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405B1 -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405B1
KR100356405B1 KR1020000024354A KR20000024354A KR100356405B1 KR 100356405 B1 KR100356405 B1 KR 100356405B1 KR 1020000024354 A KR1020000024354 A KR 1020000024354A KR 20000024354 A KR20000024354 A KR 20000024354A KR 100356405 B1 KR100356405 B1 KR 10035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ore
mushroom
cultivator
s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739A (ko
Inventor
송도석
김태권
안정수
한종권
김덕환
Original Assignee
송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도석 filed Critical 송도석
Priority to KR102000002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40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405B1/ko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10); 흡기관(21)을 통해 재배사 내의 버섯 포자와 먼지등을 흡입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0)에 제공된 포자흡입기(20); 포자흡입기(20)와 연통되어 유입된 버섯 포자와 먼지등을 저부에 침전토록 상부에 다수의 샤워노즐(31)이 제공되어 있고, 집수된 오수를 배수하도록 저부에 배수관(P3)이 연통된 여과탱크(30); 격벽(41)에 의해 이중분할된 제1공간부(A1)와 여과탱크(30)가 연통되어 있으며, 각 공간부(A1)(A2)는 통공(42)에 의해 각기 연통되어 습공기가 지그재그 유동되어 수분이 집수될 수 있도록 각 공간부(A1)(A2)에 다수의 간막(43)이 취부되어 있고, 집수된 물을 배수토록 배수관(P5)(P6)이 연통된 수분제거수단(40); 수분제거수단(40)의 제2공간부(A2)와 연통되어 수분이 적절하게 제거된 습공기를 흡입하여 재배사 내로 송풍하도록 모터와 연동된 송풍팬(51)이 제공된 가습수단(50); 및 포자흡입기(20), 여과탱크(30)의 샤워노즐(31) 및 수분제거수단(40)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수단(C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버섯재배사의 일정한 재배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편, 버섯 수확기에 다량 비산되는 포자로 인한 채취작업자의 호흡기 질환등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MULTI-FUNCTIONAL MUSHROOM AUTOMATIC SPORE COLLECTION MACHINE}
본 발명은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섯재배사의 일정한 재배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편, 버섯 수확기에 다량 비산되는 포자로 인한 채취작업자의 호흡기 질환등을 방지할 수 있는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담자균류에 속하는 느타리버섯(Pleurotus spp)은 주름버섯목(Agaricales)의 느타리과 (Pleurotaceae)에 속하며 그 모양이 평평하고 부채꼴을 하고 있다. 느타리버섯은 맛과 향기가 좋고 단백질, 비타민, 탄수화물, 지방, 무기물 등이 풍부한 동시에 영양가가 높고 항암작용, 혈압강하작용 등의 약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성인병 예방 등의 의학적 가치가 높은 건강식품이다.
느타리버섯은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주산지로는 경기도포천·화성·여주·양평, 강원의 철원·원주, 충북 온천·진천·보은, 충남 당진·보령·청양, 전북 정읍, 전남 화순·담양, 경북 영덕·군위, 경남 의령·산청 등이다. 지난 '90년 이후 느타리버섯의 재배면적은 연평균 8.9%씩 증가하고 있으며, 생산량도 6.6%씩 증가하고 있고 특히, '98년에는 전체 버섯생산량의 67%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하기된 표 1은 느타리버섯 재배면적 및 생산량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자료: '99 농림부 주요 통계
느타리버섯은 연중 재배하여 출하하고 있지만 계절별로는 재배하기 쉬운 봄과 가을에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많고 여름철에는 재배상의 조건이 까다로와 재배면적이 감소하며 생산량도 적은 경향이 있다. 현재 버섯재배사의 유형은 영구건물과 비닐 하우스식 간이재배사로 나눌 수 있으나, 대부분 농가들이 간이 재배사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간이 재배사는 단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버섯 재배에 알맞은 온·습도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기가 불량하여 병해충이 심하게 발생되고 또한, 버섯수확기에 느타리 포자에 의해 알레르기성 질병을 앓는 재배농민이 많은 실정임은 물론, 재배시설이 쉽게 노후화되고 있다.
