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14Y1 -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514Y1
KR200204514Y1 KR2020000018774U KR20000018774U KR200204514Y1 KR 200204514 Y1 KR200204514 Y1 KR 200204514Y1 KR 2020000018774 U KR2020000018774 U KR 2020000018774U KR 20000018774 U KR20000018774 U KR 20000018774U KR 200204514 Y1 KR200204514 Y1 KR 200204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eaker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7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기
Original Assignee
삼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14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는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각각을 종단에 연결된 플러그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과 마이크신호선 및 접지선을 포함하며, 거치상태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개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마이크 유닛과,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부를 구비한다. 핸즈프리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증폭회로부에 의해 증폭한 다음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부를 상기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hands-free device for call assist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as an earphone type and a vehicle type.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signal line, a microphone signal line, and a ground line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peaker terminal and a microphone unit, and a plug terminal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speaker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And a speaker microphone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udio signal line according to the mounting state, a holder for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and an amplification circuit unit for amplifying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hands-free device simultaneously moun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on the cradle, the hands-free device amplifies the out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amplifying circuit unit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speaker unit. When separated from the cradle,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as it is.

Description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can be used as earphone type and vehicle type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본 고안은 셀룰러폰, 피시에스폰(PCS Phone), IMT-2000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를 가능하게 보조해주는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형 핸즈프리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한 복합기능형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for supporting a call without a user's hand by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an IMT-2000, or the like, and more specifically, a mobi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ands-free device that can be used as an earphone-type hands-free device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cradle as well as a vehicle-type hands-free device which can be used by moun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peaker on a holder.

차량을 운전하는 동안에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해야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이때, 다른 통화 보조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직접 손으로 들고 통화를 하는 것은 교통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을 높여준다. 그래서 운전 중에도 안전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를 직접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를 가능하게 보조해주는 이른바 핸즈프리 장치들이 다양하게 상품화되고 있다.While driving a vehicle, it is often necessary to make a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making a cal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hand without using another call assistance device increases the risk of causing a traffic accident. Therefore, in order to enable safe communication while driving, so-called hands-free devices for assisting the call without having to directly hol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been commercialized in various ways.

핸즈프리 장치의 초기 모델들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단에 마련된 접속단자를 통해 인터페이싱을 형성하는 방식을 주로 따랐다. 그런데, 상기 접속단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사별로 그 신호구성방식이나 단자의 레이아웃이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던 핸즈프리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별로 그 적용성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었다.Early models of hands-free devices mainly followed the method of forming the interface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the connection terminal does not have the same signal configuration or layout of terminals for each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existing hands-free device has a lot of restrictions in the applicability of each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 잭(120)을 통해 인터페이싱을 형성하는 방식의 핸즈프리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본 고안도 이러한 방식을 따른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recently, hands-free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to form an interface through the earphone jack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follows this manner.

종래에 알려진 핸즈프리 장치들은 상당히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중 단순한 구성의 핸즈프리장치로는 귓속삽입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장치는 이어폰을 귀에 꽂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접속한 플러그를 통해 오디오신호를 청취하고 마이크를 입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의 핸즈프리장치 이다. 이 핸즈프리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대를 별도로 갖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공간이 반드시 차량 내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목걸이와 함께 일체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를 목에 걸고서 이어폰을 귀에 꽂아 핸즈프리방식으로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핸즈프리장치는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항상 이어폰을 귀에 꽂아야 한다는 점 때문에 차량의 운전중일 때는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즉, 운전 중에 항상 이어폰을 귀에 꽂고 있던지, 아니면 신호가 착신되었을 때 이어폰을 귀에 꽂는 행위를 취해야 하는데, 전자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볼 때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며 후자는 이어폰을 귀에 꽂는 행위가 안전 운전을 방해한다.There are a wide variety of hands-free devices known in the art. Among them, a hands-free devic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may include an in-ear earphone type hands-free device. This device is a hands-free device configured to listen to audio signals and place microphones near the mouth through a plug that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ands free device does not have a stan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use spac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vehicle, bu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necklace, for example, so that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in a hands-free manner by putting the earphone on his or her ear. However, this hands-free device has various inconveniences when the vehicle is being driven because the earphone must always be plugged into the ear to make a call. In other words, you should always put your earphones in your ears while driving or when you receive a signal, the former is not inconvenient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and the latter will prevent you from driving safely. do.

