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681B1 - 화상연출 반사프리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 - Google Patents

화상연출 반사프리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681B1
KR100358681B1 KR1020000011360A KR20000011360A KR100358681B1 KR 100358681 B1 KR100358681 B1 KR 100358681B1 KR 1020000011360 A KR1020000011360 A KR 1020000011360A KR 20000011360 A KR20000011360 A KR 20000011360A KR 100358681 B1 KR100358681 B1 KR 10035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rectangular
rectangular body
gap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772A (ko
Inventor
김종학
김일현
김계영
Original Assignee
석성화
김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성화, 김종학 filed Critical 석성화
Publication of KR2000006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형 동화상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장각이 직각 또는 준 직각의 두반사경이 이룬 간극에 칼라채색필름의 삽입과 해제를 반복하여 여러 가지 칼라화면이나 도안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새로운 형태의 동화상 광고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광판의 소자는 장각을 직각 또는 준 직각으로 하는 평면반사경(반사프리즘) 또는 곡면반사경(준반사프리즘)으로써, 그 사이에는 칼라채색필름을 삽입한다. 칼라채색필름의 머리 부분 양측에는 칼라 정보를 담고 있다. 드라이브가 숨겨져 있던 칼라채색필름을 두 개의 반사경 사이로 이동시키면 머리부분 양측의 칼라 화상은 두 개의 반사경의 반사면을 통해 평면 또는 준 평면에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러한 소자의 화상을 하나의 평면에 배열하여 열거하게 되면 한 폭의 완전한 그래픽이 된다. 드라이브가 시간에 따라 규칙적인 왕복운동을 하게되면 이 화면은 특정한 동화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칼라화소 전광판, 칼라화상 전광판, 칼라주사 전광판, 화상연출 반사프리즘장치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반사형 동화상 전광판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연출 반사프리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Image display reflection prism devices and moving signboar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반사형 동화상(moving) 전광판(sign)에 관한 것으로 직각 또는 준 직각의 광학 반사형 구조에 칼라필름(彩片)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칼라화면이나도안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새로운 형태의 동화상 광고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광판에는 광원을 이용한 LED, 백열전구, 형광TUBE, 네온램프등의 전광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반사형으로는 자기반전식 전광판, 12 Color Flap 전광판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전광판은 광원을 이용한 전광판 즉, LED, 백열전구, 형광TUBE, 네온램프등의 전광판은 옥외용 즉 태양광이 있는 곳에서는 전광판으로서의 구실을 할수가 없으며, 특히 콘트라스트가 낮아서 화면이 흐리고 풀칼러(full color)의 재현이 어렵고 제작 코스트도 높으며, 에너지 소모가 크다. 그리고 자기 반전식 전광판 12 Color Flap 전광판은 화소의 단위가 커서 해상도가 낮고 Full Color 표출이 어려우며 반응(Responce)속도가 느리고 구조가 복잡하며 전력소모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대소형 광고, 간판, 홍보용정보판, 대형Full Color 모니터, 문자변색 등의 풀칼라 정보 전광판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사형 동화상 전광판을 제공하여 '정보화사회'의 동화상 광고 또는 정보전달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전광판의 소자는 장각(張角)을 직각 또는 준 직각으로 하는 평면반사경(반사프리즘) 또는 곡면반사경(준반사프리즘)으로써 그 사이에는 칼라채색필름(Flap)을 삽입하고, 상기 칼라채색필름의 전단부 양측에는 칼라 정보를 담고 있다. 