느타리버섯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환경요인은 온도, 습도, 환기 및 광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환경조건은 균사가 자라는 영양생장기간과 버섯이 생육하는 생식생장기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과정별로 생장환경에 큰 차이가 있다.
하기되는 표 2는 느타리버섯 균사생장과 온도와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표 3은 느타리버섯 생육단계와 습도를 나타내고 있다.
* 버섯은 온도가 15℃보다 낮아지면 생장이 늦어지고 적온보다 높으면 생장이 빨라지나 버섯의 품질은 저온에서 좋고 고온일수록 불량
* 배지내의 수분함량은 70% 내외가 되도록 해야하며 45% 이하나 80% 이상이 되면 균사생장이 지연되거나 정지
* 버섯 발생기간에는 다량의 수분을 필요로 하므로 균상표면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
따라서, 느타리버섯이 고소득 작목으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버섯재배 균상관리시 수많은 포자 생성으로 인체 호흡기 질환을 야기하는 한편, 알레르기성 질병으로 많은 재배 농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온도, 습도, 환기 등 다기능의 버섯 환경을 자유조절이 가능하도록 기계적인 기능을 개발 설치하여 버섯의 계획생산과 생산성을 높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 노동력을 절감해야 할 과제가 관건이 되고 있다,
버섯산업은 기술, 자본, 노동 집약적인 농업이고 소비가 경기에 민감한 고급식품에 속한다.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식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청양에서도 현대시설, 균상재배 영구시설, 간이형 비닐하우스 시설 등 형태가 다양하게 재배되고 있다.
하기되는 표 4는 청양군 버섯재배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 자료: '99 청양군청 통계자료
균상내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느타리버섯 자식체가 성숙했을 때 포자가 많이 비산되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해를 주어 농업인들이 호흡기 질환을 야기하여 직업병(진폐증)이 발병하는 등 버섯 재배에 따른 많은 어려움이 있어 포자채집기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버섯재배 과정중 배지제조 종균접종 온,습도 환기관리를 위한 환경조화관리기 등은 연구기관이나 버섯재배 관련업체에서 많은 기계들이 개발되어 보급설치가 되고 있으나, 버섯재배 수확시기에 많은 버섯포자가 비산되어 전술된 환경조화관리기의 환풍기나 가습수단 등이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는 한편, 버섯 채취 농민들의 건강상에 문제를 야기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 재배사 내부의 환경변화에 따르는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포자와 버섯의 생육이 최적화되도록 구현함은 물론, 버섯재배사 내의 다량 비산되는 포자를 제거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족할 수 있는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면판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여과탱크와 터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배면판을 일부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도 2의 제어수단, 포자흡입기 및 터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7은 일반적인 버섯 재배사의 내부구조를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프레임부 11 : 금속패널 12 : 앵글
20 : 포자 흡입기 21 : 흡기관 21a : 재배사 흡기관
21b : 외기흡기관 23 : 흡입팬
30 : 여과탱크 31 : 샤워노즐
40 : 수분제거수단 41 : 격벽 42 : 통공
A1, A2 : 공간부
50 : 가습수단 51 : 송풍팬
60 : 냉각수단 61 : 토출관 62 : 압축기
63 : 응축기 64 : 열교환기 65 : 송풍팬
70 : 난방수단 71 : 수직봉 72 : 전열코일
80 : 개폐기 81 : 수평편 82 : 개폐손잡이
