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518B1 -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518B1
KR100356518B1 KR1019990023532A KR19990023532A KR100356518B1 KR 100356518 B1 KR100356518 B1 KR 100356518B1 KR 1019990023532 A KR1019990023532 A KR 1019990023532A KR 19990023532 A KR19990023532 A KR 19990023532A KR 100356518 B1 KR100356518 B1 KR 100356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voice
elevator
code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291A (ko
Inventor
김충원
Original Assignee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5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주야간에 관계없이 주간에 사용되는 음량으로 음성 안내 방송 또는 차임 등을 구동함으로써, 주위에 소음이 작은 야간에는 상기 음량이 너무 커 주민들에게 소음으로 작용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리인이 수동으로 기계실 또는 카상부, 카내의 음량 조절 볼륨 레버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뿐만 아니라 오조작으로 인한 부품의 손망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입력장치와 시간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 및 음량을 설정한 후, 이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이용하여 음량을 원하는 시간대별로 조정함으로써, 야간의 음성 안내 방송 또는 차임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수동 음량 조절에 따른 오조작에 의한 부품의 손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VOI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시간 및 음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음성 안내 방송, 차임, 공 등을 시간대별로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안내 기능 유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0)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함과 아울러 음성 안내 코드를 갖는 통신 프로토콜을 출력하는 메인 운전 회로부(20)와; 상기 메인 운전 회로부(20)의 음성 안내 코드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 안내 회로부(30)와;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30)에서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예보장치(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운전 회로부(20)는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30)로 통신 프로토콜을 전송한 후, 이상 유무 확인 신호를 전송받는 송수신부(22)와; 음성 안내 방송 조건에 따른 음성 안내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21)와; 어드레스신호(A), 데이터신호(D), 제어신호(C)를 통해 상기 메모리(21)에 저장된 음성 안내 코드를 상기 송수신부(22)를 통해 출력하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23)로 구성되며,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30)는 상기 송수신부(22)의 통신 프로토콜을 전송받아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그의 이상 유무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31)와; 음성 합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치(32)와; 상기 음성 합성 데이터를 저장한 음성데이터 롬(33)과; 상기 송수신부(31)를 통해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23)에서 출력된 음성 안내 코드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어드레스신호(A), 데이터신호(D), 제어신호(C)를 통해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34)와; 상기 제어부(34)에서 출력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볼륨레버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35)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엘리베이터 운행 및 상태 출력을 제어하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23)는 하기 표 1과 같은 안내 방송을 엘리베이터 상태에 따라 구동되도록 어드레스신호(A), 데이터신호(D), 제어신호(C)를 통해 음성 안내 코드가 저장된 메모리(21)를 억세스하여 해당 음성 안내 코드를 선택하게 된다.
번 호 방 송 내 용
1 올라 갑니다
2 내려 갑니다
3 문이 닫힙니다
4 문이 열리면 모두 내려 주십시오
5 만원입니다
6 정원초과입니다
7 00층 입니다
8 다음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주십시오
9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10 정전입니다
11 자동 구출 운전중입니다
12 비상 호출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그리고,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23)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메모리(21)에 코딩되어 있는 음성 안내 코드중 해당 음성 안내 코드를 도 2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송수신부(22)를 통해 음성 안내 회로부(30)의 송수신부(31)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입력받은 상기 송수신부(31)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전송이 완료되면,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송수신부(22)로 이를 통보하여 상기 송수신기간에 전송이 원활히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하게 되며, 상기 송수신부(31)를 통해 음성 안내 코드를 입력받은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30)내 제어부(34)는 스위치(32)를 통해 음성 안내 방송을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 안내 방송을 할 것이면, 상기 음성 안내 코드에 해당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이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 데이터 롬(33)을 어드레스신호(A), 데이터신호(D), 제어신호(C)를 통해 억세스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4)에서 선택된 음성 합성 데이터를 입력받은 증폭부(35)는 이를 볼륨 레버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되며, 이때, 상기 증폭 조절은 볼륨 레버를 관리인이 수동으로 조정하여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나 차임, 공 등으로 구성된 예보장치(40)는 상기 증폭부(35)의 출력을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주야간에 관계없이 주간에 