드라이브가 숨겨져 있던 칼라채색필름을 두 개의 반사경 사이로 이동시키면 전단부 양측의 칼라 화상정보는 두 개의반사경을 통해 평면 또는 준 평면에 화상을 전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러한 소자의 화상을 하나의 평면에 배열하여 열거하게 되면 한 폭의 완전한 그래픽이 된다. 드라이브가 시간에 따라 규칙적인 왕복운동을 하게되면 이 화면은 특정한 동화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상술한 기본 원리를 이용하면 칼라화소 전광판, 칼라화상 전광판, 칼라주사 전광판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반사형 동화상 전광판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의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의 화소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의 칼라채색필름 기하 형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 칼라채색필름의 설치구조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칼라 경도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칼라화상 전광판 계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칼라화상 전광판 구조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칼라화상 전광판 화조(畵條)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칼라화상 전광판의 반사경(반사프리즘) 준반사경(준반사프리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칼라화상 전광판의 화조와 반사경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칼라화상 전광판의 화조와 반사경의 단면 조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칼라주사 전광판 구조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반사경 2 : 칼라채색필름
3 : 칼라채색필름 전단부 4, 32 : 간극
5, 24 : 마이크로 컴퓨터 6 : 메모리
7 : 문자발생기 8, 25 : 주사발생기(Scanner board)
9, 26 : 전광판 10 : 칼라화소 전광판 본체
11 : 화소 12 : 반사면
13 : 칼라채색필름 14 : 자성체
15 : 장방형관 16 : 구동코일
17 : 제동코일 18 : 클리어제어코일
19 : 다이오드 20 : 칼라채색필름후단부
22 : 클리어제어편 23 : 클리어제어편고리
27 : 주사드라이브 28 : 화조
29 : 반사경(반사조) 33 : 반사면
34 : 고정문자 35 : 밴드전광판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각(張角)을 직각 또는 준 직각으로 하는 두 개의 평면 또는 곡면 반사경(1) 사이의 간극(4)으로 얇은 칼라채색필름을 삽입시킨다.
상기 칼라채색필름(2)의 전단부(3)에는 양측에 칼라 정보를 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광판 구조 계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편집된 그래픽이나 문자를 마이크로 컴퓨터(5)를 이용하여 메모리(6)와 문자 발생기(7)에서 읽어들여 다시 X-Y 주사발생기(8)를 거쳐 전광판(9)을 구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칼라화소 전광판 본체(10)는 칼라 화소(11)의 평면 나열로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색채를 가진 칼라필름(13)을 두 개의 반사면(12) 사이에 놓는다. 이 칼라필름의 길이는 등차급수에 따라 차례로 변하며 이 칼라필름은 도 6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다. 모든 칼라채색필름의 전단부에는 레드, 그린, 블루, 화이트, 블랙 다섯 가지 색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양측 두 개의 화이트 칼라채색필름의 채색면적은 각각 1/4, 3/4로 색상농도를 조절할 때 쓴다.
모든 칼라채색필름(13)의 후단부 자성체(14)가 붙어있어서 자기코일로 칼라채색필름을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칼라채색필름을 도 5의 장방형 관(15) 안에 집어넣었을 때 길이 순서에 따라 차례로 겹쳐 직사각체(長方體)를 이루어야 하며 칼라채색필름의 자성체(14)는 반드시 한쪽을 향해야 한다.
도 7에서 보여주듯이 도 7의 (13)은 칼라채색필름, (14)는 자성체, (22)는 클리어 제어편, (23)은 클리어 제어편(22) 위에 붙어있는 고리이다. 모든 고리(23)은 상응하는 자성체(14)의 앞부분에 위치한다. 칼라채색필름(13)과 클리어 제어편(22)는 마주보게 놓여져야 한다.
