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607B1 - Movable handsfree system - Google Patents

Movable handsfre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607B1
KR100356607B1 KR1020000062280A KR20000062280A KR100356607B1 KR 100356607 B1 KR100356607 B1 KR 100356607B1 KR 1020000062280 A KR1020000062280 A KR 1020000062280A KR 20000062280 A KR20000062280 A KR 20000062280A KR 100356607 B1 KR100356607 B1 KR 10035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ands
mobile phone
free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31679A (en
Inventor
노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to KR102000006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607B1/en
Publication of KR2002003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6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이동 중에 사용이 가능하고 이어폰이 필요 없는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기술임.This technology is for hands-free devices that can be used on the go and do not require earphones.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2.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핸즈프리장치를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으며, 핸드폰의 교체에 따라 연결콘넥터만 교체하면 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함.Provides hands-free device that can be used while moving hands-free device, but does not use earphone, and only needs to replace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replacement of mobile phone.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와;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과; 음성신호와 음성을 전환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및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스피커 또는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s-free joint connected to a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and connected to a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Position fixing means for receiving a position fixing connector of the outside position is fixed; A speaker and a microphone for switching between a voice signal and a voice; And a circuit means for driving power supplied from a mobile phone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speaker or a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또한,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와;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과;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와; 이어폰선을 수납하는 이어폰선수납구와; 상기 이어폰선의 단부에 연결되며, 이어폰잭홀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이어폰잭과; 상기 이어폰잭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어폰선에 고정되어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 및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스피커 또는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ands-free splicing unit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voice terminal or power terminal; Position fixing means for receiving a position fixing connector of the outside position is fixed; A speaker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voice; An earphone player outlet for accommodating earphone wires; An earphone jack connected to an end of the earphone line and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hole to connect a voice signal; A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the earphone line so as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arphone jack and converts the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a circuit means for driving and receiving power from a mobile phone through a hands-free junctio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speaker or a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It provides a mobile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또한,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콘넥터접합구와,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과, 타측에는 구비되는 콘넥터접속구와, 내부에 핸즈폰접속구와 콘넥터접합부의 각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연결수단이 구비된 연결콘넥터와; 연결콘넥터를 수납하는 연결콘넥터수납구와; 콘넥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와;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와; 이어폰선을 수납하는 이어폰선수납구와; 이어폰선의 단부에 연결되며, 이어폰잭홀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이어폰잭과; 이어폰잭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어폰선에 고정되어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 및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스피커 또는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를 포함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voice terminal or the power terminal, the position fixing means for holding the external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fixed in position, the connector connect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hand phone connection inside A connecting connector provided with terminal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each terminal of the connector joint; A connection connector receiving port for storing the connection connector; A hands-free joint that is connected to a connector and connects to a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A speaker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voice; An earphone player outlet for accommodating earphone wires; An earphone jack connected to an end of the earphone line and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hole to connect a voice signal; A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the earphone line so as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arphone jack and converts the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a circuit means for driving power supplied from a mobile phone through a hands-free connection po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speaker or a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이동 중에 사용이 가능하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에 사용됨.Used for mobile hands-free devices that can be used on the go and can talk without using earphones.

Description

이동식 핸즈프리장치{Movable handsfree system}Movable handsfree system

본 발명은 핸드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핸드폰을 손으로 잡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위치에서 만의 사용을 한정하지 않고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며,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s-free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mobile phone so that a user can make a call without holding the mobile phone by hand, and can be used while moving without limiting the use only at a designated location, without using an ear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hands-free device that is simple and can be used for decoration.

핸드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여러 장치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제안된 장치 가운데 사용자가 운전 중에 안전운전을 위하여 손을 사용하지 않고 핸드폰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핸즈프리장치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mobile phones increases, various devices have been proposed and widely used to conveniently use them. Among the proposed devices, a hands-free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make a phone call without using a hand for safe driving while driving.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초기에 제안된 핸즈프리장치는 자동차 본체에 핸드폰이 거치되는 핸즈프리장치 본체를 나사 등으로 고정시키고, 별도의 선으로 연결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운전자와 가까운 위치에 고정하며, 자동차의 밧데리를 연결하는 선을 구비하는 것으로, 자동차에 핸즈프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고, 한번 설치한 후에 이를 제거하게 되면 자동차에 나사구멍 등의 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hands-free device proposed at the beginning is to fix the body of the hands-free device to which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car body with screws, to fix the microphone and speaker connected by separate wires near the driver, and to connect the battery of the car.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hands-free device in a vehicle, and if it is removed after the installation once, there is a problem that a defect such as a screw hole occurs in the vehicle.

따라서, 근래에는 시거잭을 이용하여 자동차에 전원을 연결하는 것과 동시에 위치를 고정하는 방식의 핸즈프리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recently, a hands-free device having a method of fixing a position at the same time as connecting power to a vehicle by using a cigar jack has been proposed and us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일반적으로 핸드폰(1)에는 핸즈프리장치 또는 충전기, 컴퓨터 등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에 통신단자와 전원단자 또는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단자가 구비된 핸드폰접속구(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이어폰잭홀(3)을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the mobile phone (1) is provided with a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2) equipped with various terminals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wer terminal or a special function at the bottom in order to connect to a hands-free device, charger, computer, etc., using an earphone The earphone jack hole 3 is provided to make a call.

그리고, 사용자가 핸드폰(1)을 분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걸이나 벨트 등에 연결되도록 핸드폰(1)에 접속콘넥터버튼(4a)을 구비하는 접속콘넥터(4)를 고정하고, 목걸이줄(6)이나 벨트 등에 연결되는 선에 접합콘넥터(5)를 고정시켜, 사용자가 핸드폰(1)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콘넥터(4)를 상기 접합콘넥터(5)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콘넥터버튼(4a)을 눌러 상기 접속콘넥터(4)와 상기 접합콘넥터(5)가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losing the mobile phone 1, the connection connector 4 having the connection connector button 4a is fixed to the mobile phone 1 so as to be connected to a necklace or a belt, and the necklace line 6 or When the bonding connector 5 is fixed to a line connected to a belt or the like, when the user fixes the mobile phone 1, the connection connector 4 is inserted into the bonding connector 5 to fix the position, and the separation is performed. The connection connector button 4a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connection connector 4 and the bonding connector 5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접속콘넥터(4)와 접합콘넥터(5)는 그 위치가 바뀌어 고정되어도 동일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핸드폰(1)에 상기 접합콘넥터(5)가 고정되고, 상기 목걸이줄(6)이나 벨트 등에 상기 접속콘넥터(4)를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on connector 4 and the bonding connector 5 are used the same even if their positions are changed and fixed, the bonding connector 5 is fixed to the cellular phone 1, and the collar 6 It may also be used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connector 4 to a belt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핸드폰(1)에 운전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핸즈프리장치(10)를 구성하되, 핸즈프리본체(11)에 스피커(12)와 마이크(13)를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운전자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선을 연결하여 떨어진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핸즈프리본체(11)의 일측에는 상기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핸즈프리접합구(14)를 연결선(15) 등을 사용하여 연장되게 구성하고, 상기 핸즈프리본체(11)의 타측에는 시거잭(16)을 구성하여 자동차 본체의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핸즈프리본체(11)의 내부에는 고정자석(17)을 구비하여 상기 핸드폰(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hands-free device 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ellular phon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river can make a call without using a hand, but the speaker 12 and the microphone 13 are integral to the hands-free body 11. Or to connect a separate line so as to be located close to the driver is configured to be fixed at a remote location, one side of the hands-free body 11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2 of the mobile phone (1) The hands-free splice 14 is configured to extend using the connection line 15, etc.,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 a cigar jack 16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vehicle body, and the hands-free main body The inside of the 11 is provided with a stationary magnet 17 is configur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1).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시거잭을 이용한 핸즈프리장치는 기존의 핸즈프리장치와 비교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시거잭을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에서는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핸드폰을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즈프리장치를 항상 시거잭에 연결하여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한 상태에서 통화가 가능하므로, 항상 시거잭이 있는 위치에서만 통화가 가능하다.The hands free device using the cigar jac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easy to install compared to the existing hands free device and can be used in a car equipped with a cigar jack. You can make a call with the cigar jack connected to the car's power, so you can always make calls only when the cigar jack is in place.

