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292B1 -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정합모듈 - Google Patents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정합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292B1
KR100358292B1 KR1019990057142A KR19990057142A KR100358292B1 KR 100358292 B1 KR100358292 B1 KR 100358292B1 KR 1019990057142 A KR1019990057142 A KR 1019990057142A KR 19990057142 A KR19990057142 A KR 19990057142A KR 100358292 B1 KR100358292 B1 KR 10035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digital subscriber
speed digital
clock
hig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828A (ko
Inventor
안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to KR101999005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2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DSL) 정합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사용하는 기준 클럭을 계수하는 기준클럭 카운터, 서로 다른 전송률을 가지는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받아 입력신호를 각각 계수하는 입력신호 카운터, 기준클럭 카운터가 일정 값에 다다르면 입력신호 카운터들 중 현재 계수 값이 있는 입력신호 카운터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클럭선택신호를 생성하는 클럭선택수단, 및 클럭선택신호가 지시하는 클럭을 입력신호 수신용 클럭으로 공급하는 클럭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필요한 소자의 수와 모듈의 크기를줄일 수 있고, 기능의 고급화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Very high-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Network Interface Module having functions of detecting input signals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전송률을 가지는 입력신호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및 통신 네트워크 기술이 고속화, 멀티미디어화, 개인화 방향으로 급속히 진전되면서 전통적인 음성위주의 서비스가 광대역을 요구하는 영상 및 고속 인터넷 서비스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망의 광대역화가 요구되는데, 종래에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가입자망이 연구되었으나 투자비용이 막대하게 요구되기 때문에 기존의 동선을 이용한 디지털 가입자 전송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도 1은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기술을 이용한 망의 구성도로서,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DSL:Very high-speed Digital Subscriber Line)은 전송 거리가 짧은 구간에서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망(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보다 더욱 고속의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복조 기술로서, ADSL에 비해선로 외부에서 유기되는 간섭이나 잡음조건이 양호한 상태를 전제로 하여 기존 전화선로의 주파수 대역폭을 확장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DSL)은 비동기 전송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에 기반을 둔 통신을 수행하는데, 교환기(100)와 연결되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210) 및 아파트 단지와 같은 수요밀집 지역의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220)는 서로 광에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요밀집 지역의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220)와 가입자측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VDSL Network Interface Module)은 기존의 2 와이어 구리선을 그대로 사용하여 연결된다. 이 때,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은 모뎀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써, 가입자의 개인용 컴퓨터등 단말(400)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과 접속시켜 준다.
한편,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은 경우에 따라 광 케이블과 구리선에 모두 접속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그 한 예로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를 시험하는 경우이다.
도 2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구성의 한 예로서,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210)와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 (300)이 구리선을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DSL) 신호를 주고 받도록 접속하고, 또한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210)가 올바로 동작하는지를 시험하기 위하여 비동기 전송모드 분석기(230:ATM Analyzer)와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동, 서 방향 모두에서 신호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두개의 라인이 형성되며,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은 광 케이블(231)을 통한 광신호와 4 와이어 구리선(232)을 통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과 비동기 전송모드 분석기(230) 사이의 신호는 비동기 전송모드에 기반을 둔 디지털 신호이다.
한편, 종래에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이 이 두가지의 신호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케이블에 연결되는 모듈(300-1)과 구리선에 연결되는 모듈(300-2)을 별개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 때, 각 모듈의 입력신호의 전송률은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며, 한 예로 광신호의 경우 155Mbps의 전송률, 구리선을 통한 신호의 경우에는 25Mbps의 전송률을 가지는 신호를 이용하여 시험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이 상당부분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따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서, 비용이 증가하고 모듈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설사 2가지 종류의 보드를 합쳐서 하나의 보드로 제작하더라도 신호 전송률에 따라서 하드웨어적으로 세팅을 따로 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신호의 종류에 관계없이 이를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수신할 수 있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은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사용하는 기준 클럭을 계수하는 기준클럭 카운터; 서로 다른 전송률을 가지는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입력신호를 각각 계수하는 입력신호 카운터; 상기 기준클럭 카운터가 일정 값에 다다르면, 상기 입력신호 카운터들 중 계수 값이 있는 입력신호 카운터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클럭선택신호를 생성하는 클럭선택수단; 및 상기 클럭선택신호가 지시하는 클럭을 입력신호 수신용 클럭으로 공급하는 클럭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입력신호의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은 상기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카운터가 사용 가능한 정도로 증폭하여 상기 카운터에 공급하는 증폭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면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기술을 이용한 망의 구성도,
도 2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의 블록도,
도 5는 증폭수단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
도 6은 입력신호 판단수단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220: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전송장치
300: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
310: 광모듈 320: 라인 정합 유니트
330: 입력신호 자동검출 수단 331: 증폭수단
332: 입력신호 판단수단 333: 클럭공급수단
610: 기준클럭 카운터 620: 제1 입력신호 카운터
630: 제2입력신호 카운터 640: 클럭선택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의 블록도이다.