또 다른 종류로서 차량형 핸즈프리장치가 있다. 이 차량형 핸즈프리 장치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고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한다. 거치대는 차량 안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거치대에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가 설치되며, 사용자는 이들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통화를 하게 된다. 심지어 충전기능까지를 갖는 다소 복잡한 구성의 차량형 핸즈프리장치도 있다. 그러나 차량형 핸즈프리장치는 거치대가 갖는 부피 때문에 휴대성은 거의 없다는 점과 스피커나 마이크가 거치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휴대형 핸즈프리장치로는 사용할 수 없고 차량용으로만 한정적으로 사용된다.Another kind is a vehicle-type hands-free device. The vehicle-type hands-free device is basically provided with a cradle for fixedly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radle is installed in the proper position in the vehicle. The cradle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the user makes a call at a distance from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There is even a more complex vehicle-type hands-free device with charging capability. However, the vehicle-type hands-free device is not portable due to the volume of the cradle and because the speaker or microphon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radle, it cannot be used as a portable hands-free device and is used only for a vehicle.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거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하면서 이어폰형 핸즈프리로도 사용이 가능하면서 절전기능을 갖는 복합기능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s a vehicle hands-free device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to the cradle, but also can be used as an earphone-type hands-free while carrying it separately from the cradle while saving pow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hands-free device having a.

도 1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1 shows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of a hands 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상세한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2 shows a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hands 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거치대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radle of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장착한 실제 사용상태도 이다.4 is an actual use state diagram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5b, 5c는 와이어 타입 스피커부의 측단면도와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도 5d는 붐타입(boom type) 스피커부의 측단면도이다.5A, 5B, and 5C show a side cross-sectional view,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respectively, of a wire type speaker portion, and FIG. 5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oom type speaker por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증폭부 20: 스피커부10: amplification unit 20: speaker unit

30: 전원부 40: 플러그부30: power supply portion 40: plug portion

50: 증폭회로부 60: 스피커-마이크 유닛50: amplification circuit unit 60: speaker microphone unit

100: 이동통신단말기 120: 이어폰잭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earphone jack

200: 거치대 210: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부200: holder 2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230: LED 240: 그릴 홀더(grill holder)230: LED 240: grill holder

220: 스피커 거치부 330: 마이크로폰220: speaker mounting portion 330: microphone

350: 스피커350: speak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각각을 종단에 연결된 플러그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과 마이크신호선 및 접지선을 포함하며, 거치상태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개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마이크 유닛;And a speaker, a microphone, and an audio signal line, a microphone signal line, and a ground line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plug terminal connected to each of the speaker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A speaker-microphone unit configured to adjust an opening;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각각 거치 하기 위한 거치대; 및A cradle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and a speaker, respectively; And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부를 구비하여,An amplification circuit unit for amplifying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증폭회로부에 의해 증폭한 다음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부를 상기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are mounted on the holder at the same time, the out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mplified by the amplifying circuit unit and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unit are separated from the holder. In one case, a hands-free device is provided, wherein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as it is.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는 귀에 삽입될 수 있는 구경을 갖는 제1 덮개와 상기 제1 덮개보다 더 큰 구경을 갖는 제2 덮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덮개부의 안에 스피커가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Preferably, the speak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eaker is built into the cover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ver having a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and the second cove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cov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Has

또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의 바람직한 구성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의 제1마이크신호단자, 제1오디오신호단자 및 제1접지단자와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마이크신호단자, 제2오디오신호단자 및 제2접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마이크신호단자, 제2오디오신호단자 및 제2접지단자는 상기 마이크신호선, 상기 오디오신호선 및 상기 접지선의 종단과 각각 연결되는 플러그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주는 스피커부와, 음성을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마이크로폰부와,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오디오신호의 상기 스피커부에 대한 입력을 단속(斷續)하기 위한 스위치부(S4)와,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제2오디오신호단자(40a)와 상기 스위치부(S4)의 한쪽 단자 사이의 오디오신호선(45a)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 되는 제 1접속단자(S1b)와,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스피커부의 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부(S4)의 타단 사이의 오디오신호선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되는 제2접속단자(S2b)를 구비한다.In addition, as a preferable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peaker-microphone unit, the second microphone signal terminal, the second audio signal terminal for connecting the first microphone signal terminal, the first audio signal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A signal terminal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wherein the second microphone signal terminal, the second audio signal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to ends of the microphone signal line, the audio signal line, and the ground line, respectively; A speaker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voice, a microphone unit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into an audio signal and providing the audio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witch unit S4 for intermittent input to the speaker unit and two conductive terminals, one of which is the seco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S1b connected to the audio signal line 45a between the audio signal terminal 40a and one terminal of the switch unit S4 and the other grounded, and two conductive terminals, One has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connected to an audio signal line between an input end of the speaker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switch unit S4 and the other grounded.