CB : 제어수단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모터에 연동된 흡입팬의 가동에 의해 흡기관을 통해 재배사 내의 버섯 포자와 먼지등을 흡입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제공된 포자흡입기와; 상기 포자흡입기와 연통되어 유입된 버섯 포자와 먼지등을 수세하여 저부에 침전토록 상부에 다수의 샤워노즐이 제공되어 있고, 집수된 오수를 배수하도록 저부에 배수관이 연통된 여과탱크와; 격벽에 의해 이중분할된 제1공간부와 상기 여과탱크가 연통되어 있으며, 각 공간부는 통공에 의해 각기 연통되어 습공기가 지그재그 유동되어 수분이 집수될 수 있도록 각 공간부에 다수의 간막이 취부되어 있고, 집수된 물을 배수토록 배수관이 연통된 수분제거수단과; 상기 수분제거수단의 제2공간부와 연통되어 수분이 적절하게 제거된 습공기를 흡입하여 재배사 내로 송풍하도록 모터와 연동된 송풍팬이 제공된 가습수단과; 상기 포자흡입기, 여과탱크의 샤워노즐 및 상기 수분제거수단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집기는 알루미늄 바 또는 앵글을 골조(도시 안됨)로 하여 다수의 금속패널(11)을 결합하여 내장품을 보지토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부측에 제공된 제어수단(CB)는 본 발명의 채집기의 온도 및 습도를 버섯 생육이 최적화하도록 제공된 것으로 제어되는 모든 전장 내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면 금속패널(11)을 관통하여 돌설된 흡기관(21)은 버섯 채취시 재배사 내에 다량 비산되는 포자를 흡기하는 포자 흡입기(도 2의 20)과 연통된 재배사 흡기관(21a)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외기 흡기관(21b)으로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수동에 의해 개폐각도가 조절되는 개폐기(80)가 송풍팬(도 5의 65)에 의한 온,냉기를 재배사에 공급하도록 채집기의 측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기(80)의 인접부에는 프레임부(10)내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관(61)이 제공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0)는 알루미늄 바 또는 앵글(12)을 기본골조로 하여 다수로 분할된 금속패널(도시 안됨)이 볼팅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내장품들을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의 바닥면에는 중량인 채집기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이동용 바퀴(13)가 부설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용 바퀴(13)는 프레임부(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기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채집기의 좌측부에 제공되는 포자흡입기(20)는 프레임부(10)에 설치된 모터에 연동된 흡입팬의 가동에 의해 재배사 내에 다량 비산된 버섯 포자와 외기의 신선한 공기를 강력하게 흡입하여 여과탱크(30)로 강제송풍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흡입팬의 흡입측에는 전술된 흡기관(21)이 연통되어 있으며 토출측은 주름관 타입의 연결배관(P1)에 의해 여과탱크(30)와 연통되어 있다.
여과탱크(30)의 개방된 상부에는,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0)의 측벽을 관통한 물배관(P2)이 배치되며, 이 물배관(P2)에 하향 설치된 다수의 샤워노즐(31)을 통해 미세한 물입자가 분사된다. 이러한 미세한 물입자는 흡기관(21)을 통해 여과탱크(30)내로 유입된 포자와 먼지 등을 저부에 침전시킨다. 그리고, 침전된 포자 및 먼지 등은 여과탱크(30)의 저부에 제공된 배수관(P3)을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된다. 여기서, 배수되는 물은 본 발명의 채집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구비한 별도의 수조에 집수된 후 재활용을 하거나 하수구로 배수된다. 또한, 샤워노즐(31)이 단부에 제공된 물배관(P2)은 제어수단(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변(V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중구조를 갖는 터널타입의 수분제거수단(40)는 주름타입의 연결배관(P4)에 의해 여과탱크(30)와 연통되어 있다. 수분제거수단(40)는 중심부에 취부된 격벽 (41)에 의해 제1공간부(A1)와 제2공간부(A2)로 분할되며, 격벽(41)에 형성된 통공(42)을 통해 제1공간부(A1)와 제2공간부(A2)가 연통된다. 그리고, 공간부(A1) (A2)의 내측벽에는 습공기가 지그재그 유동되면서 수분이 제거되도록 다수의 간막(43)이 각기 일정한 길이 및 형태로 취부되어 있다.