광 케이블(231)을 통해 수신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신호는 광신호와 전기적 신호를 상호 변환시켜주는 광모듈(310)을 거쳐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변환된 후 라인 정합 유니트(320:Line Interface Unit)로 전해진다. 또한, 구리선(232)을 통해 비동기 전송모드 신호의 형태로 수신되는 신호는 트랜스포머를 거쳐 라인 정합 유니트(320)로 전해진다.
이 때, 광모듈(310)은 서로 위상이 반대인 두 신호로 구분되어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크기는 0.5 볼트 정도로 아주 작다.
이와 같은 수신신호(RX-1,RX-2)는 입력신호 자동검출 수단(330)에 입력되고, 입력신호 자동검출 수단(330)은 현재 입력되는 신호가 어떠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클럭을 라인 정합 유니트(320)로 보내 줌으로써, 현재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입력되는 신호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신한다.
한편, 수신신호(RX-1,RX-2)가 입력신호 자동선택 수단(330)에서 사용하기에 너무 작은 레벨의 신호이면 이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한다.
도 5는 증폭수단(331)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로서, 수신신호(RX-1, RX-2)를 카운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레벨로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에서는 오피 앰프(510:OP AMP)를 사용하여 구현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전기적 신호 형태의 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오피 앰프는 저항 R1(511)과 피이드백 저항 R2(512)에 의하여 증폭되는데 증폭율은 R1/R2이다. 그러므로 임의의 저항 조합으로 증폭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오피 앰프(510)에 제공하는 동작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압 안정화 수단(520,53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폭수단(331)에서 증폭된 수신신호(RX-A)는 입력신호 판단수단(332)으로 입력되며, 입력신호 판단수단(332)에서는 현재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입력되는 신호가 어떤 종류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입력신호를 구분해야 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입력신호의 전송률에 따라 사용하는 클럭신호가 다르기 때문이며, 이 것은 해당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에서 비동기 전송모드 신호를 처리하는 칩들이 사용하는 클럭 주파수가 각각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예로 155.52Mbps의 비동기 전송모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 신호를 8분주한 값에 해당하는 19.44MHz의 오실레이터를 사용하고, 25Mbps의 비동기 전송모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32MHz의 오실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동기 전송모드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회로도 입력신호의 전송률에 따라 바뀌는 경우가 많다.
도 6은 입력신호 판단수단(332)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때,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은 기준클럭으로 51.84MHz 클럭을 사용하고, 입력신호는 155.52Mbps와 25Mbps의 두 종류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155.52Mbps의 입력신호와 25Mbps의 입력신호가 증폭수단(331)에서 각각 증폭된 신호를 각각 RX_155M, RX_25M라고 칭하기로 한다.
기준클럭 카운터(610)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의 기준클럭인 51.84MHz 클럭을 입력받아 계수한다. 그리고, 제1 입력신호 카운터(620)는 RX_155M을 입력받아 계수하고, 제2 입력신호 카운터(630)는 RX_25M을 입력받아 계수한다.
클럭선택수단(640)은 기준클럭 카운터(610)가 일정시간 동작한 다음 제1 입력신호 카운터(620)와 제2 입력신호 카운터(630)의 결과 값(Q2,Q3)을 검사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4가지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첫번째, 제1 입력신호 카운터(620)의 결과값(Q2)이 0이고, 제2 입력신호 카운터(630)의 결과값(Q3)도 0인 경우에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로 입력되는 신호가 하나도 없는 경우이므로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은 휴지(idle) 상태를 유지한다.
두번째, 제1 입력신호 카운터(620)의 결과값(Q2)이 0이 아니고, 제2 입력신호 카운터(630)의 결과값(Q3)이 0인 경우에는 155.52Mbps 신호가 입력됨을 뜻한다. 그러므로 155.52Mbps의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럭(예:19.44MHz)을 선택하는 클럭선택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클럭공급수단(333)은 이 클럭선택신호에 해당하는 클럭(예:19.44MHz)을 라인 정합 유니트(320)로 공급한다.