나아가, 상기 증폭회로부의 바람직한 구성예로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만 닫혀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증폭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칭부(S3)와, 상기 증폭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S1b) 및 제2접속단자(S2b)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상기 증폭부를 거쳐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Furthermore, as a preferable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amplifying circuit unit,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n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s a driving power source, and locat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amplifying unit, It is closed on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are mounted at the same time, and is connected to a switching unit S3 for supplying power to the amplify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ying unit, and the speaker mounted on the cradle. In this case,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S1a and the fourth connection terminal S1b and the fourth connection terminal S1b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to provide the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peaker unit via the amplification unit. It h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connection terminal S2a.

상기 마이크로폰부는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스피커부를 잇는 와이어 외피 상에 배치되는 와이어타입 마이크로폰이나, 다른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스피커부를 잇는 와이어 외피와는 별도의 와이어 외피로서,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귀와 입 사이의 길이만큼 연장되되 형상 유지성과 휘임성을 동시에 갖는 와이어 외피의 종단에 연결되며 붐타입(boom type) 마이크로폰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crophone portion is a wire-type microphone disposed on a wire shell connecting the plug portion and the speaker portion, or in another form, a wire shell separate from the wire shell connecting the plug portion and the speaker portion, between the ear portion and the mouth. It extends by the length of bu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sheath having shape retention and flexibility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constitute a boom type (boom type) microphone.

본 고안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을 예시하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the feature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는 크게 구분하면 스피커-마이크 유닛(60)과, 거치대(200), 그리고 증폭회로부(50)로 구성된다.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speaker-microphone unit 60, the cradle 200, and the amplification circuit unit 50.

도 1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상세한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의 거치대(20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shows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of a hands 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of a hands 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lder 200 of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거치대(200)는 차량의 실내에 앞좌석 앞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수단이다. 거치대(200)는 스피커부(350)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스피커거치부(220)와 단말기거치부(210)를 갖는 일체형 케이스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케이스의 배면에는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그릴 홀더(240)가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전원부(V)의 상태를 나타내는 LED(230)가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다.The cradle 2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front seat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is a means for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respectively. The cradle 200 is formed of an integrated case having a speaker mounting unit 220 and a terminal mounting unit 210 for mounting the speaker unit 35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spectively. And the back of this case is provided with the grill holder 240 for fixing to a vehicle. In addition, an LED 230 indicating the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V is installed outside the case.

스피커-마이크 유닛(60)은 스피커부(350)와 마이크로폰부(330) 그리고 이들 스피커부(350)와 마이크로폰부(330) 각각을 한쪽 끝에 연결된 플러그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45a)과 마이크신호선(45b) 및 접지선(45c)을 포함하며, 거치상태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개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The speaker-microphone unit 60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peaker terminal 350 and a microphone unit 330 and a plug terminal connected to each of the speaker unit 350 and the microphone unit 330 at one end. And an audio signal line 45a, a microphone signal line 45b, and a ground line 45c, and are configured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udio signal line according to the mounting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60)은 플러그부(40), 스피커부(350), 마이크로폰부(350), 스위치부(S4), 제1접속단자(S1b) 그리고 제2접속단자(S2b)를 구비한다.More specifically, the speaker-microphone unit 60 includes a plug portion 40, a speaker portion 350, a microphone portion 350, a switch portion S4, a first connection terminal S1b,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 S2b).

플러그부(4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이어폰 잭(120)의 제1마이크신호단자(비도시), 제1오디오신호단자(비도시) 및 제1접지단자(비도시)와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마이크신호단자(40b), 제2오디오신호단자(40a) 및 제2접지단자(40c)를 구비한다. 상기 제2마이크신호단자(40b), 제2오디오신호단자(40a) 및 제2접지단자(40c)는 상기 마이크신호선(45b), 상기 오디오신호선(45a) 및 상기 접지선(45c)의 종단과 각각 연결된다.The plug part 40 is a first microphone signal terminal (not shown), a first audio signal terminal (not shown) and a first ground terminal (not shown) of the earphone jack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spectively; A second microphone signal terminal 40b, a second audio signal terminal 40a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40c are provided. The second microphone signal terminal 40b, the second audio signal terminal 40a,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40c are terminated with the microphone signal line 45b, the audio signal line 45a, and the ground line 45c, respectively. Connected.