도 5의 장방형 관(15)에는 구동코일(16)과 제동코일(17)을 번갈아 가며 감고 꼬리 부분에는 클리어 제어코일(18)을 감는다. 칼라채색필름(13)의 자성체(14)를 구동코일(16)과 제동코일(17) 사이에 두어 일단 구동코일에 전기가 통하면 칼라채색필름의 자성체(14)가 전진운동 한다. 여기서 어떤 하나의 칼라채색필름 구동코일(16)과 나머지의 모든 칼라채색필름의 대응되는 제동코일은 직렬연결 되어있다. 어떤 한 개의 칼라채색필름 구동코일에 전기가 통하면 나머지 다른 칼라채색필름상의 대응하는 제동코일도 전기가 통하게 된다. 따라서 이 칼라채색필름(13)이 앞으로 이동할 때 나머지 구동신호의 칼라채색필름은 마찰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원래 있던 위치에 있게 된다. 제동코일(17)의 권선수는 구동코일(16)의 권선수 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구동코일(16)에 전기가 통하기만 하면 이 칼라채색필름의 제동코일(17)은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도 여전히 전진운동을 하게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화소에서 몇 개의 칼라채색필름이 동시에 전진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클리어 제어코일(18)에 전기가 통하게 되면 클리어 제어편(22)은 뒤로 이동하게 되고 이 때 도 7의 제어편 고리(23)가 나머지 모든 앞으로 이동된 자성체(14)를 제자리로 끌어당기게 되어 클리어 제어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모든 칼라채색필름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모든 구동코일(16)에는 반드시 하나의 다이오드(19)를 직렬연결하고 모든 화소는 직사각형으로 만들어지며 후단부(20)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 보여주듯이 칼라채색필름은 45가지 단계별 칼라를 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만약 도 6의 1/4을 1/2로 또 3/4를 1/2로 바꾸게 되면 29가지 칼라를 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칼라화상 전광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도 9의 마이크로 컴퓨터(24)에는 주사프로그램이 짜여져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주사발생기(25)를 거쳐 전광판(26)의 주사 드라이브(27)를 작동하게 된다.
도 11의 화조(28)의 구역(30)은 직사각형으로 자른 그림조각이며 (31)은 투명필름 또는 다른 그림의 직사각형 그림조각이다. 그들의 뒷면에는 당해 그림이 삽입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반사경(29)의 구조 배열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반사경 사이에 간극(32)을 두고 반사면(33)이 세로 방향에서 매개분절에 따라 서로 마주 보기 되돌기를 번갈아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13, 14에서는 화조(28)와 반사경(29)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화조(28)에 있는 하나의 그림조각(30)이 A-A 반사면 사이에 놓일 때 이 그림조각의 모습은 A-A 반사면(33)을 통해 반사되어 표출된다. 그림조각(30)이 세로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림조각(30)이 B-B 간극(32)로 옮겨갔을 때, 이 그림조각의 그림은 반사경(29)의 수직면에 가로막혀 표출되지 못하고 메모리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B-B 평면공간은 이웃한 양측의 화조의 그림을 표시하게 된다.
도 12의 장치의 구조의 용도는 이를 반사조가 형성되어 있는 이면을 전면부로 하여 칼라화상연출용 광고매체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정크기의 투명 박판으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하여 평면 또는 완곡한 곡면을 형성하며 경사지게 절개하여 반사경처리를 한 단부를 갖는 투명재질의 제1 장방형체와,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장방형체와 길이 방향으로 근접 배치를 했을 때, 상기 제1 장방형체의 전단부와 대칭이 되는 형상의 반사경처리된 평면 또는 곡면 처리된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단부를 갖는 상기 제1 장방형체와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반사경 처리부분이 내측으로 대향되도록 근접하여 형성되는 투명재질의 제2 장방형체로 구성되는 제1 반사조와,
상기 제1 장방형체 및 제2 장방형체와 동일한 재질,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경 처리부분이 간극을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대향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장방형체 및 제2 장방형체에 밀접하여 상기 간극이 상기 제1 반사조의 간극과 연결되는 하나의 장홈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반사조와,
상기 제1 반사조와 제2 반사조가 상기 간극의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제1 반사조군과, 상기 제1 반사조군에 연결된 간극과 평행하게 간극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1 반사조군과 동일 구조의 제2 반사조군과, 상기 제1 반사조군과 제2 반사조군을 동일한 간극으로 평행하게 연속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연출 반사프리즘 장치이다.
상기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간극에 칼라화상을 일정폭으로 절개하여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면 상기 전면부에서는 절개하기 전의 칼라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5는 고정문자 화소 칼라 주사 전광판의 설명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칼라주사 전광판의 고정문자(34)와 그 뒷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길고 가는 전광밴드(35)가 나열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 칼라화상 전광판, 칼라주사 전광판 및 화상연출 반사프리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 다.
