 위하여 해당 릴레이를 온시킨다.(S114) S114 단계에서 릴레이가 온된 후 해당 채널을 테스트한다.(S1 18) 이후 테스트 결과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S120,S122) 한편, S112 단계에서 인 모드 테스트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아웃 모드 테스트를 위하여 해당 릴레이를 온 시킨다.(S116) S116 단계에서 릴레이가 온된 후 해당 채널을 테스트한다.(S118) 이후 테스트 결과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필요한 조치를 위한다.(S120,S12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에 의하면 국측 및 가입자측의 선로 사이에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를 설치하여 선로의 전압, 전류, 저항 및 용량의 값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내에 포함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를 조작하여 가입자측의 선로 또는 국측의 선로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나아가, xDSL 서비스 중단없이 선로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

  1. 국측에 설치되어 선로의 이상유무를 측정 및 분석하고, 이에 해당하는 조치를 취하는 선로점검장치에 상기 측정할 선로를 연결해주는 선로의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로점검장치로부터 측정할 선로정보등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논리 제어회로와;
    상기 국측의 선로 및 가입자 측의 선로와 접속되어 인/아웃 모드에서 상기 국측의 선로 및 가입자측의 선로를 상기 선로점검장치와 접속하고, 감시 모드에서 상기 국측 및 가입자측의 링크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입자측의 선로를 상기 선로점검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들을 다수 가지는 매트릭스 회로와;
    상기 논리 제어회로로부터 상기 구동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스위치들의 구동정보를 상기 매트릭스 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매트릭스 회로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정보에 의해 상기 스위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매트릭스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정보를 입력받아 구동정보에 해당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온 시키기위한 상태 제어회로와;
    상기 매트릭스 회로 및 상기 선로점검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 모드에서 상기 국측의 선로와 상기 선로점검장치를 접속시키고, 상기 아웃 모드 및 감시 모드에서 상기 가입자측의 선로와 상기 선로점검장치를 접속시키는 다수의 제 2 스위치들을 구비하는 시험선로 전환회로와;
    상기 선로점검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선로 전환회로와 상기 매트릭스 회로 사이에 추가로 설치되는 변환기와,
    상기 인/아웃 모드 동작시에 절환되어 상기 시험선로 전환회로와 상기 매트릭스 회로의 선로를 직접 연결시키고, 상기 감시 모드 동작시에 상기 매트릭스 회로의 선로가 상기 변환기를 거치도록 절환되는 제 3 스위치들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KR1020000065657A 2000-11-06 2000-11-06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KR10036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57A KR100360464B1 (ko) 2000-11-06 2000-11-06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657A KR100360464B1 (ko) 2000-11-06 2000-11-06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94A KR20020035394A (ko) 2002-05-11
KR100360464B1 true KR100360464B1 (ko) 2002-11-09

Family

ID=1969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657A KR100360464B1 (ko) 2000-11-06 2000-11-06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4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06A (ko) * 1997-06-19 1999-01-15 김영환 비대칭 디지탈 가입자 라인(adsl) 시스템의 이중화 망관리 장치
KR1999005618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비대칭 가입자라인 전송시스템의 시스템 유지 보수장치
KR20000032513A (ko) * 1998-11-16 2000-06-15 김대순 전용선로 실시간 감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전용선로 실시간 감시장치
KR20010094868A (ko) * 2000-04-07 2001-11-03 윤종용 전송장치의 유지보수장치 인터페이스 장치
KR20020032047A (ko) * 2000-10-25 2002-05-03 이계철 가입자망의 회선시험/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06A (ko) * 1997-06-19 1999-01-15 김영환 비대칭 디지탈 가입자 라인(adsl) 시스템의 이중화 망관리 장치
KR1999005618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비대칭 가입자라인 전송시스템의 시스템 유지 보수장치
KR20000032513A (ko) * 1998-11-16 2000-06-15 김대순 전용선로 실시간 감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전용선로 실시간 감시장치
KR20010094868A (ko) * 2000-04-07 2001-11-03 윤종용 전송장치의 유지보수장치 인터페이스 장치
KR20020032047A (ko) * 2000-10-25 2002-05-03 이계철 가입자망의 회선시험/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94A (ko) 200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5849A (en) Loop-back test system using a suppressed ringing connection
US65841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digital subscriber lines
US20070121792A1 (en) Remote test unit
US8020043B2 (en) Field failure data collection
CN101232384B (zh) 一种以太网供电功能交换机的测试方法及装置
WO1989011189A1 (en) D channel monitor
US5559854A (en) Subscriber&#39;s line testing apparatus
US4756017A (en) Telephone test device
US630122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wing transmission systems to effectively respond to automated test procedures
US2009011662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telecommunications wire pair qualification
US7719992B1 (en) System for proactive time domain reflectometry
KR100360464B1 (ko) 선로 유지 보수용 접속장치
US73493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ubscriber loop testing in an optical network
KR100840084B1 (ko) xDSL 액세스 구간의 장애 및 알람 관리 방법
CN101013970B (zh) 一种数字用户线路测试接入装置及方法
US72956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telephone lines
KR100504157B1 (ko) 가입자망의 회선시험/유지보수 장치 및 그 방법
CN100396024C (zh) 一种交换网板的测试装置和测试方法
JP2005094716A (ja) 通信システム
WO2001093548A2 (en) Activation of remote test interface for digital subscriber lines using voice-band signals
CN1307824C (zh) 一种isdn用户板的u口测试方法
FI107856B (fi) Tilaajamultiplekseri, puhelinjärjestelmä, sekä menetelmä tilaajaliitännän kunnon viestittämiseksi puhelinkeskukselle
KR20010113240A (ko) 네트워크 점검 및 자동응답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970002777B1 (ko)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시험 장치
US7177395B2 (en) Electronic looping systems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 central off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