따라서,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1999-31117호를 통해서 핸드폰 밧데리를 사용하여 구동시키는 핸즈프리장치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제안한 바 있으며, 본 방식에 의한 경우 핸즈프리장치 자체를 선바이져 등에 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핸즈프리장치를 자동차 내부의 구조물에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제안하고 있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method of driving a hands-free device for driving using a mobile phone battery through Patent Application No. 1999-31117. In this case, the hands-free device itself can be easily installed or removed. In this case, it is also proposed to use the hands-free device in a fixed position on the structure inside the vehicle.

또한, 핸즈프리장치는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에 대응되어 결합하는 핸즈프리접합구의 형상이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에 적합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핸드폰을 제조하는 회사에 따라서 또는 같은 회사의 제품인 경우에도 새로운 기능 등의 추가에 의해서 핸드폰접속구의 형상 또는 모양이 바뀌게 되며, 이와 같이 핸드폰접속구의 형상 또는 모양이 다른 핸드폰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접합구가 새로운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와 결합되지 못하여 새로운 핸즈프리장치로 교체하여야 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s-free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the shape of the hands-free joints corresponding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s of the mobile phones is suitable for the mobile phones used, the new functions may be added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phone or a product of the same company. By changing the shape or shape of the mobile phone connector by this way, in the case of replacing the mobile phone with a different shape or shape of the mobile phone connector, the hands-free connector of the existing hands-free device cannot be combined with the mobile phone connector of the new mobile phone. It had to be replaced by a hands free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핸드폰용 목걸이형 이어폰이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cently, a necklace-type earphone for a mobile phone has been provided and used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핸드폰(1)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이어폰을 구성하되 사용자가 목에 걸고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목걸이줄(21)과, 상기 목걸이줄(21)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는 줄고정클립(22)을 구성하고, 상기 목걸이줄(21)의 일정 위치에 몸체부(23)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부(23)에는 마이크(24)와 이어폰(28)을 수납할 수 있는 이어폰수납부(25)와 고정편(25a) 및 핸드폰(1)에 통화신호를 제공하는 통화키(26)를 일체로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23) 상측으로는 상기 목걸이줄(21)내부에 설치되는 상이어폰선(27a)을 통해 이어폰(28)을 연결하되 위치고정클립(22a)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23) 하측으로는 상기 목걸이줄(21)내부에 설치되는 하이어폰선(27b)을 통해 핸드폰(1)의 이어폰잭홀(3)에 삽입되는 이어폰잭(29)을 연결하되 상기 줄고정클립(22)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한다.To configure the earphone us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 but the user to use the neck strap 21 and a string fixing clip 22 for fixing both ends of the necklace strap 21 and Consists of a body portion 2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llar 21, the body portion 23, the earphone housing 25 and the fixed piece that can accommodate the microphone 24 and the earphone 28 A telephone key 26 for providing a call signal to the phone 25a and the mobile phone 1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23 is an upper earphone line 27a installed inside the collar 21. The earphone 28 is connected through the position fixing clip (22a)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3 through the high-phone line (27b) is installed inside the collar (21). Connect the earphone jack 29 to be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 (3) of the mobile phone (1), but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row fixing clip (22) Configure it.

그리고, 상기 줄고정클립(22)에 접속콘넥터버튼(4a')이 구빈된접속콘넥터(4')를 고정시켜 핸드폰(1)에 연결되는 접합콘넥터(5')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어폰수납구(25)의 하단에 고정자석(25b)을 위치시켜 고정되는 상기 이어폰(28)을 자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n, the connection connector button 4a 'is fixed to the row fixing clip 22 so that the connection connector 4' can be coupled to the bonding connector 5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 and the The earphone 28, which is fixed by placing a fixed magnet 25b at the lower end of the earphone storage 25,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position by magnetic forc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핸드폰용 목걸이형 이어폰(20)을 목에 걸고 핸드폰(1)의 접합콘넥터(5')를 접속콘넥터(4')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하고, 이어폰잭(29)을 이어폰잭홀(3)에 삽입하여 이동 중에 전화가 오면, 이어폰수납부(25)에 고정편(25a)과 고정자석(25b)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이어폰(28)을 손으로 잡고서 귀에 고정시키고, 통화키(26)를 눌러 통화를 하며, 통화가 끝난 후에는 상기 통화키(26)를 다시 눌러 통화를 종료시키고 상기 이어폰(28)을 귀에서 빼어 다시 상기 어어폰수납부(25)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귀에 고정한 상태로 있게 된다.Therefore, the necklace-type earphone 20 for the mobile phone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joint connector 5 'of the mobile phone 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4' to fix the position, and the earphone jack 29 Insert into the earphone jack hole (3), when the phone comes during the movement, hold the earphone 28, the position of which is fixed by the fixing piece (25a) and the fixed magnet (25b) to the earphone storage unit 25 by hand Press the call key 26 to make a call. After the call is over, press the call key 26 again to end the call, take the earphone 28 out of the ear, and place it on the phone storage unit 25 again. Or stay in the ear.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핸드폰용 목걸이형 이어폰(20)은 이동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핸드폰의 이어폰잭홀을 통해 통화신호를 연결함으로서 핸드폰접속구의 형상 또는 모양의 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계속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핸즈프리장치에서와 같이 수신된 음성신호나 발신하는 음성신호의 증폭이나 잡음제거 등의 기능을 갖지 못하며, 마이크를 항상 통화자의 입 가까운 곳에 위치시켜만 하고, 이어폰은 귀에 고정한 상태에서 통화를 하여야만 한다.The necklace-type earphone 20 for a mobile phone, which is configured and used as described above, can make a call while moving, and is connected to the call signal through the earphone jack hole of the mobile phon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hape or shape change of the mobile phone connector. Although it can be used, it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amplifying or removing noise of received or outgoing voice signal like the hands-free device, and the microphone should always be located near the mouth of the caller, and the earphone is fixed to the ear. You must talk on the phone.