스피커부(350)는 입력단의 일측은 접지 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준다.The speaker unit 350 is configured to receive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one side of the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verts the audio signal into voice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스피커부(350)의 구조는 도 5a, 5b, 5c 및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 5b, 5c는 와이어 타입(wire type) 스피커의 측단면도와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도 5d는 붐타입(boom type) 스피커의 측단면도이다. 와이어타입이나 붐타입이나 스피커부(350)는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작은 구경을 갖는 제1 덮개(370)와 상기 제1 덮개(370)보다 훨씬 더 큰 구경(대략 지름이 20mm 정도)을 갖는 제2 덮개(36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덮개부를 구비하고 이 덮개부 안에 스피커(380)가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 스피커(380)는 스위치(S4)를 통해 오디오신호선(45a)과 연결됨과 동시에 증폭회로(50)와 접속하는 접속단자(S2b)에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45d)에도 연결된다.The structure of the speaker unit 350 is shown in FIGS. 5A, 5B, 5C and 5D. 5A, 5B, and 5C show a side cross-sectional view,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wire type speaker, respectively, and FIG. 5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oom type speaker. Wire type or boom type or speaker unit 350 has a first cover 370 having a small aper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and a much larger aperture (about 20 mm in diameter) than the first cover 370. The cover 36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360 is integrally formed while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peaker 380 is built in the cover. The speaker 380 is connected to the audio signal line 45a through the switch S4 and also to the audio signal line 45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S2b connected to the amplifying circuit 50.

스위치부(S4)는 상기 오디오신호선(45a)의 중간에 배치되어 스위칭동작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전해져오는 상기 오디오신호의 상기 스피커부(350)에 대한 입력을 단속(斷續)해준다. 특히, 스위치부(S4)는 그 스위치버튼이 스피커부(350)의 덮개부의 외면에 돌출 되도록 형성된다. 스피커부(350)를 거치대(200)의 스피커거치부(220)에 장착했을 때에는 열리게 된다. 그 결과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신호선(45d)을 통해서만 스피커(380)에 전해진다.The switch unit S4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audio signal line 45a to intermittently input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speaker unit 350 by a switching operation. . In particular, the switch unit S4 is formed such that the switch button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unit of the speaker unit 350. When the speaker unit 350 is mounted on the speaker mounting unit 220 of the holder 200, the speaker unit 350 is opened. As a result,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380 only through the audio signal line 45d.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화개시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5)의 스위치버튼이 제2덮개(36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witch button of the switch (S5) for 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all start mode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ver (360).

와이어타입 마이크로폰(330)은 상기 플러그부(40)와 상기 스피커부(350)를 잇는 와이어 외피(332) 상에 배치된다 (도 5a 참조).The wire type microphone 330 is disposed on the wire shell 332 connecting the plug portion 40 and the speaker portion 350 (see FIG. 5A).

붐타입 마이크로폰(340)은 상기 플러그부(40)와 상기 스피커부(350)를 잇는 와이어 외피(332)와는 별도의 와이어 외피로서, 상기 스피커부(350)로부터 귀와 입 사이의 길이만큼 연장되되 형상 유지성과 휘임성을 동시에 갖는 와이어 외피(334)의 종단에 연결된다.The boom type microphone 340 is a wire sheath separate from the wire sheath 332 connecting the plug portion 40 and the speaker portion 350, and extends from the speaker portion 350 by the length between the ear and the mouth.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sheath 334 having both retention and flexibility.

마이크로폰(330, 340)은 소형이면서 고성능의 마이크로폰을 채용한다. 통화자와의 거리가 3m 이내인 경우에는 통화자의 음성이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또렷하게 전달될 수 있다.The microphones 330 and 340 employ a compact and high performance microphone. When the distance to the caller is within 3m, the voice of the caller can be clearly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제1접속단자(S1b)와 제2접속단자(S2b)는 제2덮개부(360)의 외면의 소정의 위치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접속단자(S1b)와 제2접속단자(S2b)가 설치되는 위치는 스피커부(350)를 스피커거치대(220)에 장착하였을 때 스피커거치대(220)의 안쪽 내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3접속단자(S1a)와 제4접속단자(S2a)와 접속이 될 수 있는 위치이어야 한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S1b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are formed to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36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S1b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ar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third connection is form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peaker holder 220 is exposed when the speaker unit 350 is mounted on the speaker holder 220. It should be a position where the terminal S1a and the fourth connection terminal S2a can be connected.

