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523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523B1
KR100356523B1 KR1019990049904A KR19990049904A KR100356523B1 KR 100356523 B1 KR100356523 B1 KR 100356523B1 KR 1019990049904 A KR1019990049904 A KR 1019990049904A KR 19990049904 A KR19990049904 A KR 19990049904A KR 100356523 B1 KR100356523 B1 KR 10035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main rope
elevator
hoi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220A (ko
Inventor
박상영
Original Assignee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5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66B11/0025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를 2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간 확보 차원에서는 유리하나, 메인 로프나, 구동 쉬브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일반적인 권상기를 1개 사용하여 2점 지지를 하는 경우에는 상부의 메인 로프나, 풀리가 매우 복잡해지고, 편지지되는 경우에는 카가 기계적으로 불안정하여 탑승 용량에 한계가 따르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기계실이 필요없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편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써 카의 탑승 인원을 크게 늘릴 수 있고, 1:1 로핑을 하므로 메인 로프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동기의 용량이 커지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1개의 권상기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부분적인 승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실이 필요없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편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아파트나, 건물 등에 주로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승객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기기로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동 방식은 메인 로프와 권상기에 설치된 구동 쉬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승객이 탑승하는 카와, 카에 연결된 메인 로프의 반대편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운터 웨이트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데, 이러한 방식은 현대식 엘리베이터의 가장 오래된 방식이며,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에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권상기의 구성은 전기 에너지를 회전하는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동기, 기계 에너지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주는 감속기, 정지시에 기계적으로 회전을 강제로 못하도록 하는 브레이크 장치, 메인 로프를 이동시키는 구동 쉬브로 구성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업체의 고객인 건물주의 입장에서 볼 때 가급적이면 엘리베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싶어하고, 건물의 상부에 마련된 별도의 기계실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에 의해 작용되는 모든 하중, 즉 현수 하중을 기계실 바닥에서 지지해야 하므로 인해 건물 상부에 상당히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건물의 구조자체가 필요 이상으로 강건하게 설계되어져야 한다는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편지지되는 형태와, 카 바닥으로 메인 로프를 거는 언더 슬렁(under-slung) 형태로 구성되는 데, 편지지되는 경우 승강 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상부의 공간 확보를 위해 카의 바닥으로 메인 로프를 건다.
이러한 경우에는 권상기의 위치는 별도의 기계실이 없어서 카의 최상부 공간이나, 카의 바닥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아주 박형의 전동기와 권상기에 기어를 갖지 않는 형태를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며, 기존의 전동기나 권상기와는 매우 형태가 다르게 되어 그 가격이 비싸지고, 개발 시간이 많이 필요함에 따라 기계실이 없으면서 구조상 가격이 매우 저렴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기술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가 2개로 나뉘어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카(10)와 카운터 웨이트(11)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가이드 레일(12)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레일(12)의 상부에는 각각의 풀리(13)가 설치되며, 상기 카(10)는 카(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14)에 의해 구동되어 2개의 메인 로프(15)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내부에 카운터 웨이트(11)가 매달리는 구조로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편지지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카(20)는 상부의 권상기(21)에 고정 부재(22)에 의해 고정되고, 카운터 웨이트(23)와 체인(24)에 의해 고정되어 카(20)와 연결되는 구조이며, 가이드레일(25)은 카(20)와 카운터 웨이트(23)가 공동으로 사용된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부의 고정점을 갖는 메인 로프(31)는 카(30)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2 풀리(32)(33)에 의해 지지되어 다시 상기 카(3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동기와 구동 쉬브로 구성된 권상기(34)에 의해 카(30)의 반대편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 풀리(35)에 연결되어 카운터 웨이트(36)를 이동시킨다.
상기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인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와 동작상에서는 완전히 동일하다.