여기서, 간막(43)에 의해 습공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은 수분제거수단(40)의 저부에 집수되고, 이렇게 집수된 물은 수분제거수단(40)의 분할된 공간부(A1)(A2) 저부에 각기 연통된 배수관(P5)(P6)을 통해 배수된다. 수분제거수단(40)내로 유입되는 습공기에는, 물분자와 샤워노즐(31)에 의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한 포자 및 먼지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분과 이에 포함된 포자 및 먼지등은 수분제거수단(40)의 간막(43)을 지그재그로 유동되면서 간막(43)의 표면을 통해 흘러내려 배수관(P5)(P6)을 통해 배수된다. 수분제거수단(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A1)가 여과탱크(30)와 연통되고, 제2공간부(A2)가 후술되는 가습수단(50)와 연통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에서는, 포자흡입기(20), 여과탱크(30) 및 수분제거수단(40)이 내장되는 영역이 다른 부분과 밀폐재(C)에 의해 둘러싸여 격리되어 있다. 특히, 밀폐재(C)는 방수재로서 합성수지계열의 비닐이 적당하며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정도의 내구성이 필요하다.
한편, 가습수단(50)는 수분, 포자 그리고 먼지등이 제거된 습공기를 공급받아 재배사의 적정 습도를 유지하도록 수분제거수단(40)의 제2공간부(A2)와 주름타입의 연결배관(P7)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가습수단(50)는 수분제거수단(40)로부터 공급되는 습공기에 의해 재배사 내의 적정습도를 구현하지만, 재배사 내의 습도가 매우 낮거나 적정습도를 신속히 맞추도록 전자변(도시 안됨)에 의해 개폐되는 물배관(P8)과 연통되어 있다.
가습수단(50)의 송풍팬(51)은 모터와 연동되어 여과탱크(30)와 수분제거수단(40)를 통과하는 습공기의 원천적인 유동원이며, 제어수단(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배관(P8)의 선택적인 연통에 의해 수분제거수단(4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한다. 즉, 가습수단(50)의 온오프작동으로 수분제거수단(40)으로부터의 공기에 수분이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습수단(50)을 거친 공기는 프레임부(10)내의 해당공간으로 배출된다. 그런 다음,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각수단(60)이나 난방수단(70)을 거쳐 개폐기(80)를 통해 배출되는 경로와, 개폐기(80)의 일측에 마련된 토출관(61)을 통해 토출되는 경로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한편, 냉각수단(60)은 재배사내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상인 경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수단(CB)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재배사내로 공급하도록 제공된 것으로, 압축기(62), 응축기(63) 및 열교환기(64)로 구성된다. 여기서, 냉각수단(60)은 압축기(62)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열교환기(64) 주위의 공기와 열교환된 후 응축기(62)로 복수하는 일반적인 사이클을 갖는다. 이 때, 열교환기(64)를 통과하며 재배사의 적정온도로 맞춰진 냉공기는 개폐기(80)를 통해 재배사내로 토출되는데, 이 때 토출관(61)를 통한 냉공기가 재배사 내로 신속균일하게 송풍되도록 열교환기(64)의 전방에 제어수단(CB)에 의해 제어되는 송풍팬(65)를 제공하여 강제송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팬(65)의 전방측에 설치된 개폐기(80)는 송풍량과 송풍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평편(81)이 상하로 이격설치되어 있되 개폐손잡이(82)이 제공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난방수단(70)은 재배사내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하인 경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수단(CB)의 제어에 의해 온기를 재배사내로 공급하도록 제공된 것으로, 송풍팬(65)과 개폐기(80)의 사이에 위치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개폐기(80)의 후방에 취부되어 있다. 여기서, 난방수단(70)은 다수의 수직봉(71)이 이격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직봉(71)의 외경을 전열코일(72)이 감아진 구조를 갖는다. 제어수단(CB)에 의해 난방수단(70)이 가동되어 발생된 온기는 송풍팬(65)에 의해 전술된 개폐기(80)에 의해 송풍량 및 송풍각도가 조절된 후 재배사 내부로 송풍된다. 여기서, 냉각수단(60)과 난방수단(70)은 제어수단(CB)에 의해 교호적 또는 동시적으로 작동제어가능하다.