따라서, 운전 중에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이어폰을 귀에 고정한 상태에서 통화를 함으로서 주변이 소리를 듣기 어려워 운전 중에 돌발적인 상황에 대하여 대응능력이 떨어져 사고발생의 원인이 되며, 이어폰을 귀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청각에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핸드폰의 통화를 위해서는이어폰을 귀에 고정시키고 통화키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운전 중이 손의 사용을 최소화하지 못한다.Therefore, when making a phone call while driving, it is difficult to hear the sound of the surroundings by making a call while the earphone is fixed to the ear, and thus the ability to respond to an unexpected situation during driving may be a cause of an accident, and to use the earphone while it is fixed to the ear. Because of this, it causes serious damage to hearing, and for the mobile phone call, the earphone must be fixed to the ear and the call key must be pressed to minimize the use of the hand while driving.

또한, 일반적으로 줄을 목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구에 따라 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 즉, 도 3 의 넥커(Necker)(30)와 같이 목걸이줄(31)에 클립버튼(32a)이 구비된 가변클립(32)을 구성하고, 상기 목걸이줄(31)의 끝단에는 구슬(33) 또는 매듭 등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클립버튼(32a)을 눌러 상기 가변클립(32)의 위치를 이동하여 자신의 신체에 적합한 길이로 상기 목걸이줄(31)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상기 핸드폰용 목걸이형 이어폰(20)은 목걸이줄(21)을 고정하고 있는 줄고정클립(22)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모양이 투박하여 특별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만 목에 걸치게 되고, 대부분의 사용자가 가능하면 겉옷 안쪽에 위치시켜 밖에서 안보이도록 사용하고 이어폰만 빼내어 귀에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의 돌발음 청취가 어려우며 청각에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길게 늘어진 목걸이줄(21)이 운전 중에 손에 걸려 운전에 장애가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neck in general,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r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hat is, the clip button (32a) on the collar 31 as shown in the necker (Necker) 30 of FIG. ) Is provided with a variable clip 32, the end of the collar 31 is formed with a bead 33 or a knot, such that the user presses the clip button (32a)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clip (32) Move the to have a function to adjust the collar 31 to the length suitable for their body, the necklace-type earphone 20 for the mobile phone has a string fixing clip 22 is fixed to the collar 21 Since it is fixed at a certain position,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body, and its shape is so clung that it will be worn only on the neck only for special use. Using this Because in ponman withdrawn ears pinned state, providing the cause of the surrounding stone can listen difficult and causing an obstruction to the hearing, and in some cases an obstacle to the elongated neck strap (21) Operation hanging on hand during this oper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핸즈프리장치는 항상 핸즈프리장치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만 핸드폰의 통화가 가능하고 이동 중에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핸드폰용 목걸이형 이어폰은 이동하면서 핸드폰의 통화가 가능하지만 핸즈프리장치와 같이 음성신호의 증폭 등의 기능이 없어 항상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hands-fre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hands-free device can be used only while the mobile phone is fixed at a fixed position and is difficult to use while on the move. Like hands-free devices, there is no function of amplifying a voice signal, such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always use earphones to talk.

또한, 종래의 핸즈프리장치는 핸드폰접속구와 결합되는 핸즈프리접합구가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핸드폰접속구의 형상 또는 모양이 다른 핸드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ands-free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hands-free splice coupled to the cellular phone connector is formed in a constant shape,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use the cellular phone with a different shape or shape.

또한, 핸드폰용 목걸이형 이어폰은 목걸이줄의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목걸이줄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 부자연스럽고 운전 중에 목걸이줄이 손에 걸려 장애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ecklace-type earphone for mobile phones has a fixed length of the necklace is not fixed, so there is no functi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lac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is unnatural,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necklace is caught in the hand while driv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동하면서 핸드폰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되, 음성신호의 증폭 또는 잡음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hile overcoming the above problems, while making a call of the mobile phone while moving, performs a function such as amplification or noise removal of the voice signal, and provides a mobile hands-free device that does not use earphones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접속구의 형상 또는 모양이 다른 핸드폰에 대하여도 핸드폰접속구와 결합하는 최소한의 부분만 교체하고 핸즈프리장치는 계속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hands-free device that replaces only a minimum portion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or and the hands-free device can be continuously used even for a mobile phone having a different shape or shape of a mobile phon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목걸이줄의 길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또는 사용상태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hands-free device that can conveniently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lac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or the use state.

도 1 은 종래의 핸드폰과 핸즈프리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and hands-free device,

도 2 는 종래의 핸드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necklace-type earphone for a mobile phone,

도 3 은 종래의 넥커 구성도,3 is a conventional necker configuration diagram,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사용 상태도,5 is a state of use of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다른 구성도,6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 사용 상태도,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다른 구성도.9 is another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 핸드폰 2 : 핸드폰접속구1: Mobile Phone 2: Cell Phone Accessory

50, 70 : 이동식 핸즈프리 51, 71 : 핸즈프리본체50, 70: removable hands free 51, 71: hands free body

52, 72 : 스피커 53, 73 : 마이크52, 72: speaker 53, 73: microphone

54, 74 : 이어폰잭 55, 75 : 이어폰선54, 74: earphone jack 55, 75: earphone cable

56, 76 : 이어폰선수납구 57a, 77a : 통화키56, 76: earphone player 57a, 77a: call key

57b, 77b : 볼륨키 58, 78 : 핸즈프리접합구57b, 77b: Volume keys 58, 78: Hands free joint

58a, 81a : 핸드폰록커 58b, 81b : 핸드폰록커버튼58a, 81a: Cell Phone Locker 58b, 81b: Cell Phone Locker Button

59, 63', 83 : 접속콘넥터 59', 63, 83' : 접합콘넥터59, 63 ', 83: connector 59', 63, 83 ': connector

59a, 63a', 83 : 접속콘넥터버튼 60 : 넥커59a, 63a ', 83: Connector button 60: Necker

61 : 목걸이줄 62 : 가변클립61: necklace 62: variable clip

62a : 클립버튼 62b : 이어폰잭홀62a: Clip Button 62b: Earphone Jack Hole

78a : 연결콘넥터록커 78b : 연결콘넥터록커버튼78a: connector locker button 78b: connector locker button

79 : 연결콘넥터수납구 80 : 연결콘넥터79: connection connector storage port 80: connection connector