<칼라화소 전광판>
칼라화소 전광판은 칼라 화소를 평면 위에 나열시킨 전광판이다. 컴퓨터를 작동하여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칼라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편집된 칼라화면과 문자를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읽어들이고 다시 주사발생기를 이용하여 전광판을 작동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칼라화소 전광판은 화소의 평면나열로 구성된다. 화소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색채를 가진 필름을 두 개의 반사경 사이에 놓는다. 이 칼라필름의 길이는 등차급수에 따라 차례로 변하며 모든 칼라필름의 꼬리 부분 한 측에는 자극성 물질을 붙여서 전자코일로 필름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필름이 장방형관 안에 들어가면 길이의 순서에 따라 차례로 겹쳐져서 장방형체를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필름의 자성체는 반드시 한쪽을 향해야 하고 칼라필름을 설치해 넣는 동시에 제어편도 장방형관 안에 설치해야 한다. 칼라필름과 투명필름을 설치한 장방형관 안에 구동코일과 제동코일을 번갈아 가며 감고 꼬리 부분에는 클리어 제어코일을 감는다. 칼라채색필름의 자성체를 구동코일과 제동코일 사이에 두어 일단 구동코일에 전기가 통하면 칼라필름의 자성체가 전진운동 한다. 여기서 하나의 칼라필름 구동코일과 나머지의 모든 칼라채색필름의 대응되는 클리어 제어코일은 직렬연결 되어 있다. 어떤 한 개의 칼라채색필름 구동코일에 전기가 통하면 나머지 다른 칼라채색필름상의 대응하는 제동코일도 전기가 통하게 된다. 따라서 이 칼라필름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도 나머지 구동신호의 칼라채색필름은 마찰에 의해 딸려 움직이지 않고 있던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클리어 제동코일의 권선수는 구동코일의 권선수 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구동코일에 전기가 통하기만 하면 이 칼라채색필름의 클리어 제동코일은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도 여전히 전진운동을 하게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화소에서 몇 개의 칼라채색필름이 동시에 전진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클리어 제어코일에 전기가 통하게 되면 클리어 제어편은 뒤로 가게되고 이 때 클리어 제어편 고리가 나머지 모든 앞으로 이동된 자성체를 제자리로 끌어당기게 되어 클리어 제어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모든 칼라채색필름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모든 구동코일에는 반드시 하나의 다이오드를 연결해야 한다.
화소의 칼라연출은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3색기본칼라법이고 다른 한 가지는 다색법이다. 3색기본칼라법은 세 가지 기본 색 외에 화이트과 블랙을 더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가색법으로서 RGB 모형 즉, 레드(R) 그린(G) 블루(B)가 더하여 만드는 모형이고 또 하나는 감색법으로서 CMY 모형 즉, 엘로우(Y) 마젠타(M) 시안(L)이 합성되는 모형이다. 상술한 두 가지 방식 중에 아무거나 하나를 고르면 된다. 양측의 화이트 칼라채색필름의 면적은 1/4 와 3/4 형식이며 채색농도를 조절할 때 쓴다. 이때 45가지 단계별 칼라를 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2+1/2 면적의 칼라채색필름을 사용할 경우는 29가지 칼라를 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칼라채색필름의 색과 수량은 용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문자 전광판으로 만 쓸 때는 칼라채색필름의 수는 하나 또는 두개면 된다. 두 개의 칼라채색필름을 이용하여 세 가지 색상의 문자를 나타낼 수 있다.
다색법은 필요한 색상의 칼라채색필름을 직접 설치하여 쓰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빨, 주, 노, 초, 파, 남, 보 일곱 가지 색이나 또는 여기에 중간색을 더하여 12색을 만들 수도 있다. 필요하면 다른 색을 추가하거나 색상농도를 조절하여 쓸 수 있다. 화면공간의 분해율을 높이고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 화소는 적으면 적을수록 좋다. 그러나 기술적인 편리와 원가를 고려할 때 화소의 기하 치수는 3 ×3 에서 10 ×10 mm를 선택하는 것이 적당하다.