전술된 물배관(P2)(P8)은 외부의 물라인 또는 장치내에 설치된 물탱크와 연통될 수 있으며, 수도나 지하수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의 작동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채집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수단(CB)에 의해 재배사 내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감지됨과 동시에 포자흡입기(20)의 흡입팬이 가동되어 재배사 내의 포자와 먼지등이 흡입된 후 여과탱크(3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 재배사 내의 공기와 재배사 외부의 공기는 대략 4:1 정도의 비율로 흡기된다.
(2) 여과탱크(30) 내에 충전된 포자 및 먼지등은 여과탱크(30)의 상부에 제공된 샤워노즐(31)로부터 물이 분사되어 여과탱크(30)의 하부에 포집되고, 본 발명의 장치 외부에 제공되는 필터를 구비한 누수탱크에 의해 제거된 후, 이러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재배사 내로 흘려보내 습도를 맞추도록 하거나 또는 직접 하수구로 배출된다.
여기서, 샤워노즐(31)에 의한 물의 분사는 제어수단(CB)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변(V1)이 선택적으로 물배관(P2)을 개폐함에 대응된다.
(3) 여과탱크(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습공기는 가습수단(50)의 송풍팬(51)에 의해 흡입되어 터널형태의 이중구조를 갖는 수분제거수단(40)의 간막(43)을 통해 지그재그 유동되면서 수분이 제거된다. 여기서, 수분제거수단 (40)의 분할된 공간부(A1)(A2) 저부에는 배수관(P5)(P6)이 제공되어 선택적으로 집수된 물이 배수된다.
(4) 가습수단(50)에는 수분제거수단(40)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며, 재배사 내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수단(CB)에 의해 가동된다. 즉, 수분제거수단(40)으로부터 제공된 습공기의 습도가 재배사의 적정습도에 미달되거나 신속하게 습도를 맞추기 위해서 별도의 물배관(P8)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장치의 후방으로 습공기를 송풍하여 프레임부(10)내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물배관(P8)은 제어수단(CB)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변(도시 안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5)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중에, 제어수단(CB)은 재배사 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 때, 적정온도 대비 재배사의 온도가 높으면 냉각수단(60)이 가동되고 낮으면 난방수단(70)이 가동된다. 여기서, 냉각수단(60)과 난방수단(70)의 가동은 전술된 (1)~(4)단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재배사 내의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높은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수단(CB)에 의해 냉각수단(60) 즉, 압축기(62), 응축기(63) 및 열교환기(64)는 동시에 가동되고, 이 때, 가습수단(50)을 통해 프레임부(10)내로 토출된 공기는 열교환기(64)를 통과하면서 냉기로 형성된 후, 개폐기(80)를 통해 재배사내로 배출된다. 여기서, 개폐기(8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열교환기(64)의 전방에 설치된 송풍팬(65)에 의해 가압되어 재배사 내로 송풍된다.
재배사 내의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낮은 경우를 설명하면, 제어수단(CB)에 의해 난방수단(70)이 가동되는데, 수직봉(7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전열코일(72)이 가열되어 장치 내부의 온기는 송풍팬(65)에 의해 가압송풍되어 재배사 내로 송풍된다. 전술된 냉기와 온기는 송풍팬(65)에 의해 가압송풍됨에 있어, 개폐기(80)의 개폐손잡이(82)에 의해 송풍량 및 송풍방향이 정해진다.한편, 프레임부(10)내의 공기중 일부는, 냉각수단(60) 또는 난방수단(70)을 거치지 않고, 그 일측에 마련된 공기유동로를 따라 토출관(61)으로 그대로 토출된다. 이러한 공기는 재배사내의 습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버섯은 균사체로서 버섯이 자랄 수 있는 재배환경은 무균실, 즉 크린룸의 개념이 필요하다. 이는 공기조화 이론을 도입하여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공기조화의 4요소)를 기본요소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버섯 재배사의 설비 기준 선정은 공기조화의 4요소를 기본으로 하여 인위적으로 버섯을 생육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선정해야 하며 버섯의 종류에 따라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류, 조도 등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는 자동제어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버섯을 키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시설을 준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느타리버섯 재배사의 최대 애로점을 개선하여, 쾌적한 생산기반 환경조성과 온,습도, 환기 시설의 생력화, 및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는 느타리버섯 재배농가들로부터 각광을 받을 것이라 사료된다.