사용되는 음량으로 음성 안내 방송 또는 차임등을 구동함으로써, 주위에 소음이 작은 야간에는 상기 음량이 너무 커 주민들에게 소음으로 작용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리인이 수동으로 기계실 또는 카상부, 카내의 음량 조절 볼륨 레버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뿐만 아니라 오조작으로 인한 부품의 손망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알려주는 음성 안내 방송 기능이 장애자 법규 강화에 따라 아파트에 모두 적용함에 있어서 안내 방송 음량이 용도마다 또는 시간대마다 느끼는 음량의 차이가 주민마다 다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간 및 음량을 제어하는 회로와 이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 소프트 웨어를 통해 시간대별로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3에서 중앙 연산 처리 장치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도 3의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장치 110 : 메인 운전 회로부
111 : 메모리 112 : 시간 제어 장치
113,121 : 송수신부 114 : 중앙 연산 처리 장치
120 : 음성 안내 회로부 122 : 스위치
123 : 음성데이터 롬 124 : 제어부
125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125 : 증폭기
130 : 예보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음성 안내 기능 유무 및 시간과 음량의 범위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함과 아울러 음성 안내 코드에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시간에 해당하는 음량 제어 코드를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을 출력하는 메인 운전 회로부와; 상기 메인 운전 회로부의 음성 안내 코드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상기 음량 제어 코드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 안내 회로부와;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예보장치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음량조정 설정이 되어 있으면, 음량 데이터값이 있는지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에 통신 프로토콜에 상기 음량 데이터 값을 음량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삽입한 후 종료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음량 조정 설정이 되어 있지 않거나, 음량 데이터 값이 없거나 설정된 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종료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안내 기능 유무 및 시간과 음량의 범위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00)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함과 아울러 음성 안내 코드에 상기 입력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시간에 해당하는 음량 제어 코드를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을 출력하는 메인 운전 회로부(110)와; 상기 메인 운전 회로부(110)의 음성 안내 코드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상기 음량 제어 코드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 안내 회로부(120)와;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120)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예보장치(130)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운전 회로부(110)는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120)로 전송한 후, 이상 유무 확인 신호를 확인하는 송수신부(113)와; 음성 안내 방송 조건에 따른 음성 안내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111)와;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제어장치(112)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함과 아울러 어드레스신호(A), 데이터 신호(D), 제어신호(C)를 통해 상기 메모리(111)에 저장된 음성 안내 코드를 억세스한 후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안내 코드에 각 시간에 해당하는 음량 제어 코드를 포함시켜 상기 송수신부(113)로 출력하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4)로 구성하며,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120)는 상기 송수신부(113)의 통신 프로토콜을 전송받아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그의 이상 유무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121)와; 음성 합성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치(122)와; 상기 음성 합성 데이터를 저장한 음성데이터 롬(123)과; 상기 송수신부(121)를 통해 음성 안내 코드를 입력받아 어드레스신호(A), 데이터신호(D), 제어신호(C)를 통해 상기 음성데이터 롬(123)에 저장된 해당 음성 합성 데이터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음량 제어 코드를 전달하는 제어부(124)와; 상기 제어부(124)를 통해 음량 제어 코드를 입력받아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25)와; 상기 제어부(124)에서 출력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25)의 출력신호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126)로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메인 운전 회로부(110)내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4)는 현재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음성 안내 방송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어드레스신호(A), 데이터신호(D), 제어신호(C)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 코드가 저장된 메모리(111)를 억세스하여 해당 음성 안내 코드를 읽어들인 후, 상기 입력장치(100)를 통해 시간 및 음량 조정 설정이 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
이때,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4)는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현재 엘리베이터 운행에 대한 음량 데이터가 있는지 비교판단하고(S2), 이에 상기 음량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입력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설정 시간과 시간 제어 장치(112)로부터 년, 월, 일, 시, 분, 초 단위로 입력되는 현재 시간이 서로 동일한지 비교 판단한다(S3).
그리고, 상기 현재 시간과 설정된 시간이 동일하면, 상기 중앙 연산 처리장치(114)는 음량의 레벨에 관한 음량 제어 코드를 포함한 도 5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출력한다(S4).