<칼라화상 전광판>
칼라화상 전광판은 나타내고자 하는 몇 폭의 그림을 화조로 분해하여 이 화조를 반사조(反射條)가 설치된 전광판 안에 저장했다가 순서에 따라 주사방식으로 전광판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주사프로그램이 짜여져 있다. 이 프로그램은 주사발생기를 거쳐 전광판의 주사 드라이브를 작동하게된다.
칼라화상 전광판의 핵심구조는 화조, 반사조 그리고 화조의 동화상 전자견인기 즉, 드라이브로 구성된다. 화조는 전광판에 표출 시키기위한 시각적 정보 그림이나 사진 혹은 문자메시지가 담겨 있는 칼라 출력물을 일정한 크기의 작은 조각으로 자른 후 이 작은 조각을 일정한 분절에 맞추어 재단하여 만든 가늘고 긴 선으로 구성된 시각적 정보의 일부분이다. 화조의 다른 한 쪽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이웃하는 그림의 작은 조각과 붙어있어서 반사되어 나오는 화면이 연속된 원래의 화상을 형성하게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것은 보여지는 화면이 반사되어 비추어진 모습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밑그림을 제작할 때는 반드시 비추어진 모습의 밑그림도 준비해야만 한다. 이것은 두개의 화면이 동화상으로 보여지는 전광판에 쓰기에 좋다. 이런 이중화면 전광판의 화조는 최근의 기술을 이용하면 소형조각으로 자르지 않고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반사경은 화조 분절의 길이에 따라 차례대로 마주보기 뒤돌기를 번갈아 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이웃한 화조의 세로 공간의 상(Phase)은 하나의 분절 차이를 보여야 원래의 화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전광판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서 반사면에 반사경(반사프리즘) 또는 준반사경(준반사프리즘)을 사용한다.
<칼라주사 전광판>
칼라주사 전광판은 고정된 문자의 배경에 네온사인처럼 일정한 간격으로 길고 가는 전광조를 배열하여 전광선의 색상을 일정한 주사규칙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으로 전광판의 문자가 두드러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칼라주사 전광판은 칼라화상 전광판의 변형으로 구조와 원리는 모두 같다. 칼라주사 전광판은 형체를 길고 가는 전광조 형태로 만들어 화상를 두 가지 색으로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칼라화소 전광판과 기타 다른 유형의 전광판을 비교해 보면,
a. LED 전광판과 비교하여 이 전광판은 반사형에 속하며 직사광선 하에서도 선명한 화질을 표출하며 주변 환경이 밝으면 밝을수록 좋고, 에너지 소모량이 적다. 이 제품은 화소를 주사할 시에만 수 십 와트를 소모하며 표출 시에는 전력을쓰지 않는다. 또한, 풀칼라 전광판임에도 원가가 매우 저렴하다.(약1/2이하) 또한, 화소가 매우 적어서 화면의 고해상도 고화질을 재연할 수 있다.
b. 12 Color frap 전광판과 비교하여 화소의 크기가 국제규격상품의 1/80으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색채가 다양하고 색상농도 조절이 가능하여 색상연출이 뛰어나다. 또한, 기존의 제품은 색상의 농도조절이 불가능하며, 휘도시야가 크다. 기존제품은 ±85˚, 본 제품은±100˚으로 나타난다. 또한, 반응속도가 빠르다. 기존 제품은 0.1-1 초, 본 제품은 1000분의 수초로 반응한다. 또한, 에너지 소모량이 적다. 기존 제품의 평소 전력소모량은 150와트 드라이브 구동 시에는 63킬로와트, 본 제품의 평소 소모량은 겨우 수 와트 전환 시엔 수십 와트이다. 또한, 원가가 저렴하다. 기존 제품은 전환할 때 마이크로 모터로 구동하며 구조가 복잡하다. 그러나 본 제품은 전자견인기를 사용하여 3mm의 직선운동만을 한다.