한편, 지하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장치를 실제 포자 채집 현장에 적용한 실험결과 포자흡입기 주변 및 지하수 배출 주위에 포자가 채집되어 있는 실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되는 표 5는 분진량 측정기를 이용한 포자 비산 채집 특성을 나타낸다.
※조사결과 분진량 측정기에 의한 포자 비산 채집결과가 아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표 5에 기재된 A, B, C 및 D지점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버섯 재배사의 일반적인 구성이 3단 2열 4상 배치임을 고려한 것으로 상,중,하의 3단구성은 실제적으로는 수직으로 배치된 것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그 크기 또한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표 5에 나타나 있는 단위 CPM은 분당 입방미터(m3/min)내에 흡입되는 분진의 양이다.
본 발명의 채집기에 의한 버섯 생육환경조절 조사에서는 적정온도 및 습도에 해를 끼치지 않고 오히려 제어수단에 의한 온도(여름작기: 냉각, 겨울작기: 난방) 조절과 포자 채집에 의한 지하수의 가습이 적절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버섯의 여름재배시 생육온도가 발이작업시 14~15℃ 생육시에는 17~19℃가 적정온도임에 따라 대비구에서 냉동기를 이용한 적정온도를 맞출 경우에는 5~6시간 소요가 되는데 반해, 시험구에서는 3시간으로 2~3시간 단축됨을 알 수있고, 온습도 자동조절에 따라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버섯 수확시 재배사 내의 비산되는 포자를 제거하여 작업농민의 포자흡입으로 인한 진폐증과 알레르기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쾌적한 수확여건을 조성하여 작업생산 능률을 개선할 수 있고, 재배사 내의 적정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등의 버섯재배의 조건을 주위환경 및 계절에 무관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버섯을 다량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에 설치된 모터에 연동된 흡입팬의 가동에 의해 흡기관(21)을 통해 재배사 내의 버섯 포자와 먼지등을 흡입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0)에 제공된 포자흡입기(20)와; 상기 포자흡입기(20)와 연통되어 유입된 버섯 포자와 먼지등을 수세하여 저부에 침전토록 상부에 다수의 샤워노즐(31)이 제공되어 있고, 집수된 오수를 배수하도록 저부에 배수관(P3)이 연통된 여과탱크(30)와; 격벽(41)에 의해 이중분할된 제1공간부(A1)와 상기 여과탱크(30)가 연통되어 있으며, 각 공간부(A1)(A2)는 통공(42)에 의해 각기 연통되어 습공기가 지그재그 유동되어 수분이 집수될 수 있도록 각 공간부(A1)(A2)에 다수의 간막(43)이 취부되어 있고, 집수된 물을 배수토록 배수관(P5)(P6)이 연통된 수분제거수단(40)과; 상기 수분제거수단(40)의 제2공간부(A2)와 연통되어 수분이 적절하게 제거된 습공기를 흡입하여 재배사 내로 송풍하도록 모터와 연동된 송풍팬(51)이 제공된 가습수단(50)과; 상기 포자흡입기(20), 여과탱크(30)의 샤워노즐(31) 및 상기 수분제거수단(40)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수단(CB)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21)은 재배사 내의 포자와 먼지등을 흡입하는 재배사 흡기관(21a)과, 재배사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재배사 흡기관(21a)으로부터 흡입되는 포자와 먼지의 양에 대하여 1/4 정도의 재배사 외부의 선선한 공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재배사 흡기관(21a)으로부터 분기된 외기분기관 (21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30)의 샤워노즐(31)과 상기 수분제거수단 (40)은 상기 제어수단(CB)에 의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자변(V1)이 제공된 물배관(P2)(P8)과 각기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CB)에 의해 제어되어 재배사 내의 적정온도를 구현하도록 압축기(62), 응축기(63) 및 열교환기(64)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부 (10)에 내장된 냉각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단(60)에 의한 냉기는 상기 열교환기(64)에 인접하게 설치된 송풍팬(65)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64)와 연통된 토출관(61)를 통해 재배사 내로 송풍되어지되, 상기 송풍팬(65)의 전반에 이격설치된 개폐기(80)에 의해 송풍량과 