81 : 콘넥터접합구 82 : 콘넥터접속구81: connector connection port 82: connector connection por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를 구비한 핸드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와;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과; 음성신호와음성을 전환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및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상기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s-free device which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connector including a voice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wherein the hands-free joint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and connects to a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Bulb; Position fixing means for receiving a position fixing connector of the outside position is fixed; Speaker and microphone for switching the voice signal and the voice; And a circuit means for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r the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와 이어폰잭홀을 구비한 핸드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와;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과;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와; 이어폰선을 수납하는 이어폰선수납구와; 상기 이어폰선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잭홀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이어폰잭과; 상기 이어폰잭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어폰선에 고정되어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 및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상기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s-free device tha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phone connector including a voice terminal and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mobile phone having an earphone jack hole, the hands-free connection unit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and connected to the voice terminal or power terminal; ; Position fixing means for receiving a position fixing connector of the outside position is fixed; A speaker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voice; An earphone player outlet for accommodating earphone wires; An earphone jack connected to an end of the earphone line and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 to connect a voice signal; A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the earphone line so as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arphone jack and converts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a circuit means for receiving and driving power from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r the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It provides a mobile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또한, 본 발명은,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와 이어폰잭홀을 구비한 핸드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콘넥터접합구와,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과, 타측에는 구비되는 콘넥터접속구와, 내부에 상기 핸즈폰접속구와 상기 콘넥터접합부의 각 단자를 연결하는단자연결수단이 구비된 연결콘넥터와; 상기 연결콘넥터를 수납하는 연결콘넥터수납구와; 상기 콘넥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와;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와; 이어폰선을 수납하는 이어폰선수납구와; 상기 이어폰선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잭홀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이어폰잭과; 상기 이어폰잭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어폰선에 고정되어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 및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상기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 를 포함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s-free device tha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phone connector including a voice terminal and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mobile phone having an earphone jack hole,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and connected to the voice terminal or power terminal; Position fixing means for storing 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of the outside, the position fixing means, the connector connector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connection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terminal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each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junction therein Wow; A connection connector receiving port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connector; A hands-free joint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or and connects to a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A speaker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voice; An earphone player outlet for accommodating earphone wires; An earphone jack connected to an end of the earphone line and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 to connect a voice signal; A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the earphone line so as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arphone jack and converts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a circuit means for receiving and driving power from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r the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It provides a mobile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구성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다른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 사용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다른 구성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diagram of a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1은 핸드폰, 2는 핸드폰접속구, 50, 70은 이동식 핸즈프리, 51, 71은 핸즈프리본체, 52, 72는 스피커, 53, 73은 마이크, 54, 74는 이어폰잭, 55, 75는 이어폰선, 56, 76은 이어폰선수납구, 57a, 77a는 통화키, 57b, 77b는 볼륨키, 58, 78은 핸즈프리접합구, 58a, 81a은 핸드폰록커, 58b, 81b는 핸드폰록커버튼,59, 63', 83은 접속콘넥터, 59', 63, 83'는 접합콘넥터, 59a, 63a', 83은 접속콘넥터버튼, 60은 넥커, 61은 목걸이줄, 62는 가변클립, 62a는 클립버튼, 62b는 이어폰잭홀, 78a는 연결콘넥터록커, 78b는 연결콘넥터록커버튼, 79는 연결콘넥터수납구, 80은 연결콘넥터, 81은 콘넥터접합구, 82는 콘넥터접속구를 각각 나타낸다.In the drawing, 1 is a mobile phone, 2 is a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50 and 70 are mobile hands free, 51 and 71 are hands free body, 52 and 72 are speakers, 53 and 73 are microphones, 54 and 74 are earphone jacks, and 55 and 75 are earphone cables. , 56 and 76 are earphone player outlets, 57a and 77a are call keys, 57b and 77b are volume keys, 58 and 78 are hands free joints, 58a and 81a are cell phone lockers, 58b and 81b are cell phone lockers buttons, 59 and 63 ' , 83 is connection connector, 59 ', 63, 83' is connector, 59a, 63a ', 83 is connector button, 60 is necker, 61 is necklace, 62 is variable clip, 62a is clip button, 62b is earphone Jack hole, 78a is a connector locker, 78b is a connector locker button, 79 is a connector connector, 80 is a connector, 81 is a connector connector and 82 is a connector connector.

핸즈프리장치를 구성하되, 이동하면서 핸드폰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핸즈프리본체(51)에 핸드폰(1)에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접속구(2)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를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58)를 구성하고,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의 후방으로는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 즉, 목걸이줄(61)과 상기 목걸이줄(61)을 고정하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클립버튼(62a)이 구비된 가변클립(6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커(60) 등에 있어서, 상기 가변클립(62)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합콘넥터(63)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접속콘넥터(59)를 구성하되, 상기 접속콘넥터(59)에 상기 접합콘넥터(63)를 상기 접속콘넥터(59)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접속콘넥터버튼(59a)을 일체로 구성한다.To configure the hands-free device, but to enable the mobile phone call while moving, the voice terminal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port (2) formed to connect the voice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to the mobile phone (1) in the hands-free main body (51) Or constitute a hands-free splice 58 for connecting the power terminal, the rear of the hands-free splice 58 is fixed to the external position fixing connector, that is, the collar (61) and the collar (61) In the necker 60 and the like including a variable clip 62 provided with a clip button 62a to adjust the length, the joint connector 63 is formed to extend integrally under the variable clip 62. And a connection connector 59 having a fixed position, wherein the connection connector 59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on connector 59 to separate the connection connector 63 from the connection connector 59. do.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본체(51)의 일측에 상대방의 통화 내용을 들을 수 있도록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52)와,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를 핸즈프리본체와 일체로 구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를 통해 상기 핸드폰(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회로수단(도시되지 않았음)을 구비하되, 상기 회로수단의 일단은 상기 핸드폰(1)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52) 또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a speaker 52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a voice so that one 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51 can hear the contents of the call and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to a voice signal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s-fre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ircuit means (not shown) for driv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obile phone (1) through the hands-free junction (58) inside, one end of the circuit means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peaker 52 or the microphone and is configured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에는 상기 핸드폰접속구(2)와 결합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핸드폰록커(58a)를 상기 핸드폰접속구(2)에 삽입되어 걸쳐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핸드폰록커(58a)를 회동시키는 핸드폰록커버튼(58b)을 구성하여, 상기 핸드폰접속구(2)에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핸드폰록커(58a)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핸드폰접속구(2)에서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폰록커버튼(58b)을 눌러 상기 핸드폰록커(58a)의 걸침이 해지되도록 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obile hands-fre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ands-free splicing device 58 is inserted in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2 so that the mobile phone locker 58a is fix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2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And the mobile phone locker button 58b for rotating the mobile phone locker 58a, and the mobile phone locker 58a in the state in which the hands free joint 58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or 2. When the position is firmly fixed and the hands free joint 58 is removed from the cellular phone connector 2, the cell phone locker button 58b is pressed to release the latch of the cell phone locker 58a.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so that.

또한, 상기 접합콘넥터(63)는 네커(60) 뿐만이 아니라 허리춤에 고정되는 분실방지선의 끝단에 구성하여도 되며, 별도의 구성품으로 하여 자동차 등에 고정되는 선의 끝단에 구성하여도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갖으며, 이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junction connector 63 may be configured not only at the neck 60 but also at the end of the anti-lose line fixed to the waist dance, and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omponent at the end of the line fixed to the automobile. It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합콘넥터(63)와 상기 접속콘넥터버튼(59a)을 구비하는 상기 접속콘넥터(59)와의 위치를 바꾸어 구성하여도, 즉, 상기 가변클립(62)의 하측에 일체로 접속콘넥터버튼(63a')가 구비된 접속콘넥터(63')를 구성하고, 상기 핸즈프리본체(51)에는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합콘넥터(59')를 구성하여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the mobil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connector 63 and the connecting connector 59 including the connecting connector button 59a is changed, that is, the variable A connecting connector 63 'having a connecting connector button 63a' integrally formed under the clip 62, and a joining connector 59 'formed to extend forward in the hands-free body 51. The same may also be used.