세번째, 제1 입력신호 카운터(620)의 결과값(Q2)이 0이고, 제2 입력신호 카운터(630)의 결과값(Q3)이 0이 아닌 경우에는 25Mbps 신호가 입력됨을 뜻한다. 그러므로 25Mbps의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럭(예:32MHz)을 선택하는 클럭선택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클럭공급수단(640)은 이 클럭선택신호에 해당하는 클럭(예:32MHz)을 라인 정합 유니트(320)로 공급한다.
네번째, 제1 입력신호 카운터(620)의 결과값(Q2)이 0이 아니고, 제2 입력신호 카운터(630)의 결과값(Q3)도 0이 아닌 경우에는 155.52Mbps 신호와 25Mbps 신호가 동시에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로 입력되는 경우인데,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300)에서 두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오류신호를 출력하여 발광 다이오드(LED)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
한편, 155.52Mbps 신호와 25Mbps 신호는 무작위로 수신될 수 있으므로, 위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번 검사가 종료된 후 모든 카운터의 상태를 초기화 하고 다시 계수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필요한 소자의 수와 모듈의 크기를줄일 수 있고, 기능의 고급화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입자측 단말과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VDSL:Very high-speed Digital Subscriber Line) 전송장치 사이의 정합장치인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있어서, 상기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에 사용하는 기준 클럭을 계수하는 기준클럭 카운터;
    서로 다른 전송률을 가지는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입력신호를 각각 계수하는 입력신호 카운터;
    상기 기준클럭 카운터가 일정 값에 다다르면, 상기 입력신호 카운터들 중 계수 값이 있는 입력신호 카운터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클럭선택신호를 생성하는 클럭선택수단; 및
    상기 클럭선택신호가 지시하는 클럭을 입력신호 수신용 클럭으로 공급하는 클럭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의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은 상기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카운터가 사용 가능한 정도로 증폭하여 상기 카운터에 공급하는 증폭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 정합모듈.
KR1019990057142A 1999-12-13 1999-12-13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정합모듈 KR10035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142A KR100358292B1 (ko) 1999-12-13 1999-12-13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정합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142A KR100358292B1 (ko) 1999-12-13 1999-12-13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정합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828A KR20010055828A (ko) 2001-07-04
KR100358292B1 true KR100358292B1 (ko) 2002-10-25

Family

ID=1962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142A KR100358292B1 (ko) 1999-12-13 1999-12-13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정합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2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047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전송속도 판별장치
KR19990065094A (ko) * 1998-01-07 1999-08-05 윤종용 초고속 디지탈 가입자선 시스템에서의 자동 이득 조정장치
KR19990065949A (ko) * 1998-01-20 1999-08-16 이계철 아날로그기반의광전송과쌍대동선전송기술을함께이용하는초고속가입자망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047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전송속도 판별장치
KR19990065094A (ko) * 1998-01-07 1999-08-05 윤종용 초고속 디지탈 가입자선 시스템에서의 자동 이득 조정장치
KR19990065949A (ko) * 1998-01-20 1999-08-16 이계철 아날로그기반의광전송과쌍대동선전송기술을함께이용하는초고속가입자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828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0486B1 (en) Method for auto-configuring a communication system
ES2243089T3 (es) Aparato y metodo para comunicaciones de banda ancha.
US20100266000A1 (en) Discrete spurious leakage cancellation for use in a cable modem
US797622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ignal detection in an optical transceiver
US20030219002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0734535B1 (ko) 데이터망에서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가능 이득 증폭기
US7509058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photoelectric conversion circuit and test apparatus
EP1605655A2 (en) Upstream power cutback
US8625745B2 (en) Line loss tester
IL131970A (en) Method and preparation for a quick transition from low power to full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616683B2 (en) Automatic switching between DSL and analog on a single RJ-11 DSL/analog combo modem
KR100358292B1 (ko) 입력신호 자동검출 기능을 가진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망정합모듈
US6507199B1 (en) Method for measuring the operating properties of a subscriber line module for high-bit-rate data transmission
US6359972B1 (en) Line in use detection
US66680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signal sampling at multiple clock rates
KR100269148B1 (ko) 전화회선을이용한전화및데이터통신장치
EP1206109A1 (en) Device with ethernet and atmforum interfacing capability
JP2000013283A (ja) 信号伝送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697485B1 (en) Data signal attenuator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RU21160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тактовых сигналов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етев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ей атс
KR19980051651A (ko) 모뎀과 공중용 전화선간의 연결장치
WO2010089145A2 (en)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for multicarrier arrangement
KR200304385Y1 (ko) 디에스엘 기반 댁내 전화망에서의 씨에스엠에이/씨디 방식을 채용한 홈 네트워크
TWM644069U (zh) 時域交錯式參數量測系統
KR100540247B1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와 유선전화기간의 에코 현상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