송풍방향이 수동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CB)에 의해 제어되어 재배사 내의 적정온도를 구현하도록 상기 개폐기(80)의 후방에 설치된 다수의 수직봉(71)과 그 수직봉(71)을 감싸는 전열코일(72)로 이루어진 난방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방수단(70)에 의한 온기는 상기 송풍팬(6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개폐기(80)를 통해 재배사 내로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에 내장된 포자흡입기(20), 여과탱크(30) 및 수분제거수단(40)은 방수재질의 밀폐재(C)에 의해 수용되어 다른 내장품들과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KR1020000024354A 2000-05-08 2000-05-08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KR100356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354A KR100356405B1 (ko) 2000-05-08 2000-05-08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354A KR100356405B1 (ko) 2000-05-08 2000-05-08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739A KR20010102739A (ko) 2001-11-16
KR100356405B1 true KR100356405B1 (ko) 2002-10-19

Family

ID=4578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354A KR100356405B1 (ko) 2000-05-08 2000-05-08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82B1 (ko) 2012-12-13 2014-08-07 김일부 응축수 포집구획을 갖춘 공압 장치용 압축공기탱크
KR102430557B1 (ko) * 2022-03-24 2022-08-08 주식회사 태림텍 버섯 재배용 생육 환경 조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5810B (zh) * 2014-06-27 2017-01-18 广西仙草堂制药有限责任公司 灵芝孢子粉收集系统
CN111543256A (zh) * 2020-05-21 2020-08-18 丁配和 一种用于蘑菇大棚的湿度检测加湿装置
CN112154869B (zh) * 2020-10-28 2022-06-14 山东仙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轻扫式灵芝孢子收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82B1 (ko) 2012-12-13 2014-08-07 김일부 응축수 포집구획을 갖춘 공압 장치용 압축공기탱크
KR102430557B1 (ko) * 2022-03-24 2022-08-08 주식회사 태림텍 버섯 재배용 생육 환경 조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739A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460B1 (ko) 운동장의 잔디 관리 시스템 및 골프 코스의 잔디 관리 방법
CN105850509B (zh) 一种食用菌培植的可移动式智能整体设备
CN205567360U (zh) 一种节能型集装箱植物工厂
KR101557197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DE102005022934A1 (de) Schrank zum kontrollierten Aufziehen von Pflanzen und zur Erreichung gleichbleibender pflanzlicher Geschmacksqualitäten
CN202206782U (zh) 一种食用菌工厂化栽培室的换气系统
KR100356405B1 (ko) 다기능 버섯 자동포자 채집기
CN106804332A (zh) 一种玫瑰花培育室
KR101248985B1 (ko) 농작물 재배용 부스
CN206260347U (zh) 家庭阳台装配式立体栽培菌菜共生系统
CN213983857U (zh) 一种离子风空调器
CN109429915A (zh) 一种工厂化养殖食用菌通风装置
CN108834766A (zh) 一种家用多功能智能菌菇培养架及培养菌菇方法
KR20050019235A (ko) 시설하우스용 제습기
CN112535069A (zh) 一种香菇种植用菌类培养箱
CN106489522A (zh) 一种草菇房及其应用方法
KR100695965B1 (ko) 버섯재배사의 에너지 절약형 무창환기장치
CN208640184U (zh) 一种多功能的农产品销售台
CN108775629A (zh) 一种用于宠物医院的除尘杀菌节能空调
CN108006866A (zh) 一种磁力生态空气调理装置
KR101912649B1 (ko) 밀폐정원을 이용한 주거지의 신선한 공기 공급장치
CN213486123U (zh) 一种用于食材培育的多功能一体机
CN109997575B (zh) 一种农业设施内部智能降湿装置及方法
CN113796265A (zh) 一种食用菌栽培用生产基地智能管理控制系统
CN208095377U (zh) 林业苗木育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