제1접속단자(S1b)와 제2접속단자(S2b)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에 있어서, 제1접속단자(S1b)는 두 개의 전도성 판형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제2오디오신호단자(40a)와 상기 스위치부(S4)의 한쪽 단자 사이의 오디오신호선(45a)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된다. 또한, 제2접속단자(S2b)도 역시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스피커부의 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부(S4)의 타단 사이의 오디오신호선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된다.In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S1b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S1b includes two conductive plate-shaped terminals, one of which is the second audio signal terminal. It is connected to the audio signal line 45a between 40a and one terminal of the switch section S4, and the other is grounded.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also includes two conductive terminals,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an audio signal line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speaker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switch unit S4 and the other is grounded.

마이크로폰부(330)는 그 입력포트가 상기 마이크신호선(45b)과 접지선(45c)에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화개시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5)가 상기 마이크로폰부(300)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마이크신호선(45b)과 접지선(45c) 사이에 결합된다. 나아가,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4)와 다이오드(D1)로 구성된 노이즈제거회로가 상기 마이크신호선(45b)과 접지선(45c) 사이에 상기 스위치(S5)와 병렬로 결합된다. 노이즈제거회로는 마이크로폰부(330)에서 출력되는 마이크신호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달되기 전에 그 속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준다.The microphone 330 has an input port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ignal line 45b and the ground line 45c to convert a voice of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n audio signal and provide the audio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a switch S5 for 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all initiation mode is coupled between the microphone signal line 45b and the ground line 45c connected to the input port of the microphone unit 300. Furthermore, a noise canceling circuit composed of a capacitor C4 and a diode D1 connected in parallel i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 S5 between the microphone signal line 45b and the ground line 45c. The noise removing circuit removes the noise included therein before the microphon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unit 33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증폭회로부(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0)를 거치대(200)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부(350)로 제공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0)를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amplification circuit unit 50 simultaneously moun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peaker unit 350 to the holder 200, amplifies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provide the speaker unit 35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peaker unit 350 are separated from the cradle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peaker unit 350 are configured to provide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peaker uni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회로부(50)는 전원부(V), 증폭부(10), 스위칭부(S3) 및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amplifying circuit unit 5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V, an amplifying unit 10, a switching unit S3, a third connection terminal S1a, and a fourth connection terminal S2a.

증폭부(10)는 상기 전원부(V)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이득율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한다.The amplifier 10 receives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y using the power supply unit V as a driving power and outputs the amplified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ain ratio.

스위칭부(S3)는 상기 전원부(V)와 상기 증폭부(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부(350)를 상기 거치대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만 닫혀서 상기 전원부(V)의 전원이 상기 증폭부(10)에 공급되도록 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부(S3)는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S3a, S3b)로 구성된다. 스위치(S3b)와 스위치(S3a)는 상기 스피커거치부(220) 및 단말기거치부(210)의 외면에 스위치버튼이 각각 돌출 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위치(S3b)는 상기 스피커부(350)가 스피커거치부(220)에 장착되었을 때 닫히고, 제거되었을 때는 열린다. 또한 스위치(S3a)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단말기거치부(210)에 장착되었을 때 닫히고 제거되었을 때는 열린다.The switching unit S3 is position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V and the amplification unit 10, and is closed on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unit 350 are simultaneously mounted on the holder. Allow power to be supplied to the amplifier 10. Specifically, the switching unit S3 is composed of two switches S3a and S3b connected in series. The switch S3b and the switch S3a are installed to protrude the switch buttons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speaker mounting unit 220 and the terminal mounting unit 210, respectively. Therefore, the switch S3b is closed when the speaker unit 350 is mounted to the speaker mounting unit 220 and is opened when it is removed. In addition, the switch S3a is clos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mounting unit 210 and is opened when it is removed.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는 각각 상기 증폭부(10)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스피커부(350)를 스피커거치부(220)에 거치한 경우에는 제3접속단자(S1a)는 상기 제1접속단자(S1b)와 연결되고, 제4접속단자(S2a)는 제2접속단자(S2b)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속이 형성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상기 증폭부(10)를 거쳐 상기 스피커부(350)로 제공된다. 상기 스피커부(350)가 스피커거치부(220)에 거치된 경우에는 또한, 스위치(S4)가 열리게 되므로 상기 스피커부(350)로 전달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항상 증폭기(10)에 의해 증폭처리를 거치게 된다.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S1a and the fourth connection terminal S2a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10. When the speaker unit 350 is mounted on the speaker mounting unit 220,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S1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S1b, and the fourth connection terminal S2a i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t is connected to (S2b). Therefore, when such a connection is made, the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350 via the amplification unit 10. When the speaker unit 350 is mounted on the speaker mounting unit 220, the switch S4 is opened, so that the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ted to the speaker unit 350 is always an amplifier 10. Is subjected to amplification.