또한, 상기 핸즈프리본체(51)에는,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핸드폰(1)에 통화신호를 제공하는 통화키(57a) 또는 상기 스피커(52)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키(57b)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s-free main body 51 further includes a call key 57a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providing a call signal to the mobile phone 1 or a volume key 57b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52.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넥커 등에 형성된 위치고정콘넥터, 즉, 접합콘넥터에 고정시켜 이동하며, 핸드폰과 연결시에는 상기 접합콘넥터와 상기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접속콘넥터와의 결합을 해지하고 상기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에 상기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접합구를 연결하여 사용하며, 상기 핸드폰은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핸드폰에 연결된 접속콘넥터에 상기 접합콘넥터를 연결하여 위치를 고정함으로서 이동하면서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ate of use of the mobile hands-fre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ually, the mobile hands-free device is fixed to 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formed in the neck, etc., that is, fixed to the connector and move, when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junction connector Terminates the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connector of the mobile handsfree device and connects the handsfree connector of the mobile handsfree device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of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may be used separately, but the connection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position, you can use the hands-free device while moving.

그리고,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폰을 상기 접합콘넥터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핸드폰접속구로부터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분리한 후에, 상기 접합콘넥터를 핸즈프리본체에 있는 접속콘넥터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되며, 이때, 이동식 핸즈프리장치가 록커의 가변클립에 고정되므로 소형으로 구성하고 커버를 투명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내부에 엘이디 등을 사용하여 통화시에는 상기 엘이디가 반짝거리게 구성하는 등 장식품으로서 활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mobile handsfree device is detached from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is disconnected from the splice connector, the handsfree splice is disconnected from the cell phone connector, and the splic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in the hands free body. In this case, since the portable hands-free device is fixed to the variable clip of the locker, it can be compactly constructed and the cover is made transparent, or when the LED is used to make a call when the call is made using the inside, it can be used as an ornamen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의 위치를 가능한 사용자의 입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하며, 핸드폰과의 음성신호 연결을 이어폰잭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user's mouth,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voice sign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to the earphone jack,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5 Same as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2)와 이어폰잭홀(3)을 구비한핸드폰(1)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구성하되, 핸즈프리본체(51)의 상측으로 상기 핸드폰접속구(2)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58)을 구성하고,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의 후방으로 넥커(60)의 가변클립(62) 등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합콘넥터(63)를 수납하는 접속콘넥터버튼(59a)을 구비하는 접속콘넥터(59)를 구성하며, 상기 핸즈프리본체(51)에 일측에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52)와 이어폰선(55)을 수납하는 이어폰선수납구(56)를 일체로 구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를 통해 상기 핸드폰(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상기 핸드폰(1)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52) 또는 마이크(53)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 즉,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음성신호의 증폭회로, 잡음제거회로, 송수신신호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회로를 구성한다.A mobile hands free device, which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2 including a voice terminal and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n earphone jack hole 3, is used, but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is located above the hands free main body 51. 2) a hands-free joint (58) coupled to the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connected to the joint, and a joint connect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variable clip (62) of the neck (60) to the rear of the hands-free joint (58). A connection connector 59 having a connection connector button 59a for accommodating 63, and a speaker 52 and an earphone line 55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voice on one 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51; The earphone bow outlet 56 for storing the unit is integrally formed, and therein, the power source is driven from the mobile phone 1 through the hands-free splicing port 58,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 and the other end. Is the speaker 52 or microphone And a circuit mean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a voice signal, i.e., various circuits for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an amplification circuit, a noise canceling circui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control used in a conventional hands-free device.

그리고, 상기 이어폰선수납구(56)에 수납되는 이어폰선(55)의 단부에는 상기 이어폰잭홀(3)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이어폰잭(54)을 연결하고, 상기 이어폰잭(54)의 하단에는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53)가 상기 이어폰선(55)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The earphone jack 54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 3 an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earphone line 55 accommodated in the earphone bow outlet 56, and connects an audio signal to the earphone jack 54. At the bottom, a microphone 53 for converting voice into a voice signal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earphone line 55.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1)과 상기 핸즈프리본체(51)와의 음성신호 연결을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를 통해서 연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이어폰잭(54)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ortable hands-fre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voice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1 and the hands-free main body 51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58, and the earphone jack 54 as necessary.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즉, 상기 마이크(53)를 통해서 수신되어 상기 회로수단으로 제공된 음성신호를 상기 이어폰잭(54)을 통해서 상기 핸드폰(1)에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를 통해서 상기 핸드폰(1)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상기 이어폰잭(54)이나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를 통해서 상기 회로수단에 제공되어 상기 마이크(53)로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53 and provided to the circuit means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 through the earphone jack 54, or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58, the mobile phone ( 1) It is possible to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s provided to the circuit means through the earphone jack 54 or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58 is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the microphone 53 It is possible.

또한, 상기 접합콘넥터(63)가 일체로 구성되는 넥커(60)의 가변클립(62)에는 목걸이줄(61)의 길이를 조절하는 클립버튼(62a)을 구비하는 것 외에, 상기 이어폰잭(54)이 삽입되는 이어폰잭홀(62b)을 더 구성하여 상기 이동식 핸즈프리(50)의 접속콘넥터(59)에 상기 접합콘넥터(63)를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이어폰잭홀(62b)에 상기 이어폰잭(54)을 삽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ariable clip 62 of the necker 60, in which the splicing connector 63 is integrally provided, includes a clip button 62a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llar 61, and the earphone jack 54. )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 62b to fix the position by inserting the joint connector 63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59 of the mobile hands-free 50.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earphone jack 54.

또한, 상기 핸즈프리접합구(58)에는, 상기 핸드폰접속구(3)와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핸드폰접속구(3)에 삽입되어 걸쳐지는 핸드폰록커(58a)와, 상기 핸드폰록커(58a)를 회동시켜 상기 핸드폰접속구(3)와의 걸침을 해지하는 핸드폰록커버튼(58b)을 더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 에서와 같이 록커(60')의 가변클립(62')에 접속콘넥터버튼(63a')이 구비된 접속콘넥터(63')를 구성하고, 핸즈프리장치본체(51')에는 상기 접속콘넥터(63')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접합콘넥터(59')를 구비하도록 이동식 핸즈프리장치(50')를 구성하여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s free splice 58 rotates the cell phone locker 58a and the cell phone locker 58a which are inserted and spanned in the cell phone connection port 3 in order to fix the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cell phone connector 3.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nfigure the mobile phone locker button 58b to terminate the step with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3, as shown in Figure 6 to the variable clip 62 'of the locker 60'connecting connector button ( And a hands-free device main body 51 'having a splice connector 59'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63 'and having a fixed position. Even if 50 'is configured,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본체(51, 51')에는,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52, 52')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키(57b, 57b')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1)에 통화신호를 제공하는 통화키(57a,57a')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s-free body 51, 51 'may further include volume keys 57b and 57b'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s 52 and 52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all key (57a, 57a ')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providing a call signal to the mobile phone (1).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50, 5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핸드폰(1)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핸드폰접속구(2)에 핸즈프리접합구(58)를 삽입하여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를 연결하고, 이어폰잭(54)을 당겨서 상기 핸드폰(1)의 이어폰잭홀(3)에 삽입하여 위치가 고정되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이어폰잭(54)을 통해서 음성신호가 연결되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50, 50 ')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connecting to the mobile phone (1) by inserting the hands-free connector (58) in the mobile phone connector (2) voice or power terminal And the earphone jack 54 is pulled and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 3 of the mobile phone 1 so that a voice signal is connected through the earphone jack 54 as necessary while being fixed in position.