이것은 반사경(반사프리즘) 또는 준반사경(준반사프리즘)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본제품은 12 Color frap 전광판의 1/2이하의 코스트로 제작될 수 있다.
c. 칼라화상 전광판과 다른 유형의 반적식 전광판을 비교해 보면, 하나의 전광판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광고를 표시할 수 있어서 광고공간을 줄이고 광고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자견인기를 이용한 구동시차와 다양한 형태의 주사방식으로 화면의 생동감을 높힐 수 있다. 또한, 이동거리가 짧고 이동체가 작고 가벼워서 전환속도가 빠르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초박형, 초경량형으로 만들 수 있고 원가가 저렴하다.
d. 칼라주사 전광판과 네온사인을 비교하면, 직사광선 하에서도 칼라주사를할 수 있다. 또한, 칼라선택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칼라표출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장방형조로 되어있어 화면이 다채롭고 장식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에너지 소모량이 적다.

Claims (6)

  1.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하여 평면 또는 완곡한 곡면을 형성하며 경사지게 절개하여 반사경처리를 한 단부를 갖는 제1 장방형체와,
    상기 제1 장방형체와 길이 방향으로 근접 배치를 했을 때, 상기 제1 장방형체의 전단부와 대칭이 되는 형상의 반사경처리된 평면 또는 곡면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단부를 갖는 제2 장방형체와,
    상기 제1 장방형체 및 제2 장방형체를 근접배치하여 형성되는 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장방형체의 길이 방향으로 간극에 삽입되는 전단부에 칼라정보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칼라채색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칼라채색필름의 칼라부분을 상기 제1 및 제2 장방형체의 반사경처리된 단부 사이로 돌출시키거나 퇴출시킴으로써 상기 반사경에 칼라정보 부분이 반사되어 전방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화상연출 반사프리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장방형체 및 칼라채색필름과 동일한 구조의 반사프리즘장치를 다수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연출 반사프리즘장치.
  3.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하여 평면 또는 완곡한 곡면을 형성하며 경사지게 절개하여 반사경처리를 한 단부를 갖는 제1 장방형체와,
    상기 제1 장방형체와 길이 방향으로 근접 배치를 했을 때 상기 제1 장방형체의 전단부와 대칭이 되는 형상의 반사경처리된 평면 또는 곡면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단부를 갖는 제2 장방형체와,
    상기 제1 장방형체 및 제2 장방형체를 근접배치하여 형성되는 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장방형체를 수용하는 장방형관과,
    상기 제1 및 제2 장방형체의 간극에 등차급수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의 복수의 칼라채색필름이 삽입되고, 상기 각각의 칼라채색필름의 후단부에는 일측을 향하여 자성체가 부착되며, 상기 장방형관의 내측 상기 자성체와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동코일, 제동코일이 교대로 권선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클리어제어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장방형관의 내측 칼라채색필름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클리어제어편이 설치되고, 상기 클리어제어편에는 상기 각각 대응되는 자성체의 앞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코일에 전기를 인가하면 상기 자성체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대향된 칼라채색필름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연출 반사프리즘을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방형체 및 제2 장방형체의 반사경처리된 단부가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내측으로 대향되는 한쌍의 장방형체(반사조)와 외측으로 대향되는 한쌍의 장방형체(반사조)가 번갈아 결합되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연출 반사프리즘을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대로 마주보기와 등돌리기를 하는 장방형체(반사조)의 배열은 하나의 반사평면 전광판으로 분절과 반사분절이 서로 일치하는 화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연출 반사프리즘을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
  6. 일정크기의 투명 박판으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하여 평면 또는 완곡한 곡면을 형성하며 경사지게 절개하여 반사경처리를 한 단부를 갖는 투명재질의 제1 장방형체와,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장방형체와 길이 방향으로 근접 배치를 했을 때, 상기 제1 장방형체의 전단부와 대칭이 되는 형상의 반사경처리된 평면 또는 곡면 처리된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단부를 갖는 상기 제1 장방형체와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반사경 처리부분이 내측으로 대향되도록 근접하여 형성되는 투명재질의 제2 장방형체로 구성되는 제1 반사조와,
    상기 제1 장방형체 및 제2 장방형체와 동일한 재질,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경 처리부분이 간극을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대향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장방형체 및 제2 장방형체에 밀접하여 상기 간극이 상기 제1 반사조의 간극과 연결되는 하나의 장홈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반사조와,
    상기 제1 반사조와 제2 반사조가 상기 간극의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제1 반사조군과, 상기 제1 반사조군의 연결된 간극과 평행하게 간극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1 반사조군과 동일 구조의 제2 반사조군과, 상기 제1 반사조군과 제2 반사조군을 동일한 간극으로 평행하게 연속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연출 반사프리즘 장치.