상기 전원부(V)와 상기 증폭부(10)는 거치대(200)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는 상기 스피커거치부(220)의 안쪽 내면에 상기 제1접속단자(S1b)와 상기 제2접속단자(S2b)와 마주보면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The power supply unit V and the amplification unit 10 are embedded in a case 200, and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S1a and the fourth connection terminal S2a are formed on the inner inner surface of the speaker mounting unit 220.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S1b)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S2b)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exposure.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장착한 실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거치대(200)의 단말기거치부(210)에 올려놓으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무게에 의해 스위치(S3a)가 닫힌다. 또한, 마이크-스피커 유닛(60)의 스피커부(350)를 거치대(200)의 스피커거치부(220)에 장착하면 스위치(S3b)가 닫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스위치(S4)는 열리게 된다. 또한,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는 상기 제1접속단자(S1b)와 상기 제2접속단자(S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4 is an actual use state diagram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in a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laced on the terminal mounting unit 210 of the holder 200, the switch S3a is closed by the weigh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when the speaker unit 350 of the microphone-speaker unit 60 is mounted on the speaker mounting unit 220 of the holder 200, the switch S3b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switch S4 is opened. In addition,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S1a and the fourth connection terminal S2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S1b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0)를 거치대(200)에 동시에 거치한 상태에서는, 전원부(V)는 증폭부(10)의 전원공급단자에 연결되어 증폭부(10)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오디오신호선(45a)은 개방되고 플러그(40)의 오디오신호단자(40a)를 통해 전달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접속단자(S1)를 통해 증폭부(10)에 입력되어 증폭된 다음 접속단자(S2)를 거쳐 오디오신호선(45d)을 통해 스피커부(350)에 입력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0)가 거치대(200)에 동시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착신음이 울리면 사용자는 스위치(S5)를 눌러주므로써 통화가능모드로 전환하고, 그 후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증폭부(10)로 입력되어 증폭된 다음 스피커부(350)에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스피커부(350)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도 수신음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되어 본 고안의 장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peaker unit 350 are simultaneously mounted on the holder 200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unit V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amplifier unit 10 so that the amplifier unit 10 supplies power. The audio signal line 45a is opened and the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ted through the audio signal terminal 40a of the plug 40 is amplifi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S1. The amplified signal is amplified and input to the speaker unit 350 through the audio signal line 45d via the connection terminal S2.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peaker unit 350 are simultaneously mounted on the holder 200, when the incoming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ings, the user presses the switch S5 to make a call. After switching, the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put to the amplifying unit 10 and amplified and then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350,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a sound even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speaker unit 350 by a certain distance. Being able to listen accuratel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as a vehicle hands-free device.

한편,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는 귓속삽입용 이어폰형 핸즈프리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거치대(20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마이크-스피커 유닛(60)을 떼어내면, 이제는 스위치(S3a)와 스위치(S3b)는 열리게 되고, 접속단자(S1)와 접속단자(S2) 또한 연결이 끊어지게 되며, 스위치(S4)는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착신음이 울리면 사용자가 스위치(S5)를 한번 눌러주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통화모드로 전환되고, 스피커(350)의 제1 덮개(370) 부분을 귀속에 삽입하여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때, 플러그부(40)의 오디오신호단자(40a)를 통해 전달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는 증폭부(10)에는 제공되지 않고 오디오신호선(45a)을 통해서만 스피커부(350)에 제공된다. 결국, 오디오신호는 증폭되지 않은 상태로 스피커부(350)에 제공되므로 이어폰용으로 적절한 세기의 음성이 출력될 수 있어,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는 귓속삽입용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n earphone-type hands-free for the ear insertion, for this purpose, by remo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microphone-speaker unit 60 from the cradle 200, it is now a switch (S3a) The and switch S3b is opened, the connection terminal S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S2 are also disconnected, and the switch S4 is closed. In such a state, when the ringing tone rings,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S5 o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witched to the call mode, and the first cover 370 of the speaker 350 is inserted into the ear so that the call is possible. Become. At this time, the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at is transmitted through the audio signal terminal 40a of the plug unit 40 is not provided to the amplifying unit 10 and is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350 only through the audio signal line 45a. Is provided. As a result, since the audio signal is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350 without being amplified, a sound having an appropriate intensity can be output for the earphone, so that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arphone-type hands-free device for the ear insertion.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스피커부(35)를 거치대(200)에 장착하여 차량형 핸즈프리장치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하여 이어폰형 핸즈프리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장치이다. 종래에는 이어폰형이나 차량형 중 어느 하나로만 기능하는 핸즈프리장치 뿐이어서 두 가지 형태의 핸즈프리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하지만,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는 이를 하나만 구입하더라도 이어폰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차량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값싸고 편리한 핸즈프리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vehicle-type hands-free device by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peaker unit 35 to the holder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holder 200. It is a hands-free device with a complex function that can be used separately as an earphone-type hands-free device. Conventionally, only hands-free devices functioning as either an earphone type or a vehicle type have a burden of separately purchasing two types of hands-free devices. However,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arphone type or a vehicle type even if only one is purchased, so that the user can obtain a cheap and convenient hands-free device.