이때, 상기 이어폰잭(54)의 하단에 위치하여 이어폰선(55)에 고정되어 있는 마이크(53)도 상기 이어폰잭(54)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입에 보다 가까이 위치하여 음성을 확실하게 수신하게 되며, 상기 핸드폰(1)의 접속콘넥터(4)에 넥커(60) 등에 구비된 접합콘넥터(63)를 삽입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넥커(60)에 핸드폰(1)이 연결되고, 상기 핸드폰(1)에는 상기 이동식 핸즈프리(50, 5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목에 걸고 다닐 수 있게 되며, 이때,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상기 넥커(60)의 클립버튼(62a)을 눌러 가변클립(62)을 위로 또는 아래로 위치시켜 목걸이줄(61)의 길이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crophone 53,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earphone jack 54 and is fixed to the earphone line 55, is also moved upward with the earphone jack 54 to be positioned closer to the user's mouth. The voice is reliably received and the cell phone 1 is connected to the neck 60 by inserting the joint connector 63 provided in the neck 60 to the connection connector 4 of the cell phone 1. Is connected, the mobile hands 1 is connected to the mobile hands-free (50, 50 ') is a user can walk around the neck, at this time, the clip button 62a of the neck 60 according to the user's body By pressing the variable clip 62 can be positioned up or dow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llar 61.

그리고, 핸드폰(1)의 핸즈프리사용을 해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핸드폰(1)에 결합되어 있는 접합콘넥터(63)를 분리하고, 상기 핸드폰접속구(2)에 결합되어 있던 핸즈프리접합구(58)를 분리한 후에, 상기 접합콘넥터(63)를 접속콘넥터(59)에 삽입하여 이동식 핸즈프리장치(5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가변클립(62)과 함께 장식품으로 목에 걸고 다닐 수 있게 되며, 핸드폰(1)의 이어폰잭홀(3)에서 빼내어진 이어폰잭(54, 54')은 상기 가변클립(62, 62')에 형성되어 있는 이어폰잭홀(62b)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켜 사용자가 걸어다닐 때에 이어폰잭(54, 54')과 마이크(53, 53')가 덜렁거리지 않도록 한다.When the hands-free use of the mobile phone 1 is to be terminated, the connection connector 63 coupled to the mobile phone 1 is disconnected, and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58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or 2 is removed. After the separation, by inserting the junction connector 63 into the connection connector 59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bile hands-free device 50 to be able to hang around the neck as an ornament with the variable clip 62, The earphone jacks 54 and 54 'pulled out from the earphone jack hole 3 of the mobile phone 1 are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s 62b formed in the variable clips 62 and 62' to fix the position and the user walks. The earphone jacks 54 and 54 'and the microphones 53 and 53' do not stray when carrying.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접속구의 모양 및 형상이 다른 핸드폰에 대하여 간단하게 구성되는 연결콘넥터만 교체하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continue to use the existing mobile hands-free device by simply replacing the connection connector that is simply configured for the mobile phone different in shape and shape of the mobile phone connector, this is shown in Figure 7 to Fig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8 as follows.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2)와 이어폰잭홀(3)을 구비한 핸드폰(1)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핸드폰접속구(2)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콘넥터접합구(81)가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콘넥터(80)를 구성하고, 상기 콘넥터접합구(81)의 후방으로는 록커(60)등의 가변클립(62)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합콘넥터(63)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접속콘넥터버튼(83a)을 구비하고 있는 접속콘넥터(83)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콘넥터(80)의 타측에는 콘넥터접속구(82)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콘넥터접합구(81)와 상기 콘넥터접속구(82)와의 각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연결수단을 구비한다.Comprising a mobile hands-free device tha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phone (2) and a mobile phone (1) having an earphone jack hole (3) including a voice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2) A connector connector (81) for connecting to a power terminal constitutes a connector (80) provided at one side, and behind the connector connector (81) integrally with a variable clip (62), such as a locker (60). A connecting connector 83 is formed by accommodating the formed connecting connector 63 and includes a connecting connector button 83a having a fixed position. A connector connector 8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connector 80. And, therein is provided with a terminal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connector junction port 81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 82.

이때, 상기 단자연결수단은 각각의 단자를 선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생산성 및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에 각각의 단자를 연결하는 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terminal connecting means may be connected to each terminal by a line, but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workability,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ircuit connecting the respective terminals therein.

그리고, 핸즈프리본체(71)에는 상기 연결콘넥터(80)를 수납하는 연결콘넥터수납구(79)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콘넥터(80)가 상기 연결콘넥터수납구(7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넥터접속구(82)에 결합되는 핸즈프리접합구(78)을 구성하여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가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72)와, 이어폰선(75)을 수납하는 이어폰선수납구(56)를 일체로 구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핸즈프리접합구(78)를 통해 상기 핸드폰(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상기 핸드폰(1)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72) 또는 마이크(73)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을 일체로 구성한다.The hands-free main body 71 has a connector connector 79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or 80, and the connector connector 8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connector 79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connector 8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connector 79. 82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hands-free splicing 78 coupled to the voice terminal or the power terminal, the speaker 72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to the voice, and the earphone player outlet for accommodating the earphone line 75 ( 56 is integrally formed, and therei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mobile phone 1 through the hands-free splicing 78 to be drive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 and the other end of the speaker 72 or It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73 and integrally constitutes circuit mean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voice signals.

그리고, 상기 이어폰선(75)의 단부에는 상기 핸드폰(1)의 이어폰잭홀(3)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이어폰잭(74)을 연결하고, 상기 이어폰잭(74)의 하단에는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73)를 위치시키되 상기 이어폰선(75)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an earphone jack 74 is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hole 3 of the mobile phone 1 to an end of the earphone line 75 to connect a voice signal, and a voice i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earphone jack 74. Positioning the microphone 73 for switching to the voice signal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earphone line (75).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70)에서, 상기 핸드폰(1)과 상기 회로기판과의 음성신호 연결을 핸드폰(1)에 형성된 이어폰잭삽입홀(3)과 상기 이어폰잭(74)을 통해서 연결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핸드폰접속구(2)와 상기 콘넥터접합구(81) 및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서 연결할 수 있다.In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1 and the circuit board is connected through the earphone jack insertion hole 3 and the earphone jack 74 formed in the mobile phone 1. It may be connected, or through the mobile phone connector 2 and the connector connector 81 and the hands-free connector.

또한, 상기 록커(60)의 가변클립(62)에는 목걸이줄(61)을 조절하는 클립버튼(62a) 주변에 이어폰잭홀(62b)을 더 부가하여 구성하여, 상기 이어폰잭(74)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콘넥터접합구(81)에는, 상기 핸드폰접속구(2)와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핸드폰록커(81a)와 핸드폰록커버튼(81b)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ariable clip 62 of the locker 60 is configured by further adding an earphone jack hole 62b around the clip button 62a for adjusting the collar 61 to insert the earphone jack 74.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that the connector splice 8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ell phone locker (81a) and a cell phone locker button (81b) in order to fix the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cell phone connector (2).