즉, 상기 현재 시간과 입력된 설정 시간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4)는 상기 메모리(111)로부터 읽어들인 음성 안내 코드에 상기 음량 데이터 값을 음량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삽입한 통신 프로토콜을 송수신부(11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통신 프로토콜중 음량 제어 코드는 8비트로 구성하여 256레벨로 음량을 변화시키나, 상기 입력장치(100)로 음량 조정 설정이 입력되지 않아 음량 데이터 값이 없거나 상기 설정된 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4)는 음성 안내 코드만으로 이루어진 종래 도 2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송수신부(113)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입력받은 상기 송수신부(113)는 이를 음성 안내 회로부(120)내 송수신부(121)로 전송하며, 상기 송수신부(121)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의 전송이 완료되면,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송수신부(113)로 그의 이상 유무 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송수신기(113)(121)간에 전송이 원활히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121)를 통해 통신 프로토콜을 입력받은 제어부(124)는 스위치(122)를 통해 음성 출력 유무 제어를 받아 어드레스신호(A), 데이터신호(D), 제어신호(C)를 통해 음성 데이터 롬(123)을 억세스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내 음성 안내 코드에 해당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증폭기(126)로 출력함과 아울러 음량 제어 코드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25)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25)는 상기 디지탈 신호인 음량 제어 코드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증폭기(126)의 증폭이득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증폭기(126)는 상기 제어부(124)의 음성 합성 데이터를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25)의 출력신호만큼 증폭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증폭기(126)의 출력을 입력받은 예보장치(130)는 스피커나 차임, 공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이를 출력하며, 상기 증폭기(126)의 증폭이득 조절은 관리인이 볼륨 레벨을 돌려 수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장치와 시간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 및 음량을 설정한 후, 이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이용하여 음량을 원하는 시간대별로 조정함으로써, 야간의 음성 안내 방송 또는 차임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수동 음량 조절시 오조작에 의한 부품의 손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음성 안내 기능 유무 및 시간과 음량의 범위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함과 아울러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안내 코드를 억세스한 후 그 음성 안내 코드에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각 시간에 해당하는 음량 제어 코드를 포함한 통신 프로토콜을 송수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메인 운전 회로부와; 상기 메인 운전 회로부의 송수신부를 통한 음성 안내 코드를 제어부에서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음성 합성 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롬으로 읽은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및 증폭부를 통해 상기 음량 제어 코드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 안내 회로부와; 상기 음성 안내 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예보장치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256레벨로 음량을 변화시킬수 있는 8비트 음량 제어 코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5. 음량조정 설정이 되어 있으면, 음량 데이터값이 있는지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에 통신 프로토콜에 상기 음량 데이터 값을 음량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삽입한 후 종료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음량 조정 설정이 되어 있지 않거나, 음량 데이터 값이 없거나 설정된 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종료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방법.
KR1019990023532A 1999-06-22 1999-06-22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56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532A KR100356518B1 (ko) 1999-06-22 1999-06-22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532A KR100356518B1 (ko) 1999-06-22 1999-06-22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291A KR20010003291A (ko) 2001-01-15
KR100356518B1 true KR100356518B1 (ko) 2002-10-18

Family

ID=1959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532A KR100356518B1 (ko) 1999-06-22 1999-06-22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5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9480A (ja) * 1988-12-20 1990-06-2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放送装置
KR920000597A (ko) * 1990-06-18 1992-01-29 시키모리야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950011562U (ko) * 1993-10-25 1995-05-16 엘레베이터의 운행상태 알림장치
JPH08239174A (ja) * 1995-03-02 1996-09-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アナウンス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9480A (ja) * 1988-12-20 1990-06-2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放送装置
KR920000597A (ko) * 1990-06-18 1992-01-29 시키모리야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950011562U (ko) * 1993-10-25 1995-05-16 엘레베이터의 운행상태 알림장치
JPH08239174A (ja) * 1995-03-02 1996-09-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アナウン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291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04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volume level of a radio
CA1295064C (en) Voice recognition system used in telephone apparatus
KR950014293B1 (ko) 무선전화장치
GB2291318A (en) Speech circuit
WO19980051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user selected frequency response pattern to audio signals provided to a cellular telephone speaker
KR100356518B1 (ko) 엘리베이터의 음성 제어 장치 및 방법
US6070088A (en) Mobile telephone set with automatic sound level control
KR20000061403A (ko) 자동이득 조절을 위한 무선주파수 중계 증폭장치
EP0293264B1 (en) Telephone apparatus with a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operable in noisy environment
JP2002143407A (ja) 遊技機の音声ボリューム調整装置
JPH0562497B2 (ko)
KR100225358B1 (ko)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00640459B1 (ko) 수화음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655964B1 (ko) 송신음량 조절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00056077A (ko) 음성 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145791A (ja) 音声認識装置、方法及び音声認識方法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H08237381A (ja) 拡声通話装置
JP2001060836A (ja) マイク装置
JPH01284128A (ja) 移動体の受信音声増幅方式
JPH0522382A (ja) 電話機
KR100370428B1 (ko) 교환기에서 음성신호의 자동이득 제어회로
JPH05116853A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放送装置
JP4670701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KR100744321B1 (ko) 무선 단말기의 수화음량 자동 조절 방법
JPH06305652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