또한, 전원부(V)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부를 동시에 거치대(200)에 장착한 상태에서만 증폭부(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사용자가 실수로 마이크-스피커유닛(60)과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시에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방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즉 둘 중에 하나만 들고 나오더라도 전원공급은 차단되므로 전원부(V)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절전형으로 설계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unit V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amplification unit 10 on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unit are mounted on the holder 200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the user mistakenly mistakes the microphone-speaker unit 60 and the unit. Excep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eft in the state mounted on the cradle at the time, the power supply is cut off even if only one of them comes out, so it is designed to save pow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V). .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고안의 권리범위안에 속함을 밝혀둔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You can. Accordingly, all change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or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o be embraced within their scope.

Claims (10)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그리고 상기 스피커부와 마이크로폰부 각각을 종단에 연결된 플러그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오디오신호선과 마이크신호선 및 접지선을 포함하며, 거치상태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개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마이크 유닛;And a speaker, a microphone, and an audio signal line, a microphone signal line, and a ground line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plug terminal connected to each of the speaker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A speaker-microphone unit configured to adjust an opening; 이동통신단말기와 스피커를 각각 거치 하기 위한 거치대; 및A cradle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and a speaker, respectively; And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부를 구비하여,An amplification circuit unit for amplifying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증폭회로부에 의해 증폭한 다음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부를 상기 거치대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핸즈프리 장치.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are mounted on the holder at the same time, the outpu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mplified by the amplifying circuit unit and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unit are separated from the holder. In one case, th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peaker unit as it 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귀에 삽입될 수 있는 구경을 갖는 제1 덮개와 상기 제1 덮개보다 더 큰 구경을 갖는 제2 덮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덮개부의 안에 스피커가 내장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The speaker of claim 1, wherein the speaker includes a first cover having an aper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 ear and a second cover having a larger aperture than the first cov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Hands 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제1항 또는 제2항 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은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peaker-microphone unit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의 제1마이크신호단자, 제1오디오신호단자 및 제1접지단자와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마이크신호단자, 제2오디오신호단자 및 제2접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마이크신호단자, 제2오디오신호단자 및 제2접지단자는 상기 마이크신호선, 상기 오디오신호선 및 상기 접지선의 종단과 각각 연결되는 플러그부;And a second microphone signal terminal, a second audio signal terminal,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for connecting the first microphone signal terminal, the first audio signal terminal,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respectively, of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microphone signal terminal, a second audio signal terminal,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to ends of the microphone signal line, the audio signal line, and the ground lin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주는 스피커부;A speaker unit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voice and outputting the voice; 음성을 오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마이크로폰부;A microphone unit converting a voice into an audio signal and providing the voi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오디오신호선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오디오신호의 상기 스피커부에 대한 입력을 단속(斷續)하기 위한 스위치부(S4);A switch unit (S4)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audio signal line for intermittent input of the audio signal to the speaker unit;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제2오디오신호단자(40a)와 상기 스위치부(S4)의 한쪽 단자 사이의 오디오신호선(45a)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 되는 제1접속단자(S1b); 및Two conductive terminals,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an audio signal line 45a between the second audio signal terminal 40a and one terminal of the switch unit S4 and the other of which is grounded (S1b); And 두 개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스피커부의 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부(S4)의 타단 사이의 오디오신호선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되는 제2접속단자(S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It includes two conductive terminals,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udio signal line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speaker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switch unit (S4) and the other has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that is grounded Handsfree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회로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mplifying circuit unit 전원부;Power supply; 상기 전원부를 구동전원으로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 오디오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power supply unit as a driving power source; 상기 전원부와 상기 증폭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스피커를 동시에 거치한 경우에만 닫혀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증폭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칭부(S3); 및A switching unit (S3) position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amplification unit and closed on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are mounted at the same time so that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to the amplification unit; And 상기 증폭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를 상기 거치대에 거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S1b) 및 제2접속단자(S2b)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상기 증폭부를 거쳐 상기 스피커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It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amplification unit, and when the speaker is mounted on the cradl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S1b)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2b), respectively, to amplify the au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hird connection terminal (S1a) and a fourth connection terminal (S2a) which are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via a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제1거치부와 제2거치부를 일체형 케이스로 형성하며, 상기 전원부와 상기 증폭부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제3접속단자(S1a) 및 제4접속단자(S2a)는 상기 제1거치부의 외면에 상기 제1접속단자(S1b)와 상기 제2접속단자(S2b)와 마주보면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radle is formed of an integrated cas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speaker uni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pectively,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amplification unit is embedded in the case, The third connecting terminal S1a and the fourth connecting terminal S2a are installed to face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S1b and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S2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art. 상기 스위칭부(S3)는 상기 제1거치부 및 제2거치부의 외면에 각각 돌출 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거치 여부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는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S3a, S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The switching unit S3 is install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mounting unit and the second mounting unit, respectively, and two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on / off are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speaker uni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ounted. And S3b).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S4)는 상기 스피커부의 상기 덮개부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부를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할 때 열림 위치로 스위칭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witch part (S4) is formed to protrude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part of the speaker part and is switched to an open position when the speaker part is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부는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스피커부를 잇는 와이어 외피 상에 배치되는 와이어타입 마이크로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unit is a wire-type microphone disposed on a wire shell connecting the plug unit and the speaker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부는,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스피커부를 잇는 와이어 외피와는 별도의 와이어 외피로서,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귀와 입 사이의 길이만큼 연장되되 형상 유지성과 휘임성을 동시에 갖는 와이어 외피의 종단에 연결되며 붐타입(boom type) 마이크로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The wire sheath of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is a wire sheath that is separate from the wire sheath connecting the plug and the speaker, and extends from the speaker to a length between the ear and the mouth, and simultaneously has shape retention and flexibility.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oom type (boom type) micro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폰부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마이크신호선과 접지선 사이에 결합되는 캐패시터(C4)와 다이오드(D1)로 구성된 노이즈제거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eaker-microphone unit further comprises a noise removing circuit comprising a capacitor (C4) and a diode (D1) coupled between the microphone signal line and the ground line connected to the input port of the microphone unit. Handsfre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마이크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폰부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마이크신호선과 접지선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화개시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peaker-microphone unit is coupled between the microphone signal line and the ground line connected to the input port of the microphone unit, and further includes a switch (S5) for swit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all initiation mode.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00018774U 2000-06-30 2000-06-30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KR2002045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74U KR200204514Y1 (en) 2000-06-30 2000-06-30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774U KR200204514Y1 (en) 2000-06-30 2000-06-30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514Y1 true KR200204514Y1 (en) 2000-11-15