이때, 상기 접합콘넥터(63)와 상기 접속콘넥터(83)은 도 9 에서와 같이 그 위치가 서로 바뀌게 록커(60')에 접속콘넥터버튼(63a')이 구비된 접속콘넥터(63')를 구성하고, 연결컨넥터(80')에 접합콘넥터(83')를 구성하여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junction connector 63 and the connection connector 83 constitutes a connection connector 63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nnector button 63a' on the locker 60 'such that the positions thereof ar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In addition, even when the junction connector 83 'is configured on the connection connector 80', the operation and effect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핸즈프리본체(71, 71')에는,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72, 72')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키(77b, 77b')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1)에 통화신호를 제공하는 통화키(77a, 77a')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s-free body 71, 71 ′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volume keys 77b, 77b ′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to adjust the volume of the speakers 72, 72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all key (77a, 77a ') is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providing a call signal to the mobile phone (1).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70, 7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의 핸드폰(1)의 핸드폰접속구(2)에 형성된 각각의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 등에 대응하여 핸즈프리장치(70, 70')의 핸즈프리접합구(78) 각 단자에 바르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컨넥터(80, 80')를 핸즈프리장치본체(71, 71')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컨넥터수납구(79)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콘넥터접속구(82)와 상기 핸즈프리접합구(78)를 결합시킨다.Referr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mobile hands-free device 70,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ands-free device 70, corresponding to each voice terminal or power terminal formed in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2 of the user's mobile phone (1) 70 ') hands-free splice 78 of the connector (80, 80') is configured to properly connect to each terminal of the hands-free device main body 71, 71 ' The connector connector 82 and the hands free splice 78 are coupled.

이때, 만약 사용하고 있던 핸드폰(1)을 핸드폰접속구(2)가 다른 핸드폰으로 변경한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연결콘넥터를 제거하고, 변경된 상기 핸드폰접속구(2)에 대응되는 콘넥터접합구(81, 81')를 갖으며, 각각의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를 새로운 핸드폰의 핸드폰접속구와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이동식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접합구와 각 단자가 대응되게 연결하는 연결회로가 구비된 새로운 연결콘넥터를 상기 연결콘넥터수납구(79)에 삽입하여 사용하면 된다.In this case, if the cellular phone 1 used is changed to another cellular phone, the cellular phone connector 2 is removed from the existing connector and the connector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cellular phone connector 2 is removed. 81, 81 '), and a new connection connector with a connection circuit for connecting each voice terminal or power terminal with a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of a new mobile phone and a handsfree connection port of a mobile handsfree device that has been used previously. It may be used by inserting into the connecting connector storage port (79).

그리고, 핸드폰(1)과의 연결은 핸드폰접속구(2)에 콘넥터접합구(81, 81')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이어폰잭(74, 74')을 상기 핸드폰(1)에 형성된 이어폰잭홀(3)에 삽입하여 연결하며, 접속콘넥터(83)에는 록커(60) 등의 가변클립(62)에 형성되어 있는 접합콘넥터(63)를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면 되며, 연결을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이동식 핸즈프리장에서와 동일하게 해지하여 사용하면 된다.And,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1) by inserting the connector connector (81, 81 ') into the mobile phone connector (2), and connect the earphone jack (74, 74') earphone jack hole formed in the mobile phone (1) 3) to insert and connect, connecting connector 83 is fixed to the position by inserting the bonding connector 63 formed in the variable clip 62, such as locker 60, if you want to terminate the connection It can be used after canceling the same as in the portable hands-free field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시 핸즈프리장치는 록커 등에 형성되는 위치고정수단에 핸드폰이 연결되고, 상기 핸드폰에 이동식 핸즈프리장치가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이동하면서 핸드폰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핸드폰의 전원을 사용하여 음성신호의 증폭 또는 잡음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수단을 구동시킴으로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Hands free device when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a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fixing means formed on the locker, and the mobile hands-free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o enable the call of the mobile phone while moving, By using the power supply to drive the circuit means for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amplification or noise reduction of the voice signal has the effect of not using the earphone.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접속구의 형상 또는 모양이 다른 핸드폰에 대하여도 핸드폰접속구와 결합하는 최소한의 부분인 연결콘넥터만 교체하고 핸즈프리본체는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hands-free body can be used continuously and replace only the connection connector that is a minimum part that is combined with the mobile phone connector even for a different mobile phone connector shape or shape.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 또는 이동시 핸즈프리장치를 록커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또는 사용상태에 따라서 목걸이줄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connecting a mobile phone or hands-free device to a locker, etc., the length of the necklace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or the use state.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핸즈프리장치가 록커 등의 가변클립에 고정되는 장식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removable hands-free device can be utilized for decoration that is fixed to a variable clip such as a rocker.