즉, 승객이 카의 내부나, 승강장에서 동작 지령을 하면, 제어반이 전동기의 동작 지령을 하고, 그 지령에 따라서 전동기가 구동하면, 전동기의 축에 직결된 감속기의 감속에 의해 권상 쉬브가 회전하며, 권상 쉬브의 회전에 의해 메인 로프에 힘을 인가하여 카운터 웨이트와 카 사이의 무게 차이 만큼의 힘을 내면서 상기 제어반의 지령에 의해 목표하는 동작을 완료하면 동작 지령이 끝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 1과 같이 카운터 웨이트를 2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간 확보 차원에서는 유리하나, 메인 로프나, 구동 쉬브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일반적인 권상기를 1개 사용하여 2점 지지를 하는 경우에는 상부의 메인 로프나, 풀리가 매우 복잡해지고, 도 2와 같이 편지지되는 경우에는 카(20)가 기계적으로 불안정하여 탑승 용량에 한계가 따르며, 도 3과 같은 엘리베이터는 카(30)의 바닥으로 메인 로프(31)가 걸리기 때문에 건축 구조상 바닥의 깊이를 깊게 해야 하고, 권상기가 상부에 장착됨에 따라 전동기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전동기의 부피가 커져서 승강로의 공간상에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계실이 필요없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편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 인원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전동기의 용량이 커지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가 2개로 나뉘어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편지지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승강로 2; 카
3,3a; 권상기 4,4a; 메인 로프
5,5a; 카운터 웨이트 풀리 6,6a; 카운터 웨이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카와, 상기 카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카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와, 상기 카의 하부 양측에 카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상기의 구동 쉬브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가 감겨지는 카운터 웨이트 풀리가 상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승강로(1) 내부에 승강 이동하는 카(2)가 설치되고, 카(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카(2)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에 의해 카(2)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3)(3a)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카(2)의 하부 양측에는 카(2)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권상기(3)(3a)의 구동 쉬브(도시는 생략함)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4)(4a)가 감겨지는 카운터 웨이트 풀리(5)(5a)가 상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6)(6a)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승강로(1) 내부에 승강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카(2)의 상부 양측에 소형의 권상기(3)(3a)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카(2)의 하부 양측에는 카(2)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권상기(3)(3a)의 구동 쉬브(도시는 생략함)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4)(4a)가 감겨지는 카운터 웨이트 풀리(5)(5a)가 상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6)(6a)가 각각 설치되어 카(2)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동 지령에 의해서 상기 소형인 2개의 권상기(3)(3a)가 구동하여 구동 쉬브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독립된 각각의 메인 로프(4)(4a)의 이동에 의해 카(2)를 편지지됨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서 2점 지지하여 원하는 층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1)의 내부에 설치된 카(2)의 상부 양측에 각각 권상기(3)(3a)를 설치하고, 상기 카(2)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카운터 웨이트(6)(6a)를 설치하며, 상기 카(2)의 하단 양측에는 메인 로프(4)(4a)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은 상기 카운터 웨이트(6)(6a)에 각각 고정시키므로써 카운터 웨이트(6)(6a) 측의 1:1 로핑에 의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계실이 필요없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편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써 카의 탑승 인원을 크게 늘릴 수 있고, 1:1 로핑을 하므로 메인 로프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동기의 용량이 커지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1개의 권상기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부분적인 승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승강로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하는 카와, 상기 카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카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와, 상기 카의 하부 양측에 카의 하단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상기의 구동 쉬브를 경유하는 메인 로프가 감겨지는 카운터 웨이트 풀리가 상단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삭제
KR1019990049904A 1999-11-11 1999-11-11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35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904A KR100356523B1 (ko) 1999-11-11 1999-11-11 엘리베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904A KR100356523B1 (ko) 1999-11-11 1999-11-11 엘리베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20A KR20010046220A (ko) 2001-06-05
KR100356523B1 true KR100356523B1 (ko) 2002-10-18

Family

ID=1961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904A KR100356523B1 (ko) 1999-11-11 1999-11-11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5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20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9233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JP2593289B2 (ja) 下部に駆動機械を備えたトラクションシーブ型エレベータ
KR100351275B1 (ko) 머신룸 레스 엘리베이터
EP1311452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JP2004083231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157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KR20040007690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기구 및 승강방법
JP2002173281A (ja) エレベータ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JP42628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35652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888667B1 (ko) 슬립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하부 구동식 엘리베이터
JP250562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タ
JP200034445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86826A (ja) ロープ式エレベータ
CN217867588U (zh) 井道爬升驱动轨道式升降装置
JPWO20040289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5817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211851A (ja) エレベ―タ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KR100895121B1 (ko) 엘리베이터용 구동장치의 설치구조
JP200131088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03134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