KR1020000011360A 1999-03-30 2000-03-07 화상연출 반사프리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 KR100358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99112801A CN1269569A (zh) 1999-03-30 1999-03-30 反射型动态显展板
CN99112801.X 199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772A KR20000062772A (ko) 2000-10-25
KR100358681B1 true KR100358681B1 (ko) 2002-10-31

Family

ID=527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360A KR100358681B1 (ko) 1999-03-30 2000-03-07 화상연출 반사프리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315064A (ko)
KR (1) KR100358681B1 (ko)
CN (1) CN12695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9684B (zh) * 2013-02-07 2015-01-28 东南大学 可双向扭转的交错梳齿静电驱动可变光衰减器及制备方法
CN103912186B (zh) * 2014-03-19 2015-11-18 广州中国科学院先进技术研究所 一种隐形窗框
CN105318282A (zh) * 2014-06-06 2016-02-10 林威廉 一种反光式显示部件、显示模块、显示屏及显示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7405A (ja) * 1997-01-17 1998-08-07 Mitsubishi Motors Corp 面発光装置
WO1998035334A1 (en) * 1997-02-06 1998-08-13 Blum Dieter W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ign
WO1999014729A1 (en) * 1997-09-17 1999-03-25 Juhani Mattila A display element fo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0230074B1 (ko) * 1997-01-15 1999-11-15 장지호 다색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074B1 (ko) * 1997-01-15 1999-11-15 장지호 다색 표시 장치
JPH10207405A (ja) * 1997-01-17 1998-08-07 Mitsubishi Motors Corp 面発光装置
WO1998035334A1 (en) * 1997-02-06 1998-08-13 Blum Dieter W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ign
WO1999014729A1 (en) * 1997-09-17 1999-03-25 Juhani Mattila A display element fo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9569A (zh) 2000-10-11
JP2000315064A (ja) 2000-11-14
KR20000062772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7719B2 (en) Billboard or other large displays having artwork illuminated with an LED backlight array
KR980007798A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487904B1 (ko) 전자석을 이용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조립모듈
US20080074368A1 (en) Architectures for enhancing reflective, bi-stable magneto-optical displays
EP01209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VING ILLUMINATED SIGNS AND DISPLAYS.
US5075993A (en) Color display apparatus
US9025105B2 (e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KR100358681B1 (ko) 화상연출 반사프리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화상 전광판
US7719549B2 (en) Color changing image with backlighting
KR100223516B1 (ko) 광고용 간판의 연출방법 및 그 장치
CN2384294Y (zh) 反射型动态显展板
KR200213967Y1 (ko) 레이저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273069Y1 (ko) 배경화면에 다양한 색상이 연출되도록 한 광고판
KR100191435B1 (ko) 간단한 움직임이 구현된 선전탑
KR100230074B1 (ko) 다색 표시 장치
KR20050085840A (ko) 2차원 발광 유닛들을 갖는 이미지 프로젝터
WO2001073729A1 (en) Reflection prism device for displaying image and moving picture signboard using the same
JP2727029B2 (ja) 表示画面にシェーディングされたカラー画像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
JP2005003734A (ja) 発光表示装置
KR950002500B1 (ko) 회전식 표시장치
KR200385973Y1 (ko) 렌즈 시트를 이용한 다중 또는 입체 화상 표출 장치
RU33454U1 (ru) Рекламная установка
KR20010027808A (ko) 광고용간판의 연출방법 및 장치
KR930009528B1 (ko) 주야겸용 간판 시스템
EP0199516A2 (en) Display arrang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