Claims (32)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를 구비한 핸드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In the hands-free device used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including a voice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상기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A hands-free splicer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and connected to a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Position fixing means for receiving a position fixing connector of the outside position is fixed; 음성신호와 음성을 전환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및A speaker and a microphone for switching between a voice signal and a voice; And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상기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A circuit means for receiving and driving power from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r the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Removable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목걸이줄과, 상기 목걸이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클립버튼을 구비하는 가변클립을 포함하는 넥커에 있어서, 상기 가변클립의 하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neckband and a variable clip including a variable clip having a clip butt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llar,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riable clip.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핸즈프리접합구에는, 상기 핸드폰접속구와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핸드폰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hands-free splic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mobile phone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핸드폰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핸드폰접속구에 삽입되어 걸쳐지는 핸드폰록커; 및 상기 핸드폰록커를 회동시켜 상기 핸드폰접속구와의 걸침을 해지하는 핸드폰록커버튼;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cell phone position fixing means includes a cell phone lock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cell phone connector; And a cell phone locker button that rotates the cell phone locker to terminate the step with the cell phone connection port. Mobile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합콘넥터이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접합콘넥터를 수용하여 고정하며, 고정 해지를 위한 접속콘넥터버튼이 구비된 접속콘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bonding connector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a 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bonding connector, the connection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nnector button for releas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합콘넥터이고,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상기 접합콘넥터를 수용하여 고정하며, 고정 해지를 위한 접속콘넥터버튼이 구비된 접속콘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means is a bonding connector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 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connector butt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bonding connector, the fixed releas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And a volume key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에 통화신호를 제공하는 통화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And a call key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providing a call signal to the mobile phone.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와 이어폰잭홀을 구비한 핸드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In the hands-free device tha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mobile phone port including a voice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and a mobile phone having an earphone jack hole, 상기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A hands-free splicer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and connected to a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Position fixing means for receiving a position fixing connector of the outside position is fixed;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A speaker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voice; 이어폰선을 수납하는 이어폰선수납구;Earphone player outlet for accommodating earphone wires; 상기 이어폰선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잭홀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이어폰잭;An earphone jack connected to an end of the earphone line and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 to connect a voice signal; 상기 이어폰잭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어폰선에 고정되어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 및A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the earphone line so as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arphone jack and converts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상기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A circuit means for receiving and driving power from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r the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Removable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목걸이줄과, 상기 목걸이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클립버튼을 구비하는 가변클립을 포함하는 넥커에 있어서, 상기 가변클립의 하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neckband and a variable clip including a variable clip having a clip butt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llar,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riable clip.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가변클립에 상기 이어폰잭이 삽입되는 이어폰잭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And a earphone jack hole into which the earphone jack is inserted into the variable clip.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핸드폰과의 음성신호 연결을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voice sign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ands-free splicing.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핸드폰과의 음성신호 연결을 상기 이어폰잭을 통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voice sign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earphone jack.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핸즈프리접합구에는, 상기 핸드폰접속구와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핸드폰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hands-free splic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mobile phone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핸드폰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핸드폰접속구에 삽입되어 걸쳐지는 핸드폰록커와; 상기 핸드폰록커를 회동시켜 상기 핸드폰접속구와의 걸침을 해지하는 핸드폰록커버튼;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cell phone position fixing means includes a cell phone lock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cell phone connector; A mobile phone locker button which rotates the mobile phone locker to cancel the step with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Mobile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합콘넥터이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접합콘넥터를 수용하여 고정하며, 고정 해지를 위한 접속콘넥터버튼이 구비된 접속콘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bonding connector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a 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bonding connector, the connection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nnector button for release.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합콘넥터이고,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상기 접합콘넥터를 수용하여 고정하며, 고정 해지를 위한 접속콘넥터버튼이 구비된 접속콘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means is a bonding connector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 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connector butt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bonding connector, the fixed release.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And a volume key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에 통화신호를 제공하는 통화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And a call key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providing a call signal to the mobile phone. 음성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핸드폰접속구와 이어폰잭홀을 구비한 핸드폰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In the hands-free device tha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mobile phone port including a voice terminal and a power terminal and a mobile phone having an earphone jack hole, 상기 핸드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콘넥터접합구와, 외부의 위치고정콘넥터를 수납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고정수단과, 타측에는 구비되는 콘넥터접속구와, 내부에 상기 핸즈폰접속구와 상기 콘넥터접합부의 각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연결수단이 구비된 연결콘넥터;A connector connector which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or and connects to a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a position fixing means for receiving a position fixing connector externally and having a fixed position, a connector connect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handphone connector inside A connecting connector provided with terminal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each terminal of the connector joint; 상기 연결콘넥터를 수납하는 연결콘넥터수납구;A connection connector receiving port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connector; 상기 콘넥터접속구에 결합되어 음성단자 또는 전원단자와 연결하는 핸즈프리접합구;A hands-free splice coupled to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 and connected to a voice terminal or a power terminal;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스피커;A speaker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voice; 이어폰선을 수납하는 이어폰선수납구;Earphone player outlet for accommodating earphone wires; 상기 이어폰선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잭홀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를 연결하는 이어폰잭;An earphone jack connected to an end of the earphone line and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hole to connect a voice signal; 상기 이어폰잭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어폰선에 고정되어 음성을 음성신호로 전환하는 마이크; 및A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the earphone line so as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arphone jack and converts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상기 핸즈프리접합구를 통해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일단은 상기 핸드폰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가공하고 제어하는 회로수단;A circuit means for receiving and driving power from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hands-free connection po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r the microphone to process and control a voice signal;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Removable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목걸이줄과, 상기 목걸이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클립버튼을 구비하는 가변클립을 포함하는 넥커에 있어서, 상기 가변클립의 하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neckband and a variable clip including a variable clip having a clip butt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llar,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riable clip.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가변클립에 상기 이어폰잭이 삽입되는 이어폰잭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And a earphone jack hole into which the earphone jack is inserted into the variable clip.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핸드폰과의 음성신호 연결을 상기 콘넥터접합구를 통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Mobile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voice sign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connector.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핸드폰과의 음성신호 연결을 상기 이어폰잭을 통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voice sign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earphone jack.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콘넥터접합구에는, 상기 핸드폰접속구와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핸드폰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connector splic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mobile phone position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핸드폰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콘넥터접속구에 삽입되어 걸쳐지는 핸드폰록커와; 상기 핸드폰록커를 회동시켜 상기 핸드폰접속구와의 걸침을 해지하는 핸드폰록커버튼;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mobile phone position fixing means includes a mobile phone lock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connector; A mobile phone locker button which rotates the mobile phone locker to cancel the step with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 Mobile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합콘넥터이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접합콘넥터를 수용하여 고정하며, 고정 해지를 위한 접속콘넥터버튼이 구비된 접속콘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bonding connector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 the position fixing means is a 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bonding connector, the connection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nnector button for release.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합콘넥터이고, 상기 위치고정콘넥터는 상기 접합콘넥터를 수용하여 고정하며, 고정 해지를 위한 접속콘넥터버튼이 구비된 접속콘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position fixing means is a bonding connector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 the position fixing connector is a mobil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connector butt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bonding connector, the fixed release.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And a volume key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회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에 통화신호를 제공하는 통화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And a call key connected to the circuit means for providing a call signal to the mobile phone.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연결콘넥터수납구에는, 상기 연결콘넥터의 수납위치를 고정하는 연결콘넥터록커와 상기 연결콘넥터록커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connection connector receiving port, the mobile hands free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connector locker for fixing the storage position of the connection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connector locker button.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or 21, 상기 연결콘넥터의 단자연결수단은, 내부에 연결회로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핸즈프리장치.The terminal connecting means of the connection connector, a mobile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nnection circuit therein.
KR1020000062280A 2000-10-23 2000-10-23 Movable handsfree system KR100356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280A KR100356607B1 (en) 2000-10-23 2000-10-23 Movable handsfre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280A KR100356607B1 (en) 2000-10-23 2000-10-23 Movable handsfree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55U Division KR200226252Y1 (en) 2000-10-23 2000-10-23 Movable handsfre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679A KR20020031679A (en) 2002-05-03
KR100356607B1 true KR100356607B1 (en) 2002-10-18

Family

ID=1969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280A KR100356607B1 (en) 2000-10-23 2000-10-23 Movable handsfre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60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679A (en)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179B2 (en) No-cable stereo handsfree accessory
US8265324B2 (en) Stereo headset with integrated earpiece mount
US20050288067A1 (en) Incoming call alert adapter for mobile devices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100356607B1 (en) Movable handsfree system
KR200226252Y1 (en) Movable handsfree system
KR200247574Y1 (en) Speaker-phone as accessory adhering on hand-phone
JP2010273108A (en) Head set
JP3142369U (en) Communication device for helmet
FI121908B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e use of a mobile phone for hearing impaired
KR200363213Y1 (en) Necklace-shaped ear mike
JP2002084347A (en) Earphone microphone for portable telephone set
KR200221529Y1 (en) A device of handfree earmic for couple
KR200204514Y1 (en)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KR200229982Y1 (en) A hands free kit set for mobile phone
KR200315210Y1 (en) necklace-shaped ear mike
KR200266277Y1 (en) Handfree necklace for cellular phone have radio
KR200235521Y1 (en) Cellular Phone and Handsfree Assembly with External Sound and Control Terminal
KR200355990Y1 (en) Transceiver headset apparatus
KR200180375Y1 (en) Pendant type hands-free
KR200321466Y1 (en) Connection Module of Stereo Earphone Set for Mobile Phone
KR200223514Y1 (en) Glasses frame with attached wire/wireless hands-free for mobile phone
KR200318746Y1 (en) Connection Wire and Module of Stereo Earphone Set for Mobile Phone
KR100395448B1 (en) Connecter for cellular phone
KR200226251Y1 (en) Connecter for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