Family

ID=1966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74U KR200204514Y1 (en) 2000-06-30 2000-06-30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1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67339A1 (en) Acoustic apparatus using bone-conduction speaker
KR200204514Y1 (en) communication assistance hand-fre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vailable for earphone type and car type
KR200247574Y1 (en) Speaker-phone as accessory adhering on hand-phone
KR100355080B1 (en) A hanger of partable phone handsfree
JP3260983B2 (en) Automotive sun visor
KR200387221Y1 (en) Hands free for hand phone
JPH04368246A (en) Automotive hand-free talking unit
KR200235521Y1 (en) Cellular Phone and Handsfree Assembly with External Sound and Control Terminal
KR200184608Y1 (en) Handsfree set for handy phone
JPH11289370A (en) Telephone system
KR200267088Y1 (en) Hands free installation utilizing a microphone of contact type
EP134935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KR200216357Y1 (en) A Handsfree Unit Using Cigarjack
KR200188123Y1 (en) Hand-free kit for earphone type cellular phone
KR200202198Y1 (en) Handphone holder
KR200261264Y1 (en) hands free apparatus for portable telephone
KR200270494Y1 (en) Hands free for a portable telephone
KR200226252Y1 (en) Movable handsfree system
KR200264867Y1 (en) Wireless Hands-free to get rid of connection line between Mobile phone and Hands-free
GB2420930A (en) Auxiliary handset accessory kit and method for a radio telephoe in a vehicle
KR200362716Y1 (en) Handsfree kit apparatus
KR200218534Y1 (en) A economic hands-free with extreme small size
KR200226251Y1 (en) Connecter for cellular phone
JP3036952U (en) Earphone microphone for mobile phone
KR200221529Y1 (en) A device of handfree earmic for cou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